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9343A - 끈류의 단부커버 - Google Patents

끈류의 단부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9343A
KR19990029343A KR1019980034418A KR19980034418A KR19990029343A KR 19990029343 A KR19990029343 A KR 19990029343A KR 1019980034418 A KR1019980034418 A KR 1019980034418A KR 19980034418 A KR19980034418 A KR 19980034418A KR 19990029343 A KR19990029343 A KR 19990029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outlet
end cover
str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4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9886B1 (ko
Inventor
미키오 네즈
Original Assignee
오가사와라 도시아끼
가부시끼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가사와라 도시아끼, 가부시끼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오가사와라 도시아끼
Publication of KR19990029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9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98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6/00Retainers or tethers for neckties, cravats, neckerchiefs, or the like, e.g. tie-clips, spring clips with attached tie-tethers, woggles, pins with associated sheathing members tetherable to clothing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과제) 단부커버가 덮개를 가지는 구조로 하여, 덮개가 단부커버에서 빠지더라도 잃어버릴 우려를 방지함과 아울러 취급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끈류의 단부커버를 실현한다.
(해결수단) 의복이나 수납주머니 등에 끼워져 있는 끈(1)의 단부부분(1a)에 대하여, 이 단부부분(1a)을 내부에 끼워넣어서 빠짐방지상태로 부착되는 단부커버(10)에 있어서, 출구(11b)측 내경을 입구(11a)측 내경보다 크게 한 대략 통형상의 본체부(11)와, 이 본체부(11)의 출구측에 두께가 얇은 힌지편부(15)를 개재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출구측을 폐쇄함과 동시에 걸어맞춰져서 장착되는 덮개부(20)로 구성한다.

Description

끈류의 단부커버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의복이나 수납주머니의 개구부 둘레에 배치되어 있는 끈의 단부부분에 부착되는 끈류의 단부커버에 관한 것이다.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의류의 몸통부나 옷깃 둘레, 또는 도시하지 않은 수납주머니의 개구부 둘레에 끼워져 사용되는 끈(1) 등에는, 이 끈(1)의 양 단부부분에 매듭부를 만들어 둠으로써, 이 매듭부를 잡고서 잡아당기기 쉽게 하거나 의류나 수납주머니측의 배치부에서 불필요하게 빠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종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끈류에 통형상의 단부커버를 이용하여, 끈의 단부부분을 단부커버의 입구측에서 출구측으로 끼운 상태에서 상기한 매듭부를 만든후, 끈을 단부커버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매듭부를 포함하는 끈의 단부부분을 상기 단부커버 내에 수납하고, 외관처리도 실시하였다. 본 발명은, 이 단부커버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종래의 단부커버는 출구측 내경을 입구측 내경보다 크게 하여 단차를 형성한 단순한 대략 통형상의 것이 대부분이고, 다음과 같은 점 등에서 충분히 만족할 수 없는 것이었다.
첫째로, 끈의 단말처리적으로는, 끈의 매듭부를 단부커버내의 단차를 개재하여 단지 빠짐만을 방지한 것이므로, 끈의 단부부분이 단부커버의 출구에서 쉽게 비어져 나오기 때문에 부착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둘째로, 장식기능적으로는, 통내에 끼워넣어진 끈의 단부부분이 단부커버의 출구측 개구를 통하여 들여다 보이기 때문에 사용상태에서의 외관이 나쁘다. 여기서, 이것에 대한 개선책으로서, 출구측의 통부를 길게 하여 내부가 쉽게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근본적인 대책으로는 되지 않는다.
