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378U - Anti-theft device - Google Patents

Anti-thef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378U
KR19990025378U KR2019970037885U KR19970037885U KR19990025378U KR 19990025378 U KR19990025378 U KR 19990025378U KR 2019970037885 U KR2019970037885 U KR 2019970037885U KR 19970037885 U KR19970037885 U KR 19970037885U KR 19990025378 U KR19990025378 U KR 199900253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ignal
controller
vehicle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788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길곤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78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5378U/en
Publication of KR199900253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378U/en

Links

Landscapes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시동키를 오프 하면 경보수단을 발생시키고 도어가 잠기지 않도록 하는 차량의 도난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각의 윈도우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각각의 검출센서(1 내지 4)와, 시동키의 온/오프 상태시 검출되는 신호와 함께 상기 각각의 검출센서(1 내지 4)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상기 시동키 온/오프 신호 및 각각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경보 구동신호와 도어 잠금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제어기(5)와, 상기 제 1 제어기(5)로부터 출력되는 경보 구동신호에 따라 경보하는 경보수단(6)과, 상기 제 1 제어기(5)로부터 출력되는 도어 잠금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상기 도어 잠금신호를 기초로 하여 도어 온/오프신호에 따라 도어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제어기(7)와, 상기 제 2 제어기(7)로부터 출력되는 도어 구동신호에 따라 도어를 온/오프 하는 액튜에이터(8)로 이루어짐으로써 시동키 온/오프 신호와 상기 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경보수단을 작동시키고, 도어의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윈도우가 열린 상태에서는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도어를 잠글 수 없도록 하여 차량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ntitheft device that generates an alarm means and prevents the door from being locked when the ignition key is turned off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Each detection sensor (1) detects each window opening / closing state. To 4) and the signals detected from the respective detection sensors 1 to 4 together with the signals detected in the on / off state of the ignition key as inputs, and are based on the ignition key on / off signal and the respective detection signals. A first controller 5 for outputting an alarm drive signal and a door lock signal, an alarm means 6 for alarming according to an alarm driv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controller 5, and the first controller 5; A second controller 7 which outputs a door driving signal according to a door on / off signal based on the door lock signal and a door output from the second controller 7 based on the door lock signal; Actuator 8 for turning on / off the door in accordance with the drive signal to activate the alarm means based on the start key on / off signal and the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to control the on / off of the door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ft of the vehicle by generating an alarm sound while the window is open and preventing the door from being locked.

Description

차량의 도난 방지장치(APPARATUS FOR PROTECTION AN AUTOMOBILE FROM THEFT)APARATUS FOR PROTECTION AN AUTOMOBILE FROM THEFT

본 고안은 차량의 도난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시동키를 오프 하면 경보수단을 발생시키고 도어가 잠기지 않도록 하는 차량의 도난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theft device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ti-theft device of a vehicle that generates an alarm means and prevents the door from being locked when the ignition key is turned off while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차종에 따라 약간씩 그 도어의 수가 다를 수 있으나 운전석, 조수석, 뒷좌석에 각각의 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자동차의 고속주행을 감안할 때 자동차에 설치된 각각의 도어가 잠겨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각의 도어에는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라도 확실히 잠겨있지 않을 경우 스위치가 온 되어 계기판에 경고램프가 점등됨으로써 도어가 열려있는지를 운전자에게 경고하게 된다.In general, the number of doors may vary slightly depending on the type of car, but each door is installed in the driver's seat, the passenger seat, and the rear seat, and in order to check whether each door installed in the car is locked in consideration of the high-speed driving of the car. Each door is equipped with a switch, and if any one of the doors is not locked securely, the switch is turned on and a warning lamp lights on the instrument panel to warn the driver whether the door is open.

