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338Y1 - 편향요크의 수직편향코일 유동방지구조 - Google Patents

편향요크의 수직편향코일 유동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338Y1
KR200289338Y1 KR2020020016772U KR20020016772U KR200289338Y1 KR 200289338 Y1 KR200289338 Y1 KR 200289338Y1 KR 2020020016772 U KR2020020016772 U KR 2020020016772U KR 20020016772 U KR20020016772 U KR 20020016772U KR 200289338 Y1 KR200289338 Y1 KR 2002893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deflection coil
vertical deflection
space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7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파츠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츠닉(주) filed Critical 파츠닉(주)
Priority to KR20200200167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3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3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338Y1/ko

Link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편향요크(100)의 수직편향코일(110) 유동방지구조는 적어도 음극선관이 결합되는 네크부(121) 내외주연에 수직편향코일과 수평편향코일을 장착하는 코일 스페이서(122)로 구성된 세퍼레이터(120)와, 상기 세퍼레이터(120)의 네크부(121) 하부에 밀착 장착되는 플랜지(123)로 이루어진 편향요크의 수직편향코일 유동방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23)의 상면과 코일스페이서(122)가 맞닿는 부분에 일정각도로 절곡시켜 탄성을 갖는 유동방지편(123a)을 순차적으로 형성시켜 코일 스페이서(122)의 외주연에 권회되는 수직편향코일(110)을 상부로 탄력적으로 밀어 올리도록 구성하여 코일 스페이서(122)의 외주연에 권회되는 수직편향코일(110)을 유동방지편(123a)이 상부로 탄력적으로 밀어 올려 수직편향코일(110)의 상하좌우 유동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서 역크로스 및 미스컨버전스 등의 확실하게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편향요크의 수직편향코일 유동방지구조{flow for prevention structure horizontal deflection coil of a deflection coil}
본 고안은 편향요크의 수직편향코일 유동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퍼레이터 외주연의 장착되는 수직편향코일이 상하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하여 역크로스 및 미스컨버전스 등을 방지하여 음극선관이 정상적인 화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편향요크의 수직편향코일 유동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향요크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선관의 전자총에서 발사되는 전자빔을 편향하는 장치로서, 상기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편향하는 수직 편향코일과, 상기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하는 수평편향코일(미 도시됨)과, 상기 수평편향코일 및 수직편향코일(110)의 위치를 정밀도 있게 구분함과 동시에 상호 전지적으로 절연될 수 있도록 하는 세퍼레이터(1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음극선관의 전자총에서 발사되는 R(Red),G(Green),B(Blue)의 전자빔은 편향요크(100)에 의하여 소정각도로 편향도어 섀도우 마스크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해서 패널의 내주에 장착된 형광면 각각의 스트라이프에 봉착하여 발광함으로서 텔레이전의 스크린에 화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편향코일 및 수직편향코일(110)의 위치를 정밀도 있게 구분함과 동시에 상호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도록 하는 세퍼레이터(120)는 음극선관이 결합되는 네크부(121)와, 상기 수직편향코일(110) 및 수평편향코일을 내외주연에 각각 장착하는 코일 스페이서(12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직편향코일(110)은 세퍼레이터(120)의 코일 스페이서(122) 외주연에 장착된다.
한편, 상기 코일스페이서(122)의 내외주연에 각각 장착된 수평편향코일 및 수직편향코일(110)은 음극선관의 전자총에서 발사되는 R,G,B의 전자빔을 소정 각도로 편향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그 장착된 상태 또는 권회된 형상에 따라 편향각도가 어긋나 역크로스 및 미스컨버전스 등을 초래하여 정상적인 화상을 구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기도 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가능한한 상기 수직편향코일(110)은 상기 코일 스페이서(122)의 외주연에 긴밀히 장착되어야만 하는데, 종래에는 단순히 핫멜트 등과 같은 접착제를 통한 단순 고정으로 인하여 정확한 위치에 상기 수직편향코일(110)이 부착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부착 후에도 외부의 충격 및 흔들림에 의하여 그 위치가 변화하여 컨버전스의 불일치 및 핀쿠션의 일그러짐 등이 발생되는 커다란 단점이 있었다.
즉, 수직편향코일(110)의 고정불량으로 인하여 음극선관으로부터 발사된 전자빔의 미스랜딩을 유발시켜 텔레비전 화면상의 화질을 크게 열화시켜 버리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편향요크의 플랜지 상면에 탄성을 갖는 유동방지편을 돌출시켜 코일 스페이서의 외주연에 권회되는 수직편향코일을 상부로 탄력적으로 밀어올려 수직편향코일의 상하좌우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편향요크의 수직편향코일의 유동방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편향요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편향요크의 수직편향코일 유동방지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편향요크 110 : 수직편향코일
120 : 세퍼레이터 121 : 네크부
122 : 코일 스페이서 123 : 플랜지
123a : 유동방지편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편향요크의 수직편향코일 유동방지구조는 적어도 음극선관이 결합되는 네크부 내외주연에 수직편향코일과 수평편향코일을 장착하는 코일 스페이서로 구성된 세퍼레이터와, 상기 세퍼레이터의 네크부 하부에 밀착 장착되는 플랜지로 이루어진 편향요크의 수직편향코일 유동방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상면과 코일스페이서가 맞닿는 부분에 일정각도로 절곡시켜 탄성을 갖는 유동방지편을 순차적으로 형성시켜 코일 스페이서의 외주연에 권회되는 수직편향코일을 상부로 탄력적으로 밀어 올리도록 구성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편향요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편향요크의 수직편향코일 유동방지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편향요크는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편향하는 수직편향코일(110)과, 상기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하는 수평편향코일(미 도시됨)과,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위치를 정밀도 있게 구분함과 동시에 상호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도록 하는 세퍼레이터(1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세퍼레이터(120)는 음극선관이 결합되는 네크부(121)와, 상기 수직편향코일(110) 및 수평편향코일을 내외주연에 각각 장착하는 코일 스페이서(122)와, 브라운관의 후면에 밀착 장착되는 플랜지(12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직편향코일(110)을 세퍼레이터(120)의 외주연에 정확한 위치에 긴밀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플랜지(123)의 상면과 코일스페이서(122)가 맞닿는 부분에 일정각도로 절곡시켜 탄성을 갖는 유동방지편(123a)을 순차적으로 형성시켜 코일 스페이서(122)의 외주연에 권회되는 수직편향코일(110)을 상부로 탄력적으로 밀어 올리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유동방지편(123a))에 의해 상측으로 탄력적으로 밀어 올려지는 수직편향코일(110)의 하단에는 핫멜트 등과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마감함으로서 편향요크(100)가 외부로부터 충격으로 받을 경우에도 편향요크(100)의 코일스페이서(122)에 정밀하고 긴밀하게 부착되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편향요크(100)의 수직편향코일(110) 유동방지구조는 적어도 음극선관이 결합되는 네크부(121) 내외주연에 수직편향코일과 수평편향코일을 장착하는 코일 스페이서(122)로 구성된 세퍼레이터(120)와, 상기 세퍼레이터(120)의 네크부(121) 하부에 밀착 장착되는 플랜지(123)로 이루어진 편향요크의 수직편향코일 유동방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23)의 상면과 코일스페이서(122)가 맞닿는 부분에 일정각도로 절곡시켜 탄성을 갖는 유동방지편(123a)을 순차적으로 형성시켜 코일 스페이서(122)의 외주연에 권회되는 수직편향코일(110)을 상부로 탄력적으로 밀어 올리도록 구성하여 코일 스페이서(122)의 외주연에 권회되는 수직편향코일(110)을 유동방지편(123a)이 상부로 탄력적으로 밀어 올려 수직편향코일(110)의 상하좌우 유동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서 역크로스 및 미스컨버전스 등의 확실하게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적어도 음극선관이 결합되는 네크부(121) 내외주연에 수직편향코일과 수평편향코일을 장착하는 코일 스페이서(122)로 구성된 세퍼레이터(120)와, 상기 세퍼레이터(120)의 네크부(121) 하부에 밀착 장착되는 플랜지(123)로 이루어진 편향요크의 수직편향코일 유동방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23)의 상면과 코일스페이서(122)가 맞닿는 부분에 일정각도로 절곡시켜 탄성을 갖는 유동방지편(123a)을 순차적으로 형성시켜 코일 스페이서(122)의 외주연에 권회되는 수직편향코일(110)을 상부로 탄력적으로 밀어 올리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의 수직편향코일 유동방지구조.
KR2020020016772U 2002-05-31 2002-05-31 편향요크의 수직편향코일 유동방지구조 KR2002893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772U KR200289338Y1 (ko) 2002-05-31 2002-05-31 편향요크의 수직편향코일 유동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772U KR200289338Y1 (ko) 2002-05-31 2002-05-31 편향요크의 수직편향코일 유동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338Y1 true KR200289338Y1 (ko) 2002-09-16

