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4410U - 자동차의 길이조절식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길이조절식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4410U
KR19990024410U KR2019970036879U KR19970036879U KR19990024410U KR 19990024410 U KR19990024410 U KR 19990024410U KR 2019970036879 U KR2019970036879 U KR 2019970036879U KR 19970036879 U KR19970036879 U KR 19970036879U KR 19990024410 U KR19990024410 U KR 199900244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drive axle
axle shaft
shafts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68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선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68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4410U/ko
Publication of KR199900244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410U/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길이조절식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에 관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의 길이를 조절하여 트레드 차이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의 길이조절식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그 중앙부가 세로로 절개되어 그 절개된 선단으로부터 내면을 향하여 소정 깊이를 갖는 가공부(52)(52')가 형성되고, 상기 가공부(52)(52')의 일측 상하 양단에는 소정 직경의 연결공(52a)(52'a)이 각각 관통되는 축(50)(50')과, 상기 축(50)(50')의 가공부(52)(52')에 삽탈되도록 소정 직경을 갖고, 상기 축(50)(50')의 연결공(52a)(52'a)과 연통되는 삽입공(62)이 횡방향으로 등간격을 갖고 다수개 형성되는 중간축(60)과, 상기 축(50)(50')의 연결공(52a)(52'a)과 중간축(60)의 삽입공(62)을 통하여 삽입, 지지되는 분할핀(7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길이조절식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
본 고안은 자동차의 길이조절식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에 있어서 엔진의 출력을 구동력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의 일구성품인 회전축 역할을 하는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를 길이 조절이 가능한 타입으로 변경하여 트레드 차이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길이조절식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있어서, 동력전달장치(power train)는 동력 발생 장치(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알맞게 변화시켜 구동 바퀴에 전달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주요 구성 부품으로 되어 있다.
① 클러치(clutch) ; 클러치는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동력 전달 장치에 전달되는 엔진의 회전력을 단속하는 일을 한다. 자동차에서 클러치를 필요로 하는 이유로서는 첫째, 내연기관은 증기 기관이나 전동기와는 달리 자기 기동을 할 수 없고, 따라서 엔진을 기동할 때에는 엔진을 일단 무부하 상태로 하여야 한다. 둘째, 변속할 때 변속기의 기어를 바꾸어 물리려면 엔진의 회전력의 전달을 일시 차단하여야 한다. 셋째, 자동차를 관성 운전시키려면 엔진과의 연결을 끊어야 한다.
② 변속기(transmission) ; 변속기는 엔진과 추진축 사이에 설치되어 엔진의 동력을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알맞도록 그 회전력과 속도를 바꾸어 구동 바퀴에 전달하는 장치이며, 상기와 같은 변속기의 필요성은 첫째, 자동차용 엔진은 소형이고 경량이면서도 큰 동력을 내야 하기 때문에 고속 회전은 하지만 회전력이 비교적 작고 또 변화하는 범위도 좁다. 따라서 이것을 광범위하게 변화하는 자동차의 주행 저항에 알맞게 하려면 엔진과 구동축 사이에 회전력을 증대시키는 장치를 두어야 한다. 둘째, 내연기관은 자기 기동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기동할 때에는 일단 무부하 상태로 두어야 한다. 변속기를 중립 위치에 두면 클러치 작용 없이도 기동시킬 수 있고, 공전 운전할 수도 있다. 셋째, 자동차용 엔진은 고속 회전하기 때문에 역전 시킬 수 없다. 따라서 역전용 기어 장치를 변속기의 일부에 두어 자동차가 후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③ 자동변속기(automatic transmission) ; 자동변속기는 클러치와 변속기의 작용을 자동적으로 하는 것으로, 토크 컨버터(또는 유체 클러치)와 유성 기어식 변속기를 조합하여 사용한다. 자동변속기를 사용하는 경우는 기어 변속이 필요없으므로 운전자의 피로가 적고, 엔진과 동력전달장치 사이에 유체 이음을 사용하므로 각 부에 가해지는 충격이 적은 등의 잇점이 있으며, 단점으로는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비싸지며, 연료 소비량이 수동 변속기에 비해 10% 정도 증대된다.
④ 드라이브 라인(drive line) ; 드라이브 라인은 상기 변속기의 출력을 구동축에 전달하는 부분을 뜻하며, 추진축과 자재이음, 슬립이음등으로 되어 있다.
