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924A - 인터넷을 통한 전기통신망에서의 개인종합통신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통한 전기통신망에서의 개인종합통신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924A
KR19990025924A KR1019970047786A KR19970047786A KR19990025924A KR 19990025924 A KR19990025924 A KR 19990025924A KR 1019970047786 A KR1019970047786 A KR 1019970047786A KR 19970047786 A KR19970047786 A KR 19970047786A KR 19990025924 A KR19990025924 A KR 19990025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subscriber
upt
internet
intelligent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3942B1 (ko
Inventor
김동익
정만상
남창섭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 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 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70047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3942B1/ko
Publication of KR19990025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3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39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6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using machine learning or artificial intellig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4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comprising hierarchical management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전기통신망에서의 개인종합통신(Universal Personal Telecommunication : 이하 'UPT'라 칭한다.)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기통신망에서 제공되는 차세대지능망 UPT 서비스의 생성 및 이용을 인터넷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므로써, 서비스 가입자는 PC의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자신의 UPT 서비스 프로파일을 등록/변경하며, 망 운용자는 서비스 가입자의 서비스 요구를 반영하여 UPT 서비스를 신속하게 생성/제공하는 잇점이 있고, 또한 UPT 서비스 가입자는 전기통신망 및 인터넷을 통하여 망 운용자가 제공하는 차세대지능망 UPT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활용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방법은 서비스 가입자가 공중전화망/종합서비스정보통신망/인터넷을 모두 활용하여 UPT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고, 망 운용자는 가입자의 위치 정보, 착신번호 정보, 서비스 별 옵션 정보를 실시간으로 참조 및 변경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터넷을 통한 전기통신망에서의 개인종합통신(UPT)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전기통신망에서의 개인종합통신(UPT)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기통신망에서 제공되는 차세대지능망 UPT 서비스의 생성 및 이용을 인터넷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고, 전기통신망 내에서 또는 인터넷 상에서 전기통신망을 경유하는 전화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망 관리자는 인터넷을 통해 접수된 UPT 서비스 생성 신청 요구를 반영하여 서비스를 생성해 전기통신망에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는 정보화 시대로 많은 사람들이 자신들이 원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받아볼 수 있기를 바란다.
이에 따라 정보 이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정보통신업체에서는 다양한 정보통신 단말기들을 제조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역시 활성화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지능망 서비스로 이 지능망 서비스란 교환기로 부터 서비스 제어 부분을 분리하여 가입자에게 효과적인 전기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말하며, 지능망 UPT 서비스란 가입자들이 지역적인 위치에 관계없이 자신에게 부여된 UPT 번호를 이용하여 PSTN, 이동망 등 모든 망에 접근하여 전기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이동성 서비스를 말한다.
그리고 최근에는 인터넷망을 이용한 정보검색이 급속도로 널리 보급된 환경으로, 인터넷을 통한 PC 통신과 전화 서비스가 상용화되어 일반에게 보급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은 현 추세에 따라 좀더 나은 정보검색방식을 제공하고자 전기통신망에서 제공되고 있는 UPT 서비스를 인터넷을 이용해서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한 정보 제공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지능망 인터넷 접속 게이트웨이를 구성하고, 인터넷 접속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비스 이용자가 인터넷을 활용하여 지능망서비스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된 인터넷을 통한 UPT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2는 도 1의 지능망 인터넷 접속 게이트웨이 상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을 이용한 망 종합 UPT 서비스의 제어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을 이용한 음성 메일 서비스의 제어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을 이용한 개인 홈 페이지 통화 서비스의 제어절차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서비스 제어부, 12 : 교환 제어부, 13 : 가입자 데이타부, 14 : 음성 처리부, 20 : 지능망 인터넷 접속 게이트웨이, 21 : 서비스 운용부, 211 : 데이타 핸들러, 212 : 서비스 관리부, 22 : 서비스 접속부, 221 : 지능망 인터넷 접속부, 23 :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구현한 서비스 제공 장치는 개인종합통신서비스(UPT) 가입자에게 서비스로직의 절차에 따라 UPT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어부와;
