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9682A - 기록 장치, 기록 방법, 및 더빙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장치, 기록 방법, 및 더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9682A
KR19990029682A KR1019980037320A KR19980037320A KR19990029682A KR 19990029682 A KR19990029682 A KR 19990029682A KR 1019980037320 A KR1019980037320 A KR 1019980037320A KR 19980037320 A KR19980037320 A KR 19980037320A KR 19990029682 A KR19990029682 A KR 19990029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data
recording
charact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0111B1 (ko
Inventor
요시마사 우쯔미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19990029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1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11B2220/2529Mini-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5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CD와 같은 제1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재생하기 위한 수단; 최소한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프로그램 영역과 기록된 프로그램의 위치 및 프로그램 명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영역을 구비한 MD와 같은 제2 기록 매체 상에 재생된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수단; 프로그램 명을 나타내는 문자 데이타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 문자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한 단위의 프로그램 명을 확정하기 위한 수단; 문자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프로그램 명에 파티션 코드를 부여한 후에 프로그램 명을 문자 열로서 기억하기 위한 수단; 및 기억 수단 내에 기억된 문자 열로부터 파티션 코드를 참조로 하여 관련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명을 추출하고, 제2 기록 매체의 관리 영역 내의 데이타를 갱신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기록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장치에서, 프로그램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램 명으로서의 문자 데이타의 연속적인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체 프로그램들의 더빙 완료 후에 변화에 독립적으로 기록된 관리 데이타가 갱신될 수 있다.

Description

기록 장치, 기록 방법, 및 더빙 장치
본 발명은 오디오 데이타와 같은 프로그램들에 관련한 문자 데이타가 프로그램과 함께 기록되는 기록 매체를 위해 개조된 기록 장치, 기록 방법, 및 더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전형적으로 미니 디스크(MD)로 대표되는 광자기 디스크 상에 및/또는 광자기 디스크 상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타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기 위한 장치가 공지되어 왔다.
이러한 광자기 디스크 상에는, 오디오 데이타를 기록하기 위한 프로그램 영역과 프로그램 영역 내에 기록된 프로그램들을 관리하는 목록 정보(U-TOC : user table of contents)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MD 디스크 시스템 등에서,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트랙을 지칭하며, 예를 들어 각각의 악곡으로 구성된 오디오 데이타는 단위 프로그램으로서 관리된다.
기록 장치에서, 각각의 프로그램의 제목 입력은 기록 장치의 케이스 상에 제공된 키 또는 조그 다이얼이나 리모트 콘트롤러 상에 제공된 알파벳 키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광자기 디스크 내에 오디오 데이타를 더빙하면서 리모트 콘트롤러 상의 알파벳 키를 조작하여 더빙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문자 입력 모드에서, 더빙된 관련 프로그램의 제목이 입력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 사용자가 입력 제목의 문자수, 문자의 종류(알파벳, 간지, 가다까나, 히라가나, 등), 또는 더빙된 프로그램의 연주 시간 정보에 따라 적절한 입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CD(콤펙트 디스크) 상에 기록된 악곡의 프로그램을 MD(미니 디스크) 상에 더빙하면서 각각의 악곡의 제목을 입력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문자 입력 모드에서, 현재 연주되는(또는 기록되는) 악곡의 제목이 입력될 수 있지만, 다음 악곡으로 진행되어, 입력되는 그 제목의 악곡에 관련한 문자 입력 모드가 종료되고, 동작이 다음 프로그램의 문자 입력 모드로 진행된다.
그러므로, 연주 시간이 단지 수 초인 임의의 악곡에 대해서는, 다수의 문자(많은 스팰링을 갖는 제목)로 구성된 제목 또는 알파벳과 숫자의 조합과 같은 상이한 종류의 문자로 구성된 제목을 입력시키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갖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동작은 현재의 제목의 입력 동안에 다음 프로그램 문자 입력 모드로 진행하여, 문자가 불완전하고 어중간한 방식으로 입력된다.
특히, 상이한 종류의 문자가 공존하는 상기 문자 입력 모드에서는, 문자의 종류를 변경시키기 위해 문자 종류의 모드를 전환시키는 추가 조작이 필요하므로, 상대적으로 장 시간이 요구된다.
제목의 전체 문자가 제목이 입력될 관련 악곡의 연주의 종료 시까지 완전히 입력되지 못하는 경우에, 지금까지는 전체 악곡의 더빙 완료 후에 제목들을 편집하는 것이 필수적이었다.
예를 들어, 재성되는 임의의 악곡의 문자들이 재생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동안에 입력될 때, 문자 입력은 재생 시간에 관계없이 재생 일시 정지 모드(reproduction pause mode)에서 실행될 수 있지만, 기록 동작 동작 동안에는 일시 정지 제어가 불가능하다는 특별한 단점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더빙(또는 재생) 동안에 프로그램 번호의 임의 변경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제목을 입력할 수 있는 기록 장치, 기록 방법, 및 더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프로그램 영역과 프로그램 영역 내에 기록된 프로그램의 위치를 관리하고 프로그램 명을 또한 관리하기 위한 관리 영역을 구비한 기록 매체 상에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명을 기록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프로그램 명을 입력하기 위한 문자 입력 수단;
문자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한 단위의 프로그램 명을 확정하기 위한 확정 입력 조작 수단;
확정 입력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응답하여 파티션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파티션 코드 발생 수단;
문자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한 단위의 프로그램 명을 나타내는 문자 열에 파티션 코드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파티션 코드를 부여한 후에 프로그램 명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 수단; 및
기억 수단에 저장된 문자 열로부터 파티션 코드를 참조로 하여 관련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명을 추출하고, 기록 매체의 관리 영역 내의 데이타를 갱신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프로그램 영역과 프로그램 영역 내에 기록된 프로그램의 위치를 관리하고 프로그램 명을 또한 관리하기 위한 관리 영역을 구비한 기록 매체 상에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명을 기록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기록 방법은,
프로그램 명을 나타내는 문자 데이타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에 응답하여 문자 데이타를 기억하는 단계;
한 단위의 프로그램 명을 확정하기 위한 조작에 응답하여 문자 데이타의 문자열에 파티션 코드를 부여하는 단계; 및
문자 데이타 기억 단계와 파티션 코드 부여 단계의 종료가 한 번 또는 여러 번 실행된 후에 상기 파티션 코드를 참조로 하여 관련 프로그램의 상기 문자 데이타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록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르면,
제1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재생하기 위한 재생 수단;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프로그램 영역과 프로그램 영역 내에 기록된 프로그램의 위치를 관리하고 프로그램 명을 또한 관리하기 위한 관리 영역을 구비한 제2 기록 매체 상에 상기 재생된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수단;
프로그램 명을 나타내는 문자 데이타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 입력 수단;
문자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한 단위의 프로그램 명을 확정하기 위한 확정 입력 조작 수단;
확정 입력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응답하여 파티션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파티션 코드 발생 수단;
문자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프로그램 명에 파티션 코드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파티션 코드를 부여한 후에 프로그램 명을 문자 열로서 기억하기 위한 기억 수단; 및
기억 수단에 저장된 문자 열로부터 파티션 코드를 참조로 하여 제2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관련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문자 데이타를 추출하고, 다음에 제2 기록 매체의 관리 영역 내의 데이타를 갱신하기 위한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더빙 장치가 제공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입력 문자 데이타가 확정된 데이타 마다 분할(partition)되고 기록 매체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로서 기록되어, 소망의 프로그램 명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이 장치의 기록, 재생, 또는 임의의 동작 모드에 관계없이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기록 또는 재생 모드에서 현재 연주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임의적인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프로그램 명의 입력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문자 입력 데이타가 불완전하게 중단되거나 기록 또는 재생의 완료 후에 다시 재입력이 필요하게 되는 공지된 단점을 제거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MD(미니 디스크) 리록기의 블럭도.
도 2는 MD 시스템의 클러스터 포맷을 도시한 설명도.
도 3은 MD 시스템의 U-TOC 섹터 0을 도시한 설명도.