셋째로, 상기한 바와 같은 각 문제점의 대책으로서, 예를 들어 단부커버의 출구측에 덮개부재를 장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덮개부재는 단부커버에서 불필요하게 빠져서 잃어버리거나 하여 취급성이 떨어질 뿐만아니라, 대응하는 성형틀도 필요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단부커버는 끈류용이기 때문에 전체 크기가 작고, 의류용인 경우에는 외경이 5∼10㎜ 전체 길이가 10∼15㎜의 사양이 되는 것도 많다. 따라서, 덮개부재를 이용할 경우, 본체부에 대한 장착구조로서, 예를 들어 외관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부착강도를 증대시키기 어렵다는 등의 새로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에 감안하여 이루러진 것이다. 제 1 목적은 단부커버가 덮개를 가지는 구조에 있어서, 덮개가 단부커버에서 불필요하게 빠진다 하더라도 잃어버릴 우려를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취급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끈류의 단부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 2 목적은 전체 크기가 작은 경우에도 외관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덮개의 부착강도를 크게 할 수 있고, 또 외관성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다른 목적은 이하 설명하는 내용중에서 순차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단부커버의 부착요령과 장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상기 단부커버의 외관사시도
도 3은 상기 단부커버의 덮개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각 방향에서 본 도면
도 4는 도 3a의 A-A선과 도 3c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와 측면도
도 5는 상기 단부커버를 덮개부의 개방상태에서 나타낸 상면도와 도 6a의 E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5a의 C-C선과 D-D선을 따른 단면도
도 7은 상기 단부커버의 사용상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끈 1a - 끈의 단부부분
2 - 매듭부 10 - 단부커버
11 - 본체부 11a - 입구
11b - 출구 11c - 외측둘레
12a,12b - 단면 13 - 걸림돌기부
14 - 절결부 15 - 힌지편부
15a - 일단측 15b - 타단측
20 - 덮개부 21 - 덮개부 내면
23 - 편부 23a - 걸림돌기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의복이나 수납주머니 등에 끼워져 있는 끈(1)의 단부부분(1a)에 대하여, 이 단부부분(1a)을 내부에 끼워넣어서 빠짐방지상태로 부착되는 단부커버(10)에 있어서, 출구(11b)측 내경을 입구(11a)측 내경보다 크게 한 대략 통형상의 본체부(11)와, 이 본체부(11)의 출구(11b)측에 두께가 얇은 힌지편부(15)를 개재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출구(11b)측을 폐쇄함과 동시에 걸어맞춰져서 장착되는 덮개부(20)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단부커버(10)의 장착조작에 있어서는, 덮개부(20)를 개방한 상태에서 끈(1)의 단부부분(1a)을 본체부(11)의 입구(11a)에서 출구(11b)측으로 통과시키고, 이 출구(11b) 밖으로 인출된 단부부분(1a)에 매듭부(2)를 형성한다. 그리고, 끈(1)을 입구(11a)측으로 잡아당겨서 매듭부(2)를 포함하는 단부부분(1a)을 본체부(11)내로 끼워넣는다. 그 후, 덮개부(20)를 두께가 얇은 힌지편부(15)를 통하여 본체부(11)의 출구(11b)의 단면(12b)에 대하여 눌러 덮으면, 이 출구(11b)를 폐쇄함과 동시에 걸어맞춰져서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단부커버(10)는 본체부(11)의 출구(11b)를 덮개부(20)로 덮도록 한 것이므로, 종래품과 같이 끈(1)의 단부부분(1a)이 본체부(11)의 출구(11b)에서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끈(1)에 대한 부착상태를 구조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본체부(11)의 출구(11b)측에 있어서의 외관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덮개부(20)는 본체부(11)에 대하여 두께가 얇은 힌지편부(15)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이므로, 본체부(11)에서 불필요하게 빠진다 하더라도 본체부(11)에서 떨어져나가 잃어버리는 일이 없고, 또 본체부(11)와 일체물로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단부커버(10)가 적용되는 끈류로서는 각종의 신변품, 백 등의 수납주머니 등에 끼워지는 끈을 의미하며, 통상 의복의 몸통부나 옷깃 또는 수납주머니의 개구부 둘레에 배치되는 끈이 대상이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체화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첫째로,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본체부(11)의 출구(11b)측에 끼워지는 복수의 편부(23)를 덮개부 내면(21)에 가지며, 상기 편부(23)의 선단 외측둘레 및 본체부(11)의 출구(11b)측 내측둘레에 각각 걸림돌기부(23a)와 걸림돌기부(13)를 대응되게 형성하고, 상기 덮개부(2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압압함으로써 걸림돌기부(23a)와 걸림돌기부(13)가 서로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서 걸어맞춰지는 구성이다.
