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6951A - Safety opening device of automatic swing door for bus - Google Patents

Safety opening device of automatic swing door for b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6951A
KR19990026951A KR1019970049283A KR19970049283A KR19990026951A KR 19990026951 A KR19990026951 A KR 19990026951A KR 1019970049283 A KR1019970049283 A KR 1019970049283A KR 19970049283 A KR19970049283 A KR 19970049283A KR 19990026951 A KR19990026951 A KR 19990026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nit
switching
open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92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49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6951A/en
Publication of KR19990026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951A/en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용 스윙 자동도어의 안전 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스위치가 온/오프 됨에 따라 스위칭 동작으로 일정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 1스위칭부와, 자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일정한 반경내로 접근되는 물체를 감지하여 일정한 신호를 출력하는 근접감지부와, 이 근접감지부를 통해 출력된 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는 제 2스위칭부와, 이 제 2스위칭부 및 제 1스위칭부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도어 개폐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구동제어부와, 이 구동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소정의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수단과, 상기 구동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에 따른 시간 및 일시 정지된 동작 시간을 체크하는 타이머를 구비함으로서 도어 회전 반경내에 사람이 접근된 상태이면 개방동작 중인 스윙 도어의 개방 동작을 일시적으로 중지시킨 후 설정된 시간내에 반경내로 접근된 사람이나 물건이 감지되지 않으면 재차 도어 개방동작을 수행함은 물론 도어의 동작 정지 상태를 운전자에게 경보수단을 통해 신속히 알려줌으로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opening device for a swing automatic door for a bus, and a first switching unit for outputting a constant signal through a switching operation as the door switch is turned on and off, and an object installed on one side of an object to be approached within a constant radius. Proximity sensing unit for sensing and outputting a constant signal, a second switching unit that is turned on / off by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proximity sensing unit, the overall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switching state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and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a timer for checking the opening time and the paused operation tim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drive control unit, and an alarm means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alarm soun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drive control unit. By temporarily stopp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swing door during opening operation If time is a person or object approaches within a radius not detected in the effect to again prevent accidents as well as performing a door opening operation will tell quickly through the alarm means stops the operation status of the door to the driver in advance.

Description

버스용 스윙 자동도어의 안전개방장치Safety opening device of automatic swing door for bus

본 발명은 버스용 스윙 자동도어의 안전 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스의 스윙 타입의 도어를 개방시 물체나 사람이 도어의 회전 반경내에 감지되면 자동적으로 도어의 개방 동작을 중지시킴은 물론 일정시간내에 도어 반경내에서 물체나 사람이 미 감지되면 재차 개방 동작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서 승객의 안전한 승차 및 하차를 유도할 수 있도록 버스용 스윙 자동도어의 안전 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opening device of a swing automatic door for a bus, and in particular, when an object or a person is detected within a rotation radius of the door when the swing-type door of the bus is opened, the door opening operation is automatically stopped as well as a predetermined ti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opening device of a swing automatic door for a bus so as to induce a safe ride and disengagement of a passenger by performing an opening operation again when an object or a person is not detected within a door radius.

일반적으로 시내 버스용 자동 도어는 보통 앞뒤로 2개가 설치되어 승차 및 하차를 각각 전용으로 사용하기도 하며 요즘들어 버스가 외장 및 내장이 고급화되면서 버스에 설치되는 자동 도어는 버스 차체의 외부로 일정한 회전 반경을 갖고 개방되는 스윙 타입의 도어가 많이 설치되는 추세에 있다. 여기서 이와같은 스윙 타입의 자동 도어는 특히 승객의 승하차시 매우 편리하고 대형화된 유리를 통해 운전자의 측면 시야 확보에도 큰 도움을 주게 된다.In general, two automatic doors for city buses are usually installed in front and rear, so that each of them is used exclusively for riding and getting off.In recent years, as the exterior and interior of buses are advanced, the automatic doors installed in the bus have a constant turning radius to the outside of the bus body. There is a trend that a lot of swing type doors are opened. Here, such a swing type automatic door is very convenient for passengers getting on and off, and also helps to secure the driver's side view through the enlarged glass.