그리고, 도어가 잠길 때에는 1단잠김과 2단잠김으로 이루어지는데, 1단잠김의 경우 도어스위치가 온 되기 때문에 경고램프는 점등상태로 있게되며, 이때에 도어는 완전한 잠김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차체와 도어간에 약간의 유격을 가지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door is locked, it is composed of 1st stage locking and 2nd stage locking. In the case of 1st stage locking, the warning lamp is turned on because the door switch is turned on, and the door is not completely locked. There will be some play between the doors.

그리고, 내부 환기 등을 위하여 상/하로 개폐되도록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윈도우는 탑승자가 차량의 도어 윈도우를 개폐하는 레버를 수동으로 동작시켜 개폐하는 수동개폐형태와,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차량의 도어 윈도우를 개폐하는 자동개폐형태가 있으나, 탑승자의 편리성 및 고급화를 추구하는 차량의 발전경향에 따라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차량의 도어 윈도우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자동개폐형태가 보편화된 추세이다.In addition, the window installed in the door of the vehicle to open and close up and down for internal ventilation, etc. has a manual opening and closing form in which the occupant manually opens and closes the lever to open and close the door window of the vehicle, and the motor rotates by receiving power. There is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form to open and close the door window of the vehicle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vehicle, but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form to open and close the door window of the vehicle automatically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trend of the vehicle in pursuit of the convenience and quality of the occupants. It is a general trend.

종래 차량의 도어는 탑승자 또는 운전자가 차량을 주차시키거나 주행 중 잠글 필요가 있을 때 도어의 중간 일측 또는 암레스트의 일측에 설치된 스위치를 온/오프 함으로써 실현하였다. 이때에는 차량의 도어윈도우가 열려있거나 닫혀있어도 도어윈도우의 개/폐 장치와 도어 온/오프는 작동장치는 별개로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윈도우가 열린 상태에서도 도어의 온/오프가 가능하였다.The door of a conventional vehicle has been realized by turning on / off a switch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iddle or one side of the armrest when the occupant or driver needs to park the vehicle or lock it while driving. At this time, even if the door window of the vehicle is open or closed, the opening / closing device and the door on / off of the door window can be turned on or off even when the window is open because the operation device is independent.

그러나, 종래와 같은 장치로는 도어를 잠글 때에 윈도우가 개/폐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운전자가 착각하거나 또는 실수로 인하여 윈도우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차량의 도어를 잠글 때에 열려있는 차량의 윈도우를 통하여 잠긴 도어를 열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을 도난 당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우천시나 기상의 악화로 인하여 흑 먼지가 날릴 때에는 윈도우를 통하여 차량의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차량이 지저분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However, the conventional apparatus has no means for detecting whether the window is opened / closed when the door is locked, so that the window of the vehicle that is open when the driver locks the door of the vehicle while the driver is mistaken or accidentally opens the window. The problem is that the vehicle can be stolen because it can open the locked door. In addition, when black dust is blown due to rainy weather or bad weather, the vehicle is introduced into the vehicle through a window, resulting in a messy vehicle.

따라서, 본 고안은 도어의 상단에 윈도우 닫힘 검출수단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신호와 시동키 온/오프프 신호를 기초로 하여 도어를 잠글 수 있는 차량의 도난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antitheft device that can be provided with window closing detection means at the top of the door, and can lock the door based on the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ion means and the ignition key on / off signal. For that purpos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도난 방지장치를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nti-thef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제 1 검출센서 2 : 제 2 검출센서1: 1st detection sensor 2: 2nd detection sensor