도 4는 MD 시스템의 U-TOC 섹터 0의 링크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5는 MD 시스템의 U-TOC 섹터 1을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디지탈 오디오 인터페이스 포맷을 도시한 설명도.
도 7은 실시예의 문자 입력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CD-MD 혼성 장치의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스핀들 모터
3 : 광학 헤드
3a : 대물 렌즈
4 : 2축 매카니즘
5 : 슬레드
9 : 서보 회로
8 : EFM-CIRC 엔코더/디코더
12 : 메모리 제어기
13 : 버퍼 메모리
14 : 오디오 엔코더/디코더
22 : 무음 검출기
23 : 광센서
90 : 광자기 디스크
하기에, 본 발명이 몇몇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는 MD(미니 디스크)와 같은 광자기 디스크에 관한 기록/재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MD 레코더를 대표하는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음과 같은 순서로 설명이 진행될 것이다.
(제1 실시예)
1. MD 레코더의 구성
2. 클러스터 포맷
3. U-TOC
4. 디지탈 인터페이스 포맷
5. 문자 편집 동작
6. 문자 편집 처리
(제2 실시예)
7. CD-MD 레코더의 구성
8. 문자 편집 처리
1. MD 레코더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MD 레코더(1)의 블럭도이다.
MD 레코더(1)는 광자기 디스크(MD)(9)에 오디오 데이타를 기록 및/또는 광자기 디스크로부터 오디오 데이타를 재생할 수 있다.
광자기 디스크(90)는 카트리지 내에 수용되고, 카트리지 내에 제공된 셔터 매카니즘이 기록 모드나 재생 모드에서 개방 또는 폐쇄되어, 광학 픽업(광학 헤드(3))으로부터 출려된 광이 다스크에 조사(irradiate)될 수 있으며 자기 헤드로부터의 자기장이 또한 디스크에 가해질 수 있다.
광자기 디스크(90)는 일정한 선속도(CLV : constant linear velocity)로 회전되는 제어 하에서 스핀들 모터(2)에 의해 구동된다.
광학 헤드(3)가 자기 헤드(6a)의 대향측에 배치되고 로딩된 광자기 디스크(90)가 그 사이에 삽입된다. 광학 헤드(3)는 대물 렌즈(3a), 2축 매카니즘(4), 도시 생략된 광자기 디스크(90)의 표면에 광을 방사하기 위한 반도체 레이저, 및 디스크 표면으로부터 반사 광을 검출하는 광 센서를 포함한다.
2축 매카니즘은 광자기 디스크(90)를 향해 또는 그로부터 멀리 대물 렌즈(3a)를 구동하기 위한 포커스 코일과, 광자기 디스크(90)의 방사 방향으로 대물 렌즈(3a)를 구동하기 위한 트래킹 코일을 구비하고 있다.
MD 레코더(1)는 광자기 디스크(90)의 방사 방향으로 전체 광학 헤드(3)를 넓게 이동시키기 위한 슬레드 매카니즘(sled mechanism)을 더 포함한다.
광학 헤드(3) 내의 광 센서에 의해 검출된 반사 광 데이타는 RF 증폭기에 공급되고, 전류 대 전압 변환 후에, 데이타가 매트릭스 연산을 통해 처리되어 포커스 에러 신호(FE), 트래킹 에러 신호(TE), 및 RF 신호를 생성한다.
광이 기록 모드에서보다 낮은 레이저 전력으로 광자기 디스크(90)에 조사될 때, 반사 광의 Kerr 효과를 사용함으로써 자기장 벡터가 검출되며, 재생된 RF 신호는 상기 검출된 자기장 벡터를 기초로 하여 얻어진다.
RF 증폭기에서 생성된 포커스 에러 신호(FE) 및 트래킹 에러 신호(TE)는 위상 보상 및 이득 조정을 위한 서보 회로(9)에 공급되며, 다음에 신호들(FE 및 TE)은 구동 증폭기(도시 생략)를 통해 각각 2축 매카니즘(4)의 포커스 코일과 트래킹 코일에 인가된다.
또한, 슬레드 에러 신호가 트래킹 에러 신호(TE)로부터 트래킹 에러 신호(TE)로부터 서보 회로(9) 내의 저역 통과 필터(LPF)를 통해 생성되고, 다음에 슬레드 구동 증폭기(도시 생략)를 통해 슬레드 매카니즘(5)으로 인가된다.
그 후에, RF 증폭기(7)로부터 얻어진 RF 신호가 EFM-CIRC 엔코더/디코더(8)에 공급되는데, RF 신호는 2진 코딩되어 EFM(eight-to-fourteen modulation and demodulation) 및 CIRC(cross interleave Reed-Solomon coding) 에러 정정을 통해 처리되고, 그 후에 처리된 신호가 메모리 제어기(12)에 공급된다.
그루브는 이미 소정의 주파수(본 예에서는 22.05 kHz)에서 멘더링 방식(meandering manner)으로 광자기 디스크(90)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어드레스 데이타는 주파수 변조를 통해 기록된다.
어드레스 데이타는 단지 조정의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대역 통과 필터(BPF)를 거쳐 어드레스 디코더(10)에서 주파수 복조를 통해 추출될 수 있다.
EFM-CIRC 엔코더/디코더(8)에서, 스핀들 에러 신호가 2진 코딩된 EFM 신호 또는 어드레스 디코더(10)에서 추출된 어드레스 데이타를 기초로 하여 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생성되며, 다음에 이러한 스핀들 에러 신호는 서보 회로(9)를 통해 스핀들 모터(2)에 인가된다.
또한, EFM-CIRC 엔코더/디코더(8)에서, PLL(위상 동기 루프) 풀인 작용(pull-in action)을 제어하고 디코딩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2진 코딩된 EFM 신호를 기초로 하여, 재생 클럭 신호가 생성된다.
에러 보정 후에 2진 코딩된 데이타는 메모리 제어기(12)에 의해 1.4 Mbits/sec의 전송 레이트로 버퍼 메모리(13)에 기입된다.
버퍼 메모리(13) 내의 소정의 량 이상의 데이타 기억 시에, 데이타는 기입 전송 레이트보다 충분히 낮은 0.3 Mbits/sec의 전송 레이트로 메모리 제어기(12)에 의해 버퍼 메모리(13)로부터 판독되고, 다음에 오디오 데이타로서 출력된다.
그러므로, 데이타가 한번 버퍼 메모리(13)에 기억되고 다음에 오디오 데이타로서 출력되어, 광학 헤드(3)로 판독한 연속적인 데이타가 불필요한 트랙 점프의 발생 또는 충격과 같은 몇 가지 장애로 인해 중단된다해도, 광학 헤드(3)를 트랙 점프의 어드레스로 재설정시키는데 요구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데이타가 이미 버퍼 메모리(13)에 기억되어 있으므로, 오디오 출력은 여전히 연속적으로 얻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만일 예를 들어 4 메가바이트의 RAM이 버퍼 메모리(13)로 채용되었다면, 근사적으로 10초의 오디오 데이타가 버퍼 메모리(13) 내에 최대로 기억될 수 있다.
메모리 제어기(12)는 시스템 제어기(11)의 제어 하에 있다.
광자기 디스크(90)로부터 판독된 데이타는 소정의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ATARAC(acoustic transferred adapted coding)에 의해) 기록 모드에서 압축된다. 그러므로, 메모리 제어기(12)에 의해 버퍼 메모리(13)로부터 판독된 데이타는 압축된 데이타가 확장되는 오디오 압축 엔코더/확장 디코더(14)에서 처리되고, 다음에 이와 같이 얻어진 확장된 디지탈 데이타가 D-A 변환기(15)에 공급된다.