즉, 이와같은 스윙 타입의 자동 도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운전석 일측에 설치되어 자동문을 개폐하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스위칭 되는 도어스위치(70)와, 이 도어스위치(70)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도어 구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구동제어부(71)와, 이 구동제어부(71)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접점 동작하는 릴레이부(72)와, 이 릴레이부(72)의 온 상태의 접점동작으로 미 도시된 에어실린더의동작으로 도어가 일정한 회전 반경을 갖고 개폐되도록 하는 도어구동부(73)로 이루어진다.That is, such a swing type automatic door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river's seat as shown in FIG. 1 and is switched by the driver to open and close the automatic door, and according to the switching state of the door switch 70. The drive control unit 71 which controls the door driving as a whole, the relay unit 72 which performs contact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drive control unit 71, and the contact operation in the on state of the relay unit 72. The door is made of a door driving portion 73 to open and close the door has a certain radius of rotation by the operation of the air cylinder not shown.

한편,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스윙 타입의 도어 개폐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swing-type door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made of such a configuration is as follows.

먼저, 운전자는 버스내로 승객을 승차시키거나 및 하차시키기 위해 그 일측에 설치된 도어스위치(70)를 온 상태로 하게 된다. 그러면 이 도어스위치(70)의 온 상태로 일정한 신호를 인가받는 구동제어부(71)는 그 제어신호에 따라 릴레이부(72)를 온 상태로 접점 동작시키게 된다. 그러면 이 릴레이부(72)의 접점 동작으로 소정의 구동 전원을 인가받은 도어구동부(73)는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즉, 상기 도어구동부(73)의 동작으로 미 도시된 에어 실린더는 공압작용하고 그 에어실린더에 접속된 도어가이드에 의해 도어는 차체의 외부로 일정한 반경을 갖고 개방되는 것이다.First, the driver is to turn on the door switch 70 installed on one side to get on and off the passengers in the bus. Then, the drive control unit 71 receiving a constant signal in the on state of the door switch 70 operates the relay unit 72 in the on stat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hen, the door driving unit 73, which has received a predetermined driving power by the contact operation of the relay unit 72, operates to open the door automatically. That is, the air cylinder not shown by the operation of the door driving unit 73 is pneumatically actuated by the door guide connected to the air cylinder, the door is opened with a constant radius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body.

그러나 종래의 스윙 타입의 버스용 자동도어는 운전자가 도어 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일정한 회전 반경을 갖고 차체의 외부로 개방되는 구조를 갖고 있어 이때 도어가 개방되는 회전 반경내에 사람이나 기타 물건이 접근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되면 도어에 의해 물건이 파손되거나 사람이 부상당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운전자는 도어가 개방되는 동안 리어 사이드 미러를 통해 차량 주위에 접근된 물건이나 사람을 확인해야 하나 어느정도 도어가 외부로 개방되는 순간 사이드 미러를 통한 시야가 도어에 의해 차단되므로 결국 운전자는 도어 개방을 안전하게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 swing type automatic doors for buses have a certain radius of rotation as the driver operates the door switch and open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body. When the door is opened in the state, there was a problem that an object may be damaged or a person may be injured by the door. In addition, the driver should check the object or person near the vehicle through the rear side mirror while the door is open, but the door through the side mirror is blocked by the door at the moment the door is opened to the outside, so the driver can not open the door. There was a problem that was difficult to operate safely.

