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729U -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의 적층구조 - Google Patents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의 적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729U
KR19990025729U KR2019970038254U KR19970038254U KR19990025729U KR 19990025729 U KR19990025729 U KR 19990025729U KR 2019970038254 U KR2019970038254 U KR 2019970038254U KR 19970038254 U KR19970038254 U KR 19970038254U KR 19990025729 U KR19990025729 U KR 199900257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box
storage box
transport
cargo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82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용표
Original Assignee
이병성
주식회사 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성, 주식회사 세화 filed Critical 이병성
Priority to KR20199700382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5729U/ko
Publication of KR199900257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729U/ko

Links

Landscapes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자의 적층상태만으로 화물이 수납되어진 상자와 수납되지 않은 빈 상자를 쉽게 식별할 수 있고, 상자에 담긴 화물을 별도의 인식표를 사용하지 않아도 상자의 외부에서 쉽게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자내의 화물을 진열대에 별도로 진열하지 않고 적층시켜 놓아도 상자 전면의 개방부를 통해 상자 내부의 화물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하는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의 적층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는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의 전면에는 외부에서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는 개방부를 형성하고, 그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의 양측 상단에는 회전지지구를 형성하여 받침판의 힌지핀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받침판에는 요홈부를 형성하여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의 저면 돌기가 삽입되게 한 후, 상기 회전지지구의 하측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에는 수납부를 형성함으로서 이룰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의 적층구조
본 고안은 각종 부품의 제조 및 조립공장에서 부품 또는 조립품 등의 화물을 수납하거나 수퍼마켓 등에서 상품을 진열 및 판매할 때 사용하는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조 및 조립공장에서는 부품 또는 조립품 등의 화물이 수납되어진 상자와 수납되지 않은 빈 상자 및 상자에 담긴 부품의 내용물을 상자의 외부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수퍼마켓 등에서는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에 상품이 담긴 상태로 적층 판매함과 동시에 빈상자는 적은 공간에 많은 양을 적층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의 적층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부품의 제조 및 조립공장에서 부품 또는 조립품 등의 화물을 수납하여 적층 보관하거나 운반할 때 사용하는 운반 및 보관상자는 상자내에 담긴 부품 또는 조립품이 상자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과 전,후,좌,우면이 모두 막힌 상태로 생산 및 사용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자를 적층하였을 때는 상자내에 부품 또는 조립품 등의 화물이 담겨 있는지의 여부를 상자의 외부에서 식별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상자에 담긴 화물의 종류를 외부에서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상자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요구를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성의 운반 및 보관상자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는 화물이 수납되었을 때와 수납되지 않았을 때가 동일하게 적층됨에 따라 발생되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자의 외측에는 양측으로부터 거리가 다른 돌기를 형성하고, 상자의 내측면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요입홈을 형성함으로서 상자에 화물이 수납되었을 때는 그 상자들의 적층 높이가 높아지게 하고, 상자내에 화물이 수납되지 않았을 때는 그 상자들의 적층 높이가 낮아지도록 개발한 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었다.
그러므로 상기의 상자들은 상자내에 화물이 수납되어 있는지의 여부는 상자외부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었지만 그 상자들을 적층할 때 돌기와 요입홈을 맞추어 적층하는 작업이 불편하고 적층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상자들은 전, 후, 좌, 우면이 모두 막힌 상태이므로 상품이 담긴 상태로 수퍼마켓 등에 상자가 운반되면 그 상자에 담긴 상품을 진열대에 모두 진열해야하므로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진열대에 진열하지 못한 상품들은 상자에 담긴 상태로 보관해야하므로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의 전면은 일부가 개방되게 하고, 그 상자의 상단 양측에는 받침판을 회전가능하게 구비함으로서 상자의 적층상태만으로 화물이 수납되어진 상자와 수납되지 않은 빈 상자를 쉽게 식별할 수 있고, 상자에 담긴 화물을 별도의 인식표를 사용하지 않아도 상자의 외부에서 쉽게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자내의 화물을 진열대에 별도로 진열하지 않고 적층시켜 놓아도 상자 전면의 개방부를 통해 상자 내부의 화물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한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의 적층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를 2개 적층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화물이 수납된 경우의 적층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화물이 수납되지 않은 경우의 적층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 2 : 개방부
3 : 돌기 4 : 회전지지구
5 : 수납부 6 : 받침판
7 : 요홈부 8 : 힌지핀
10 : 가이드편 11 : 격판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종 부품의 제조 및 조립공장에서 부품 또는 조립품 등의 화물을 수납하여 적층 보관하거나 운반할 때 사용하는 운반 및 보관상자에 있어서, 상기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1)의 전면에는 외부에서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는 개방부(2)를 형성하고, 그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1)의 양측 상단에는 회전지지구(4)를 형성하여 받침판(6)의 힌지핀(8)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받침판(6)에는 요홈부(7)를 형성하여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1)의 저면 돌기(3)가 삽입되게 한 후, 상기 회전지지구(4)의 하측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1)에는 수납부(5)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1)내에 화물을 수납시켰을 때는 그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1)의 회전지지구(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받침판(6)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방향으로 회전시켜 받침판(6)의 요홈부(7)가 상측을 향하도록 한 후 화물이 수납된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1)들을 적층하면 수납된 화물에 영향을 주지 않고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1)를 적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화물이 수납된 상태로 적층된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1)는 상기 받침판(6)의 요홈부(7)에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1)의 저면에 형성된 돌기(3)가 삽입되므로 정돈된 상태로의 적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적층된 상태에서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1)들을 안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1)에 화물을 수납하지 않은 상태로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1)를 적층할 때는 받침판(6)을 회전시켜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1)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수납부(5)에 삽입시킨 후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1)들을 적층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1)의 적층 높이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화물이 수납되지 않은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1)의 보관이 용이해지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한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1)의 전면에는 개방부(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퍼마켓 등에서는 내부의 화물 즉, 상품을 진열대에 진열하지 않고,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1)에 상품이 담긴 상태로 도 1 및 도 3과 같이 적층 진열하여도 소비자가 내부의 상품을 확인하고 개방부(2)를 통해 상품을 꺼낼 수 있는 것이므로 인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1)의 개방부(2) 내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편(10)을 형성하고, 그 가이드편(10)과 전면부 사이에 격판(11)을 삽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화물이 수납된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1)를 운반 이동시킬 때 내부의 화물이 개방부(2)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의 전면에는 외부에서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는 개방부를 형성하고, 그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의 양측 상단에는 회전지지구를 형성하여 받침판의 힌지핀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받침판에는 요홈부를 형성하여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의 저면 돌기가 삽입되게 한 후, 상기 회전지지구의 하측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에는 수납부를 형성함으로서 상자의 적층상태만으로 화물이 수납되어진 상자와 수납되지 않은 빈 상자를 쉽게 식별할 수 있고, 상자에 담긴 화물을 별도의 인식표를 사용하지 않아도 상자의 외부에서 쉽게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자내의 화물을 진열대에 별도로 진열하지 않고 적층시켜 놓아도 상자 전면의 개방부를 통해 상자 내부의 화물을 쉽게 꺼낼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2)

