KR19990032138U - 드럼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드럼 브레이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32138U KR19990032138U KR2019970044892U KR19970044892U KR19990032138U KR 19990032138 U KR19990032138 U KR 19990032138U KR 2019970044892 U KR2019970044892 U KR 2019970044892U KR 19970044892 U KR19970044892 U KR 19970044892U KR 19990032138 U KR19990032138 U KR 1999003213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um
- wear
- brake
- limit line
- wear limi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6/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working conditions, e.g. wear, temperature
- F16D66/02—Apparatus for indicating wea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10—Drums for externally- or internally-engaging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드럼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반복적인 제동작용에 따른 드럼의 마모상태를 운전자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는 휠(20)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41)의 선단면(41a)에 마모상태를 단계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마모한계선(42)을 원주방향으로 형성하였다.
따라서 운전자는 드럼(41)의 마모정도를 마모한계선(42)을 통해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드럼의 교환시기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드럼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휠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의 선단면에 마모정도와 교환시기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마모한계선을 표시한 드럼 브레이크의 드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브레이크는 주행 중인 자동차를 감속하거나 정지 또는 정지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브레이크는 주행중의 운동에너지를 기계적인 마찰장치에 의해서 열에너지로 바꾸어 그의 마찰열을 대기중에 방출하여 제동을 하는 방식으로써, 드럼식 유압 브레이크와 디스크식 유압 브레이크 등이 있다. 드럼식 유압 브레이크는 디스크 대신에 휠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의 내부에서 라이닝이 마찰하여 제동력을 제동력을 얻는 것이다.
도 1은 이러한 드럼 브레이크의 전체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이다. 드럼 브레이크는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휠(미도시)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1), 백플레이트(2)의 고정되어 있는 앵커블럭(6)에 일단부가 각각 접촉지지되어 이를 중심으로 외향 작동하는 한쌍의 반원형 브레이크슈(3a,3b), 마스터실린더(미도시)에서 형성된 제동유압을 전달받아 브레이크슈(3a,3b)를 작동시키는 휠실린더(5)로 크게 이루어져 있다.
브레이크슈(3a,3b)는 외주면에 라이닝(4)이 부착되어 있어서 회전하는 드럼(1)의 내주면과 마찰 제동력을 발휘하며, 이것은 드럼(1)의 전진회전방향측에 리딩슈(3a)와 그 반대측에 위치되는 트레일링슈(3b)로 구별된다.
즉, 리딩슈(3a)와 트레일링슈(3b)의 각 일단부는 백플레이트(2)에 고정된 앵커블럭(6)의 양단부에 접촉 지지되어 있고, 이들의 각 타단부는 휠실린더(5)의 양부와 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브레이크슈(3a,3b)를 외향 작동시키는 휠실린더(5)는 한쌍의 피스톤(미도시)이 내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휠실린더(5)에 제동유압이 전달되면 피스톤(미도시)이 각각 외측으로 전진함으로써, 리딩슈(3a)와 트레일링슈(3b)는 앵커블럭(6)과 접촉되어 있는 일단부를 중심으로 외향 작동하여 라이닝(4)이 드럼(1)의 내주면과 마찰하게 된다.
그리고 제동작용이 해제되면 이들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데, 이것은 복원스프링(7)에 의해 수행된다. 복원스프링(7)은 일단부가 리딩슈(3a)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트레일링슈(3b)에 고정되어 있어서 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복원작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드럼 브레이크가 장착된 자동차가 나아갈 때는 휠(미도시)과 함께 드럼(1)도 같이 회전한다.
그리고 운전자가 브레이크패달(미도시)을 밟게 되면 배력장치(미도시)에서 배력이 형성되고, 이 힘에 의해 마스터실린더(미도시)에서 제동유압이 형성된다. 계속하여 유압라인(미도시)을 통해 제동유압이 휠실린더(5)에 전달되면, 피스톤(미도시)이 전진하게 되어 리딩슈(3a)와 트레일링슈(3b)가 외향 작동한다. 따라서 이들의 외주면에 부착된 라이닝(4)이 회전하고 있는 드럼(1)의 내주면과 마찰하여 제동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제동작용이 반복됨에 따라 라이닝(4)도 마찰 마모되지만 휠(미도시)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1)의 내주면도 마모손상되며, 드럼(1)이 과다하게 마모되면 큰 회전토크가 걸리게 되고 강성이 취약해지게 된다.