이에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스윙 타입의 자동 도어 개방시 그 회전 반경내로 접근하는 물건이나 사람을 감지하는 근접감지부를 차체의 일측에 설치하고 그 근접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신호가 도어 회전 반경내에 사람이 접근된 상태이면 개방동작 중인 스윙 도어의 개방 동작을 일시적으로 중지시킨 후 설정된 시간내에 반경내로 접근된 사람이나 물건이 감지되지 않으면 재차 도어 개방동작을 수행함은 물론 도어의 동작 정지 상태를 운전자에게 경보수단을 통해 신속히 알려줌으로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버스용 스윙 자동도어의 안전 개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impro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when the swing-type automatic door opening, a proximity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n object or a person approaching within the turning radius of the swing typ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and from the proximity detecting unit. If the detected signal is approaching a person within the turning radius of the door,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swing door in the opening operation is temporarily stopped, and if a person or object approached within the radius is not detected within the set time, the door is opened agai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fety opening device for a swing automatic door for a bus that prevents a safety accident in advance by promptly informing a driver of an operation stop state of a do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전석 일측에 설치되어 자동문을 개폐하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스위칭 되는 도어스위치와, 이 도어스위치의 스위칭으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접점 동작하는 릴레이부와, 이 릴레이부의 온 상태의 접점동작으로 도어가 일정한 회전 반경을 갖고 개폐되도록 하는 도어구동부가 구비된 스윙형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스위치가 온/오프 됨에 따라 스위칭 동작으로 일정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 1스위칭부와, 자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일정한 반경내로 접근되는 물체를 감지하여 일정한 신호를 출력하는 근접감지부와, 이 근접감지부를 통해 출력된 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는 제 2스위칭부와, 이 제 2스위칭부 및 제 1스위칭부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도어 개폐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구동제어부와, 이 구동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소정의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수단과, 상기 구동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에 따른 시간 및 일시 정지된 동작 시간을 체크하는 타이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oor switch which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river's seat is switched by the driver to open and close the automatic door, and the relay unit for contact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by the switching of the door switch, and In the swing-type door having a door driving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with a constant rotation radius by the contact operation of the relay state, the first switching unit for outputting a constant signal in the switching operation as the door switch is turned on / off And a proximity sensing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ensing unit to detect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radius and outputting a constant signal, a second switching unit turned on / off by a signal output through the proximity sensing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A driv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verall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switching state of the switching unit and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driving agent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alarm means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alarm soun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portion, which is provided with a timer for checking the time and the date and time of the opening operation is stopp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drive control.

도 1은 일반적인 버스의 스윙 도어 동작을 설명하는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wing door operation of a general bu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 도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wing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도.Figure 3 is an installation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도어스위치 2 : 제 1스위칭부1 door switch 2 first switch

3 : 구동제어부 4 : 제 2스위칭부3: drive control unit 4: second switching unit

5 : 근접감지부 6 : 타이머5: proximity detection unit 6: timer

7 : 릴레이부 8 : 도어구동부7: relay unit 8: door driving unit

9 : 경고수단 10 : 도어가이드9: warning means 10: door guide

11 : 에어실린더11: air cylind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의 스윙형 도어 안전 개방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wing-type door safety opening device for a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실시예의 따른 스윙형 도어 안전 개방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운전석 일측에 설치되어 자동문을 개폐하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온/ 오프되는 도어스위치(1)와, 이 도어스위치(1)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연동되어 각각 스위칭되는 제 1스위칭부(2)와, 차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일정한 반경내로 접근되는 물체를 감지하여 일정한 신호를 출력하는 근접감지부(5)와, 이 근접감지부(5)를 통해 출력된 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는 제 2스위칭부(4)와, 이 제 2스위칭부(4) 및 제 1스위칭부(2)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도어 개폐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구동제어부(3)와, 이 구동제어부(3)의 제어신호에 따라 접점 동작하는 릴레이부(7)와, 이 릴레이부(7)의 온 상태의 접점 동작으로 도어가 일정한 회전 반경을 갖고 개폐동작을 구동하는 도어구동부(8)로 이루어진다.The swing-type door safety op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river's seat as shown in FIG. 2 and the door switch 1 is turned on and off by the driver to open and close the automatic door, and the door switch 1 is turned on. A first switching unit 2 which is interlocked and switched according to the on / off state, a proximity sensing unit 5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to detect an object approaching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and outputting a constant signal, and this proximity sensing unit The door opening / closing operation is general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switching state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4 which is turned on / off by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unit 5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4 and the first switching unit 2. The drive control unit 3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the relay unit 7 in contact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drive control unit 3, and the contact operation in the on state of the relay unit 7, And a door driver 8 for driv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

그리고 상기 구동제어부(3)에는 그 제어 신호에 따라 소정의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수단(9) 및 도어 개폐 동작에 따른 시간 및 일시 정지된 동작 시간을 체크하는 타이머(6)가 접속되어 있다.The drive control unit 3 is connected to an alarm means 9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alarm soun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a timer 6 for check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and the paused operation time.