D-A 변환기(15)에서, 오디오 압축 엔코더/확장 디코더(14)에서 확장된 디지탈 데이타가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다. 다음에,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출력 단자(16)로부터 좌 및 우측 채널의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도시 생략된 재생 출력 시스템(증폭기, 스피커, 헤드폰 등 포함)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재생 모드에서, 시스템 제어기(11)는 조작기(19)의 각각의 조작에 응답하여 서보 명령을 서보 회로(9)에 전송하거나, 버퍼 메모리(13)를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 제어기(12)에 명령을 제공하거나, 경과된 재생 시간 또는 재생된 프로그램의 제목을 포함하는 문자 데이타의 표시를 실행하기 위해 표시 장치(20)를 제어하거나, EFM-CIRC 엔코더/디코더(8)의 스핀들 서보 제어 또는 디코드 제어를 실행시키는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조작기(19)로 소망의 조작을 수행하도록 원격 명령기(29)가 준비되어,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대응하는 명령이 예를 들어 적외선 변조 신호로서 원격 명령기(29)로부터 출력된다. 조작의 정보를 나타내는 명령은 먼저 적외선 센서(23)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시스템 제어기(11)로 공급된다. 다음에, 시스템 제어기(11)는 적외선 센서(23)로부터의 신호에 또한 응답하여 필요한 제어 동작을 실행한다.
악곡 등의 오디오 신호가 MD 레코더(1) 내의 광자기 디스크(90)에 기록될 때, 오디오 신호는 입력 단자(17) 또는 입력 단자(21)에 공급된다.
CD 플레이어와 같은 재생 장치의 아날로그 출력 단자로부터 전달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입력 단자(17)에 공급되고 다음에 A-D 변환기(18)에 의해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며, 변환된 신호는 오디오 압축 엔코더/확장 디코더(14)에 공급된다. 이는 아날로그 더빙에서의 기록 신호 입력 경로이다.
한편, CD 플레이어와 같은 재생 장치의 디지탈 출력 단자로부터 디지탈 데이타 형태로 송신된 디지탈 오디오 신호는 입력 단자(21)에 인가된다. 이러한 경우에, 디지탈 통신 포맷, 데어 데이타의 추출 등이 디지탈 인터페이스(25)에서 수행되고, 다음에 디지탈 오디오 신호가 오디오 압축 엔코더/확장 디코더(14)로 공급된다. 이는 디지탈 더빙에서의 기록 신호 입력 경로이다.
오디오 압축 엔코더/확장 디코더(14)로 입력된 디지탈 오디오 신호는 ATRAC(acoustic transferred adapted coding)에 의한 압축을 통해 엔코딩되고, 압축된 디지탈 오디오 신호는 일단 메모리 제어기(12)를 통해 0.3 Mbits/sec의 전송 레이트로 버퍼 메모리(13)에 기억된다.
버퍼 메모리(13)에 기억된 압축 데이타가 소정의 량에 도달한 것이 검출되었을 시에, 메모리 제어기(12)는 버퍼 메모리(13)로부터의 데이타 판독을 허가한다.
이와 같이 버퍼 메모리(13)로부터 판독된 압축 데이타가 CIRC 에러 정정 코드 부여 및 EFM 변조의 처리가 실행되는 EFM-CIRC 엔코더/디코더(8)에 공급되고, 다음에 이와 같이 처리된 데이타가 자기 헤드 구동 회로(6)에 인가된다.
자기 헤드 구동 회로(6)는 공급된 데이타에 따라 그 N극 또는 S극에 자기장을 인가함으로써 자기 헤드(6a)를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자기장 인가가 실행되는 기록 모드에서, 시스템 제어기(11)는 광학 헤드(3)의 도시 생략된 반도체 레이저의 출력 전력을 재생 모드의 전력보다 높은 값으로 제어함으로써, 광자기 디스크의 표면을 그것의 큐리 온도(Curie temperatu -re)까지 가열시킨다. 그 결과, 자기 헤드(6a)로부터 인가된 자기장 정보는 디스크의 기록면 상에 고정된다. 즉, 데이타가 자기장 정보로서 기록된다.
또한, 기록 모드에서, 시스템 제어기(11)는 다양한 서보 명령을 서보 회로(9)에 전송하거나, 버퍼 메모리(13)를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 제어기(12)에 명령을 제공하거나, 경과된 기록 시간 및 기록되는 프로그램의 트랙 번호를 포함하는 데이타의 표시를 실행하기 위해 표시 장치(20)를 제어하거나, EFM-CIRC 엔코더/디코더(8)의 스핀들 서보 제어 또는 엔코드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작용을 수행한다.
디지탈 데이타 입력에 관련한 처리에서, 시스템 제어기(11)는 디지탈 인터페이스(25)로부터 추출된 제어 데이타를 수용한다.
한편, 아날로그 신호 입력과 관련한 처리에서, 입력 단자(17)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또한 무음 검출기(22)에 공급되어 입력 오디오 신호의 프로그램들 간의 무음 상태(no-sound silent state)가 감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얻어진 감시 정보(monitor information)가 시스템 제어기(11)에 공급된다.
이러한 MD 레코더(1)에서는, 오디오 데이타에 추가하여, 전체 디스크를 나타내는 문자 정보 및 오디오 데이타의 각각의 프로그램(악곡, 트랙)과 같은 문자 데이타를 광자기 디스크(90) 상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사용자가 이러한 문자 데이타를 입력하도록 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문자 입력 모드를 개시 및 종료시키기 위한 모드 키 및 조그 다이얼을 갖는 문자 선택기와,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입력 문자 열을 확정하도록 입력 문자 열을 결정하기 위한 확정 키(settle key)를 포함하는 조작기(19)가 제공된다.
또한, 사용자가 문자 데이타를 손쉽게 입력하도록 하기 위해 원격 명령기(29)가 제공된다. 이러한 원격 명령기(29)는 알파벳 키들 A - Z와, ·, ', ., , 및 ?를 포함하는 부호 키들과, 숫자 입력을 위한 10개의 키를 포함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호 키 ^ 등은 엔터 키(enter key) 대신에 또는 입력 키와 함께 제목 확정 키로서 제공될 수 있다.
시스템 제어기(11)는 그것의 내부 S-RAM(11a) 내에 조작기(19)또는 원격 명령기(29)로부터 입력된 문자를 보유(hold)할 수 있으며, 관련 조작에 의한 문자 열의 결정 시에, 선택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상태의 문자 열을 등록한다.
선택된 프로그램은 그 때에 재생, 기록, 또는 일시 정지 모드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프로그램이 선택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모드에서는, 입력 문자 열이 전체 디스크에 대한 문자 데이타로서 취급된다.
등록된 문자 데이타는 후술하는 U-TOC 섹터(1)의 데이타로서 디스크(90) 상에 기입되어, 이 데이타는 디스크(90) 상에 확정된다. 디스크(90) 상의 U-TOC 데이타를 갱신하는 것은 기록 동작 또는 문자 입력 동작, 또는 광자기 디스크의 배출의 완료 후에 소정의 시간에 실행된다.
2. 클러스터 포맷
광자기 디스크(90) 상의 기록 데이타 트랙의 클러스터 포맷이 설명될 것이다.
MD 시스템의 기록 동작은 클러스터 단위로서 수행된다. 도 2는 이러한 클러스터의 포맷을 도시하고 있다.
MD 시스템에서, 기록 트랙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클러스터들(CL)로 구성되며, 각각의 클러스터는 기록 시의 최소 단위이다. 하나의 클러스터는 트랙의 수 번의 회전에 대응한다.
각각의 클러스터(CL)는 섹터들(SFC - SFF)의 4 섹터 부 데이타 영역과 섹터들(S00 - S1F)의 32 섹터 주 데이타 영역을 구비한다. 오디오 용의 주 데이타는 전술한 ATRAC 처리를 통해 압축되어 오디오 데이타가 된다.
각각의 섹터는 2352 바이트로 구성된 데이타의 한 단위이다.
4 섹터 부 데이타 영역은 부 데이타를 기록하기 위한 링킹 영역(linking area)으로서 사용되고, 32 섹터 주 데이타 영역은 TOC 데이타, 오디오 데이타 등을 기록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채용된 CIRC 인터리브 길이(interleave length)는 CD 등의 에러 정정을 위해 채용된 섹터 길이(13.3 msec)보다 크므로, 링킹 영역의 섹터들은 길이의 조정을 위한 낭비 섹터들(waste sectors)로서 형성되고, 근본적으로 링킹 영역은 예비 영역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섹터들은 몇 가지 다른 처리 또는 몇 가지 제어 데이타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 가능하다.
