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234A - M형 결함이 적은 301 스테인레스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M형 결함이 적은 301 스테인레스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234A
KR19990025234A KR1019970046794A KR19970046794A KR19990025234A KR 19990025234 A KR19990025234 A KR 19990025234A KR 1019970046794 A KR1019970046794 A KR 1019970046794A KR 19970046794 A KR19970046794 A KR 19970046794A KR 19990025234 A KR19990025234 A KR 19990025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nless steel
hot rolled
reheating
slab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6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상대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70046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5234A/ko
Publication of KR19990025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234A/ko

Links

Landscapes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용 소재로 이용되는 301 스테인레스 열연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M형 표면 결함을 최대한 방지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301 스테인레스 성분으로 된 슬라브를 재가열하고, 열간압연하는 것을 포함한 301 스테인레스 열연강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를 1201-1230℃의 온도에서 160-180분 동안 재가열하고, 이어 첫 번째 패스 압하율을 10-16%로 열간압연하여 이루어지는 M형 결함이 적은 301 스테인레스 열연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을 그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M형 결함이 적은 301 스테인레스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고온용 소재로 이용되는 301 스테인레스 열연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M형 결함이 적은 301 스테인레스 열연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01 스테인레스강종은 기본성분이 16-18%Cr과 6-8%Ni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써, 철도 차량이나 스프링, 벨트, 컨베이어 등의 고온용 소재로 이용된다. 301 스테인레스 열연강판은 재가열, 열간압하여 얻어지는데, 이 열연강판은 표면 결함의 일종인 M형 결함이 다발하여 반드시 연삭(Grinding)하여 제품화되고 있다. 연삭은 표면결함을 제거할 때 쓰이는 공정으로서 생산성 향상 및 제조원가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스테인레스강의 대표적인 강종인 304 강종의 경우에는 연삭율이 약 3% 정도이지만, 301 강종의 경우에는 연삭율이 30% 가량 발생되고 있다.
종래, 301 스테인레스 강은 Cr 과 Ni의 함량이 적은데도 불구하고, 304스테인레스와 동일한 조건에서 제조하고 있기 때문에 연삭율이 높은 실정이다. 즉, 1250℃의 온도에서 180-190분 동안 재가열 한 후 열간압연하는데, 이 재가열 조건에서 Cr, Ni의 부족으로 Cr2O3보호피막이 치밀하게 생성되지 못하고, 다공성 형태의 산화물이 형성되어 M형 표면결함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열간압연시 첫 번째 패스의 압하율을 18-20%로 강압하하고 있는데, 이러한 강압하조건에서는 산화스케일이 열연판 표면의 크랙으로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301 스테인레스강의 슬라브 표면에 형성되는 산화물의 거동을 깊이 있게 연구한 결과, 301 스테인레스강에 적합한 재가열 조건 및 열간압연 조건을 설정하면 M형 결함을 저감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제안하게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M형 결함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301 스테인레스 열연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301 스테인레스강종의 열간압연시 첫 번째 패스압하율에 따른 강판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써,
도 1(a)는 첫 번째 패스압하율에 따른 강판의 인장응력의 변화이고,
도 1(b)는 첫 번째 패스압하율에 따른 강판의 온도변화이며
도 1(c)는 첫 번째 패스압하율에 따른 강판의 유효변형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이다.
도 2는 재가열온도에 따른 304 스테인레스 강종과 301 스테인레스강종의
산화거동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재가열온도에 따라 산화된 시편의 스케일 단면적을 나타내는 사진
도 4는 재가열시간에 따른 304 스테인레스강종과 301 스테인레스강종의
산화거동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재가열 시간에 따라 산화된 시편의 스케일 단면조직을 나타내는 사진 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301 스테인레스 성분으로 된 슬라브를 재가열하고, 열간압연하는 것을 포함한 301 스테인레스 열연강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를 1210-1230℃의 온도에서 160-180분 동안 재가열하고, 이어 첫 번째 패스 압하율을 10-16%로 열간압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재가열공정에 있어 슬라브 표면의 Cr2O3보호피막이 생성되도록 하여 급격한 산화를 최대한 방지하고, 이와 더불어 열간압연 공정에 있어 가열된 슬라브 표면에 있는 산화막을 파괴할 수 있는 최소한의 압하율로 미세균열의 핵생성을 방지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적합한 강종은 16-18%Cr 및 6-8%Ni를 함유하는 301 스테인레스강이다. 본 발명에 따라 301 스테인레스 강성분으로 된 슬라브를 재가열하는데, 이때 재가열온도 및 시간은 1210-1230℃의 온도에서 160-180분 동안 재가열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이유는 재가열온도가 1210℃미만의 경우 산화스케일이 치밀한 형상을 보이지만 가열로에 장입된 슬라브가 충분히 숙열되지 못하고, 이에 따라 델타-페라이트(δ-ferrite) 가 충분히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열간가공성이 확보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재가열온도가 1230℃를 초과하는 경우 산화스케일이 치밀하지 못하고 다공성 형태를 띄게 되어 산화가 급진된다.