상기 서비스 제어부와 연결되어 UPT 번호의 호에 대한 정보 송/수신, 호 라우팅 및 호 전환기능을 하는 교환 제어부와;
상기 서비스 제어부와 연결되어 UPT 가입자 및 인터넷 이용자의 위치 및 라우팅 정보, 다중착신기능 옵션을 저장하는 가입자 데이타부와;
상기 서비스 제어부와 연결되어 지능망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각종 음성안내 메시지를 비롯한 음성자원을 제공하는 음성처리부와;
지능망서비스 플랫폼 전체의 운용 관리를 담당하는 서비스 운용부와, 상기 서비스 운용부와 접속되어 인터넷으로 부터 수신된 호 신호를 지능망의 UPT 번호로 변환시켜 상기 교환 제어부로 전송하는 공통 리소스 로케이션(URL) 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접속부 및 지능망 서비스에 필요한 응용프로그램과 운영체계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주는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부로 이루어져, 인터넷과 전기통신망과의 연결을 가능케 하는 지능망 인터넷 접속 게이트웨이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제어 방법은 인터넷 또는 전화국 창구를 통하여 서비스의 가입 또는 가입자의 서비스 프로파일에 대한 갱신 요구를 받으며, 비밀번호 등의 입력 요구를 통해 불법 갱신을 방지하는 과정과;
서비스 운용부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화면을 통해 가입자와 가입자의 모든 단말기에 대한 새로운 상세 정보 또는 갱신된 상세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한 정보를 확인한 다음 가입자 데이타부에 저장한 후, 상기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정기적으로 백-업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가입자 등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제어 방법은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인터넷 이용자의 지능망 인터넷 접속 게이트웨이로 접속에 따라 호가 접속되면 지능망 인터넷 접속 관리부를 통해 수신된 인터넷 신호를 접수하여 지능망 서비스 노드로 호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지능망 서비스 노드로 접속된 신호를 로그파일에 기록하는 과정과;
이어 서비스 운용부에서 서비스 이용자의 신호를 분석하여 원하는 서비스에 대한 프로세스 구동을 하고, 호 라우팅을 위한 준비를 하는 과정과;
인터넷 이용자를 통해 가입자의 UPT 번호에 해당하는 URL이 클릭되면, 서비스 운용부를 통해 해당 URL을 UPT 번호로 변환시켜 가입자 데이타부에 전달한 다음 해당 UPT 번호와 일치하는지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 결과 데이타가 일치하면 교환 제어부로 결과 신호를 전송하고, 이 신호를 입력받은 교환 제어부에서는 수신된 신호에 따라 UPT 서비스를 제공하여 착신자의 번호로 호를 라우팅 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호 라우팅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제어 방법은 자신의 서비스 생성을 원하는 인터넷 가입자가 지능망 인터넷 접속 게이트웨이를 통해 로그인 식별번호와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지능망과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로그인 식별번호와 비밀번호를 가입자 데이타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와 비교하여 등록된 가입자 인지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판별결과 등록된 UPT 가입자일 경우 서비스 운용부에서 UPT 서비스 생성 메뉴를 통해 가입자가 원하는 서비스 로직과 서비스 옵션을 작성하여 서비스 제공자 측으로 이를 신청하는 과정과;
상기 신청에 의해 가입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신청한 서비스 스크립트 파일을 가입자 데이타부에 저장하고, 신청 서비스에 대한 등록 번호를 신청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의 생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및 특징들,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된 인터넷을 통한 UPT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로, 전기통신망의 구성은 UPT 가입자에게 서비스로직의 절차에 따라 UPT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어부(11)와;
상기 서비스 제어부(11)와 연결되어 지능망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전기통신망에서의 교환기능을 제공하는 부로 UPT 번호의 호에 대한 정보 송/수신, 호 라우팅 및 호 전환기능을 하는 교환 제어부(12)와;
상기 서비스 제어부(11)와 연결되어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부로 가입자의 위치 및 라우팅 정보, 다중착신기능 옵션을 저장하는 가입자 데이타부(13);
상기 서비스 제어부(11)와 연결되어 지능망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각종 음성 안내 메시지를 비롯한 음성자원을 제공하는 음성처리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인터넷과 전기통신망과의 연결을 가능케 하는 지능망 인터넷 접속 게이트웨이(20)의 구성은 지능망서비스 플랫폼 전체의 운용 관리를 담당하는 서비스 운용부(21)와;
상기 서비스 운용부(21)와 접속되어 망 사용자들이 인터넷에서 지능망에 접근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과, 인터넷으로 부터 수신된 호 신호를 지능망의 UPT 번호로 변환시켜 상기 교환 제어부로 전송하는 공통 리소스 로케이션(Uniform Resource Location : 이하 URL 이라 칭한다) 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접속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통신망에는 UPT 번호를 부여받아 UPT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사람이나 법인단체가 연결되고, UPT 번호로의 착신을 요구하는 일반 이용자가 연결되기도 한다.
