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0390A - 수질의 다성분 연속 오염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수질의 다성분 연속 오염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0390A
KR19990030390A KR1019980057033A KR19980057033A KR19990030390A KR 19990030390 A KR19990030390 A KR 19990030390A KR 1019980057033 A KR1019980057033 A KR 1019980057033A KR 19980057033 A KR19980057033 A KR 19980057033A KR 19990030390 A KR19990030390 A KR 19990030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light
light receiving
pip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7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9956B1 (ko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김정호
주식회사 정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호, 주식회사 정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김정호
Priority to KR1019980057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9956B1/ko
Publication of KR19990030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9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9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 G01N21/53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within a flowing fluid, e.g. smo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01N33/1826Organic contamination in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오수를 자유 낙하시키고, 자유낙하하는 오수에 광선을 조사한 후, 오수를 통과한 광선의 각각의 파장별 광량을 측정하여 오수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수질의 다성분 연속 오염 측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광선을 오수에 조사하여 오수를 통과한 광선의 광량을 이용하여 오염정도를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오수 또는 유체가 일정한 압력상태에서 측정 장치로 유입되도록 하는 자동압력 조절부, 유입된 오수가 자유낙하되도록 하는 본체부, 오수에 광선을 조사하는 조사부, 오수를 통과한 광선을 수광하여 수광된 광선의 광량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부, 상기 조사부와 수광부에 열풍을 공급하여 장치내의 습기를 제거하는 에어 공급부, 상기 조사부와 수광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기준값을 비교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본 발명은 오수의 오염정도를 측정함에 있어 오랜 시간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도 측정 장치의 관리가 수월하게 되고, 수질의 다성분 오염 정도를 빠른 시간내에 측정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질의 다성분 연속 오염측정장치
본 발명은 수질의 오염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선을 측정하고자 하는 오수에 조사하고 오수를 통과한 광선의 각 파장에 따른 광량을 측정하여 오수에 포함된 여러 가지 성분에 따른 오염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수질의 다성분 연속 오염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경 오염이 점점 심해져가는 요즘,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수 등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각 공장에 설치되어 있는 하수 처리장에서 처리된 하수 처리의 정도를 수시로 측정하기 위해서는 자동화된 오염 측정장치가 필요하다.
종래에는 흐르는 오수를 채취하여 실험실로 가져가 성분 분석을 해야 하기 때문에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종래에는 유리관 내부를 흐르는 오수에 광선을 조사하고, 오수를 통과한 광선의 광량에 의해 오염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오염 측정장치가 사용되었다.
도 1에는 종래의 광선을 오수에 조사하여 이를 투과한 광선의 광량을 이용한 오수의 오염 측정장치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외부에서 유입된 오수는 측정 장치 본체(1) 내부에 설치된 유리관(2)을 지나고, 발광램프(3)에서 발광된 빛은 유리관을 지나는 오수를 통과하여 발광램프(3) 반대측에 설치된 센서(4)에 감지된다. 센서(4)는 감지된 광선의 광량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5)로 입력시키고, 제어부(5)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오수의 오염도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장치는 유리관 내부에 오수가 지나기 때문에 오수에 섞여 있는 오염물질에 의해 유리관의 내부가 더럽혀지게 된다. 