그리고, 재가열시간이 160분 미만의 경우 치밀한 산화피막인 Cr2O3의 산화스케일이 전체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180분을 초과하는 경우 산화가 급진전 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재가열된 슬라브는 열간압연 하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첫 번째 패스압하율을 종래의 강압하와는 달리 경압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열간압연시 첫 번째 패스압하율을 10-16%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만일, 첫 번째 패스압하율을 10% 미만으로 하는 경우 슬라브의 산화막이 전부 파괴되지 않으며, 특히 재산화가 일어나지 않아 압연롤과 슬라브의 마찰이 생겨 표면결함이 다발한다. 또한, 첫 번째 패스 압하율 16%를 초과하는 경우 강압하에 의해 산화스케일이 열간압연시 크랙발생의 핵생성 자리(site)가 된다.
이는 첫 번째 패스압하율을 변화시키면서 압연할 때 표층부의 인장응력과 온도 그리고, 유효변화율을 나타낸 도 1를 보면, 첫 번째 패스압하율과 슬라브 표층의 거동은 일정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도 1(a),(b)에 나타난 바와같이, 슬라브의 인장응력 및 온도는 첫 번째 패스 압하율의 변화에 관계없이 거의 유사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1(c)에 나타난 유효변형율은 첫 번째 패스압하율이 낮을수록 크게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슬라브 표층부에서 미세균열의 핵생성이 첫 번째 패스압하율이 경압하되면 M형 표면결함이 감소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는 실시예 3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건으로 재가열한 후 열간압연하면 M형 결함이 크게 줄어든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204mm 두께의 301 스테인레스강 슬라브 및 동일 두께의 304 스테인레스강 슬라브를 과잉산소량이 3%인 재가열로에서 하기표 1과 같이 1200-1250℃의 온도로 변화시키면서 180분 동안 가열하고 무게변화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시편 강종 가열온도(℃)
비교재 1 304 1250
종래재 1 301 1250
비교재 2 301 1200
발명재 1 301 1210
발명재 2 301 1230
상기표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같이, 본 발명과 다른 304 강종으로 1250℃에서 재가열한 비교재(1)의 경우 1150℃전후 (도 2, X 축의 95분 정도 지점의 온도임)에서 보호피막이 파괴되어 급격히 산화가 진행되지만 이후 보호피막의 생성으로 산화반응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대상강종인 301 스테인레스강을 종래의 재가열온도인 1250℃에서 열처리한 종래재(1)의 경우 1150℃ (도 2, X 축의 95분 정도 지점의 온도임)에서 보호피막이 파괴되어 급격히 산화가 진전되는 것을 볼 수가 있었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라 1210-1230℃에서 재가열처리한 발명재(1-2)의 경우 치밀한 산화피막의 형성으로 종래재(1) 대비 산화량이 크게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비교재(2)의 경우 산화량 저감은 되나 상술한 바와같이 열간가공성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 제외하였다.
한편, 상기 시편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같이, 301 스테인레스 강 스라브를 1230℃이하에서 재가열처리한 비교재(2)(도 3(c)) 및 발명재(1-2)(도 3(d)(e))의 경우 산화스케일이 치밀하게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1250℃에서 열처리한 종래재(1)의 경우 (도 3(b)) 내부스케일로 생각되는 스케일이 존재하며, 특히, 산화스케일이 다공성 형태를 띄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참고로, 304 스테인레스강인 비교재(1)의 경우 (도 3(a)) 치밀한 산화막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204mm 두께의 301 스테인레스 강 슬라브 및 304 스테인레스강 슬라브를 과잉산소량이 3%인 재가열로에서 하기표 2와 같이 재가열시간을 150-190분으로 변화시키면서 1230℃의 온도로 가열한 다음, 무게변화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시편 강종 가열시간
비교재 3 304 180
종래재 2 301 190
비교재 4 301 150
발명재 3 301 160
발명재 4 301 180
상기표 2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대상강종인 301 스테인레스강을 190분 재가열처리한 종래재(1) 보다 본 발명에 따라 160-180분 재가열처리한 발명재(3-4)의 경우 산화량이 1/5 수준이하로 적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상기 시편들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같이, 가열시간의 190분인 종래재(2)의 경우 (도 5(b)) 다공성 산화스케일형상을 띄고 있었고, 본 발명에 따라 가열시간이 160-180분인 발명재(3-4)의 경우 (도 5(d-e)) 치밀한 산화스케일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가열시간이 150분인 비교재(4)의 경우 (도 5(c)) 치밀한 산화피막인 Cr2O3의 산화스케일이 전체적으로 형성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참고로, 304 스테인레스강인 비교재(3)의 경우 (도 5(a)) 치밀한 산화막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204mm 두께의 301 스테인레스강 슬라브를 하기표 3의 조건으로 재가열 및 열간압연 한 다음, M형 결함 발생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재가열 조건 첫 번째 패스압하율 M형결함발생율(%)
온도 시간
종래재 5 1250 200 18 40
