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7749A - 전기밥솥 - Google Patents

전기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7749A
KR19990027749A KR1019970050270A KR19970050270A KR19990027749A KR 19990027749 A KR19990027749 A KR 19990027749A KR 1019970050270 A KR1019970050270 A KR 1019970050270A KR 19970050270 A KR19970050270 A KR 19970050270A KR 19990027749 A KR19990027749 A KR 19990027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hinge spring
main body
rice cooker
electric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0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동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50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7749A/ko
Publication of KR19990027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749A/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밥솥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뚜껑의 힌지스프링을 개선하여 뚜껑과 본체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밥솥은 힌지결합된 뚜껑(40)을 자동적으로 개방하기 위해 일단부(71)는 본체(10)의 후단부에 마련되고 타단부(72)가 뚜껑(40) 내부로 연장된 힌지스프링(70)이 구성되는데, 힌지스프링(70)의 타단부(72)를 뚜껑(40)의 중심부를 지나 전방측으로 연장되게 구성하였다. 따라서 뚜껑(40)에 전달되는 스트레스가 현저히 줄어들어 뚜껑(40)이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 힌지스프링(70)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한 뚜껑(40)과 본체(10)사이에 사이틈이 발생되지 않으며, 스팀 누설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전기 밥솥
본 발명은 전기 밥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이를 상측으로 탄성 바이어스하는 힌지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밥솥은 전기히터부를 통해 쌀과 물이 담겨진 내통을 가열하여 밥을 짓고 이를 일정시간 동안 보온 저장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다.
전기 밥솥은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관을 이루며 상부가 개구된 본체(1)에 쌀이 담겨지는 내통(2)이 설치되어 있으며, 본체(1)의 저부에 내통(2)을 가열하는 발열장치(미도시)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의 상부에는 내통(2)을 밀폐하도록 보조뚜껑(5)이 마련된 뚜껑(4)이 구성되어 있다.
뚜껑(4)은 일단부가 본체(1)의 후측과 힌지축(6)을 이용하여 상하로 회전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1)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데, 여기에는 힌지스프링(7)이 마련되어 뚜껑(4)을 상측으로 탄성 바이어스한다.
힌지스프링(7)은 일종의 와이어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힌지축(6)의 외주면에 권선된 중심부가 끼워지며, 이의 일단부(7a)는 본체(1)에 고정된다. 그리고 힌지스프링(7)의 타단부(7b)는 뚜껑(4)의 내부로 소정길이(힌지스프링(7) 타단부(7a)의 길이(d)는 약 70 mm로 구성되어 있다) 연장 걸려져 있는데, 이를 위해 뚜껑(4) 내부의 후방에는 걸이편(4a)이 마련되어 힌지스프링(7)의 타단부(7b)가 걸려진다. 한편, 본체(1)의 전방에는 뚜껑(4)을 개폐작동시키는 로커(3)가 설치되어 있다. 로커(3)는 뚜껑(4)의 폐쇄시 뚜껑(4) 전방에 마련된 걸림부(4b)와 걸리게 됨으로써, 뚜껑(4)의 닫힘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본체(1)에 쌀과 물이 담겨진 내통(2)을 넣고 뚜껑(4)을 닫게 되면, 로커(3)가 걸림부(4b)에 걸리게 되어 뚜껑(4)이 닫히고, 동시에 보조뚜껑(5)이 내통(2)을 밀폐하게 된다. 그리고 다시 로커(3)를 누르게 되면 걸림부(4b)가 해제되며, 뚜껑(4)은 힌지스프링(7) 타단부(7b)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힌지축(6)을 중심으로 상측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본체(1)가 개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전기 밥솥은 힌지스프링(7)의 타단부(7b)가 뚜껑(4) 내부의 후단측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 많은 탄성력을 받게 되어 뚜껑(4)의 후측과 본체(1) 사이에 사이틈이 발생된다.
즉, 약 70 mm 정도로 구성된 힌지스프링(7)의 타단부(7b)가 뚜껑(4) 내부의 후측에 마련된 걸이편(4a)에 걸려져 있고, 이것은 뚜껑(4)의 닫힘 작동시 탄성 변형되면서 뚜껑(4)에 대해 상측방향으로 모멘트의 힘을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로커(3)를 눌러 잠금상태를 해제하면 힌지스프링(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뚜껑(4)이 자동적으로 개방되는데, 뚜껑(4)이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는 힌지스프링(7)의 모멘트가 힌지스프링(7)의 타단부(7b)가 걸려져 있는 걸이편(4a) 부분에 집중적으로 작동된다. 이에 따라 힌지스프링(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걸이편(4a)이 마련된 뚜껑(40의 후단부가 본체(1)와 이격되어 사이틈이 발생되며, 심한 경우에는 뚜껑(4)의 하면에 마련된 보조뚜껑(5) 역시 내통(2)과 이격되어 취사행정시 스팀이 누설되는 경우도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힌지결합된 뚜껑을 자동적으로 개방하기 위해 일단부는 본체의 후단부에 마련되고 타단부가 뚜껑 내부로 연장된 힌지스프링이 구성되는데, 힌지스프링의 타단부를 뚜껑의 중심부를 지나 전방측으로 연장되게 구성함으로써 뚜껑에 전달하는 스트레스를 줄이는 전기 밥솥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기 밥솥을 일부 절개하여 보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밥솥을 일부 절개하여 보인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힌지스프링의 타단부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20..내통 30..로커
40..뚜껑 41..걸림부 50..보조뚜껑
60..힌지축 70..힌지스프링 71..일단부