유리관이 더럽혀 지게 되면 유리관의 내부에 부착된 오염물질에 의해 광선의 진행이 방해되어 오염도 측정의 정밀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수시로 유리관을 점검하여 청소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오수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가지 오염 물질중 한 번에 한가지의 오염물질만을 측정할 수 있었기 때문에 오수속에 포함된 여러 오염물질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광선을 오수에 조사하여 오수를 통과한 광선의 광량을 이용하여 오염 정도를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오수에 포함된 오염물에 의해 오수의 흐름관이 오염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흐름관을 제거하여 오수가 일정하게 자유낙하하도록 하고, 수광부측에 추가로 설치된 빔 스플리터에 의해 2개의 경로로 분산된 광선과 오수에 의해 산란된 산란광을 수광하여 오수속에 포함된 다수의 오염 물질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수질의 다성분 연속 오염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선을 오수에 조사하여 오수를 통과한 광선의 광량을 이용하여 오염정도를 측정하는 오수의 오염도 측정 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공급되는 오수 또는 유체가 일정한 압력으로 측정 장치로 유입되도록 하는 자동압력 조절부, 상기 자동압력 조절부로부터 유입된 오수 또는 유체가 측정 장치의 내부에서 자유낙하하도록 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서 자유낙하하는 오수 또는 유체에 광선을 조사하는 조사부, 상기 조사부로부터 조사되어 오수를 통과한 광선을 수광하여 수광된 광선의 파장별 광량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부, 상기 조사부와 수광부에 열풍을 공급하여 조사부와 수광부내의 습기를 제거하는 에어 공급부, 상기 수광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기준값을 비교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표시하도록 하고 측정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오수의 오염 측정장치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 측정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 측정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 측정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구성된 오염 측정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24:공급 파이프
28:배출 파이프 32:압력 조절파이프
50:조사관 54:램프
58:집속 렌즈 64a:제 1 기준센서
64b:제 2 기준센서 70,72:제 1 , 제 2 수광관
74a,74b:제 1, 제 2 수광렌즈 78:빔 스플리터
82,84,86:제 1, 제 2, 제 3 필터 88,89,90:제 1, 제 2, 제 3 센서
94:제어부 98:에어 공급선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 측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 측정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 측정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구성된 오염 측정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상기 자동압력 조절부는 외부에서 오수유입 파이프(20)을 통해 공급되는 오수가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측정 장치로 공급되도록 오수의 압력이 조절되는 압력 조절파이프(32), 오수유입 파이프(20)에 의해 압력 조절파이프(32)에 공급되는 오수의 공급량이 일정 범위 이상일 때 압력 조절파이프(32)의 오수가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압력 조절파이프(32)의 오수량이 일정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배출 파이프(28), 압력 조절파이프(32)의 하부에 설치되어 압력 조절파이프(32)의 내부에 축적되는 찌꺼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용 콕(34)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사부는 본체(10)의 내벽 안쪽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는 조사관(50), 광선을 발광하는 램프(54), 상기 램프(54)에서 발광된 광선을 일방향으로 집속하는 집속 렌즈(58), 램프(54)에서 발광된 광선의 특정 파장만을 통과시키는 제 1 및 제 2 비교필터(62a, 62b), 상기 제 1 및 제 2 비교필터(62a, 62b)를 통과한 광선의 양을 감지하여 광량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및 제 2 비교센서(64a, 64b)로 구성되어 있다.
수광부는 조사관(50)과 일직선상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수광관(70), 상기 조사관(50)과 직각방향에 설치되어 있는 제 2 수광관(72), 상기 제 1 및 제 2 수광관(70,72)에 수광되는 광선을 집광하는 제 1 및 제 2 수광 렌즈(74a, 74b), 상기 제 1 수광렌즈(74a)에 의해 수광된 광선의 경로를 이분하는 빔 스플리터(78), 상기 빔 스플리터(78)에 의해 경로가 이분된 광선에서 특정 파장의 광선만을 통과시키는 제 1 및 제 2 필터(82, 84), 상기 제 2 수광렌즈(74b)에 의해 수광된 광선에서 특정 파장의 광선만을 통과시키는 제 3 필터(86),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필터(82,84,86)를 통과한 광선의 양을 측정하여 해당값을 출력하는 제 1, 제 2 및 제 3 센서(88, 89, 90)로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오수의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해 오수유입 파이프(20)의 중간부에 설치된 오수 공급콕(cock)(22)을 열면 오수유입 파이프(20)을 통해 측정 장치 외부로부터 오수가 유입된다. 이때 오수유입 파이프(20)는 압력 조절파이프(32)에 연결되어 있고, 오수유입 파이프(20)와 압력 조절파이프(32)의 연결부위 하부에는 측정 장치로 오수가 유입되도록 오수공급 파이프(24)가 분기되어 있다. 오수유입 파이프(20)와 압력 조절파이프(32)의 연결부위 상부에는 배출 파이프(28)가 설치되어 있다.
외부에서 오수유입 파이프(20)를 통해 유입되는 오수의 공급 압력이 적정 한도를 넘어설 경우에는 본체(10)로 유입되는 오수의 유속이 지나치게 높아져 측정의 정밀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오수유입 파이프(20)를 통한 오수의 압력이 높아져 배출 파이프(28)이 설치된 위치까지 오수의 수위의 높아지게 되면 배출 파이프(28)를 통해 일부 오수가 배출되므로, 오수공급 파이프(24)을 통해 측정장치로 유입되는 오수의 압력이 항상 일정범위를 유지하도록 하여 측정의 정밀도를 유지한다.