도 2는 상기 지능망 인터넷 접속 게이트웨이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 블럭도로, 상기 서비스 운용부(21)는 지능망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에 대한 프로파일 데이타 및 과금 데이타를 관리하는 가입자 데이타 핸들러(211)와;
지능망 서비스를 관리하고 지능망 요소에 서비스를 배치하는 서비스 관리부(212)로 구성되고;
서비스 접속부(22)는 인터넷으로 부터 접속하는 인터넷 이용자에게 지능망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능망 네트웍 요소에 연결시켜 주는 지능망 인터넷 접속 관리부(221)로 구성되는 바, 이때의 지능망 인터넷 접속 관리부(221) 내의 관리 프로세서(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는 인터넷 상에 지능망 게이트웨이의 주소를 알려주며, 인터넷 이용자가 접속하는 인터넷 접속 신호를 지능망 노드로 연결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기 지능망 인터넷 접속 게이트웨이(20)는 지능망 서비스에 필요한 응용프로그램과 운영체계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주는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형태로 구성된 인터넷에서 UPT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 주는 장치의 동작은 전기통신망 서비스를 제공받고 싶은 인터넷 사용자가 서비스 운용부(21)를 통해 자신에 대한 데이타를 등록하면, 이 정보는 가입자 데이타부(13)에 저장되고, 상기 등록된 가입자가 인터넷을 통해 호를 요청하면 이 호는 상기 서비스 접속부(22)를 통해 지능망의 UPT 번호로 변환된 다음, 상기 가입자 데이타부(13)에 저장되어 있는 UPT 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일치하면 교환 제어부(12)를 통해 착신자 번호로 호 라우팅을 수행받는다.
상기 과정이 이루어지면 그때부터 인터넷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전기통신 망의 UPT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어 방법과 관련된 데이타의 구성및 내용을 설명하면, 상기 가입자 데이타(13)부 내에 저장되는 데이타로는 가입자 이름, 가입자의 UPT 번호, 비밀번호(Personal Indentification Number : PIN), 착신옵션, 착신번호, 부재시 자동 라우팅을 위한 다중착신옵션 및 선택 전화번호, 다중착신번호, 호 스크린 옵션(Call Screening Option), 가입자의 지정된 단말기의 위치, 가입자 홈 페이지의 인터넷 URL 주소 및 가입자 별 착신 신호 후 통화 불능 시 조회사항 정보(착신호 이력기록, 메시지 송신 조치)등이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음성 처리부(14)에 저장된 데이타로는 음성 프롬프트(Voice prompting) 시 사용되는 음성 데이타와 각종 음성 안내 데이타 등이 저장되어 있다.
호 정보로는 발신측 번호와 착신측 번호(UPT 번호)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능망 인터넷 접속 게이트웨이(20)는 상기처럼 별도의 호스트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지만, 지능망을 구성하는 망 요소 중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하 SMS라 칭한다)에 포함시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인터넷을 이용한 UPT 서비스 제공 장치를 이용하여 UPT 서비스를 제공받는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등록/갱신의 제어 방법을 보면,
· 인터넷을 통하여 또는 전화국 창구를 통하여 서비스의 가입 또는 가입자의 서비스 프로파일에 대한 갱신 요구를 받는다.
이때, 갱신 요구의 경우 비밀번호 등의 입력 요구를 통하여 불법 갱신을 방지한다.
·이어 서비스 접속부(22)을 통하여 가입자는 서비스 운용부(21)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화면을 통해 가입자와 가입자의 모든 단말기에 대한 새로운 상세 정보 또는 갱신된 상세 정보를 입력한다.
이때, 서비스 프로파일의 내용으로는 가입자의 UPT 번호, 가입자의 위치, 가입자의 시간별, 날짜별 착신 지역, 부재시 자동 라우팅 선택 옵션 및 선택 전화번호 등이 있다.
·상기 입력한 정보를 확인한 후 가입자 데이타부(13)에 저장한다.
·이 저장된 내용은 화면을 통하여 조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입자에게 대한 정보는 정기적으로 백-업을 받는다.
또한, 인터넷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할때 접속 호에 대한 라우팅 제어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인터넷 이용자는 지능망 인터넷 접속 게이트웨이(20)로 접속한다.