  1. 각종 부품의 제조 및 조립공장에서 부품 또는 조립품 등의 화물을 수납하여 적층 보관하거나 운반할 때 사용하는 운반 및 보관상자에 있어서,
    상 기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1)의 전면에는 외부에서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는 개방부(2)를 형성하고, 그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1)의 양측 상단에는 회전지지구(4)를 형성하여 받침판(6)의 힌지핀(8)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받침판(6)에는 요홈부(7)를 형성하여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1)의 저면 돌기(3)가 삽입되게 한 후, 상기 회전지지구(4)의 하측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1)에는 수납부(5)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의 적층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1)의 개방부(2) 내측에 가이드편(10)을 형성하고, 그 가이드편(10)과 전면부 사이에 격판(11)을 삽입하여 화물이 수납된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1)의 운반 이동시 내부의 화물이 개방부(2)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의 적층구조.
KR2019970038254U 1997-12-17 1997-12-17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의 적층구조 KR1999002572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254U KR19990025729U (ko) 1997-12-17 1997-12-17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의 적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254U KR19990025729U (ko) 1997-12-17 1997-12-17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의 적층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729U true KR19990025729U (ko) 1999-07-05

Family

ID=69693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8254U KR19990025729U (ko) 1997-12-17 1997-12-17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의 적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572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3948B1 (en) Nestable container with expendable closure panel covering access opening in container wall
CA2159527C (en) Container and lid for container
US5007550A (en) Container
JP2003210286A (ja) 物品収納具及び物品収納棚
US4396237A (en) Package displaying dispenser
US7152740B1 (en) Packaging and display box for a circular product
US5862922A (en) Video cassette storage and display rack
US10407215B2 (en) Clear container holding multiple articles
US2998128A (en) Plastic cabinet drawer construction
US20180327138A1 (en) Collapsible container
US7172094B2 (en) Packaged goods delivering device
EP2210817A1 (en) Collapsible multiple-receptacle storage container
US5322159A (en) Hanging display improvement for nesting containers
KR20070045931A (ko) 카드 파일
US10766659B2 (en) Container, blank, modular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a display device from the modular display device
KR19990025729U (ko) 화물운반 및 보관상자의 적층구조
US20070215513A1 (en) Portable cabinet and storage caddy for holiday, hobbies & crafts
CN101061037B (zh) 搁架型展示包装箱
KR200392144Y1 (ko) 일회용 포장용기
KR200345356Y1 (ko) 포장용 박스 적층용 받침대
KR20100035052A (ko) 어류 냉동용 케이스 및 그의 제조방법
JP2831300B2 (ja) 運搬用容器
CN209127170U (zh) 一种围板箱
CN218704548U (zh) 包装盒和纸板结构
JP3074002U (ja) 包装用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