즉, 드럼(1)의 파손으로 인한 제동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어 드럼(1)의 교환이 요구되는데, 자동차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1mm이상 마모가 발생되면 교환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를 위해 운전자는 차량을 정비소에 맡기게 되고, 여기에서는 정비자가 수작업으로 드럼(1)의 내경을 측정하여 마모정도를 확인한다. 그리고 이 결과를 토대로 드럼(1)의 교환여부를 결정한다.
그러나 드럼(1)의 마모상태를 운전자가 쉽게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며, 차량 정비소를 찾아야만 하는 복잡한 절차로 인해 자동차업계의 권고 이상으로 드럼(1)이 마모되어도 대부분이 사용하여 교환시기를 넘기게 된다. 이에 따라 드럼(1)의 강성이 취약해지며, 심한 경우에는 파손되어 대형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휠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의 선단면에 라이닝이 마찰하는 내주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마모한계선을 원주방향으로 표시함으로써, 운전자나 정비자가 마모한계선을 통해 계속적인 제동작용에 따른 드럼의 마모상태를 용이하게 알 수 있으며, 이의 교체시기를 쉽게 판단할 수 있는 드럼 브레이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드럼 브레이크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는 자동차의 휠에 장착된 본 고안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드럼의 선단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타이어 20..휠
21..휠조립체 40..드럼 브레이크
41..드럼 41a..선단면
42..마모한계선 42a..1차마모한계선
42b..2차마모한계선 43..브레이크슈
44..라이닝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동차의 휠과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드럼, 드럼의 내주면과 마찰하여 제동작용을 하는 라이닝을 갖춘 드럼 브레이크에 있어서,
드럼의 선단면에는 드럼의 마모정도를 알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마모한계선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자동차의 휠에 본 고안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가 장착된 것을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드럼을 일부 절개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는 드럼 선단면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종래의 구조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40)는 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어(10)가 상면에 설치되는 림(22)과 휠조립체(21)로 구성된 휠(20) 내부에서 제동작용을 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이것은 원통상의 드럼(41)과 이의 내주면에서 마찰작용을 하도록 라이닝(44)이 부착된 브레이크슈(43)로 구성된다.
드럼(41)은 허브(30)를 개재하여 휠조립체(21)와 볼트(50)체결되어 있어서 차량의 주행시 휠(20)과 함께 일체로 회전된다.
그리고 반원형상으로 구성된 한쌍의 브레이크슈(43)는 그 단면형상이 "T"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마찰재로서 라이닝(44)이 부착되어 있으며, 제동유압을 전달받는 휠실린더(미도시)에 의해 외향 작동된다. 휠실린더(미도시)의 양단부에는 브레이크슈(43)의 단부가 접촉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한쌍의 피스톤(미도시)이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마스터실린더(미도시)로부터 전달되는 제동유압에 의해 피스톤(미도시)이 전진하게 되면 브레이크슈(43)는 앵커블럭(미도시)을 중심으로 외향 작동된다.
한편, 바깥쪽으로 노출되는 드럼(41)의 선단면(41a)에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요소로 이의 마모정도를 나타내는 수단인 마모한계선(42)이 단계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마모한계선(42)은 드럼(41)의 선단면(41a)에 원주방향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드럼(41)의 내주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된 1차마모한계선(42a), 1차마모한계선(42a)에서 다시 소정간격 이격된 2차마모한계선(42b)으로 구별된다. 이 때, 마모한계선(42)의 간격은 드럼(41)의 마모한계를 나타내는 것인데, 이것은 차종과 드럼(41)의 종류에 따라 정비지침서 등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정비지침서 등에 기재된 마모한계 만큼, 마모한계선(42)의 간격을 조절하면, 드럼(41)의 마모정도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모한계선(42)의 간격을 1mm로 구성하였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차량이 움직이고 있으면 휠(20)과 함께 드럼(41)도 같이 회전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패달(미도시)을 밟게 되면 배력장치(미도시)에서 기압차에 의해 배력이 형성되고, 이 힘에 의해 마스터실린더(미도시)에서 제동유압이 형성 유압라인(미도시)을 통해 휠실린더(미도시)로 전달된다.
계속하여 휠실린더(미도시)에 내장된 피스톤(미도시)이 전진함에 따라 반원형상의 브레이크슈(43)가 외향 작동함으로써, 브레이크슈(43)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라이닝(44)이 회전하고 있는 드럼(41)의 내주면에 마찰하여 제동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동작용이 반복되면, 라이닝(44)은 물론이고 드럼(41)의 내주면도 마찰작용에 의해 마모손상됨으로써, 이들을 교환해주어야 한다.