상기 오수공급 파이프(24)를 통해 본체(10)에 유입되는 오수의 공급압력이 항상 일정하므로 본체(10)의 내부에서 오수는 항상 균일한 상태로 자유낙하하게 된다.
압력 조절파이프(32)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배출용콕(34)은 계속되는 오수의 유입에 의해 압력 조절파이프(32)내부에 오염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배출용콕(34)을 열게 되면 압력 조절파이프(32)내부에 축적되어 있는 오염물질이 배출되게 된다.
측정 장치 내부로 유입된 오수는 본체(10)로 유입된 후, 본체(10)의 하부측에 설치된 배출관(14)을 향하여 자유 낙하되도록 한다. 자유 낙하된 오수가 본체(10) 내부에 묻지 않고 배출관(14)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관(14)의 입구의 지름은 오수공급 파이프(24)의 2배 이상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에서 유입된 오수가 배출관(14)을 향하여 자유 낙하하게 되면, 조사관(50)의 내부에 설치된 램프(54)에서는 일정량의 광선이 발생되어 낙하되는 오수에 조사된다. 즉, 램프(54)에서 발생된 광선은 램프(54)의 전방에 설치된 스판 조정필터(68)를 통과한 후, 집속 렌즈(58)에 의해 일정 방향과 광속으로 오수측에 조사되게 된다.
램프(54)에 공급되는 전원이 불안정하게 되는 일이 발생하게 되면 램프(54)에서 발광되는 광량도 변화하게 되어 이후의 오염도 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오차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이때 램프(54)의 후방부에는 제 1 비교 센서(64a)와 제 2 비교 센서(64b)가 부착되어 있어 램프(54)에서 발광되는 광선의 양을 감지하고, 감지된 광량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94)로 입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 1 비교 센서(64a)의 전방에 설치된 제 1 비교 필터(62a)는 램프(54)에서 발광되는 가시광선의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제 2 비교 센서(64b)의 전방에 설치된 제 2 비교 필터(62b)는 램프(54)에서 발광되는 자외선의 양을 측정하도록 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비교필터(62a, 62b)는 측정용 필터인 제 1 및 제 2 필터(82, 84)와 동일한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94)는 제 1 비교 센서(64a)와 제 2 비교 센서(64b)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측정하여 나타는 램프의 광량 변화를 제 1 및 제 2 센서(88, 89)에서 출력되는 값을 보정한다.
램프(54)에서 발광된 광선은 오수를 통과한 후 오수의 낙하 방향과 수직이고, 조사관(50)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제 1 수광관(70)으로 입사된다. 또한, 오수에 조사된 광선중 일부는 오수에 포함되어 있는 물질(주로 오일 성분)에 의해 산란된다. 오일 성분에 의해 산란된 산란광은 제 2 수광관(72)으로 입사된다.
이때, 상기 조사관(50)과 제 1, 제 2 수광관(70, 72)은 본체(10)의 내벽보다 오수측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어, 오수에 조사되는 광선이 본체(10) 및 배출관(14)의 내벽에 반사되어 조사관(50)과 제 1, 제 2 수광관(70, 72)에 다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제 1 수광관(70)과 제 2 수광관(72)의 앞부분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수광 렌즈(74a, 74b)가 설치되어 있어 수광관으로 입사되는 광선을 후방에 설치된 센서측으로 유도되도록 한다.
제 1 수광관(70)에 입사된 광선은 제 1 수광 렌즈(74a)에 의해 빔 스플리터(78)로 유도된다. 빔 스플리터(78)는 반투명의 유리 박판으로서, 제 1 수광 렌즈(74a)에 의해 수광된 광선의 1/2은 통과시키고, 나머지 1/2은 45 도 각도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오수에 조사된 광선은 오수를 통과하는 동안 오수에 포함된 각종 오염 물질에 의해 차단되므로, 오수를 통과한 후에는 최초의 조사량과 대비하여 광량이 변화하게 된다.
빔 스플리터(78)에 의해 반사되어 광로가 변경된 광선은 제 1 필터(82)에 의해 필요로 하는 파장만을 통과되도록 한후, 제 1 센서(88)는 필터를 통과한 광선의 광량을 감지하여 광량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신호는 제어부(94)로 입력되도록 한다.
한편, 빔 스플리터(78)를 통과하여 일정한 광로를 유지한 광선은 제 2 필터(84)에 의해 필요로 하는 파장만이 통과되도록 한 후, 제 2 센서(89)에 의해 광량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94)로 입력되도록 한다.