또한, 상기 제 1스위칭부(2)는 그 베이스단에 도어스위치(1)가 접속되고 그 에미터단에 저항(R)이 접속된 NPN형의 트랜지스터(Q1) 및 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에 병렬로 그 베이스단이 접속되고 에미터단에 저항(R)이 접속된 PNP형의 트랜지스터(Q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2스위칭부(4)는 그 베이스단이 근접감지부(5)에 접속되고 그 에미터단은 저항(R)이 접속되어 구동제어부(3)에 연결된 제 트랜지스터(Q2)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first switching unit 2 has an NPN transistor Q1 having a door switch 1 connected to its base end and a resistor R connected to its emitter end, and a base end of the transistor Q1. The base terminal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transistor, and the resistor R is connected to the emitter terminal. The second switching unit 4 includes a base transistor Q2 having a base end connected to the proximity sensing unit 5 and an emitter end connected to a driving control unit 3 with a resistor R connected thereto.

한편,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스윙형 도어 안전 개방 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of the swing-type door safety opening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example drawings as follows.

먼저, 버스의 측면 전방에 설치된 도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어(12)의 소정 위치에는 도어가이드(10)에 결합되고 이 도어가이드(10)의 타측에는 에어실린더(11)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버스의 외부 차체 소정 위치에는 근접감지부(5)가 설치되어 있어 이 근접감지부(5)는 도시된 A 영역내로 물체나 사람이 접근하면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이와같은 구조를 갖고 있는 버스의 도어를 운전자가 도어를 개방하여 승객을 승차 및 하차시키기 위해 도어스위치(1)를 온 상태로 하게 된다. 그러면 이 도어스위치(1)가 온 상태로 스위칭됨에 따라 소정의 신호가 제 1스위칭부(2)의 각 트랜지스터(Q1,Q2)의 베이스단으로 인가된다. 이때 이 트랜지스터(Q1)는 온 상태로 스위칭됨으로 출력되는 소정의 구동 신호 구동제어부(3)로 인가하게 되나 상기 트랜지스터(Q2)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이때 이 트랜지스터(Q2)를 통한 구동 신호는 구동제어부(3)로 인가 되지 않는다.First, the door installed in front of the side of the bus is coupled to the door guide 1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oor 12 as shown in FIG. 3 and connected to the air cylinder 11 at the other side of the door guide 10. have. The proximity sensing unit 5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outside of the bus so that the proximity sensing unit 5 outputs a predetermined signal when an object or a person approaches the area A shown. That is, the door of the bus having such a structure, the driver opens the door to the door switch 1 to turn on and off the passengers. Then, as the door switch 1 is switched on, a predetermined signal is applied to the base end of each of the transistors Q1 and Q2 of the first switching unit 2. At this time, the transistor Q1 is applied to a predetermined driving signal driving controller 3 outputted by being switched to an on state, but the transistor Q2 is maintained in an off state. At this time, the driving signal through the transistor Q2 is It is not applied to the drive control unit 3.

한편, 상기 구동제어부(3)는 트랜지스터(Q1)의 온 상태로 인해 소정의 구동 신호를 인가받고 제 2스위칭부(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받게 되는데 즉, 상기 버스의 차체에서 설치된 근접감지부(5)의 일정 거리내인 A 영역으로 물체나 사람이 접근되지 않으면 이 근접감지부(5)로부터는 감지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 2스위칭부(4)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결국 구동제어부(4)로는 아무런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구동제어부(3)의 그 제어신호에 따라 타이머(6)의 설정된 시간동안 릴레이부(7)는 온 상태로 접점 동작되고 이로인해 도어구동부(8)는 도어의 개방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도어구동부(8)의 동작으로 에어실린더(11)는 일정한 공압에 의해 동작되고 이 동작에 의해 도어(12)에 접속된 도어가이드(10)에 의해 도어(12)는 차체의 외부로 일정한 회전 반경을 갖고 개방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control unit 3 receives a predetermined driving signal due to the on state of the transistor Q1 and receives a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switching unit 4. That is, the proximity sensing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of the bus is applied. If an object or a person does not approach the area A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f the section 5, a detection signal is not output from the proximity sensing section 5. Therefore, the second switching unit 4 maintains the off state, so that no signal is input to the driving control unit 4. 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drive control unit 3, the relay unit 7 is in contact with the ON state during the set time of the timer 6, thereby causing the door drive unit 8 to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door. do. That is, the air cylinder 11 is operated by a constant pneumatic by the operation of the door driving unit 8 and the door 12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body by the door guide 10 connected to the door 12 by this operation. It is opened with a constant radius of rotation.