72..타단부 73..밴딩부 74..곡률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 후단부에 힌지결합된 뚜껑, 일단부는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뚜껑 내부로 연장되게 마련되어 뚜껑을 상측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하는 힌지스프링을 갖춘 전기 밥솥에 있어서, 힌지스프링의 타단부는 뚜껑 내부의 중심부를 지나 전방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밥솥을 일부 절개하여 보인 개략도이고, 도 3은 힌지스프링의 타단부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밥솥은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통(20)이 내장되는 본체(10)와 이의 상부를 개폐하며 내통(20)을 밀폐하도록 보조뚜껑(50)이 마련된 뚜껑(40)으로 크게 구별된다. 본체(10)는 내통(20)이 삽입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삽입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부에 내통(20)을 가열하도록 발열장치(미도시)가 마련된다.
그리고 뚜껑(40)은 본체(10)의 후단부에 힌지축(60)으로 결합되어 있어서, 이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운동하여 본체(10)의 개구된 상부를 개폐한다. 그리고 힌지결합부위에 와이어 스프링으로 구성된 힌지스프링(70)이 마련되어 뚜껑(10)의 개방시 자동적으로 상측으로 들려지는데, 이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뚜껑(40)과 본체(10)의 후단부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힌지축(60)으로 결합되어 있고, 여기에 힌지스프링(70)의 권선된 중심부분이 힌지축(60)에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힌지스프링(70)의 일단부(71)는 본체(10)의 후단부에 고정되며, 힌지스프링(70)의 타단부(72)는 뚜껑(40) 내부의 중심부를 지나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본 실시예에서는 힌지스프링(70)의 타단부(72) 길이(D)를 약 200 mm로 구성하였다.) 힌지스프링(70)의 타단부(72)의 선단에는 상측으로 절곡되어 뚜껑(40)의 내면과 접촉하는 밴딩부(73)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의 선단면은 곡률면(74)으로 구성되어 마찰저항을 최소로 하였다.
한편, 본체(10)의 전면부에는 뚜껑(40)의 개폐작동을 제어하는 로커(30)가 마련되어 있다. 이 로커(30)는 소정각도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뚜껑(40)의 전단부에는 로커(30)와 걸리는 걸림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로커(30)에 걸림부(410가 결합되어 있으면 뚜껑(40)은 닫혀진 상태로 유지되며, 걸림부(41)가 해제되면 뚜껑(40)은 개방되는데, 이것은 작동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밥솥의 작동을 설명한다.
우선, 소정량의 쌀과 물이 담겨진 내통(20)을 본체(10)에 삽입하고, 로커(30)에 걸림부(41)가 걸릴 때까지 뚜껑(40)을 누르면 뚜껑(40)이 닫혀진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부(미도시)를 조작하면 취사,보온행정을 거쳐 밥이 지어지고, 보온 저장된다. 그리고 뚜껑(40)을 개방하여 밥을 꺼내는데, 로커(30)를 누르게 되면 걸림부(41)가 해제되고, 아울러 힌지스프링(7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뚜껑(40)이 상측으로 회전운동함으로써 뚜껑(40)이 개방된다.
즉, 뚜껑(40)이 닫혀진 상태에서는 힌지스프링(70)의 타단부(72)가 눌려지면서 이의 중심부가 탄성 변형되고, 이러한 탄성 복원력은 힌지스프링(70)의 타단부(72)와 접하는 뚜껑(40)에 대해 상측방향으로 모멘트를 발휘하게 된다. 이 때, 동일한 모멘트에 대해 길이가 연장되면 뚜껑(40)을 개방하기 위해 필요한 하중은 줄어들게 되는데, 본 발명의 특징적 요소인 힌지스프링(70)의 타단부(72)가 200 mm 정도로 연장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뚜껑(40)에 전달되는 스트레스는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즉, 소정의 무게가 나가는 뚜껑(40)을 상측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힌지스프링(70)에 많은 텐션(tention)이 소요되는데, 회전모멘트(M)은 P*l이다. 여기서 P는 하중이고, l은 하중지지점까지의 거리 즉 힌지스프링(70)의 타단부(72)의 길이(D)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밥솥에서는 힌지스프링(70)의 타단부(72) 길이(D)를 약 200 mm 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M = P*l 식에서 회전모멘트(M)가 약 700 kg mm 이면 하중(P)는 3.5 kg 이다. 반면에 종래의 전기 밥솥은 힌지스프링의 타단부 길이(d)가 약 70 mm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모멘트(M)가 700 kg mm 이면 하중(P)는 10 kg이다.
결국, 뚜껑(40)을 상측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힌지스프링(70)의 타단부(72) 길이(D)를 증대시키면, 뚜껑(40)을 개방하기 위해 필요한 하중은 감소되어 적은 텐션으로 이루어진 힌지스프링(70)을 설치하여도 무관하며, 이러한 힌지스프링(70)을 설치하면 뚜껑(40)이 닫힌상태에서 힌지스프링(7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뚜껑(40)과 본체(10) 사이가 벌어지지 않는다.
한편, 로커(30)를 누르게 되면 뚜껑(40)은 부드럽게 개방되는데, 힌지스프링(70) 타단부(72)에 마련된 밴딩부(73)의 선단이 뚜껑(40)의 내면에 접촉 미끄러지면서 뚜껑(40)을 상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데, 밴딩부(73)의 선단은 곡률면(74)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과의 마찰저항은 거의 없으며, 이에 따른 손상 역시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적 요소인 힌지스프링(70)의 타단부(72) 길이(D)는 본 실시예에서는 200 mm로 하였는데, 약 150 - 250 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밥솥은 힌지결합된 뚜껑을 자동적으로 개방하기 위해 일단부는 본체의 후단부에 마련되고 타단부가 뚜껑 내부로 연장된 힌지스프링이 구성되는데, 힌지스프링의 타단부를 뚜껑의 중심부를 지나 전방측으로 연장되게 구성하였다. 따라서 뚜껑에 전달되는 스트레스가 현저히 줄어들어 뚜껑이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 힌지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한 뚜껑과 본체사이에 사이틈이 발생되지 않으며, 스팀 누설이 방지된다.