이 때, 드럼(41)의 마모정도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것으로 드럼(41)의 선단면(41a)에 표시된 마모한계선(42)을 통해 외부에서 육안으로 쉽게 알 수 있다.
즉, 계속적인 제동작용으로 인해 드럼(41) 내주면이 1차마모한계선(42a)까지 마모된 것이 확인되면, 드럼(41)이 1mm정도 마모된 것이기 때문에 운전자나 정비자는 드럼(41)의 교체시기가 다 되었다는 것으로 판단하여 드럼(41)을 교환한다. 혹시 1차마모한계선(42a)을 지나 2차마모한계선(42b)까지 마모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드럼(41)의 내주면이 2mm정도 마모된 것으로 운전자는 지체없이 드럼(41)을 교체하여야만 한다.
결국, 운전자는 드럼(41)의 교체시기를 드럼 브레이크를 분해하지 않고서도 마모한계선(42)을 통해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이의 과마모로 인해 발생하는 대형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는 휠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의 선단면에 마모상태를 단계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1차마모한계선과 2차마모한계선을 소정간격 이격되게 원주방향으로 구성한 마모한계선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운전자는 드럼의 마모정도를 마모한계선을 통해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드럼의 교환시기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 자동차의 휠(20)과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드럼(41), 상기 드럼(41)의 내주면과 마찰하여 제동작용을 하는 라이닝(42)을 갖춘 드럼 브레이크에 있어서,상기 드럼의 선단면에는 상기 드럼의 마모정도를 알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마모한계선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한계선은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된 1차마모한계선, 상기 1차마모한계선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2차마모한계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44892U KR200293356Y1 (ko) | 1997-12-31 | 1997-12-31 | 드럼 브레이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44892U KR200293356Y1 (ko) | 1997-12-31 | 1997-12-31 | 드럼 브레이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2138U true KR19990032138U (ko) | 1999-07-26 |
KR200293356Y1 KR200293356Y1 (ko) | 2003-02-19 |
Family
ID=49397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44892U KR200293356Y1 (ko) | 1997-12-31 | 1997-12-31 | 드럼 브레이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93356Y1 (ko)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97386U (ko) * | 1976-01-20 | 1977-07-21 | ||
JPS6011303Y2 (ja) * | 1979-10-29 | 1985-04-15 |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 ブレ−キドラムの摩耗限度表示装置 |
KR970006333U (ko) * | 1995-07-19 | 1997-02-21 | 브레이크의 드럼 마모 경보장치 |
-
1997
- 1997-12-31 KR KR2019970044892U patent/KR20029335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93356Y1 (ko) | 2003-0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31268A (en) | Electrical actuation mechanism suitable for a disc brake assembly | |
US5538105A (en) | Brake shoe hold down clip for disc brake assembly | |
US5921354A (en) | Self-energizing anti-creep parking and emergency brake mechanism for disc brake assembly | |
US20070034457A1 (en) | Disk brake system for automobile | |
GB2342962A (en) | Disc and drum brake assembly | |
US9284999B2 (en) | Guide pin for disc brake assembly, disc brake assembly including such a guide pin and method for producing a disc brake assembly including such a guide pin | |
JP5404448B2 (ja) | ドラム式電動駐車ブレーキ装置 | |
KR200293356Y1 (ko) | 드럼 브레이크 | |
WO1998006608A2 (en) | Electro-mechanical actuation mechanism for disc brake assembly | |
KR200296169Y1 (ko) | 디스크 브레이크의 디스크 | |
US6371257B1 (en) | Piston assembly for use in a wheel cylinder of a drum brake assembly | |
US6681902B1 (en) | Brake shoe mounting system for a vehicle brake assembly | |
KR200159220Y1 (ko) | 산업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안전장치 | |
US6325181B1 (en) | Piston assembly for use in a wheel cylinder of a drum brake assembly | |
KR19980027880U (ko) | 드럼 브레이크 | |
KR100527695B1 (ko) | 자동차의 브레이크드럼 | |
KR200388388Y1 (ko) |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 | |
KR200337397Y1 (ko) | 자동차의 브레이크 디스크 | |
KR0123822B1 (ko) | 마찰패드 마모감지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장치 | |
KR200298857Y1 (ko) | 자동차용 드럼 브레이크의 구조 | |
KR19980021631U (ko) | 캘리퍼브레이크의 마모감지장치 | |
KR100466125B1 (ko) |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 | |
KR19980076626A (ko) | 브레이크 라이닝의 교환시기 알림장치 | |
KR100191256B1 (ko) | 자동차의 브레이크 디스크 패드 마모감지장치 | |
JPH0223878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1230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