어드레스가 섹터마다 기록된다.
섹터들은 사운드 그룹들의 보다 작은 단위들로 더 분할되고, 2 섹터는 11개의 사운드 그룹으로 분할된다.
상세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그룹들(SG00 - SG0A)은 우수 섹터(even-numbered sector)(S00) 및 기수 섹터(odd-numbered sector)(S01)와 같은 2개의 연속적인 섹터 내에 포함된다. 각각의 사운드 그룹은 424 바이트로 구성되며, 그 오디오 데이타 량은 11.61 msec의 시간에 대응한다.
각각의 사운드 그룹(SG)에서, 좌측 채널 및 우측 채널의 데이타는 개별적으로 기록된다. 예를 들어, 사운드 그룹(SG00)은 좌측 채널 데이타(L0) 및 우측 채널 데이타(R0)를 포함하고, 사운드 그룹(SG01)은 좌측 채널 데이타(L1) 및 우측 채널 데이타(R1)을 포함한다.
212 바이트의 좌측 채널 또는 우측 채널 데이타 영역은 사운드 프레임으로 칭한다.
3. U-TOC
도 2의 클러스터 포맷은 광자기 디스크(90)의 전체 영역 위에 형성되며, 방사상으로 분할된 영역들 중 최 내주측 주변 영역이 관리 영역으로서 사용되고, 프로그램 영역은 관리 영역과 함께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디스크의 최 내주측 주변부에, 위상 피트(phase pits)를 갖는 재생 전용 데이타를 기록하기 위한 재생 전용 영역이 제공되며, 광자기 기록 및 재생을 위해 채택된 광자기 영역이 재생 전용 영역과 함께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관리 영역은 재생 전용 영역과 광지기 영역의 최 내주측 주변부로 구성된다.
광자기 영역 내의 관리 영역과 함께 연속적으로 형성된 프로그램 영역에서, 오디오 데이타는 도 2의 주 데이타 영역의 각각의 섹터 내에 기록된다.
관리 영역에서, 전체 디스크의 영역들을 관리하기 위한 P-TOC(프리마스터 TOC : premastered TOC)가 재생 전용 영역에 제공되고, 프로그램 영역 내에 기록된 프로그램(악곡 등)을 관리하기 위한 U-TOC(user table of contents)가 재생 전용 영역과 연속적인 광자기 영역 내에 포함된 관리 영역 내에 기록된다.
광자기 디스크(90) 상에서 기록 또는 재생 모드 실행 시에, 광자기 디스크(90) 상에 기록된 관리 데이타, 즉 P-TOC 및 U-TOC를 판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시스템 제어기(11)는, 상기 관리 데이타에 따라서, 광자기 디스크(90) 상의 기록을 위한 영역의 어드레스 또는 재생을 위한 영역의 어드레스를 판별한다. 관리 데이타는 버퍼 메모리(13) 내에 유지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버퍼 메모리(13)는 기록될 데이타와 재생될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버퍼 영역과 상기와 같은 관리 데이타를 보유하기 위한 영역으로 분할된다.
광자기 디스크(90)가 로딩될 때, 시스템 제어기(11)는 관리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의 최 내주측 주변부를 재생하여, 버퍼 메모리(13) 내에 관리 데이타를 기억시킴으로써, 디스크의 기록 및/또는 새생 모드의 실행 시에 이러한 데이타를 참조하도록 한다.
U-TOC는 데이타의 기록 또는 소거 및 문자 데이타의 입력과 같은 편집 조작에 의해 재기입 가능하다. 각각의 기록, 소거, 또는 편집 동작에 응답하여, 시스템 제어기(11)는 버퍼 메모리(13) 내에 기억된 U-TOC 데이타를 갱신하고, 또한 이러한 갱신에 응답하여 소정의 타이밍으로 광자기 디스크(90)의 U-TOC 영역을 더 재기입한다.
관리 데이타의 처리 시에, 시스템 제어기(11)는 버퍼 메모리(13)로부터 내부 S-RAM(11a)으로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P-TOC 및 U-TOC를 로딩하여, S-RAM(11a) 내의 관리 데이타에 대해 요구되는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문자 입력 모드에서, S-RAM(11a) 내의 데이타는 일련의 문자 입력 조작에 응답하여 순차적으로 갱신되고, 버퍼 메모리(13) 내의 U-TOC 데이타는 이러한 조작의 완료 시(즉, 전체 갱신된 U-TOC 데이타가 문자 입력에 대해 확정되었을 때) 재기입된다. 또한, 디스크를 배출하거나 전력 공급을 턴오프할 시에, 디스크 상의 U-TOC 데이타는 버퍼 메모리(13) 내의 U-TOC 데이타에 의해 재기입된다.
하기에, 광자기 디스크(90) 상의 트랙(악곡 등)의 기록 및 재생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데이타로서 사용되는 U-TOC 섹터들이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U-TOC 섹터 0의 포맷을 도시하고 있다.
섹터 0 - 31의 최대치가 U-TOC 섹터들로서 형성될 수 있다. 즉, 관리 영역 내의 클러스터의 섹터들(S00 - S01F)이 사용 가능하다. 섹터 1 및 섹터 4는 문자 데이타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고, 섹터 2는 일자 및 시간(date and time)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다.
U-TOC 섹터 0은 주로 사용자에 의해 기록된 악곡 또는 악곡을 새로이 기록하기 위한 비어 있는 영역(free area)에 대한 관리 데이타를 기록하는 데이타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상세히, 이러한 섹터 0에는, 프로그램 영역 내에 기록된 프로그램의 개시 어드레스 및 종료 어드레스와, 프로그램의 트릭 모드와 같이 복사 방지 데이타 및 강조 데이타(emphasis data)가 관리된다.
예를 들어, 광자기 디스크(90) 상에 임의의 악곡을 기록할 시에, 시스템 제어기(11)는 U-TOC 섹터 0으로부터 디스크 상의 비어 있는 영역을 검출하여 그곳에 오디오 데이타를 기록한다. 또한, 재생 모드에서, 시스템 제어기(11)는 U-TOC 섹터 0으로부터 재생될 악곡이 기록되어 있는 영역을 검출하여, 관련 영역을 억세싱함으로써 재생을 수행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TOC 섹터 0 내에, 12 바이트 싱크 패턴(sync pattern)이 형성된 헤더가 연속적으로 기록되는데, 이 섹터의 어드레스로서 3바이트 데이타(Cluster H, Cluster L, Sector), 메이커 코드(maker code), 및 디스크의 제조사를 나타내는 모델 코드, 최초 프로그램 번호(First TNO), 최종 프로그램 번호(Last TNO), 섹터 사용 상황(used sectors), 디스크 일련 번호(disc serial No), 및 디스크 ID등이 기록된다.
또한, 광자기 디스크(90) 상에서 발생된 결함있는 위치의 정보를 저장하는 슬롯의 상부 위치를 표시하는 포인터 P-DFA(pointer for defective area), 슬롯들의 상태를 표시하는 포인터 P-EMPTY(pointer for empty slot), 자유롭게 기록 가능한 영역을 관리하는 슬롯의 상부 위치를 표시하는 포인터 P-FRA(pointer for freely recordable area), 및 각각 관련 프로그램 번호에 대응하는 슬롯의 상부 위치를 표시하는 포인터들 P-TNO1, PTNO2, .... , PTNO255을 포함하는 대응 테이블 표시 데이타(corresponding-table indication data)의 영역이 기록된다.
연속하여, 각각 8바이트로 구성된 255 개의 슬롯을 구비한 관리 테이블이 또한 형성된다. 각각의 슬롯은 개시 어드레스, 종료 어드레스, 트랙 모드 및 링크 데이타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실시예의 광자기 디스크(90)는 데이타가 기록 매채 상에 연속적인 형태로 정확하게 기록될 필요가 없으며, 순차적인 데이타 세트들이 기록 매체 상에 이산적으로(복수의 부분들로서) 기록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이러한 경우에, 부분은 일시적으로 연속적인 데이타가 물리적으로 연속적인 클러스터에 기록되어 있는 부분을 의미함).
