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0196U - 편향요크 - Google Patents

편향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0196U
KR19990030196U KR2019970042869U KR19970042869U KR19990030196U KR 19990030196 U KR19990030196 U KR 19990030196U KR 2019970042869 U KR2019970042869 U KR 2019970042869U KR 19970042869 U KR19970042869 U KR 19970042869U KR 19990030196 U KR19990030196 U KR 199900301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bobbin
flange portion
separator
deflection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28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태종
Original Assignee
왕중일
대우전자부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중일, 대우전자부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왕중일
Priority to KR20199700428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0196U/ko
Publication of KR199900301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196U/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편향요크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는 유해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도록 세퍼레이터의 플랜지부에 장착된 보빈 및 상기 보빈에 다수 회 감겨진 코일로 구성된 캔슬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편향요크에 있어서, 상기 캔슬코일의 보빈은 상기 유해 전자파의 방출각도에 따라 그 대응방향이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세퍼레이터의 플랜지부의 양측면에 힌지수단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기 때문에, 즉, 세퍼레이터의 플랜지부 양측면에 장차된 캔슬코일을 힌지수단에 의하여 힌지 결합시키므로써, 전자총으로부터 나온 유해 전자파의 방출각도에 따라 상기 캔슬코일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유해 전자파의 방출을 극소화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편향요크
본 고안은 편향요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퍼레이터의 플랜지부 양측면에 장착된 캔슬코일을 힌지수단에 의하여 힌지 결합시켜 전자총으로부터 나온 유해 전자파의 방출각도에 따라 상기 캔슬코일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편향요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의 전자총에서 발사되는 전자빔을 편향하는 편향요크(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편향하는 2개 1조의 수직 편향코일(110)과, 상기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하는 2개 1조의 수평 편향코일과, 상기 수직 편향코일(110) 및 수평 편향코일을 정밀도 있게 구분함과 동시에 상호 절연시키는 세퍼레이터(1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세퍼레이터(120)는 전자총이 장착되는 네크부(121)와, 브라운관의 후면에 장착되는 플랜지부(122)를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편향요크(100)에 의하여 음극선관의 전자총에서 발사되는 R(Red), G(Green), B(Blue)의 전자빔은 소정의 각도로 편향되어 섀도우 마스크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해서 패널(panel)의 내주면에 장착된 형광면 각각의 스트라이프(stripe)에 봉착하여 발광하므로써, 텔레비전의 화면에 화상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빔은 편향요크(100)의 수평 편향코일 및 수직 편향코일(110)에 의하여 대부분 형광면에 봉착되지만 일부 전자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으로 방출되기도 한다.
이러한 유해 전자파를 상쇄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이 캔슬코일(cancel coil)(130)인 데, 이 캔슬코일(130)은 세퍼레이터(120)의 플랜지부(122) 양측에 고정된 보빈(131)과, 상기 보빈(131)에 다수 회 감겨진 코일(132)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보빈(131)은 상기 플랜지부(122)의 양측에 고정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써 최초 조립 후에는 보빈(131)의 고정각도 및 고정방향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없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 기술에 따른 편향요크(100)는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빔의 방출로 인한 유해 전자파를 상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캔슬코일(130)의 보빈(131)을 세퍼레이터(120)의 플랜지부(122) 양측에 고정 장착되는 구조로 구성하므로써, 상기 유해 전자파의 방출각도에 따라 능동적으로 상쇄시킬 수 있는 캔슬코일(130)의 자계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게 되어 캔슬코일(130)의 정상적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커다란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세퍼레이터의 플랜지부 양측면에 장착된 캔슬코일을 힌지수단에 의하여 힌지 결합시켜 전자총으로부터 나온 유해 전자파의 방출각도에 따라 상기 캔슬코일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유해 전자파의 방출을 극소화시킬 수 있는 편향요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편향요크를 나타내는 요부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편향요크를 나타내는 요부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편향요크110 : 수직 편향코일
120 : 세퍼레이터121 : 네크부
122 : 플랜지부130 : 캔슬코일
131 : 보빈132 : 코일
10 : 힌지수단11 : 힌지축
12 : 힌지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적어도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는 유해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도록 세퍼레이터의 플랜지부에 장착된 보빈 및 상기 보빈에 다수 회 감겨진 코일로 구성된 캔슬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편향요크에 있어서, 상기 캔슬코일의 보빈은 상기 유해 전자파의 방출각도에 따라 그 대응방향이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세퍼레이터의 플랜지부의 양측면에 힌지수단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편향요크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편향요크를 나타내는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면 중 종래 구성과 동일 작용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병기 사용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편향요크(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편향하는 2개 1조의 수직 편향코일(110)과, 상기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하는 2개 1조의 수평 편향코일과, 상기 수직 편향코일(110) 및 수평 편향코일을 정밀도 있게 구분함과 동시에 상호 절연시키는 세퍼레이터(1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세퍼레이터(120)는 전자총이 장착되는 네크부(121)와, 브라운관의 후면에 장착되는 플랜지부(122)를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세퍼레이터(120)의 플랜지부(122) 양측에는 캔슬코일(130)이 장착되는 데, 이 캔슬코일(130)은 상기 세퍼레이터(120)의 플랜지부(122) 양측에 힌지수단(10)에 의하여 힌지 결합된 보빈(131)과, 상기 보빈(131)에 다수 회 감겨진 코일(13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힌지수단(10)은 상기 플랜지부(122)의 양측면에 돌출 성형된 힌지축(11)과, 상기 힌지축(1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보빈(131)에 함몰 성형된 힌지홈(1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캔슬코일(130)의 보빈(131)이 힌지수단(10)에 의하여 세퍼레이터(120)의 플랜지부(122)에 힌지 결합되므로써, 수평 편향코일 및 수직 편향코일(110)에 의하여 전자총으로부터 나온 유해 전자파의 방출각도에 따라 상기 캔슬코일(130)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편향요크에 의하면, 세퍼레이터의 플랜지부 양측면에 장착된 캔슬코일을 힌지수단에 의하여 힌지 결합시키므로써, 전자총으로부터 나온 유해 전자파의 방출각도에 따라 상기 캔슬코일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유해 전자파의 방출을 극소화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적어도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는 유해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도록 세퍼레이터의 플랜지부에 장착된 보빈 및 상기 보빈에 다수 회 감겨진 코일로 구성된 캔슬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편향요크에 있어서,
    상기 캔슬코일의 보빈은 상기 유해 전자파의 방출각도에 따라 그 대응방향이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세퍼레이터의 플랜지부의 양측면에 힌지수단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은,
    상기 플랜지부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된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보빈에 함몰 성형된 힌지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
KR2019970042869U 1997-12-30 1997-12-30 편향요크 KR1999003019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869U KR19990030196U (ko) 1997-12-30 1997-12-30 편향요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869U KR19990030196U (ko) 1997-12-30 1997-12-30 편향요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196U true KR19990030196U (ko) 1999-07-26