3 : 제 3 검출센서 4 : 제 4 검출센서3: third detection sensor 4: fourth detection sensor

5 : 제 1 제어기 6 : 경보수단5: first controller 6: alarm means

7 : 제 2 제어기 8 : 엑튜에이터7: 2nd controller 8: Actuat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도난 방지장치는 각각의 윈도우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각각의 검출센서(1 내지 4)와, 시동키의 온/오프 상태시 검출되는 신호와 함께 상기 각각의 검출센서(1 내지 4)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상기 시동키 온/오프 신호 및 각각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경보 구동신호와 도어 잠금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제어기(5)와, 상기 제 1 제어기(5)로부터 출력되는 경보 구동신호에 따라 경보하는 경보수단(6)과, 상기 제 1 제어기(5)로부터 출력되는 도어 잠금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상기 도어 잠금신호를 기초로 하여 도어 온/오프신호에 따라 도어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제어기(7)와, 상기 제 2 제어기(7)로부터 출력되는 도어 구동신호에 따라 도어를 온/오프 하는 액튜에이터(8)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검출센서(1 내지 4)는 각각의 도어 상단 일측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nti-thef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ignal which is detected when each of the detection sensors (1 to 4) and the on / off state of the start key for each window opening / closing state And a first controller 5 for inputting a signal detected from each of the detection sensors 1 to 4 and outputting an alarm driving signal and a door lock signal based on the start key on / off signal and each detection signal. ), An alarm means 6 for alarming according to the alarm driv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controller 5, and a door lock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controller 5 as input and based on the door lock signal. A second controller 7 which outputs a door driving signal according to the door on / off signal, and an actuator 8 which turns the door on / off according to the door driving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controller 7. Said, Each detection sensor (1 to 4) is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door.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도난 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nti-thef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도난 방지장치를 도시한 블록도로서, 제 1윈도우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제 1검출센서(1)와, 제 2윈도우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제 2검출센서(2)와, 제 3윈도우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제 3검출센서(3)와, 제 4윈도우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제 4검출센서(4)와, 시동키의 온/오프 상태시 검출되는 신호와 함께 상기 제 1 내지 제 4 검출센서(1 내지 4)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상기 시동키 온/오프 신호 및 제 1 내지 4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경보 구동신호 및 도어 잠금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제어기(5)와, 상기 제 1 제어기(5)로부터 출력되는 경보 구동신호에 따라 경보하는 경보수단(6)과, 상기 제 1 제어기(5)로부터 출력되는 도어 잠금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상기 도어 잠금신호에 기초하여 도어 온/오프신호에 따라 도어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제어기(7)와, 상기 제 2 제어기(7)로부터 출력되는 도어 구동신호에 따라 도어를 온/오프 하는 액튜에이터(8)로 이루어진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nti-theft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etection sensor 1 for detecting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first window and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second window for detecting A second detection sensor 2, a third detection sensor 3 for detecting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third window, a fourth detection sensor 4 for detecting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fourth window, and a start-up A signal detected from the first to fourth detection sensors 1 to 4 together with a signal to be detected in the on / off state of the key is input and based on the start key on / off signal and the first to fourth detection signals. A first controller 5 for outputting an alarm drive signal and a door lock signal, an alarm means 6 for alarming according to an alarm driv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controller 5, and the first controller 5 from the first controller 5; The door lock signal outputted as an input and based on the door on / off signal based on the door lock signal. Comprises a second controller 7 and the second actuator controller (8) for on / off the door according to the door drive signal outputted from the (7) for outputting a drive signal.