한편, 상기 구동제어부(3)가 트랜지스터(Q1)의 온 상태로 인해 소정의 구동 신호를 인가 받고 도어 개방 동작을 수행중에 상기 버스의 차체에서 설치된 근접감지부(5)의 일정 거리내인 A 영역으로 물체나 사람이 접근되면 이 근접감지부(5)로부터는 감지 신호가 출력되고 이 감지신호에 의해 제 2스위칭부(4)는 온 상태로 스위칭된다. 따라서 이 제 2스위칭부(4)가 스위칭 됨에 따라 일정한 신호가 구동제어부(4)로 인가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구동제어부(4)는 그 제어신호에 따라 개방 동작중인 도어(12)는 일시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타이머(6)는 동작 정지된 시간을 카운터하게 되고 구동제어부(3)의 제어신호에 따라 운전석 일측에 설치된 경보수단(9)은 동작하게 되어 운전자는 버스 근처로 접근된 사람이나 물체에 의해 도어 개방이 불가능함을 신속히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타이머(6)가 도어 개방이 일시 정지된 시간을 카운터 중에 설정된 시간내에 차체 A 영역에 접근된 사람이나 물체가 안전한 영역으로 이동되면 결국 제 2스위칭부(4)는 오프상태로 스위칭되고 그에 따른 신호가 구동제어부(3)로 인가되는 것이다. 이때 구동제어부(3)는 일시 정지된 도어 개방 동작을 재차 수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ile the driving control unit 3 receives a predetermined driving signal due to the on state of the transistor Q1 and performs the door opening operation, the area A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f the proximity sensing unit 5 installed in the vehicle body of the bus. When an object or a person approaches, a sensing signal is output from the proximity sensing unit 5,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4 is switched on by the sensing signal. Therefore, as the second switching unit 4 is switched, a constant signal is applied to the driving control unit 4. Therefore, the drive control unit 4 keeps the door 12 in the opening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At this time, the timer 6 counters the time when the operation is stopped, and the alarm means 9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river's seat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driving control unit 3 so that the driver is approached by a person or an object near the bus. You can quickly recognize that the door is not open. On the other hand, when the timer 6 stops opening the door temporarily and the person or object approaching the body A area within the time set in the counter is moved to the safe area, the second switching unit 4 is switched off. The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is applied to the drive controller 3. At this time, the driving control unit 3 performs the door opening operation which is paused again.

한편, 상기 스윙 도어의 개방 동작을 제한하는 근접감지부의 동작은 차량이 위급한 상황이나 사고시에는 그 근접된 물체나 사람을 감지할 수 없도록 하여 신속히 차량이 도어가 개방 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of the proximity detection unit for limit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swing door is preferably so that the vehicle can open the door quickly so that the vehicle can not detect the close object or person in case of emergency or accident.

상기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버스의 스윙형 도어의 개방에 있어서, 이 도어의 개방시 일정한 화전 반경인 A 영역으로 사람이나 물체가 접근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도어의 개방 동작을 일시 정지 시킴은 물론 운전자에게 이와 같은 사실을 경보수단을 통해 신속히 알려줌으로서 승객의 안전한 승하차에 도움이 되며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in the opening of a swing-type door of a bus,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pauses the opening operation of a door when a person or an object approaches an area A, which is a constant fire radius, when the door is opened. As well as letting the driver know the same quickly through the alarm means to help the passengers get on and off safely and to prevent accidents.