·상기 호가 접속되면 지능망 인터넷 접속 관리부(221)에서는 수신되는 인터넷 신호를 접수하여 지능망 서비스 노드로 호를 연결한다.
·이처럼 인터넷에서 서비스 접속부(22)를 통해 입력된 지능망 신호는 서비스 운용부(21)를 통과하여 로그파일에 기록된다.
·이어 서비스 운용부(21)에서는 서비스 이용자의 신호를 분석하여 원하는 서비스에 대한 프로세스 구동을 하며 호 라우팅을 위한 준비를 한다.
·다음 인터넷 이용자가 서비스 접속부(22)의 화면에서 가입자의 UPT 번호에 해당하는 URL을 클릭하면, 서비스 운용부(21)에서는 해당 URL을 UPT 번호로 변환시켜 가입자 데이타부(13)에 전달해 해당 UPT 번호와 일치하는지 검색한다.
·검색 결과 데이타가 일치하면 서비스 제어부(11)에서는 교환 제어부(12)로 결과 신호를 전송하고, 이 신호를 입력받은 교환 제어부(11)에서는 수신된 신호에 따라 UPT 서비스를 제공하여 착신자의 번호로 호를 라우팅 시킨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가입자가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서비스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이때 인터넷을 통해 자신의 UPT 서비스를 생성하는 방법은 오직 UPT 서비스 가입자에게만 허가되는 옵션이다.
·인터넷에서 가입자는 지능망 인터넷 접속 게이트웨이(20)를 통해 로그인 식별번호와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지능망과 접속한다.
·상기 로그인 식별번호와 비밀번호는 가입자 데이타부(13)의 데이타와 비교되어 등록된 가입자 인지 판별된다.
·판별결과 등록된 UPT 가입자일 경우 서비스 운용부(21)에서는 UPT 서비스 생성 메뉴를 통해 가입자가 원하는 서비스 로직과 서비스 옵션을 작성하여 서비스 제공자 측으로 이를 신청한다.
·이처럼 가입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신청한 서비스 스크립트 파일은 가입자 데이타부(13)에 저장되며, 신청 서비스에 대한 등록 번호가 신청자에게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각각의 제어 방법을 통해 본 발명에서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의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몇가지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1) 망 종합 UPT 서비스
이 서비스는 일반 인터넷 이용자가 PC를 통하여 일반 전화 가입자 및 UPT 서비스 가입자에게 전화 통화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인터넷 이용자는 인터넷폰으로 통화할 수도 있고, 휴대폰으로 통화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전화통화는 전기통신망과 인터넷 망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망 종합 UPT 서비스의 제어절차는 도 3과 같이 도시할 수 있다.
① 인터넷 이용자 A는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서비스 접속부(22)로 접근한다.
② 이어 서비스접속부(22)의 웹 페이지에서 이용자 A는 UPT 가입자 B의 UPT 번호를 입력한다.
③ UPT 번호 데이타는 서비스 제어부(11)로 수신되며, 이 신호는 서비스 로직을 활성화하여 UPT 가입자 B의 프로파일에 등록된 장소로 호를 라우팅 시킨다.
④~⑧ 교환 제어부(SSP)(12)와 서비스 제어부(11)는 인터넷 이용자 A와 UPT 가입자 B의 호를 연결시킨다.
⑨ A와 B는 통화한다.
2) 음성 메일 서비스
이 서비스는 인터넷 이용자가 PC를 통하여 자신의 메시지를 녹음하여 일반전화 가입자에게나 UPT 서비스 가입자에게 보내며, 전달시간을 지정할 수 있게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화로 직접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고, 서비스 운용부(SMS)(21)로 등록하여 상대방 UPT서비스 가입자가 웹을 이용하여 다운로딩하여 청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음성 메일 서비스의 제어절차는 도 4와 같이 도시할 수 있다.
① 인터넷 이용자 A는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서비스 접속부(22)에 접근한다.
이용자 A는 이미 자신의 PC를 이용하여 녹음된 음성 화일을 서비스 접속부(22)의 웹 페이지에 업-로딩한다.
서비스 접속부(22) 화면의 두 가지 옵션 중 택일한다. 첫번째 옵션은 UPT 번호의 단말기로 메일을 전송하는 것이고, 두번째 옵션은 PC로 전송하는 것이다.