그리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검출센서(1 내지 4)는 각각의 도어 상단 일측에 설치된다.The first to fourth detection sensors 1 to 4 are installed at one side of each door upper en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도난 방지장치의 동작원리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anti-theft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먼저 윈도우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센서(1 내지 4)를 도어의 상단 일측에 각각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검출센서(1 내지 4)에 의해 각각의 윈도우가 완전히 닫혔는지를 검출하도록 한다. 즉, 윈도우가 완전히 닫혔을 때에만 온 또는 오프 되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차량의 시동키 스위치가 온 또는 오프 상태인지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센서(1 내지 4)로부터 검출된 각각의 윈도우 개/폐 신호 및 시동키 온/오프 신호는 제 1 제어기(5)에 입력된다. 상기 제 1 제어기(5)는 상기 입력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경보 구동신호 및 도어잠금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시동키가 온 되어있을 때 즉, 엔진이 회전하고 있을 때에 상기 검출센서(1 내지 4)로부터 검출된 신호 중 어느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신호가 오프신호(윈도우가 열려있음을 알리는 신호)일 때 제 1 제어기(5)는 도어잠금 신호만을 출력한다. 한편 시동키가 오프 도어 있을 때 즉, 엔진의 회전이 정지하였을 때 상기 검출센서(1 내지 4)로부터 검출된 신호 중 어느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신호가 오프신호(윈도우가 열려있음을 알리는 신호)일 때 제 1 제어기(5)는 경보 구동신호만을 출력한다. 이때에는 경보 구동신호에 의해 경보수단(6)이 작동되기 때문에 운전자 또는 탑승자는 윈도우가 열려있음을 알게된다. 제 2 제어기(7)는 상기 제 1 제어기(5)로부터 도어잠금 신호를 출력하지 않음으로 도어를 잠그기 위한 온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액튜에이터(8)를 구동시키지 못한다. 즉, 시동키가 오프일 때 윈도우가 열려있으면 도어가 잠기지 않도록 되는 것이다.First, the detection sensors 1 to 4 for detecting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windows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door, and the installed detection sensors 1 to 4 detect whether each window is completely closed. . That is, it can be turned on or off only when the window is completely closed. Then, it is detected whether the start key switch of the vehicle is on or off, and each window open / close signal and the start key on / off signal detected from the detection sensors 1 to 4 are transmitted to the first controller 5. Is entered. The first controller 5 outputs an alarm driving signal and a door lock signal based on the input signal. More specifically, any one or more of the signals detected from the detection sensors 1 to 4 when the ignition key is on, that is, when the engine is rotating, is an off signal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window is open). ), The first controller 5 outputs only the door lock signal. On the other hand, when the ignition key is in the off door, that is, when the rotation of the engine is stopped, any one or more of the signals detected from the detection sensors 1 to 4 are off signals (signals indicating that the window is open). The first controller 5 outputs only the alarm drive signal. At this time, since the alarm means 6 is activated by the alarm drive signal, the driver or the passenger knows that the window is open. The second controller 7 does not output the door lock signal from the first controller 5, so that the actuator 8 cannot be driven even if an on signal for locking the door is input. That is, if the window is open when the ignition key is off, the door is not locked.

상기 제 1 내지 제 4 검출센서(1 내지 4)는 윈도우가 닫힐 때 윈도우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온 되는 리미트 스위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경보수단(6)은 별도의 언급이 없었으나 스피커(6)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to fourth detection sensors 1 to 4 install a limit switch that is turned on by being pressed by the window when the window is closed, and the alarm means 6 is not mentioned otherwise. Is preferably used.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내지 제 4 검출센서(1 내지 4)에 의해 검출된 각각의 신호는 제 1 제어기(5)에 각각 입력되도록 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 1 내지 제 4 검출센서(1 내지 4)에 의해 검출된 각각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이 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앤드게이트를 사용하고 상기 앤드게이트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제 1 제어기(5)에 입력되도록 하여도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each signal detected by the first to fourth detection sensors 1 to 4 is input to the first controller 5, respectivel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other words, each of the signals detected by the first to fourth detection sensors 1 to 4 is used as an input, and an AND gate for outputting according to the signals is used, and the first controller 5 outputs the signal output from the AND gate. Of cour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even if the input to.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윈도우의 개/폐 신호 및 시동키의 온/오프 신호를 기초로 하여 경보수단(6)을 작동시키고, 도어잠금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도어의 온/오프를 제어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필요에 따라서 도어 온/오프 신호를 제 1 제어기(5)에 입력으로 하여 도어를 잠글 때 윈도우가 열려 있으면 경보수단(6)을 작동시키도록 하여도 좋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larm means 6 is operated based on the open / close signal of the window and the on / off signal of the ignition key, and the door lock signal is output to control the on / off of the door. Is not limited to this. That is, the alarm means 6 may be activated if the window is open when the door is locked by inputting the door on / off signal to the first controller 5 as necessar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각각의 도어의 상단 일측에 윈도우의 개/폐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각각 설치하고, 시동키 온/오프 신호와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경보수단을 작동시키고, 도어의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윈도우가 열린 상태에서는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도어를 잠글 수 없도록 하여 차량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nsor for detecting the opening / closing of the window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each door, and the alarm is based on the start key on / off signal and the signal detected by the sensor. By operating the means and controlling the on / off of the door,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ft of the vehicle by generating an alarm sound when the window is open and preventing the door from being locked.