Claims (1)

운전석 일측에 설치되어 자동문을 개폐하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스위칭 되는 도어스위치(1)와, 이 도어스위치(1)의 스위칭으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접점 동작하는 릴레이부(7)와, 이 릴레이부(7)의 온 상태의 접점동작으로 도어가 일정한 회전 반경을 갖고 개폐되도록 하는 도어구동부(8)가 구비된 스윙 자동도어에 있어서,A door switch 1 installed at one side of a driver's seat and switched by a driver to open and close an automatic door, a relay unit 7 which operates in contact with a control signal output by switching of the door switch 1, and the relay unit In the swing automatic door provided with the door drive part 8 which opens and closes a door with a fixed rotation radius by the contact operation of the on state of (7), 상기 도어스위치(1)가 온/오프 됨에 따라 스위칭 동작으로 일정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 1스위칭부(2)와, 차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일정한 반경내로 접근되는 물체를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근접감지부(5)와, 이 근접감지부(5)를 통해 출력된 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는 제 2스위칭부(4)와, 이 제 2스위칭부(4) 및 제 1스위칭부(2)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도어 개폐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구동제어부(3)와, 이 구동제어부(3)의 제어 신호에 따라 소정의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수단(9)과, 상기 구동제어부(3)의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 개폐에 따른 시간 및 일시 정지된 동작 시간을 체크하는 타이머(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스윙 자동도어의 안전 개방장치.As the door switch 1 is turned on / off, the first switching unit 2 outputs a predetermined signal through a switching operation, and an objec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to detect an object approaching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and output a predetermined signal. The proximity detecting unit 5, the second switching unit 4 turned on / off by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proximity detecting unit 5, the second switching unit 4 and the first switching unit 2 Drive control unit 3 for overall control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switching state of), an alarm means 9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alarm soun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drive control unit 3, and the drive control unit ( Safety opening device for a swing automatic door for a b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timer (6) for check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3) and the paused operation time.
KR1019970049283A 1997-09-27 1997-09-27 Safety opening device of automatic swing door for bus KR1999002695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283A KR19990026951A (en) 1997-09-27 1997-09-27 Safety opening device of automatic swing door for b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283A KR19990026951A (en) 1997-09-27 1997-09-27 Safety opening device of automatic swing door for b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951A true KR19990026951A (en) 1999-04-15

Family

ID=66045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9283A KR19990026951A (en) 1997-09-27 1997-09-27 Safety opening device of automatic swing door for b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695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6951A (en) Safety opening device of automatic swing door for bus
KR100309827B1 (en) Safety device for controlling swing door
KR0143734B1 (en) A device to control opening/closing a door in railcar
KR0171342B1 (en) Warning device for protecting loss of properties of passenger
JP2003182365A (en) Collision accident preventing device for vehicle
KR20060088524A (en) Step device control system for automobile
KR200149125Y1 (en) Door open device
KR200256802Y1 (en) Door control device in vehicle
KR0123272Y1 (en) A device for noticing a rear obstacle behind of open door in a car
KR200227955Y1 (en) Warning apparatus for getting off an automobile
KR200161417Y1 (en) Locking device for door of a vehicle
KR19990026076U (en) Gate Departure Alarm of Bus
KR200156244Y1 (en) Circuit for controlling an automatic door for a vehicle
KR200392792Y1 (en) Door opening warning device of a vehicle
KR100412460B1 (en) Door lock system is locked when object is accessed
KR200270308Y1 (en) Alarm to sense automobile door's opening
KR20040065876A (en) Vehicle power window device
KR100270884B1 (en) Engine and Door Control System in Vehicle Crash
KR100518309B1 (en) Sense device for dead zone of a car
KR19980010780U (en) Door automatic locking system
KR20200065296A (en) Getting off informing apparatus interconnecting with door
JPH0253649A (en) Interior roof lamp device for automobile
KR19980038280A (en) Safety accident prevention device
KR20000024694A (en) Control method for closing/opening of power window
KR19980043108U (en) Roof opening device of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