제 1 및 제 2 필터(82, 84)는 필요에 따라 다른 파장 영역의 필터로 교환함에 따라 제 1 및 제 2 센서(88, 89)에서 감지하는 파장의 광량은 변화될 수있다. 예를 들어 제 1 필터(64)를 546 nm 의 황색 파장을 통과시키는 필터를 사용하고, 제 2 필터(84)는 254 nm 의 자외선을 통과시키는 필터를 사용하게 되면 제 1 센서(88)는 황색 파장의 광량을 감지하게 되고, 제 2 센서(89)는 자외선의 광량을 감지하게 된다. 가시 광선인 황색 파장은 탁도 측정에 쓰이고, 자외선은 오수의 질산염 농도,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OD),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의 측정에 사용한다.
오수에 포함된 오일 성분은 자외선 광선을 조사하였을 때 90。 방향에서 형광 산란되 때문에 오수에 의해 산란된 광선을 수광하기 위한 제 2 수광관(72)은 제 1 수광관(70)과는 달리 본체(10)의 측면에 부착하여 형광 산란된 자외선 광선을 수광한다. 제 2 수광관(72)내부에 설치되는 제 3 필터(86)는 340 ~ 360nm 의 파장을 통과시키는 필터를 사용한다.
제 2 수광관(72)에 설치된 제 2 수광 렌즈(74b)는 산란된 광을 집광하여 제 3 센서(90)측으로 보내고, 제 3 센서(90)는 수광된 광선의 광량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94)에 입력되도록 한다.
제어부(94)는 제 1, 제 2 및 제 3 센서(88, 89, 90)에서 출력된 신호를 제어부(94)에 설정 저장되어 있는 기준값과 비교한다. 이때 기준값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설정된다.
오수유입 파이프(20)의 하부에 오수관(36)과 유체관(38)을 각각 연결하고, 오수와 유체를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 1 솔레노이드 밸브(40)와 제 2 솔레노이드 밸브(42)를 오수관(36)과 유체관(38)의 중간부에 부착 설치한다. 오수관(36)에 부착된 제 1 솔레노이드 밸브(40)를 닫아 오수가 공급되지 않도록 한 후, 유체관(38)에 부착된 제 2 솔레노이드 밸브(42)를 열어 유체가 오수유입 파이프(20)을 통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오수유입 파이프(20)을 통해 공급된 유체는 오수가 공급될 경우와 마찬가지로 측정 장치의 본체(10)로 유입되어 배출관(14)측으로 자유 낙하하게 된다.
자유 낙하되는 유체에 광선이 조사되고, 유체를 통과한 광선이 빔 스플리터(78)를 통과 및 반사된 후 제 1 및 제 2 필터(82, 84)를 거쳐 제 1 및 제 2 센서(88, 89)에 감지되었을 때, 제 1 및 제 2 센서(88, 89)에 감지된 광량에 해당하는 신호가 출력되어 상기 제어부(94)에 입력된다. 또한, 유체에서 산란된 광선은 제 2 수광관(72)에 수광되어 제 3 센서(90)에 감지되어 광량에 해당하는 값을 출력하여 제어부(94)에 입력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94)로 입력되는 신호는 오염되지 않은 상태의 값을 나타내므로 제어부(94)는 입력된 신호를 기준값으로 설정하여 저장하게 된다.
제어부(94)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설정된 기준값과 오수를 통과한 광선의 광량을 감지하는 제 1, 제 2 및 제 3 센서(88, 89, 90)에서 출력된 신호를 비교하여, 기준값과 센서 출력값과의 차이를 표시부(미도시)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이러한 측정이 진행되는 동안 오수가 계속적으로 유입되고 본체(10)내부에서 자유 낙하하게 되기 때문에 오수에서 발생한 습기가 조사관(50)과 제 1 및 제 2 수광관(70, 72)에 유입되어 발광 램프(54)와 각종 센서가 오동작 될 수도 있다. 또한, 집속 렌즈(58)와 제 1 및 제 2 수광 렌즈(74a, 74b)에 습기가 맺히게 되면 광선의 진로에 영향을 주어 조사관(50)에서 조사된 광선이 오수를 통과하지 못하거나, 수광관에 수광된 광선이 센서측으로 도달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정확한 오수의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습기의 제거가 필수적이다.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측정 장치 외부에 열풍기(미도시)를 설치하고, 에어 공급선(98)을 이용하여 열풍기와 측정 장치의 조사관(50)과 제 1 및 제 2 수광관(70, 72)에 각각 연결한다. 에어 공급선(98)의 일측은 열풍기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는 3 부분으로 분기되어 조사관(50) 및 제 1 및 제 2 수광관(70, 72)에 설치된 집속 렌즈(58)와 제 1 및 제 2 수광 렌즈(74a, 74b)의 전방으로 각각 연결하여 열풍기에 의해 일정 온도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한다. 일정한 온도로 가열된 공기가 계속적으로 공급됨에 의하여 조사관(50)과 제 1 및 제 2 수광관(70, 72)에는 습기가 끼지 않게 된다.