Claims (2)

각각의 윈도우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각각의 검출센서(1 내지 4)와,Respective detection sensors 1 to 4 for detecting respective window opening / closing states, 시동키의 온/오프 상태시 검출되는 신호와 함께 상기 각각의 검출센서(1 내지 4)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상기 시동키 온/오프 신호 및 각각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경보 구동신호와 도어 잠금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제어기(5)와,A signal detected from each of the detection sensors 1 to 4 together with a signal detected in the on / off state of the ignition key is input, and an alarm driving signal and A first controller 5 for outputting a door lock signal; 상기 제 1 제어기(5)로부터 출력되는 경보 구동신호에 따라 경보하는 경보수단(6)과,Alarm means (6) for alarming in accordance with an alarm drive signal output from said first controller (5); 상기 제 1 제어기(5)로부터 출력되는 도어 잠금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상기 도어 잠금신호를 기초로 하여 도어 온/오프신호에 따라 도어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제어기(7)와,A second controller 7 which receives a door lock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controller 5 and outputs a door driving signal according to a door on / off signal based on the door lock signal; 상기 제 2 제어기(7)로부터 출력되는 도어 구동신호에 따라 도어를 온/오프 하는 액튜에이터(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난 방지장치.Anti-theft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ctuator (8) for turning the door on / off in accordance with the door driv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controller (7). 상기 각각의 검출센서(1 내지 4)는 각각의 도어 상단 일측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난 방지장치.The respective detection sensors (1 to 4) is the anti-theft device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door.
KR2019970037885U 1997-12-16 1997-12-16 Anti-theft device KR19990025378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885U KR19990025378U (en) 1997-12-16 1997-12-16 Anti-thef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885U KR19990025378U (en) 1997-12-16 1997-12-16 Anti-thef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378U true KR19990025378U (en) 1999-07-05

Family

ID=69681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7885U KR19990025378U (en) 1997-12-16 1997-12-16 Anti-thef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5378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071940A (en) Theft warning device for vehicle
KR19990025378U (en) Anti-theft device
KR20010016969A (en) Window closing method for automobile
KR100244393B1 (en) Auto-closing apparatus of a car door
JPH08305984A (en) Theft alarm device for vehicle
KR20010009292A (en) Burglar alarm system for vehicles
KR100239933B1 (en) Car door-locking device and method therewith
KR100205581B1 (en) Automatic door locking control system of vehicle
KR19990026436U (en) Automatic door locks in the car
KR200151523Y1 (en) A driving prohibition device as the door is open
JP2003106022A (en) Operating device for automobile door lock
KR980002583A (en) Car door automatic lock device and its method
KR19980029539A (en) Bonnet locking device while driving
KR970043828A (en) Car window auto lock
KR0140234Y1 (en) Bonnet auto-locking apparatus
KR19980062510A (en) Warning device for car window
KR0135628Y1 (en) Door opening warning device
KR19980084019A (en) Vehicle door lock control device
KR980008453U (en) Automotive window device
JPH04104058U (en) convertible car anti-theft device
JPS63269757A (en) Antishift device for automobile
JPH0769174A (en) Anti-theft system for vehicle
KR19980045029U (en) Car door lock
KR19980076336A (en) How to operate the door lock automatically
KR20010046602A (e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losing a sun roof for an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