상세히, 광자기 디스크(90)에 채택된 기록/재생 장치(도 1의 MD 레코더(1))에서, 데이타는 일단 상술한 바와 같은 버퍼 메모리(13) 내에 기억되고, 버퍼 메모리(13)에 대한 데이타 기입 레이트는 데이타 판독 레이트와 다르게 이루어진다. 광학 헤드(3)가 디스크(90) 상에 이산적으로 기록된 데이타를 순차적으로 억세싱하도록 구동되는 동안 데이타가 버퍼 메모리(13) 내에 기억되므로, 순차적인 데이타 세트들이 버퍼 메모리(13) 상에서 적절하게 재생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는, 제생 모드에서 버퍼 메모리(13)에 대한 기입 레이트가 판독 레이트보다 높도록 설정됨으로써, 연속적인 오디오 재생이 결코 방해받지 않는다.
또한, 기록된 프로그램보다 짧은 임의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프로그램 위에 기입된다해도, 잔여 부분은 소거없이 자유롭게 기록 가능한 영역으로서 지정될 수 있으므로, 기록 용량의 효율적인 사용을 실현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자유롭게 기록 가능한 영역을 관리하기 위한 포인터 P-FRA의 예를 사용함으로써 이산적으로 존재하는 영역들을 결합시키는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값 03h(16 진수)가 자유롭게 기록 가능한 영역을 관리하는 슬롯의 상부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 P-FRA로서 기록된다고 가정하면, 03h에 대응하는 슬롯이 억세싱된다. 즉, 관리 테이블 내의 슬롯 03h의 데이타가 로딩된다.
슬롯 03h 내에 기록된 개시 어드레스 데이타 및 종료 어드레스 데이타는 각각 디스크 상에 기록된 한 부분의 개시 지점 및 종료 지점을 표시한다.
슬롯 03h 내에 기록된 링크 데이타는 후속하는 다음 슬롯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 18h가 기록된다.
다음에, 슬롯 03h 내에 기록된 링크 데이타를 추적(tracing)함으로써 슬롯 2Bh가 억세싱되고, 디스크 상의 한 부분의 개시 지점 및 종료 지점이 슬롯 2Bh 내에 기록된 개시 어드레스 및 종료 어드레스로서 각각 파악된다.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00h가 링크 데이타로서 얻어질 때까지 링크 데이타를 연속적으로 추적함으로써 포인터 P-FRA에 의해 관리되는 전체 부분들의 어드레스가 파악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링크 데이타가 포인터 P-FRA에 의해 표시된 슬롯의 개시 지점으로부터 널(null)(=00h)이 될 때까지 추적되어, 디스크 상에 이산적으로 기록된 부분들이 메모리 상에서 링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디스크(90) 상에서 자유롭게 기록 가능한 영역으로서 전체 부분들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포인터 P-FRA가 본 예에서 설명되었지만, 다른 포인터들 P-FRA, P-EMPTY, P-TNO1, PTNO2, .... , P-TNO255 각각은 디스크 상에 이산적으로 존재하는 부분들을 링크시키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에, 도 5는 U-TOC 섹터 1의 포맷을 도시하고 있다.
U-TOC 섹터 1에서, 프로그램 영역 내에 기록된 개별 프로그램들에 대한 문자 데이타(예를 들어, 트랙 명)와, 전체 광자기 디스크(90)에 대한 다른 문자 데이타(예를 들어, 디스크 제목)가 관리된다.
기록된 프로그램들이 오디오 데이타일 때, 디스크 제목은 앨범 제목과 연주자의 이름을 포함하는 정보를 나타내고,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문자 데이타는 예를 들어 대응 악곡의 트랙 명을 나타낸다. 이러한 문자 데이타는 소망의 문자를 설정하고 이를 입력하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다.
프로그램 마다의 문자 데이타는 문자 슬롯 표시 포인터 P-TNA(x)(여기서 x는 1 - 255의 숫자 값임)에 의해 표시된 문자 테이블 내의 슬롯 내에 기록된다. 7 바이트의 문자 데이타가 단일 슬롯 내에 기록되며, 기록될 문자들이 다수인 경우에, 문자 데이타는 링크 데이타를 사용함으로써 링크되는 복수의 슬롯 내에 기록될 수 있다.
U-TOC 섹터 2에서는, 그 프로그램 영역 내에 기록된 각각의 프로그램에 대한 기록 일자 및 시간이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관리된다.
또한, U-TOC 섹터 4에서는, 도 5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유사한 관리가 실행되어 가다까나 및 간지가 그 프로그램 영역 내에 기록된 개별 프로그램의 제목들 및 전체 광자기 디스크의 제목을 나타내는 문자 데이타를 위한 폰트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
4. 디지탈 인터페이스 포맷
도 6a 및 6b를 참조하여, 콤펙트 디스크(30)로부터 광자기 디스크(90)로 실행되는 디지탈 더빙 시에 디코더(37)로부터 오디오 엔코더/디코더(14)로 송신되는 데이타 포맷이 설명될 것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데이타 포맷에 따르면, 한 프레임은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로 얻어진 기본 단위 샘플로 구성되고, 각각의 프레임은 좌측 채널 오디오 데이타 및 우측 채널 오디오 데이타로 구성된 한 쌍의 부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부 프레임은 예를 들어 32 비트의 데이타로 구성된다. 최초의 4비트는 서브 프레임의 동기 및 식별(synchronization and identification)를 위한 프리엠블(preamble)로서 사용된다. 다음 4 비트는 보조 비트들로서 사용되고, 계속되는 20비트는 주 데이타인 디지탈 오디오 데이타에 사용된다. 이러한 디지탈 오디오 데이타에 후속하는 4비트는 예를 들어, V 비트, U 비트, C 비트, 및 P 비트로 구성된 제어 데이타에 사용된다.
V 비트는 유효 플래그(valid flag)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V 비트가 0일 때, 이는 관련 부 프레임의 데이타가 유효함을 나타낸다. 한편, V 비트가 1이라면, 이는 관련 부 프레임의 데이타가 무효(invalid)임을 나타낸다. 즉, MD 측 수신시에, CD 측으로부터 송신된 데이타는 V 비트에 따라 유효 또는 무효인지가 판별된다.
U 비트는 사용자 데이타의 역할을 하며, 부 코드(sub code)가 부 프레임 데이타 내에 포함된 평균 1176개의 U비트들을 수집(즉, 1176개의 부 프레임 내에 포함된 U 비트들을 추출)함으로써 생성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부 코드는 콤펙트 디스크 상의 TOC 영역 내에 기록되어 있는 부 코드와 동일한 형태이다. 그러므로, 트랙 번호를 포함하는 정보 등이 또한 송신된다.
C 비트는 채널 상태 데이타의 역할을 하며, 프레임은 부 프레임 데이타 내에 포함된 192개의 U 비트들을 수집(즉, 192개의 부 프레임들 내에 포함된 C 비트들을 추출)함으로써 생성된다.
채널 상태 데이타는 송신기(재생 장치 측)의 가정용과 업무용 간의 구별을 위한 식별자, 저작권의 보호를 위한 식별자, 엠퍼시스(emphasis)의 존재 또는 부재, 더빙의 회수(number of times)를 나타내는 발생 정보, 송신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자로서의 송신기(재생 장치 측)의 카테고리 코드(category code), 채널 데이타, 및 샘플링 주파수 정보를 관리하는데 사용된다.
P 비트는 패리티 비트의 역할을 한다. 우수 패리티가 본 시스템에서 채용되었으며, 서브 프레임 데이타에 대응하는 에러 검출에 사용된다.
5. 문자 입력 동작
하기에, MD 레코더(1)의 입력 단자(21)에 접속된 CD 플레이어로부터 디지탈 인터페이스(25)를 통해 디지탈로 더빙될 프로그램의 제목 또는 트랙 명을 입력하는 예시적인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본 예에서는, CD 플레이어에서 재생될 CD가 각각 제목이 abc, def, ghi, jkl, 및 mno인 5개의 기록된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5개의 프로그램은 MD 플레이어에서 재생되고 더빙된다.