이것은, 단부커버(10)가 외경 5∼10㎜ 전체 길이가 10∼15㎜로 작은 경우, 덮개부(20)의 본체부(11)에 대한 걸어맞춤력 내지는 덮개부(20)의 부착강도를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증대시킬 수 있도록 최적한 것으로 채용한 구조이다. 이 구조는 각종의 걸어맞춤구조에 대하여 비교시험하여 완성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덮개부(20)측에 형성한 걸림돌기부를 본체부(11)의 내측둘레에 형성한 오목부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추도록 한 구성등에 비해 걸어맞춤력을 더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단부커버(10)는 장식기능으로서도 중요하다. 따라서, 두께가 얇은 힌지편부(15)는 이하의 형태예와 같이, 일단측(15a)이 덮개부(20)의 외측둘레에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타단측(15b)이 본체부(11)의 출구(11b)측 외측둘레(11c)에 단면(12b)에서 입구(11a)측을 향하여 형성된 절결부(14)내에 위치하고 또한 외측둘레(11c)와 연속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면, 덮개부(20)의 폐쇄상태에서 힌지편부(15)가 외측둘레(11c)에서 돌출되지 않게 되므로 외관적으로 더욱 양호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최적한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최적한 구체적인 실시예이므로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각종의 한정이 부가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것들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끈류의 단부커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끈에 대한 부착요령과 장착상태를 나타낸 종단 측면도, 도 2는 덮개부를 개방한 상태로 나타낸 단부커버의 외관사시도이고, 도 3은 덮개부를 폐쇄한 상태의 단부커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a는 정면도, 도 3b는 배면도, 도 3c는 상면도, 도 3d는 하면도이다. 도 4a는 도 3a의 A-A선 단면도, 도 4b는 도 3c의 B-B선 단면도, 도 4c는 측면도이다. 또, 도 5와 도 6은 덮개부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a는 상면도, 도 5b는 도 6a의 E부분 확대도, 도 6a는 도 5a의 C-C선 단면도, 도 6b는 도 5a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단부커버의 사용예를 나타낸 외관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있어서, 단부커버(10)는 적용되는 끈(1)에 대응하여 설계된 길이가 약 13㎜ 최대 지름이 약 10㎜인 비교적 작은 수지성형품이다. 외관적으로는 대략 통형상의 본체부(11)와 이 본체부(11)의 출구(11b)측에 두께가 얇은 힌지편부(15)를 개재하여 형성된 덮개부(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상태에서 출구(11b)가 덮개부(20)에 의해서 폐쇄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11)는 그 외측둘레(11c)가 입구(11a)측에서 출구(11b)측을 향하여 갈수록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 통형상을 이루고 있다. 입구(11a)측의 내측둘레에는, 입구(11a)의 단면(12a)에서 약 2㎜길이의 위치까지 두께가 두꺼운 후육부(厚肉部)(12c)가 형성되어 있으며{이 후육부(12c)의 내경(L1)이 출구(11b)측의 내경(L2)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이 후육부(12c)의 내측 단면에 상당하는 단차(12d)를 가지고 있다. 출구(11b)측의 내측둘레에는, 그 내면의 소정 부분을 평평하게 한 1쌍의 평면부(12e,12e)가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1쌍의 평면부(12e,12e)를 제외한 내측둘레부분에 걸림돌기부(13)가 형성되어 있다. 1쌍의 평면부(12e)간의 길이는 다른 단면(12b)간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게 되어 있다. 걸림돌기부(13)는 단면(12b)측에 위치하며, 평면부(12e)를 제외한 내측둘레부분에 긴 리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1)의 출구(11b)측의 외측둘레(11c)에는 두께가 얇은 힌지편부(15)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편부(15)는, 일단측(15a)이 덮개부(20)의 외측둘레에 일체화되어 있으며, 타단측(15b)이 출구(11b)측의 외측둘레(11c)에 형성된 절결부(14)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즉, 이 절결부(14)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1)의 외측둘레(11c)에 있어서 단면(12b)에서 입구(11a)측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타단측(15b)은 절결부(14)내의 중간부에 위치하여 절결부(14)의 저면(14a)과 간격을 유지하고, 또한 외측둘레(11c)와 연속한 상태로 형성되어 덮개부(20)가 폐쇄되었을 때에 외측둘레(11c)와 면일치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덮개부(20)는 힌지편부(15)의 일단측(15a)과 그 외측둘레 가장자리부에서 연결되어 있다. 