발명재 5 1230 170 11 5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발명재(5)의 경우 M형 결함 발생율이 크게 저감됨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301 스테인레스 열연강판의 M형 결함이 크게 저감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삭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제품실수율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301 스테인레스 성분으로 된 슬라브를 재가열하고, 열간압연하는 것을 포함한 301 스테인레스 열연강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를 1210-1230℃의 온도에서 160-180분 동안 재가열하고, 이어 첫 번째 패스 압하율을 10-16%로 열간압연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M형 결함이 적은 301 스테인레스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19970046794A 1997-09-11 1997-09-11 M형 결함이 적은 301 스테인레스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KR199900252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794A KR19990025234A (ko) 1997-09-11 1997-09-11 M형 결함이 적은 301 스테인레스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794A KR19990025234A (ko) 1997-09-11 1997-09-11 M형 결함이 적은 301 스테인레스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234A true KR19990025234A (ko) 1999-04-06

Family

ID=66043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6794A KR19990025234A (ko) 1997-09-11 1997-09-11 M형 결함이 적은 301 스테인레스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5234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7418A (ja) * 1986-05-14 1987-11-20 Kawasaki Steel Corp 高強度オ−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
JPS6320412A (ja) * 1986-07-15 1988-01-28 Nisshin Steel Co Ltd 含Mo,Nオ−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熱間加工法
JPH0790366A (ja) * 1993-09-20 1995-04-04 Kobe Steel Ltd 表面性状の良好な高Mnステンレス系非磁性鋼片の製 造方法
KR19980048882A (ko) * 1996-12-18 1998-09-15 김종진 표면품질이 우수한 304 스테인레스 열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7418A (ja) * 1986-05-14 1987-11-20 Kawasaki Steel Corp 高強度オ−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
JPS6320412A (ja) * 1986-07-15 1988-01-28 Nisshin Steel Co Ltd 含Mo,Nオ−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熱間加工法
JPH0790366A (ja) * 1993-09-20 1995-04-04 Kobe Steel Ltd 表面性状の良好な高Mnステンレス系非磁性鋼片の製 造方法
KR19980048882A (ko) * 1996-12-18 1998-09-15 김종진 표면품질이 우수한 304 스테인레스 열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0754A (ko) 메탈 마스크용 소재 및 그 제조 방법
KR19990025234A (ko) M형 결함이 적은 301 스테인레스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CA1239077A (en) Method of producing ti alloy plates
EP0528419B2 (en) Method of producing grain oriented silicon steel sheet having low iron loss
EP0045958B1 (en) Ferrite stainless steel sheets having excellent workabilit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0306138B1 (ko) 표면결함이 발생되지 않는 비스무스-유황계 쾌삭강의 열간선재압연 방법
KR100419654B1 (ko) 2상 스테인레스 후강판의 압연방법
US3655459A (en) METHOD FOR PRODUCING MINIMUM-RIDGING TYPE 430 Mo STAINLESS STEEL SHEET AND STRIP
KR20010028039A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열간 압연 중 표면 크랙 방지 방법
KR100349140B1 (ko) 표면연삭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재가열방법
JPS5983725A (ja) リジングの小さいフエライト系ステンレス薄鋼板の製造方法
KR100940722B1 (ko) Ti첨가 페라이트 스테인레스강의 열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0340498B1 (ko) 표면녹발생이저감되는고탄소경강선재의제조방법
KR100340642B1 (ko) 스케일비산방지가가능한중탄소경강선재제조방법
JPH07173537A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熱延鋼帯の製造方法
KR100928789B1 (ko) 허스롤의 브러싱용 강판의 제조방법 및 허스롤의 브러싱방법
US2677624A (en) Method of enameling sheets
KR100797303B1 (ko) 스케일 밀착성이 우수한 기계적 박리용 타이어코드 선재의제조방법
KR101082276B1 (ko) 스테인레스 열연강판 제조방법
KR101620711B1 (ko) 표면품질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21043B1 (ko) 표면결함이 저감된 316엘 스테인레스 열연강판제조방법
KR100361776B1 (ko)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슬라브의 열간장입에 의한열간압연방법
JPH0261042A (ja) 高疲労強度β型チタン合金線材の製造方法
CA1136852A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producing a high strength dual-phase steel strip or sheet
KR100321028B1 (ko) 라미네이트를 방지할 수 있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레스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