추진축은 변속기와 구동축 사이에 설치되어 변속기의 출력을 구동축에 전달하는 일을 하며,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축은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나 적하의 대소에 따른 스프링의 변형으로 상하로 운동한다. 때문에 드라이브 라인은 일정의 길이와 각도로 설치할 수 없으며, 각도 변화에 대해서는 자재이음을, 길이의 변화에 대해서는 슬립이음을 사용하고 있다.
⑤ 뒤차축 어셈블리 ; 뒤차축 어셈블리는 자동차 뒤쪽에 설치되어 차량 중량을 지지함과 동시에 엔진의 회전력을 구동 바퀴에 전달하는 일을 하며, 종감속 기어, 차동 기어장치, 엑슬축 및 하우징등으로 구성되어진다.
⑥ 차축(axle shaft) ; 엑슬 축은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덜할 수 있는 구동륜차축과, 구동력을 바퀴로 전달하지 못하는 유동륜차축으로 나누어지며 어느 형식이든 바퀴를 통해 자동차의 무게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구조상으로 현가방식에 따라 좌우 바퀴를 1개의 차축으로 결합한 일체차축식(rigid axle)과 좌우 바퀴가 각각 별개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는 분할 차축식(divided axle)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구동륜 차축은 엔진에서 변속기, 종감속 기어를 통하여 전달된 구동력을 바퀴에 전달하는 역할과 노면에서 받는 상하, 전후, 좌우방향의 힘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유동륜차축은 차의 무게만 지지하고, 구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관계로 구동륜차측에 비하여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뒷바퀴구동차의 앞바퀴와 앞바퀴구동차의 뒷바퀴가 이에 해당된다.
도 1은 종래 타이어에 연결된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10)의 인보드조인트(inboard joint)(12)가 트랜스미션(20)의 양단과 연결되고, 그 아웃보드조인트(outboard joint)(14)는 좌우 양 바퀴(30)(30')에 각각 연결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10) 연결구조에서는 특히 전륜 구동 차량에 있어서 트레드(tread;자동차가 지나간 뒤에 흔적이 나타난 자리에서 좌우 바퀴의 중심간의 거리, 일명 윤거(輪距)라고도 함) 차이에 따른 상기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10)의 길이 조정이 불가(좌우측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 길이가 서로 다름)하여 차종별로 각각 다른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10)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필요에 따라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의 길이를 조절하여 트레드 차이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의 길이조절식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그 중앙부가 세로로 절개되어 그 절개된 선단으로부터 내면을 향하여 소정 깊이를 갖는 가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공부의 일측 상하 양단에는 소정 직경의 연결공이 각각 관통되는 축과, 상기 축의 가공부에 삽탈되도록 소정 직경을 갖고, 상기 축의 연결공과 연통되는 삽입공이 횡방향으로 등간격을 갖고 다수개 형성되는 중간축과, 상기 축의 연결공과 중간축의 삽입공을 통하여 삽입, 지지되는 분할핀을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차의 길이조절식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타이어에 연결된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길이조절식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드라이브 엑슬 샤프트, 12:인보드조인트,
14:아웃보드조인트, 20:트랜스미션,
30,30':바퀴, 50,50':축,
52,52':가공부, 52a,52'a:연결공,
60:중간축, 62:삽입공,
70:분할핀.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길이조절식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길이조절식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이에 따른 자동차의 길이조절식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는 그 중앙부가 세로로 절개되어 그 절개된 선단으로부터 내면을 향하여 소정 깊이를 갖는 가공부(52)(52')가 형성되고, 상기 가공부(52)(52')의 일측 상하 양단에는 소정 직경의 연결공(52a)(52'a)이 각각 관통되는 축(50)(50')과, 상기 축(50)(50')의 가공부(52)(52')에 삽탈되도록 소정 직경을 갖고, 상기 축(50)(50')의 연결공(52a)(52'a)과 연통되는 삽입공(62)이 횡방향으로 등간격을 갖고 다수개 형성되는 중간축(60)과, 상기 축(50)(50')의 연결공(52a)(52'a)과 중간축(60)의 삽입공(62)을 통하여 삽입, 지지되는 분할핀(7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50)(50')의 중간에서 중간축(60)이 상기 축(50)(50')의 가공부(52)(52') 내에 삽입되어, 분할핀(70)을 통하여 결합,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 바, 축(50)(50')의 길이를 길게 하고자 할 경우, 분할핀(70)을 상기 가공부(52)(52')의 연결공(52a)(52'a)을 통하여 중간축(60)의 좌우 끝단부 삽입공(62)에 삽입하여 상기 중간축(60)의 세로 길이만큼 축(50)(50')의 길이를 길게 하고, 반대로 축(50)(50')의 길이를 짧게 하고자 할 경우, 분할핀(70)을 상기 가공부(52)(52')의 연결공(52a)(52'a)을 통하여 중간축(60)의 내측부 삽입공(62)에 삽입하여 중간축(60)의 세로 길이를 