또, 덮개부(20)는 본체부(11)의 단면(12b)과 대략 같은 외경을 이루며, 내면(21)에 돌출형성되어 출구(11b)에 끼워지는 틀형상의 삽입다리부(22)를 가지고 있다. 이 삽입다리부(22)의 양측의 틀부분은 출구(11b)의 내경(L2)에 대응한 원호형상의 편부(23)를 구성하고, 그 선단 외측둘레에 걸림돌기부(23a)를 형성하고 있다. 삽입다리부(22)의 전후의 틀부분(24)은 평행하게 되어 있으며, 이 틀부분 (24)의 외측면 중간에 볼록부(24a)를 형성하고 있다. 걸림돌기부(23a)는 덮개부(20)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걸림돌기부(13)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서 걸어맞춰진다. 즉, 걸림돌기부(23a)와 걸림돌기부(13)는 제 1 걸어맞춤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볼록부(24a)는 내면(21)을 향하여 갈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테이퍼로 형성되어 있으며, 덮개부(20)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테이퍼에 의한 가이드 작용을 거쳐 평면부(12e)에 누름접촉된다. 즉, 볼록부(24a)와 평면부(12e)는 제 2 걸어맞춤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상의 덮개부(20)는 본체부(11)의 출구(11b)에 대하여 상기한 제 1 걸어맞춤수단과 제 2 걸어맞춤수단에 의해서 큰 고정강도로 부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단부커버(1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의복등에 끼워진 끈(1)의 양 단부부분(1a)에 부착된다. 이 부착요령은,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부(20)를 개방한 상태에서 끈(1)의 단부부분(1a)을 본체부(11)의 입구(11a)에서 출구(11b)측으로 통과시키고, 이 출구(11b) 밖으로 인출된 단부부분(1a)에 매듭부(2)를 형성한 후, 끈(1)을 입구(11a)측으로 잡아당겨서 매듭부(2)를 포함하는 단부부분(1a)을 본체부(11)내로 끼워넣는다. 이와 같이 하면, 단부부분(1a)은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듭부(2)가 단차(12d)에 맞닿은 상태로 전체가 본체부(11)내에 수납된다. 이 수납상태에서 덮개부(20)를 폐쇄한다. 이 경우는 덮개부(20)를 두께가 얇은 힌지편부(15)를 통하여 회전시키고, 단면(12b)에 대하여 눌러 덮도록 한다. 덮개부(20)는 그 내면(21)이 단면(12b)에 맞닿기 직전의 단계에서 각 편부(23)와 틀부분(24)이 출구(11b)로 끼워져 들어가고, 다음 단계에서 걸림돌기부(23a)가 걸림돌기부(13)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감과 동시에 볼록부(24a)가 평면부(12e)에 누름접촉함으로써 출구(11b)측을 폐쇄한 상태에서 소정 강도로 걸어맞춰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단부커버(10)에 있어서는, 본체부(11)의 출구(11b)가 덮개부(20)에 의해서 폐쇄되기 때문에, 끈(1)의 단부부분(1a)이 본체부(11)의 출구(11b)에서 불필요하게 비어져 나오는 것이 구조적으로 방지된다. 즉, 단부커버(10)는 끈(1)에 대한 부착상태가 항상 유지됨과 아울러 출구(11b)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덮개부(20)의 구조에 있어서는, 이 덮개부(20)가 두께가 얇은 힌지편부(15)를 통하여 본체부(11)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부(20)가 본체부(11)에서 빠진다 하더라도 잃어버릴 우려가 없다는 것, 덮개 전용의 성형틀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 본체부(11)의 일체물로서 취급할 수 있다는 것, 상기한 제 1 걸어맞춤수단과 제 2 걸어맞춤수단에 의해서 본체부(11)에 대한 걸어맞춤력을 크게 부여할 수 있다는 것,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힌지편부(15)는 일단측(15a)이 덮개부(20)의 외측둘레 가장자리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측(15b)이 절결부(14)내에 위치하여 외측둘레(11c)와 연속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부(20)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힌지편부(15)의 대략 전체가 외측둘레(11c)의 절결부(14)내에 위치하여 본채부(11)의 외측둘레(11c)와 면일치됨으로써 외관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단부커버(10)는 장식기능으로서도 중시되는 것이므로, 외측둘레(11c) 내지 전면에 조각 등으로 장식처리되는 것도 있다. 또, 본체부(11)나 덮개부(20)의 기본 형상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단면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단부커버(10)의 용도 내지 사용개소는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각종의 부재나 부분에 끼워지는 끈(1)의 단부부분(1a)에 부착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끈류의 단부커버는, 본체부에 대하여 덮개부를 얇은 힌지편부를 개재하여 일체로 형성한 것이므로, 종래품과 같이 끈의 단부부분이 본체부의 출구에서 비어져 나오는 것을 구조적으로 방지하여 끈에 대한 부착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본체부의 출구측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전제로 하여, 덮개부(20)가 본체부에서 빠진다 하더러도 잃어버릴 우려가 없고, 또한 덮개부를 가지는 본체부로서 항상 일체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취급성이나 덮개부의 폐쇄 조작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단부커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용도적으로도 확대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의복이나 수납주머니 등에 끼워져 있는 끈의 단부부분에 대하여, 이 단부부분을 내부에 끼워넣어서 빠짐방지상태로 부착되는 단부커버에 있어서,