그들 자신의 프로그램을 더빙하는 동작은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지만, 데이타가 전술한 디지탈 인터페이스 포맷으로 송신되므로, 시스템 제어기(11)는 CD 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타를 기초로 하여 각각의 프로그램들 간의 공백(트랙 번호의 변화)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어, 적절한 기록 처리의 실행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5개의 프로그램을 더빙할 때, U-TOC 섹터 0에 따라서, 광자기 디스크(90)(MD 측) 상에서 5개의 프로그램으로 정확하게 분할된 상태로 기록된 오디오 데이타를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만일 MD 레코더가 더빙의 개시 후에 기록 상태에 있을 때 사용자가 문자 입력 모드를 선택한다면, 동작은 문자 입력 모드로 진행하여, 소망의 처리(프로그램 제목의 입력)가 MD 레코더 내에 제공되어 있는 조그 다이얼의 조작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 내에 제공되어 있는 문자 입력 키의 조작에 응답하여 실행된다.
이러한 경우에, 입력 문자 열은 각각의 시점에서 표시 장치(20) 상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제1 문자 열 abc는 제1 프로그램의 제목으로서 입력되어, 제목 확정 키가 입력 문자 열을 확정하도록 입력(press)된다.
코드 ^가 제목 확정 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생성됨으로써, 문자 열 abc^가 S-RAM(11a) 내에 저장된다. 이러한 경우에, ^는 표시 장치(20) 상에 정확하게 표시될 필요가 없으며, 주로 abc만이 표시된다.
제목 확정 코드는 본 예에서의 ^와 같이 프로그램 제목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임의의 기호 또는 부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예를 들어, 설명된 바와 같이 abc를 입력하고, 다음에 ^를 표시하기 위해 조그 다이얼을 회전시키고, 조그 다이얼을 누름으로써 소정의 조작이 실행된다. 리모트 콘트롤러 등에 제공되어 있는 임의의 문자 입력 키를 사용하는 경우에, 엔터 키는 ^ 키 조작 후에 입력(press)된다. 제1 프로그램의 제목 입력의 종료 시에, 제2 내지 제5 프로그램의 제목이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def^, ghi^, jkl^, 및 mno^로서 순차적으로 S-RAM(11a) 내에 기억된다.
S-RAM(11a)에서, 프로그램의 제목은 제목이 ^에 의해 분할되거나 구획된 abc^def^ghi^jkl^ mno^인 문자 열로서 기억된다.
전체 프로그램에 대한 문자 입력의 완료 시에, 사용자는 문자 입력 모드를 종료하는 조작을 실행하고, 이러한 조작에 응답하여, 시스템 제어기(11)는 문자 입력 모드를 중단시킨다.
예를 들어, 더빙이 완료된 후에, S-RAM(11a) 내에 기억되어 있는 문자 열은 그로부터 판독되고, ^에 의해 분할되거나 구획된 문자 열들 abc, def, ghi, jkl 및 mno가 각각 광자기 디스크(90) 상에 더빙된 제1 내지 제5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제목으로서 기록된다.
6. 문자 편집 처리
다음에, 문자 입력 모드에서의 시스템 제어기(11)의 처리 동작이 도 7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문자 입력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조작을 검출할 시에(S001), 동작은 누자 입력 모드로 진행된다(S002). 이 모드에서, 시스템 제어기(11)는 문자를 입력하도록 실행되는 조그 다이얼 등의 조작을 기다린다. 이러한 문자 입력 조작의 검출에 응답하여(S003), 입력 문자가 S-RAM(11a) 내에 저장될 문자 열에 추가된다(S004). 엔터 조작으로부터의 임의의 입력의 검출 시에(S005), 제목 확정 코드(예를 들어, ^)가 문자 열에 추가된다(S006). 한편, 만일 엔터 조작으로부터 입력이 검출되지 않는다면, 시스템 제어기(11)는 단계(S003)에서 문자 입력 조작에 의한 입력을 기다린다. 상세히, 단계들 (S003 - S005)이 루핑(looping)되는 경우에는, 동일한 프로그램의 제목에 대한 문자 입력 조작이 실행되었음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계(S005)에서의 엔터 조작은 엔터 키의 조작 또는 ^ 키의 조작(또는 조그 다이얼에 의한 ^의 입력)에 대응한다.
제목 확정 코드가 단계(S006)에서 문자 열에 추가된 후에, 문자 입력 모드를 종료하기 위한 조작이 실행되었는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다(S007). 만일 문자 입력 모드의 종료가 검출되지 않았다면, 시스템 제어기(11)는 단계(S003)에서 문자 입력 조작을 기다린다.
즉, 한 프로그램의 제목이 문자 확정 코드가 문자 열에 추가됨으로써 완전히 입력되어, 처리가 단계(S007)로부터 단계(S003)으로 복귀하는 경우에 다음 프로그램의 제목의 입력으로 동작이 진행된다.
문자 입력 모드의 종료가 검출될 시에는, MD 레코더(1)가 현재 기록 모드인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다. 만일 상기 판정의 결과가 기록 모드가 아닌 임의의 다른 모드, 즉, 재생 모드 또는 일지 정지 모드임을 나타낸다면, 단계들(S003 - S007)이 루핑되므로, 예를 들어, S-RAM(11a) 내에 기억된 문자 열이 ^와 같은 제목 확정 코드를 참조로 하여 추출되고, 프로그램의 제목을 나타내는 U-TOC 섹터(1)의 내용이 갱신된다(S009).
만일 단계(S008)에서의 판정 결과가 기록 모드임을 나타낸다면, 시스템 제어기(11)는 기록 모드의 종료를 기다린다(S010). 사용자가 기록을 중단시키는 조작을 수행하거나 MD 레코더(1)가 CD 상에 기록된 전체 프로그램의 완전한 연주 후에 기록의 종료에 도달하였을 때 기록 모드의 종료가 검출된다. 기록의 종료 후에, 처리는 단계(S009)로 진행되어 U-TOC 섹터(1)의 내용을 갱신한다.
단계(S009)로 진행된 시점에서, S-RAM(11a)에 기억된 문자 열은 본 예에서는 제1 내지 제5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abc^def^ghi^jkl^mno이다. 시스템 제어기(11)는 ^를 참조로 하여 문자 열을 추출함으로써 각각 제1, 제2, 제3, 제4 및 제5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문자들 abc, def, ghi, jkl 및 mno의 입력을 인식한다. 다음에, 버퍼 메모리(13) 내에 유지된 U-TOC 섹터(1)의 내용이 갱신된다.
그러므로, 사용자에 의해 의도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내5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제목이 버퍼 메모리(13) 내에 U-TOC 데이타로서 등록된다. 이 때에, 시스템 제어기(11)는 ^를 문자로서가 아닌 제목 확정 코드로서 인식하여, ^는 U-TOC 섹터(1)의 문자 정보로서 등록되지 않는다. 버퍼 메모리(13) 내의 갱신된 U-TOC 데이타는 그로부터 소정의 시점에서 기록 데이타로서 판독됨으로써, U-TOC 데이타가 광자기 디스크(90) 상에서 갱신된다.
그러므로, 악곡 또는 프로그램의 제목을 나타내는 문자가 예를 들어, 내부 프로그램 파티션(inter-program partition)으로서의 제목 확정 코드 ^를 참조로 하여 각각의 프로그램의 연주 시간에 관계없이 입력될 수 있어, 사용자가 각각의 프로그램의 연주 시간에 관계없이 혼동하지 않으면서 소망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정확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7. CD-MD 레코더의 구성
다음에, 본 발명의 또다른 양호한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는 CD 플레이어와 MD 레코더(미니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가 서로 일체로 결합된 합성 장치(composite apparatus)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그 미니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MD 부)에서, 도 1과 기능적으로 등가적인 임의의 소자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되어 있으며, 그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CD 부의 구성이 다음에서 설명될 것이다.