② 첫번째 옵션을 선택할 경우 음성 파일은 서비스 제어부(SCP)(11)로 전송되어 관련된 서비스 로직이 활성화된다.
③ 서비스 제어부(SCP)(11)는 교환 제어부(SSP)(12)로 해당 옵션이 포함된 신호를 전송한다.
④ 교환제어부를 통하여 예정된 시간에 UPT 가입자 B의 단말기로 음성이 전달된다.
⑤ 두번째 옵션을 택할 경우 UPT 가입자 B의 URL 컬럼에 녹음된 음성을 등록한다.
⑥ UPT 가입자 B는 서비스접속부에 접근하여 자신의 컬럼을 검색한다.
⑦ 녹음된 음성의 우편물이 있을 경우 클릭하여 음성을 듣는다.
3) 수신전화 조회(Listing Received Telephone) 서비스
이 서비스는 UPT 가입자가 UPT 웹 서버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기간사이에 전화를 걸어온 번호, 통화 시작 및 종료 시간등을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가입자는 그 리스트에 클릭하여 원하는 번호로 전화를 다시 걸거나 음성 녹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수신전화 조화 서비스의 제어절차는 하기와 같다.
① 가입자 A는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서비스 접속부(SMS)(22)로 접근한다.
② 서비스 접속부(22)에서 가입자 A는 서비스 접속부(SMS)(22)의 웹 페이지에서 수신전화 리스트 메뉴를 선택한다.
③ 이어 서비스 운용부(21)에서는 가입자 A에게 걸려왔던 리스트를 제공하므로써 상대와의 통화 내역을 파악할 수 있다.
④ 가입자 A는 통화를 자주하는 상대의 '전화 북'을 만들어 서비스 접속부(SMS)(22)의 웹 메뉴에서 클릭하므로써 상대에게 전화 호를 발신한다.
4)과금 체크(Checking Account) 서비스
이 서비스는 UPT 가입자가 UPT 웹서버를 통하여 월, 주, 일 단위로 자신의 UPT 서비스의 사용 과금 내역을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그 절차는 다음과 같다.
① 가입자 A는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서비스 접속부(SMS)(22)로 접근한다.
② 서비스 접속부(SMS)(22)에서 가입자 A는 서비스접속부의 웹 페이지에서 과금 체크 메뉴를 선택한다.
③ 서비스 운용부(21)에서 가입자 A가 사용한 과금 정보를 제공하므로써 자신의 월별/일짜별/시간별 과금 내역을 파악할 수 있다.
5) 개인 홈 페이지 통화 서비스
이 서비스는 UPT 가입자가 개인 홈 페이지를 갖고 있는 경우, 인터넷 이용자가 UPT 가입자의 홈 페이지에 접근하여 전화 통화 메뉴를 클릭하면, 해당 가입자와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그 제어절차는 도 5와 같이 도시할 수 있다.
① 인터넷 이용자 B는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UPT 가입자 A의 홈 페이지로 접근한다.
② 인터넷 이용자 B는 가입자 A의 홈 페이지에서 'UPT 전화통화 연결'이라는 메뉴를 클릭하여 신호를 서비스 제어부(11)로 전송한다.
③ 서비스 제어부(11)에서는 그 신호를 수신하여 교환 제어부(12)로 전송한다.
교환 제어부(12)에서는 가입자 데이타부(13)와 인터페이스 하여 UPT 번호를 체크한다.
④~⑧ 교환 제어부(SSP)(12)는 인터넷 이용자 B와 UPT 가입자 A를 연결시킨다.
⑨ A와 B는 서로 통화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세대 지능망 UPT 서비스를 인터넷을 통하여 제어하므로써, 서비스 가입자는 PC의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자신의 UPT 서비스 프로파일을 등록/변경하며, 망 운용자는 서비스 가입자의 서비스 요구를 반영하여 UPT 서비스를 신속하게 생성/제공하는 잇점이 있다.