    출구측 내경을 입구측 내경보다 크게 한 대략 통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출구측에 두께가 얇은 힌지편부를 개재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출구측을 폐쇄함과 동시에 걸어맞춰져서 장착되는 덮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류의 단부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본체부의 출구측에 끼워지는 복수의 편부를 덮개부 내면에 가지며, 상기 편부의 선단 외측둘레 및 상기 본체부의 출구측 내측둘레에 각각 걸림돌기부를 대응되게 형성하고, 상기 덮개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압압함으로써 덮개부측의 걸림돌기부와 상기 본체부측의 걸림돌기부가 서로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서 걸어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류의 단부커버.
KR1019980034418A 1997-09-30 1998-08-25 끈류의 단부커버 KR1002698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5511 1997-09-30
JP26551197A JP3982884B2 (ja) 1997-09-30 1997-09-30 紐類の端部カバ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343A true KR19990029343A (ko) 1999-04-26
KR100269886B1 KR100269886B1 (ko) 2000-11-01

Family

ID=17418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4418A KR100269886B1 (ko) 1997-09-30 1998-08-25 끈류의 단부커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982884B2 (ko)
KR (1) KR100269886B1 (ko)
TW (1) TW40069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5693B2 (ja) 1999-04-26 2009-07-29 株式会社ニフコ 紐留め用バックル
JP2010502292A (ja) 2006-09-05 2010-01-28 Tti・エルビュー株式会社 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薬物送達装置を評価するための非破壊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JP2012217540A (ja) * 2011-04-06 2012-11-12 Nifco Inc コードストッパー
EP3162231B1 (en) 2015-10-29 2018-04-18 Globeride, Inc. Hood for clothing and hooded garment
CN210353473U (zh) * 2019-07-18 2020-04-21 香港多耐福有限公司 一种绳尾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82884B2 (ja) 2007-09-26
TW400696U (en) 2000-08-01
JPH1199008A (ja) 1999-04-13
KR100269886B1 (ko) 2000-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0294B1 (en) Case for archery equipment
CA2196684A1 (en) Differential pressure formed luggage with molded integrated frame
US5222638A (en) Hanger for dual prong belts
US10758019B2 (en) Flap fixing buckle
KR970014628A (ko) 커넥터를 구비한 코드
US4459775A (en) Weedless sinker
KR100269886B1 (ko) 끈류의 단부커버
US20050115997A1 (en) Handcuff case
US6622348B1 (en) Connection terminals for straps
US6457219B1 (en) Side release buckle
JPH08205920A (ja) 連結具を備えた紐体
JP2563510Y2 (ja) 簡易小物入れ
US6253978B1 (en) Motorcycle saddlebag lock
KR102295890B1 (ko) 소형 전자제품 포터블 케이스
KR200177538Y1 (ko) 오프너가 구비된 열쇠고리
US6401300B1 (en) Handle retainer for a container
KR200263611Y1 (ko) 목걸이형 수납케이스
JP2000139527A (ja) アクセサリーの止め金具
KR200162998Y1 (ko) 일체형 콤팩트 케이스
KR200229149Y1 (ko) 휴대용 문방용구 케이스
KR200190634Y1 (ko) 의복 벨트용 고리쇠
KR200341436Y1 (ko) 착탈식 열쇠
KR200326408Y1 (ko) 담배케이스
KR200204350Y1 (ko) 스냅파스너의 몸체
JPH097569A (ja) 蓄電池用取手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