Family

ID=73123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772U KR200289338Y1 (ko) 2002-05-31 2002-05-31 편향요크의 수직편향코일 유동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33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9338Y1 (ko) 편향요크의 수직편향코일 유동방지구조
KR100669083B1 (ko) 편향요크의 특성개선용 네크암
KR200365175Y1 (ko) 편향요크용 코일스페이서 구조
KR200159109Y1 (ko) 편향 요크의 수평 편향 코일 고정 구조
KR200214315Y1 (ko) 편향요크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KR200376879Y1 (ko) 편향요크의 네크암 삽입구조
KR200317359Y1 (ko) 편향요크의 아이코어 고정구조
KR200214313Y1 (ko) 편향요크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KR200289349Y1 (ko) 편향요크의 보정편 삽입구조
KR200289327Y1 (ko) 편향요크의 네크구조
KR200289352Y1 (ko) 편향요크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KR200376877Y1 (ko) 편향요크의 보정철편 고정구조
KR200376875Y1 (ko) 편향요크 마그네트 삽입구조
KR20020038833A (ko) 편향요크의 폴 마그네트 지지구조
KR200202673Y1 (ko) 편향요크의 수직 편향코일 가이드구조
KR200289353Y1 (ko) 편향요크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KR100586610B1 (ko) 편향요크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KR200317352Y1 (ko) 편향요크용 마그네트의 유동방지구조
KR200176206Y1 (ko) 편향요크의 세퍼레이터 결합구조
KR19990037915U (ko) 편향요크의 세퍼레이터 구조
KR100418039B1 (ko) 칼라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KR20000001179U (ko) 편향요크의 수직 편향코일 고정구조
KR19990039842U (ko) 편향요크의 수직 편향코일 고정구조
KR19990039843U (ko) 편향요크의 수평 편향코일 고정구조
KR20000001178U (ko) 편향요크의 수평 편향코일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