또한 UPT 서비스 가입자는 전기통신망 및 인터넷을 통하여 망 운용자가 제공하는 차세대지능망 UPT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제어/활용 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방법은 서비스 가입자가 공중전화망/종합서비스정보통신망/인터넷을 모두 활용하여 UPT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며, 망 운용자는 가입자의 위치 정보, 착신번호 정보, 서비스 별 옵션 정보를 실시간으로 참조 및 변경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7)

  1. 개인종합통신서비스(UPT) 가입자에게 서비스로직의 절차에 따라 UPT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어부와;
    상기 서비스 제어부와 연결되어 UPT 번호의 호에 대한 정보 송/수신, 호 라우팅 및 호 전환기능을 하는 교환 제어부와;
    상기 서비스 제어부와 연결되어 UPT 가입자 및 인터넷 이용자의 위치 및 라우팅 정보, 다중착신기능 옵션을 저장하는 가입자 데이타부와;
    상기 서비스 제어부와 연결되어 지능망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각종 음성안내 메시지를 비롯한 음성자원을 제공하는 음성처리부와;
    지능망서비스 플랫폼 전체의 운용 관리를 담당하는 서비스 운용부와, 상기 서비스 운용부와 접속되어 인터넷으로 부터 수신된 호 신호를 지능망의 UPT 번호롤 변환시켜 상기 교환 제어부로 전송하는 공통 리소스 로케이션(URL) 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접속부 및 지능망 서비스에 필요한 응용프로그램과 운영체계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주는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부로 이루어져, 인터넷과 전기통신망과의 연결을 가능케 하는 지능망 인터넷 접속 게이트웨이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전기통신망에서의 개인종합통신(UPT)서비스 제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운용부는 지능망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에 대한 프로파일 데이타 및 과금 데이타를 관리하는 가입자 데이타 핸들러와;
    지능망 서비스를 관리하고 지능망 요소에 서비스를 배치하는 서비스 관리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전기통신망에서의 개인종합통신(UPT)서비스 제공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접속부는 인터넷으로 부터 접속하는 인터넷 이용자에게 지능망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능망 네트웍 요소에 연결시켜 주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지능망 인터넷 접속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전기통신망에서의 개인종합통신(UPT)서비스 제공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능망 인터넷 접속 게이트웨이는 별도의 호스트 시스템으로 구성하여 전기통신망과 연결하거나, 전기통신망 내의 서비스 관리 시스템 내에 포함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전기통신마에서의 개인종합통신(UPT)서비스 제공 장치.
  5. 인터넷 또는 전화국 창구를 통하여 서비스의 가입 또는 가입자의 서비스 프로파일에 대한 갱신 요구를 받으며, 비밀번호 등의 입력 요구를 통해 불법 갱신을 방지하는 과정과;
    서비스 운용부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화면을 통해 가입자와 가입자의 모든 단말기에 대한 새로운 상세 정보 또는 갱신된 상세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한 정보를 확인한 다음 가입자 데이타부에 저장한 후, 상기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정기적으로 백-업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가입자 등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전기통신망에서의 개인종합통신(UPT)서비스 제공시 등록/갱신 제어 방법.
  6.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인터넷 이용자의 지능망 인터넷 접속 게이트웨이로의 접속에 따라 호가 접속되면 지능망 인터넷 접속 관리부를 통해 수신된 인터넷 신호를 접수하여 지능망 서비스 노드로 호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지능망 서비스 노드로 접속된 신호를 로그파일에 기록하는 과정과;
    이어 서비스 운용부에서 서비스 이용자의 신호를 분석하여 원하는 서비스에 대한 프로세스 구동을 하고, 호 라우팅을 위한 준비를 하는 과정과;
    인터넷 이용자를 통해 가입자의 UPT 번호에 해당하는 URL이 클릭되면, 서비스 운용부를 통해 해당 URL을 UPT 번호로 변환시켜 가입자 데이타부에 전달한 다음 해당 UPT 번호와 일치하는지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 결과 데이타가 일치하면 교환 제어부로 결과 신호를 전송하고, 이 신호를 입력받은 교환 제어부에서는 수신된 신호에 따라 UPT 서비스를 제공하여 착신자의 번호로 호를 라우팅 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호 라우팅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전기통신망에서의 개인종합통신(UPT)서비스 제공 시 접속 호의 라우팅 제어 방법.
  7. 자신의 서비스 생성을 원하는 인터넷 가입자가 지능망 인터넷 접속 게이트웨이를 통해 로그인 식별번호와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지능망과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로그인 식별번호와 비밀번호를 가입자 데이타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와 비교하여 등록된 가입자 인지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판별결과 등록된 UPT 가입자일 경우 서비스 운용부에서 UPT 서비스 생성 메뉴를 통해 가입자가 원하는 서비스 로직과 서비스 옵션을 작성하여 서비스 제공자 측으로 이를 신청하는 과정과;
    상기 신청에 의해 가입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신청한 서비스 스크립트 파일을 가입자 데이타부에 저장하고, 신청 서비스에 대한 등록 번호를 신청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의 생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전기통신망에서의 개인종합통신(UPT)서비스 제공 시 서비스 생성 제어 방법.