콤펙트 디스크(30)가 CD 부 내에 로딩된다. CD 재생 모드에서, 콤펙트 디스크(30)는 스핀들 모터(31)에 의해 구동되어 일정한 선 속도(CLV)로 회전한다. 콤펙트 디스크(30) 상에 피트의 형태로 기록된 데이타는 광학 헤드(32)에 의해 판독되고 다음에 RF 증폭기(35)에 공급된다. 광학 헤드(32)에서, 대물 렌즈(32a)는 2축 매카니즘(33)에 의해 지지되고 트랙 및 포커스의 양방향에서 이동 가능하다.
광학 헤드(32)는 디스크의 방사 방향에서 슬레드 매카니즘(34)에 의해 이동 가능하다.
RF 증폭기(35)에서, 재생된 RF 신호에 추가하여 포커스 에러 신호 및 트래킹 에러 신호가 생성되고, 이러한 에러 신호들은 서보 회로(36)에 공급된다. 다음에, 서보 회로(36)는, 상기 포커스 에러 신호 및 트래킹 에러 신호로부터, 포커스 구동 신호, 트래킹 구동 신호, 슬레드 구동 신호, 및 스핀들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2축 매카니즘(33), 슬레드 매카니즘(34), 및 스핀들 모터(31)의 동작을 제어한다.
재생된 RF 신호는 디코더(37)에 공급된다. 상기 디코더(37)에서, 콤펙트 디스크(30)로부터 판독된 데이타는 EFM 복조 및 CIRC 디코딩을 통해 처리되어 16 비트 양자화 및 44.1 kHz 샘플링의 표준과 일치하는 디지탈 오디오 데이타가 된다.
디코더(37)에서, TOC 및 부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데이타가 또한 추출되고 다음에 다양한 제어 동작에 사용되도록 시스템 제어기(11)에 공급된다.
디코더(37)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오디오 데이타는 D-A 변환기(38)에 의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되고 다음에 출력 스위치(50)의 TCD 단자에 공급된다. 출력 스위치(50)는 시스템 제어기(11)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된다.
콤펙트 디스크 재생 모드에서, 출력 스위치(50)는 그 TCD 단자가 선택되도록 작동됨으로써, 콤펙트 디스크(30)로부터 얻어진 재생된 오디오 신호가 볼륨 제어 회로(51) 및 증폭 회로(52)를 통해 오디오 출력이 방사되는 스피커(53)로 공급된다.
한편, 광자기 디스크(미니 디스크)(90)가 MD 부에 로딩되어, 기록 및/또는 재생이 실행된다.
MD 부의 재생 모드에서, 오디오 엔코더/디코더(14)로부터 출력된 디지탈 오디오 데이타는 D-A 변환기(15)에 의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되고, 다음에 출력 스위치(50)의 TMD 단자에 공급된다. MD 재생 모드에서, 출력 스위치(50)는 그 TMD 단자가 선택되도록 작동됨으로써, 광자기 디스크(90)로부터 얻어진 재생된 오디오 신호가 볼륨 제어 회로(51) 및 증폭 회로(52)를 통해 오디오 출력이 방사되는 스피커(53)에 공급된다.
신호 원으로서의 콤펙트 디스크(30)는 광자기 디스크(90)에 더빙될 수 있다.
상세히, 콤펙트 디스크(30)로부터 재생된 디지탈 오디오 데이타가 오디오 엔코더/디코더(14)에 공급될 수 있어, 더빙 모드에서, 디지탈 오디오 데이타는 압축을 통해 엔코딩되고 다음에 버퍼 메모리(13) 내에 기억된다. 다음에, 기억된 데이타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판독되고, EFM 등을 통해 처리된 후에, 데이타는 자기 헤드(6a)에 의해 광자기 디스크(90) 상에 기록된다.
이러한 MD 부 및 CD 부로 구성된 합성 장치에서, CD로부터 MD로의 디지탈 기록은 예를 들어, CD 및 MD 부가 동시에 제어되는 동시 작동 더빙 모드(synchro dubbing mode)에서 소정의 조작에 응답하여 실행될 수 있다.
8. 문자 편집 동작
하기에, CD 부로부터 재생된 디지탈 데이타가 MD 부로 전송될 때 수행되는 처리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MD 부에서, CD 부에서 제생된 프로그램의 변화가 디코더(37)에 의해 추출된 부 코드로부터 검출된다. 프로그램 변화의 검출 시에, 시스템 제어기(11)는 어드레스 디코더(10) 및 엔코더/디코더(14)를 통해 변화의 검출 시점에서의 기록 어드레스를 검출한다. 그후에, 시스템 제어기(11)는 기록 어드레스를 관련 프로그램 번호에 대응하게 S-RAM(11a) 내에 기억시킨다.
그러므로, 더빙될 프로그램의 변화 지점의 검출로 인해, 프로그램 파티션 지점이 MD 부에서 기록될 오디오 데이타에 대해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CD 부와 MD 부 간의 더빙 동안에 프로그램의 문자를 입력하는 예시적인 경우가 설명될 것이다.
예를 들어, 더빙을 위한 전용 키(exclusive key)가 조작될 때, 포커스 서보, 트래킹 서보, 및 스핀들 서보 등이 CD 부에서 작동되어 TOC 데이타를 판독함으로써, CD 부가 대기 상태(standby state)로 되어 대물 렌즈(32a)가 예를 들어, 제1 프로그램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MD 부에서도, CD 부에서와 같이 다양한 서보들이 작동되어 P-TOC 및 U-TOC를 판독함으로써, MD 부가 대기 상태로 되어 대물 렌즈(3a)가 자유롭게 기록 가능한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CD 부에서의 판독 위치에 대한 억세스 시간과 MD 부에서의 기록 위치에 대한 억세스 시간 사이의 차이를 고려하여, 더빙을 위한 초기 동작 등이 수행되어 CD 부 및 MD 부는 선행 처리의 완료 후에 상호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CD 부 및 MD 부가 양자 모두 상호 대기 상태에 있게 된 후에 더빙 동작을 개시시키는 키가 조작될 때, CD 부는 재생을 시작하고 MD 부는 기록을 시작한다. 이후에, 도 7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소망의 모드로 진행되어, 문자 및 문자 확정 코드가 입력되고 다음에 S-RAM(11a) 내에 기억된다(S001 - S007).
더빙의 완료 시에, S-RAM(11a) 내에 기억된 문자 열은 문자 확정 코드를 참조로 하여 프로그램의 제목으로 기록됨으로써, U-TOC 섹터 1의 내용이 갱신된다(S009).
MD-CD 플레이어와 같은 합성 장치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에서, 문자의 입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더빙 동안에 실행된다. 그러나, 문자의 입력이 재생 모드 또는 일시 정지 모드에서도 실행될 수 있는 것은 방침의 문제이다.
본 발명이 몇 가지 양호한 실시예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들만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더빙(또는 재생) 동안에 프로그램 번호의 임의 변경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제목을 입력할 수 있는 기록 장치, 기록 방법, 및 더빙 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6)

  1. 최소한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프로그램 영역과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프로그램의 위치를 관리하며 프로그램 명을 또한 관리하기 위한 관리 영역을 구비한 기록 매체 상에 상기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 명을 기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명을 입력하기 위한 문자 입력 수단;
    상기 문자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한 단위의 상기 프로그램 명을 확정(settling)하기 위한 확정 입력 조작 수단(settle input manipulation means);
    상기 확정 입력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응답하여 파티션 코드(partition code)를 생성하기 위한 파티션 코드 발생 수단(partition code generation means);
    상기 문자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한 단위의 상기 프로그램 명을 나타내는 문자 열에 상기 파티션 코드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파티션 코드를 부여(attatching)한 후 상기 프로그램 명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 수단; 및
    상기 기억 수단 내에 기억된 상기 문자 열로부터 상기 파티션 코드를 참조로 하여 관련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상기 프로그램 명을 추출하고, 상기 기록 매체의 관리 영역 내의 데이타를 갱신하기 위한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 내에 기억된 상기 문자 열로부터 상기 파티션 코드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관리 영역 내의 상기 데이타를 갱신하는 기록 장치.