짧게하여 축(50)(50')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게 되므로 특히 전륜 구동 차량에 있어서 차종에 관계없이, 트레드 차이에 따라 상기 축(50)(50')의 가공부(52)(52') 사이에 삽입되는 중간축(60)의 분할핀(70)과 가공부(52)(52')의 연결공(52a)(52'a)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10)의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되므로 차종별로 각각 다른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10)를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불식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길이조절식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상기 축의 중간에 끼워지는 중간축의 가로길이를 조절하여 특히 전륜 구동 차량에 있어서, 트레드 차이에 관계없이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의 길이 조정을 통해 차종별로 각각 다른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를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그 중앙부가 세로로 절개되어 그 절개된 선단으로부터 내면을 향하여 소정 깊이를 갖는 가공부(52)(52')가 형성되고, 상기 가공부(52)(52')의 일측 상하 양단에는 소정 직경의 연결공(52a)(52'a)이 각각 관통되는 축(50)(50')과,
    상기 축(50)(50')의 가공부(52)(52')에 삽탈되도록 소정 직경을 갖고, 상기 축(50)(50')의 연결공(52a)(52'a)과 연통되는 삽입공(62)이 횡방향으로 등간격을 갖고 다수개 형성되는 중간축(60)과,
    상기 축(50)(50')의 연결공(52a)(52'a)과 중간축(60)의 삽입공(62)을 통하여 삽입, 지지되는 분할핀(7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길이조절식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
KR2019970036879U 1997-12-12 1997-12-12 자동차의 길이조절식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 KR1999002441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879U KR19990024410U (ko) 1997-12-12 1997-12-12 자동차의 길이조절식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879U KR19990024410U (ko) 1997-12-12 1997-12-12 자동차의 길이조절식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410U true KR19990024410U (ko) 1999-07-05

Family

ID=69693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6879U KR19990024410U (ko) 1997-12-12 1997-12-12 자동차의 길이조절식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441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08810A (zh) * 2018-04-04 2018-10-02 龙岩市归鸿贸易有限公司 一种机车用动轮轮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08810A (zh) * 2018-04-04 2018-10-02 龙岩市归鸿贸易有限公司 一种机车用动轮轮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9937B2 (ja) パワートレイン
JP4705310B2 (ja) パワートレイン
US7770483B2 (en) Power train for an amphibious vehicle
EP0030120A2 (en) Transmission apparatus for four-wheel drive motor vehicle
PH12015501419B1 (en) A powertrain for an amphibian
AU2001282320A1 (en) Power train
US20170259662A1 (en) Drive device for a hybrid-driven motor vehicle
RU2271940C2 (ru) Трансмиссия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амфибия
US5380255A (en) Transfer case for part time front wheel drive in a four wheel drive motor vehicle
RU2003107933A (ru) Силовая передач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типа амфибия
KR19990024410U (ko) 자동차의 길이조절식 드라이브 엑슬 샤프트
WO2002022383A1 (en) Power train
EP0442446B1 (en) Vehicular four wheel drive train
US4635744A (en) Four-wheel drive automotive vehicle
KR100284345B1 (ko) 차량의동력전달장치
EP0273877B1 (en) Permanent four-wheel-drive transmission for a vehicle with a transverse engine
KR100279976B1 (ko) 차동 제한장치
KR100410479B1 (ko) 자동차의 드라이브샤프트 연결구조
KR100504655B1 (ko) 전륜구동차량의 동력 전달구조
KR19990023998U (ko) 에프.알. 차량용 동력 전달 계통 진동 저감 장치
KR19990004837U (ko) 치차열을 이용한 유니버설 조인트 및 무차동장치 구동축
KR19990031006U (ko) 조립이 간단한 자동차용 드라이브 액슬 샤프트
WO2002004241A1 (en) Power transmission arrangement for vehicle
KR19980040148A (ko) 자동차의 구동력제어장치
KR19980043845A (ko)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의 슬라이딩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