에어 공급선(98)과 조사관(50)의 연결 부위의 반대편에는 온도감지센서(66)를 부착하여 에어 공급선(98)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온도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94)에 입력시킨다.
제어부(94)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온도를 측정하고 공기의 온도가 항상 일정범위에 머물도록 열풍기에서 가열되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한다. 에어 공급선(98)은 조사관(50)과 제 1 및 제 2 수광관(70, 72) 3 곳에 각각 연결되나, 에어 공급선(98)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열풍기 한곳에서 공급되기 때문에 온도감지센서(66)는 조사관(50) 또는 제 1 및 제 2 수광관(70, 72) 중 한곳에만 설치해도 무방하다.
또한 열풍기에 의해 가열되어 공급되는 공기는 먼지 제거 필터(미도시)와 같은 장치를 통과시켜 공기에 포함된 먼지가 완전히 제거되도록 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오수에 광선을 조사하고 오수를 통과한 광선의 파장에 따른 광량에 의하여 오염정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오랜 시간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도 측정 장치의 관리가 수월하게 되고, 오수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종류의 오염물질을 빠른 시간내에 측정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광선을 오수에 조사하여 오수를 통과한 광선의 광량을 이용하여 오염정도를 측정하는 오수의 오염도 측정 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공급되는 오수 또는 유체가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측정 장치로 유입되도록 하는 자동압력 조절부, 상기 자동압력 조절부로부터 유입된 오수가 측정 장치의 내부에서 자유낙하하도록 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서 자유낙하하는 오수에 수직으로 광선을 조사하는 조사부, 상기 조사부로부터 조사되어 오수를 통과한 광선을 수광하여 수광된 광선의 광량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부, 상기 조사부와 수광부에 열풍을 공급하여 조사부와 수광부내의 습기를 제거하는 에어 공급부, 상기 수광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기준값을 비교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표시부에 출력하고 측정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의 다성분 연속 오염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압력 조절부는 오수유입 파이프(20)를 통해 공급된 오수를 측정 장치로 공급하는 압력 조절파이프(32), 오수유입 파이프(20)에 의해 압력 조절파이프(32)에 공급되는 오수의 공급량이 일정 범위 이상일 때 압력 조절파이프(32)의 오수가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압력 조절파이프(32)의 오수량이 일정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배출 파이프(28), 압력 조절파이프(32)의 하부에 설치되어 압력 조절파이프(32)의 내부에 축적되는 오수의 찌꺼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용 콕(3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의 다성분 연속 오염측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부는 본체(10)의 내벽 안쪽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는 조사관(50), 광선을 발광하는 램프(54), 상기 램프(54)에서 발광된 광선을 일방향으로 집속하는 집속 렌즈(58), 램프(54)에서 발광된 광선의 특정 파장만을 통과시키는 제 1 및 제 2 비교필터(62a, 62b), 상기 제 1 및 제 2 비교필터(62a, 62b)를 통과한 광선의 양을 감지하여 광량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및 제 2 비교센서(64a, 64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의 다성분 연속 오염측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상기 조사관(50)과 일직선상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수광관(70), 상기 조사관(50)과 직각방향에 설치되어 오일성분에 의해 산란되는 파장을 측정하는 제 2 수광관(72), 상기 제 1 및 제 2 수광관(70,72)에 수광되는 광선을 집광하는 제 1 및 제 2 수광 렌즈(74a, 74b), 상기 제 1 수광렌즈(74a)에 의해 수광된 광선의 경로를 이분하는 빔 스플리터(78), 측정하고자 하는 특정 파장의 광선만을 통과시키는 제 1, 제 2, 제 3 필터(82,84,86),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필터(82,84,86)를 통과한 광선의 양을 측정하여 해당값을 출력하는 제 1, 제 2 및 제 3 센서(88, 89, 9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의 다성분 연속 오염측정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관(50), 제 1 수광관(70) 또는 제 2 수광관(72)에는 에어 공급선(98)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94)에 출력하는 온도 감지센서(66)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의 다성분 연속 오염측정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수광관(70, 72)은 산란되는 광선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10)의 내벽 안쪽으로 돌출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의 다성분 연속 오염측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는 외부의 오수를 본체부(10)에 공급하는 오수공급 파이프(24)와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14)이 일정 거리를 갖도록 서로 분리되어 설치됨으로써 오수가 오수공급 파이프(24)로부터 배출관(14)측으로 자유낙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의 다성분 연속 오염측정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14)의 지름이 오수공급 파이프(24)의 지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의 다성분 연속 오염측정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교필터(62a)는 자외선 파장만을 필터링하고, 상기 제 2 비교필터(62b)는 가시광선만을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의 다성분 연속 오염측정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유입 파이프(20)에는 제어부(94)의 제어에 의해 순수 또는 유체를 압력 조절파이프(32)에 선별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40, 42)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의 다성분 연속 오염측정장치.