  3. 최소한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프로그램 영역과 상기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된 프로그램의 위치를 관리하며 프로그램 명을 또한 관리하기 위한 관리 영역을 구비한 기록 매체 상에 상기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 명을 기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프로그램 명을 나타내는 문자 데이타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에 응답하여 문자 데이타를 기억하는 단계;
    한 단위의 상기 프로그램 명을 확정하기 위한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문자 데이타의 문자 열에 파티션 코드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 데이타 기억 단계와 상기 파티션 코드 부여 단계의 종료가 한 번 또는 여러 번 실행된 후에 상기 파티션 코드를 참조로 하여 관련 프로그램의 상기 문자 데이타를 추출하고 상기 기록 매체의 관리 영역 내의 데이타를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단계는 상기 기억 수단 내에 저장된 상기 문자 열로부터 상기 파티션 코드를 제거함으로써 실행되고, 상기 관리 영역 내의 상기 데이타를 갱신하는 기록 방법.
  5. 더빙 장치(dubbing apparatus)에 있어서,
    제1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재생하기 위한 재생 수단;
    최소한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프로그램 영역과 상기 프로그램 영역 내에 기록된 상기 프로그램의 위치를 관리하고 상기 프로그램 명을 또한 관리하기 위한 관리 영역을 구비한 제2 기록 매체 상에 상기 재생된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수단;
    상기 프로그램 명을 나타내는 문자 데이타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 입력 수단;
    상기 문자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한 단위의 상기 프로그램 명을 확정하기 위한 확정 입력 조작 수단;
    상기 확정 입력 조작 수단의 조작에 응답하여 파티션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파티션 코드 발생 수단;
    상기 문자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프로그램 명에 상기 파티션 코드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파티션 코드를 부여한 후에 상기 프로그램 명을 문자 열로서 기억하기 위한 기억 수단; 및
    상기 기억 수단에 저장된 상기 문자 열로부터 상기 파티션 코드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2 기록 매체 내에 기록된 관련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상기 문자 데이타를 추출하고, 상기 제2 기록 매체의 상기 관리 영역 내의 상기 데이타를 갱신하기 위한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더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 내에 저장된 상기 문자 열로부터 상기 파티션 코드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2 기록 매체의 상기 관리 영역 내의 상기 데이타를 갱신하는 더빙 장치.
KR1019980037320A 1997-09-11 1998-09-10 기록장치,기록방법,및더빙장치 KR100540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46531 1997-09-11
JP9246531A JPH1186434A (ja) 1997-09-11 1997-09-11 記録装置、記録方法、及びダビン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682A true KR19990029682A (ko) 1999-04-26
KR100540111B1 KR100540111B1 (ko) 2006-04-20

Family

ID=17149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320A KR100540111B1 (ko) 1997-09-11 1998-09-10 기록장치,기록방법,및더빙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31100B2 (ko)
JP (1) JPH1186434A (ko)
KR (1) KR100540111B1 (ko)
CN (1) CN1192385C (ko)
MY (1) MY12390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370832C2 (ru) * 1997-07-09 2009-10-20 ЭДВАНСД ОДИО ДИВАЙСИЗ ЭлЭлСи Музыкальный проигрыватель и способ хранения звуковых дорожек в музыкальном проигрывателе
US6904229B1 (en) * 1999-08-20 2005-06-07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recording signals on disk recording medium
JP2001069583A (ja) * 1999-08-25 2001-03-16 Sony Corp 情報信号伝送方法、情報信号伝送システム、情報信号送信装置および情報信号受信装置
US7468682B2 (en) * 2000-05-18 2008-12-23 Echo Mobile Music Llp Portable recorder/players with power-saving buffers
JP4304888B2 (ja) * 2000-09-04 2009-07-29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編集装置及び編集方法
JP2002216419A (ja) * 2001-01-19 2002-08-02 Sony Corp ダビング装置
JP4426780B2 (ja) 2003-06-06 2010-03-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の記録再生システムおよび記録再生方法
KR101014233B1 (ko) * 2003-10-22 2011-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화형 광디스크의 부가 오디오 파일 관리 및 재생방법
US7814510B1 (en) * 2004-04-29 2010-10-12 Charles W Erg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implified remote control operation of components
DE102004047373A1 (de) * 2004-09-29 2006-04-06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Beleuchtungssystem mit dielektrisch behinderter Entladungslampe und zugehörigem Vorschaltgerät
DE102004047375A1 (de) * 2004-09-29 2006-04-06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Dielektrische behinderte Entladungslampe mit Manschette
DE102004047376A1 (de) * 2004-09-29 2006-04-06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Dielektrisch behinderte Entladungslampe mit steckbaren Elektroden
JP4982346B2 (ja) * 2007-12-11 2012-07-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及び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1869A (ja) * 1984-02-29 1985-09-17 Canon Inc 文字処理装置
JPS6231467A (ja) * 1985-08-01 1987-02-10 Toshiba Corp 文章作成装置
US5131766A (en) * 1985-12-26 1992-07-21 Wong Kam Fu Method for encoding chinese alphabetic characters
US5321843A (en) * 1989-03-14 1994-06-14 Kabushiki Kaisha Dainichi Information retrieval apparatus and information editing system using the same
TW268115B (ko) * 1991-10-14 1996-01-11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US5535119A (en) * 1992-06-11 1996-07-09 Hitachi, Ltd. Character inputting method allowing input of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character species, and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adopting the same
JPH06162646A (ja) * 1992-11-19 1994-06-10 Kenwood Corp 光ディスクへのダビング装置
US5689704A (en) * 1994-03-04 1997-11-18 Sony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recording/playback device which uses commands in character string form for audio system control
KR970010142B1 (ko) * 1994-06-29 1997-06-21 대우전자 주식회사 광자기디스크장치
JP3672599B2 (ja) * 1994-09-30 2005-07-20 ソニー株式会社 文字情報記録再生装置
KR100357087B1 (ko) * 1994-12-23 2003-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자기기록장치의사용자메모방법
JPH08255470A (ja) * 1995-03-16 1996-10-01 Funai Techno Syst Kk 記録型ディスクのタイトル編集方法
JPH0945055A (ja) * 1995-07-26 1997-02-14 Sharp Corp 記録再生装置
US5893133A (en) * 1995-08-16 1999-04-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Keyboard for a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hinese language text
US5701498A (en) * 1995-11-17 1997-12-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tructured ASCII browser for online publications formatted in a bookmaster form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1039A (zh) 1999-03-17
US6631100B2 (en) 2003-10-07
CN1192385C (zh) 2005-03-09
MY123903A (en) 2006-06-30
KR100540111B1 (ko) 2006-04-20
JPH1186434A (ja) 1999-03-30
US20010043524A1 (en) 200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33338B1 (en) Recording method of recording medium
US6771569B2 (en) Recording medium, editing method and editing apparatus
KR100540111B1 (ko) 기록장치,기록방법,및더빙장치
JP4304796B2 (ja) ダビング装置
KR100638773B1 (ko) 기록 및 재생 장치, 재생 장치, 기록 및 재생 방법, 및재생 방법
JP3750278B2 (ja) 記録装置、記録システム、及びダビング方法
KR100711681B1 (ko) 재생 장치, 기록 및 재생 시스템, 재생 방법, 및 기록 및재생 방법
US571767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constant interval of silence
US5859815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inimizing non-recordable areas and numbers of parts per track on a digital recording medium
KR100711685B1 (ko) 기록 장치 및 기록 방법
JPH06259937A (ja) 記録媒体、記録又は再生装置
JP3731331B2 (ja) 記録装置
JP2002343062A (ja) 追加記録制御方法及び追加記録制御装置
JP3541785B2 (ja)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
JP3017008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3797362B2 (ja) 記録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JPH0757437A (ja) 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H09147533A (ja) 記録装置
JP2002343063A (ja) グルーピング記録制御方法及びグルーピング記録制御装置
JPH11328932A (ja) 記録装置
JPH11328931A (ja) 記録再生装置
JPH09153270A (ja) 管理情報更新装置
JPH10199210A (ja) 編集装置
JPH1186515A (ja) 記録装置及び文字編集方法
JP2003068056A (ja) ディ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