Family

ID=69695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2869U KR19990030196U (ko) 1997-12-30 1997-12-30 편향요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019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372A (ko) * 2000-11-24 2002-05-30 이형도 편향요크
KR20030010831A (ko) * 2001-07-27 2003-02-06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372A (ko) * 2000-11-24 2002-05-30 이형도 편향요크
KR20030010831A (ko) * 2001-07-27 2003-02-06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5588B1 (en) Cathode ray tube
KR19990030196U (ko) 편향요크
US5038074A (en) Shadow-mask color picture tube
KR200202676Y1 (ko) 편향요크
KR19990049943A (ko) 편향요크의 랜딩 조절장치
KR100210020B1 (ko) 수직 편향 코일
KR200202671Y1 (ko) 편향요크
KR200176208Y1 (ko) 편향요크의 세퍼레이터 구조
KR200276069Y1 (ko) 편향요크의 네크 보정편
KR200289340Y1 (ko) 편향요크에 장착되는 퍼멀로이 보정편의 소음방지구조
KR19990057448A (ko) 편향요크의 수직 편향코일 구조
KR0177118B1 (ko) 칼라 음극선관의 편향장치
KR100356297B1 (ko) 편향요크
KR200289338Y1 (ko) 편향요크의 수직편향코일 유동방지구조
JP3053826B2 (ja) カラー陰極線管装置
KR19990037915U (ko) 편향요크의 세퍼레이터 구조
KR19990051007A (ko) 편향요크
US20020021079A1 (en) Bi-potential mask type cathode ray tube having getter shielding element
KR20020038833A (ko) 편향요크의 폴 마그네트 지지구조
JPH02201848A (ja) カラー受像管装置
JPS6326930A (ja) インライン型カラ−受像管
KR20010084389A (ko) 편향요크
KR19990039851U (ko) 편향요크의 편향코일 구조
KR19990074871A (ko) 편향요크의 수직 편향코일 구조
KR19990049941A (ko) 편향요크의 수직 편향코일 권선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