KR1019980057033A 1998-12-22 1998-12-22 수질의다성분연속오염측정장치 KR100329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7033A KR100329956B1 (ko) 1998-12-22 1998-12-22 수질의다성분연속오염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7033A KR100329956B1 (ko) 1998-12-22 1998-12-22 수질의다성분연속오염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390A true KR19990030390A (ko) 1999-04-26
KR100329956B1 KR100329956B1 (ko) 2002-10-25

Family

ID=37479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7033A KR100329956B1 (ko) 1998-12-22 1998-12-22 수질의다성분연속오염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995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876A (ko) * 2000-09-21 2002-03-28 박호군 고효율 광섬유 프로브를 이용한 수질오염 측정장치
KR20020089065A (ko) * 2001-05-22 2002-11-29 주식회사 이오니아 실시간 수질측정 시스템
KR20180114311A (ko) * 2017-04-10 2018-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36944B1 (ko) * 2021-04-12 2022-08-26 주식회사 신코 다 성분 형광 수질 분석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685B1 (ko) 2015-05-21 2016-09-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무기이온 오염도 측정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876A (ko) * 2000-09-21 2002-03-28 박호군 고효율 광섬유 프로브를 이용한 수질오염 측정장치
KR20020089065A (ko) * 2001-05-22 2002-11-29 주식회사 이오니아 실시간 수질측정 시스템
KR20180114311A (ko) * 2017-04-10 2018-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36944B1 (ko) * 2021-04-12 2022-08-26 주식회사 신코 다 성분 형광 수질 분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9956B1 (ko) 200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8789B2 (en) Flow cytometer for rapid bacteria detection
EP0576501B1 (en) Organic pollutant monitor
US6791092B2 (en) Transmission meter, a method of measuring transmittance and a disinfection apparatus
CN101529224B (zh) 过滤水监视装置及过滤水监视系统
JP4817100B2 (ja) 水質モニタリング装置
EP1228358B1 (en) Device for measuring water colour and turbidity using a single detector
SE455134B (sv) Sett och anordning vid optisk analys i genomstromningskuvett
US545610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cle counting and counter calibration
WO2018179494A1 (ja) 水質測定装置
KR100329956B1 (ko) 수질의다성분연속오염측정장치
KR20020022876A (ko) 고효율 광섬유 프로브를 이용한 수질오염 측정장치
GB2312278A (en) Organic and/or biological pollution monitor
KR101692677B1 (ko) 유동압력차를 이용한 다중 회절유로형 기포제거부를 갖는 지능형 탁도 측정 장치
GB2355524A (en) Device for measuring colour and turbidity in a liquid sample
US20230176027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a water facility
JPH10325797A (ja) 流体濃度測定装置
KR100299328B1 (ko) 유출수의유기오염물측정방법및장치
EP1949075A1 (en) Light measurement automated zeroing and referencing system for a water quality analysis system
RU2771221C1 (ru) Устройство селективного контроля аварийных сбросов
JPH1048134A (ja) プロセス濁度計
JP2002340787A (ja) 吸光度測定装置
RU2801784C1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содержания механических примесей в аэрозолях и жидкостях и устройство оптической ячейки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JPH07209180A (ja) 水質監視装置
JP2001232354A (ja) 浄水器
KR102517240B1 (ko) 정수기의 수질 측정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수질 측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