Claims (3)

  1. 본체(10) 후단부에 힌지결합된 뚜껑(40), 일단부(71)는 상기 본체(40)에 결합되고 타단부(72)는 상기 뚜껑(40) 내부로 연장되게 마련되어 상기 뚜껑(40)을 상측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하는 힌지스프링(70)을 갖춘 전기 밥솥에 있어서,
    상기 힌지스프링(70)의 타단부(72)는 상기 뚜껑(40) 내부의 중심부를 지나 전방측으로 소정길이(D)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밥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스프링(70)의 타단부(72)의 길이(D)는 150 - 250 mm 정도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밥솥.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스프링(70)의 타단부(72)의 선단에는 상기 뚜껑(40)의 내면과 접하도록 절곡된 밴딩부(73)가 마련되어 있으며, 밴딩부(73)의 선단은 상기 뚜껑(40) 내면과의 마찰저항이 감쇄되도록 소정의 곡률면(74)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밥솥.
KR1019970050270A 1997-09-30 1997-09-30 전기밥솥 KR199900277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0270A KR19990027749A (ko) 1997-09-30 1997-09-30 전기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0270A KR19990027749A (ko) 1997-09-30 1997-09-30 전기밥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749A true KR19990027749A (ko) 1999-04-15

Family

ID=66045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0270A KR19990027749A (ko) 1997-09-30 1997-09-30 전기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77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3015B1 (en) Steam exhaust system of an electric pressurizing rice cooker
KR19990027749A (ko) 전기밥솥
KR20000007813A (ko)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개방장치
KR200395285Y1 (ko) 보조뚜껑이 구비된 조리용기
KR0140054Y1 (ko) 전기 압력 보온 밥솥의 뚜껑 개폐장치
JP3774840B2 (ja) 炊飯器
KR100446785B1 (ko) 전기밥솥
KR20040040182A (ko) 전기밥솥
KR900011258Y1 (ko) 전기밥솥
CN210018906U (zh) 烹饪器具
KR960002832Y1 (ko) 전자유도가열 밥솥의 뚜껑 유동방지 장치
CN208332919U (zh) 一种农业生产中的采用微波热源的除水分设备
JP2002028075A (ja) 電気炊飯器
KR100358492B1 (ko) 전기압력밥솥용 뚜껑의 휨 방지 구조
KR100354774B1 (ko)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 힌지기구
JPS5823301Y2 (ja) 加熱調理器
KR19990007089U (ko) 뚜껑 완충구조를 구비한 전기밥솥
JPS6231056Y2 (ko)
KR0139347Y1 (ko) 전기보온밥솥의 증기배출구조
KR100402586B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 구조
KR100558663B1 (ko) 전기 압력밥솥 뚜껑 개폐용 힌지스프링의 댐핑구조
KR20040017145A (ko) 전기압력밥솥의 본체 들림 방지 구조
JPH09103368A (ja) 圧力調理器
JPH0520701Y2 (ko)
JPH0720450B2 (ja) 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