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2977A -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2977A
KR19990022977A KR1019970709447A KR19970709447A KR19990022977A KR 19990022977 A KR19990022977 A KR 19990022977A KR 1019970709447 A KR1019970709447 A KR 1019970709447A KR 19970709447 A KR19970709447 A KR 19970709447A KR 19990022977 A KR19990022977 A KR 19990022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tube
high resistance
cathode ray
tube
ra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9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8769B1 (ko
Inventor
히데하루 오마에
마사히코 곤다
가즈아키 히라바야시
미쓰히로 오타니
시게오 나카테라
Original Assignee
모리시따요오이 찌
마쓰시따덴끼상교가부시끼가이샤
모리 가즈히로
마츠시다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따요오이 찌, 마쓰시따덴끼상교가부시끼가이샤, 모리 가즈히로, 마츠시다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따요오이 찌
Publication of KR19990022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7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5Construction of the gun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01J9/14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non-emitting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주집속렌즈가 나선형상 고저항체로 이루어지는 전자총을 가지는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유리관 내면에 형성할 때, 유리관 중앙부에 구멍을 내고(31), 유리관의 양끝단에 전기접속을 행하기 위한 봉착링을 플릿 부착하는 공정과, 상기 유리관에 유리관의 서냉점 보다 낮은 연화점을 가지는 유리분말에 산화루테늄을 배합한 고저항체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공정(35)과, 건조후에 고저항체 도막에 나선구조를 형성하는 공정(37)과, 이것을 420∼550℃의 온도로서 소성하는 공정(38)에 의해, 0.8GΩ∼100GΩ의 저항값을 가지는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주집속렌즈가 나선형상의 고저항체로 이루어지는 전자총은, 이것을 이용하여 제작된 음극선관에 있어서 고해상도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주집속렌즈의 제작방법으로서, 일본국 특개평 6-275211 호 공보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산화루테늄(RuO2)과 유리를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에서는 절연성 세라믹스 등의 원통관 내면에 산화루테늄과 유리 페이스트로 이루어지는 저항재료를 나선형상으로 형성한다. 또 다른 방법은 산화루테늄과 유리 페이스트로 이루어지는 저항재료를 원통관의 내면에 균일하게 도포한 후, 트리밍법, 그 밖의 방법에 의해 나선형상 저항체로 형성한다. 다음에 850℃의 온도에서 10분간 소성함으로써, 저항값이 100MΩ∼10TΩ인 나선형상의 고저항체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주집속렌즈를 다른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스텐레스 등의 금속 원통홀더를 원통관의 끝단부 내면에 끼워 넣는다. 원통홀더는 대향하는 한쌍의 돌기가 3군데 형성되어, 이들 돌기의 내측에 있는 것이 원통관 내면에 형성된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접촉한다.
또한, 주집속렌즈의 다른 제작방법이 일본국 특공평 4-23402 호 공보에 나타내어져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수산화루테늄[Ru(OH)3]과 유리입자를 함유한 현탁액을 도포하여 부착시킨 후, 건조하여 금속부품을 용착(溶着)한 유리제 중공관 내면에 저항체층을 형성한다. 이어서 중공관 내면의 저항체층을 기계적으로 나선형상으로 가공한 후, 400∼600℃로 가열하여 수산화루테늄을 산화루테늄으로 변화시키고, 산화루테늄이 저항체층 중의 유리입자와 융합한 조성의 나선형상 저항체를 얻는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몇가지 방법에서는, 균일한 특성을 가지는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몇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우선, 상기 일본국 특개평 6-275211 호 공보에 기재한 방법에서 이용하는 저항재료는, 종래 전자회로기판 등에 이용되고 있는 칩저항용의 두꺼운 막 저항체재료이다. 따라서 소성온도가 850℃로 상당히 높고, 이 온도에 견딜 수 있는 유리관 또는 세라믹관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같은 유리관으로서는 석영유리관이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열팽창계수가 매우 작고, 이에 따라 열팽창계수가 큰 다른 부재와의 접속면에서 문제가 있다. 또한 세라믹관을 이용한 경우, 성형정밀도가 유리관의 경우에 비해 나쁘고,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세라믹관의 성형시, 혹은 성형후에 가공이 필요하게 되어 고가로 되어 버린다.
구체적으로는, 고저항재료로서 일본국 특공평 6-275211 호 공보의 것은 산화루테늄을 이용한다. 소성온도가 820℃이므로 석영유리를 이용하지만, 이것은 고가이다. 또 열팽창율이 5.5×10-7/℃로 통상의 음극선관용 유리의 열팽창율에 비해 매우 작다. 한편 세라믹관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표면거칠기가 1∼2μm로 거칠기 때문에, 세라믹관 내면에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높은 정밀도로서 형성하기 어렵다. 세라믹관 내표면을 갈아서 표면을 부드럽게 하면 매우 고가인 것이 된다. 그리고 세라믹관은 플릿 유리에 의한 금속부품의 용착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세라믹관과 금속전극 등의 금속부품을 접합시키기 위해 특수한 가공이 필요하게 된다.