KR1019970047786A 1997-09-19 1997-09-19 인터넷을 통한 전기통신망에서의 개인종합통신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233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786A KR100233942B1 (ko) 1997-09-19 1997-09-19 인터넷을 통한 전기통신망에서의 개인종합통신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786A KR100233942B1 (ko) 1997-09-19 1997-09-19 인터넷을 통한 전기통신망에서의 개인종합통신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924A true KR19990025924A (ko) 1999-04-06
KR100233942B1 KR100233942B1 (ko) 1999-12-15

Family

ID=19521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786A KR100233942B1 (ko) 1997-09-19 1997-09-19 인터넷을 통한 전기통신망에서의 개인종합통신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394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337B1 (ko) * 1999-12-22 2006-07-06 주식회사 케이티 지능망-인터넷 연동 구조에서의 웹을 통한 자동 전화연결방법
KR100615852B1 (ko) * 1999-10-19 2006-08-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피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에이치엘알과 에스씨에프의 상호동작 방법
KR100693713B1 (ko) * 1999-12-17 2007-03-13 주식회사 케이티 전기통신망과 인터넷 연동 망을 통한개인종합통신(upt)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0792599B1 (ko) * 2006-12-08 2008-0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 패킷망에서 상향 트래픽의 동적 제어를 위한 플로우프로파일 정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846548B1 (ko) * 2001-05-25 2008-07-15 주식회사 케이티 정보 중개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852B1 (ko) * 1999-10-19 2006-08-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피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에이치엘알과 에스씨에프의 상호동작 방법
KR100693713B1 (ko) * 1999-12-17 2007-03-13 주식회사 케이티 전기통신망과 인터넷 연동 망을 통한개인종합통신(upt)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0598337B1 (ko) * 1999-12-22 2006-07-06 주식회사 케이티 지능망-인터넷 연동 구조에서의 웹을 통한 자동 전화연결방법
KR100846548B1 (ko) * 2001-05-25 2008-07-15 주식회사 케이티 정보 중개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792599B1 (ko) * 2006-12-08 2008-01-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 패킷망에서 상향 트래픽의 동적 제어를 위한 플로우프로파일 정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3942B1 (ko)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3536A (en)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client controlled gateway for concurrent voice/data messaging with a data server
KR100701852B1 (ko) 통신망에서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 및 장치
US6031904A (en) Service order mechanism for telephone subscriber
US9912628B2 (en) Computer, internet and telecommunications based network
US6430174B1 (e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simultaneous voice and multimedia communication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e
US6779020B1 (en) Establishing communications between a calling server and a called server according to services subscribed by their respective calling and called parties
RU2323472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персонализации сервисов и приложений в сетях связ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веб-портала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х настроек
EP18782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callback system for mobile terminals
KR20010033293A (ko) 전화망을 통한 아키텍처 비종속 애플리케이션의 호출
JP2004519119A (ja) 電話呼出のip接続からの遠隔自動転送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020031207A1 (en) User editable database to forward communications sent to an unified assess number to caller-specific destinations
CN102172056A (zh) 移动电信设备和服务的远程呼叫控制
US20120014292A1 (en) Access Management System and Access Management Method
KR100233942B1 (ko) 인터넷을 통한 전기통신망에서의 개인종합통신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050216586A1 (en) Website-controlled establishment of telephone connections
KR20000024101A (ko) 인터넷폰 목록 포탈 서버를 이용한 인터넷폰 서비스 방법
KR20020013240A (ko) 전화번호 형태의 이름을 사용하는 인터넷 전화 서비스제공 방법
KR100943059B1 (ko) 아이피 센트렉스 기반 콜센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아이피 센트렉스 기반 콜센터 서비스 준비 방법
RU226662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мена информацией в 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ети
JP2006507774A (ja) 優先装置への通信の自動転送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4221902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その情報提供方法
KR100377408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유료전화 서비스 제공방법
KR20010091637A (ko) 인터넷전화국을 이용한 음성,문자,데이터 단말기간의통화방법
KR100846563B1 (ko) 웹브라우저 주소창을 이용한 전화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및그 시스템
JP3245787B2 (ja) 電話接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