수산화루테늄을 이용하는 일본국 특공평 4-23402 호의 방법에서는, 현탁액의 점도가 낮으므로, 층두께를 1∼1.5μm 정도보다 두껍고 균일하게 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리고 절연체인 수산화루테늄을 가열(400∼600℃)하고 열분해하여, 도전체인 산화루테늄을 석출할 때 유리가 유동(流動)한다. 이 때 유리입자 주변에 0.01∼0.03μm의 매우 미세한 산화루테늄 입자가 석출하여 저항체를 형성한다. 그와 같은 경우, 예컨대 20GΩ이라는 고저항값을 얻으려 하면, 소성온도 의존성이 커지게 된다. 즉 소성온도가 약간 변동한 것 만으로 저항값이 큰폭으로 변화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금속부품을 800℃이상의 고온에서 유리제 중공관에 용착할 때 금속부품의 표면에 산화피막이 생기고, 그 표면에 전하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주집속렌즈의 전계(電界)가 불안정하게 된다. 그 전하에 의해 음극선관의 동작중에 스폿형상이 흔들리는 것과 같이 변형하여 표시화면의 해상도를 저하시키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를 발견하였다.
또 상기 산화피막에 의해 금속부품과 저항체와의 접속상태가 악화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금속부품과 유리제 중공관의 접속부에 있어서, 녹은 유리가 부풀어 올라, 고리형상의 돌기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고리형상의 돌기가 생기면 그 부분에 도포부착되는 저항체의 피막 두께가 얇아지고, 도통 불량을 발생시킬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고, 안정된 저항값을 가지는 나선형상의 고저항체를 이용한 주집속렌즈를 가지는 고해상도의 음극선관 및 싼값으로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때문에, 종래 음극선관의 제조에 있어서의 소성온도인 450℃정도에서 소성할 수 있도록 각 부품의 재료를 선택한다.
또 금속부품 표면의 산화피막 생성방지 또는 생성된 산화피막의 제거에 의해 스폿형상의 변동을 방지하여 해상도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나선형상의 고저항체를 주집속렌즈로서 이용한 투사형 및 직시형의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전자총을 이용한 음극선관의 단면도이다.
도 1의 (b)는 주집속렌즈의 중앙부 확대단면도이다.
도 1의 (c)는 주집속렌즈의 다른 예의 중앙부 확대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전자총을 이용한 음극선관의 제조공정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3의 (a)는 실시예 1의 유리관에 도포한 고저항체를 나선형상으로 커팅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의 (b)는 나선형상 커팅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의 (c)는 봉착링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딥(dip)법으로 고저항체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음극선관의 스폿크기와 종래의 음극선관의 스폿크기의 비교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 2의 음극선관의 유리관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2에서의 산화방지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2의 환원가스에 의한 환원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9는 유리관(44)과 금속부품(45)의 용착부의 고리형상돌기를 나타낸 부분측면도이다.
도 10의 (a)는 실시예 2의 금속부품과 유리관 내경의 관계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10의 (b)는 (a)에 나타낸 금속부품과 유리관을 용착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11의 (a)는 금속부품과, 끝단부에 모떼기를 행한 유리관을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11의 (b)는 (a)의 금속부품과 유리관을 용착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유리관 내면에 형성되어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로서 이용되는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구비한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은,
상기 유리관 내면에 고저항체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고저항체 도막(塗膜)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고저항체 도막에 나선형상 홈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나선형상 홈을 가지는 고저항체 도막을 440∼460℃ 온도에서 소성하여 나선형상의 고저항체를 얻는 공정을 구비한다. 상기 고저항체 페이스트로서 상기 온도 범위에서의 소성에 의해 0.8GΩ이상, 100GΩ이하인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의 저항값을 부여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구조 및 제법에 따르면, 주집속렌즈용 원통관에 높은 내열성을 가지는 세라믹관을 이용할 필요가 없다.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형성하기 위한 고저항체 페이스트는, 상기 유리관의 서냉점보다 낮은 연화점을 가지는 유리분말에 산화루테늄을 배합한 고저항체 재료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징에 의해 유리관의 왜곡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음극선관의 상기 전자총을 구성하는 유리관, 플릿재료, 봉착링 및 고저항체 재료는, 각각의 열팽창계수가 85∼105×10-7/℃의 범위에 있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열처리에 의한 고저항체막의 균열 및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리관과 봉착링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의 저항값은 다음과 같이 선택된다. 즉 음극선관의 애노드전압과 포커스전압의 차이전압을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인가했을 때,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흐르는 전류가 0.25μA에서 30μA의 범위가 되도록 저항값을 설정한다. 이 설정에 의해 필요하고도 바람직한 전위분포를 얻을 수 있고, 또한 포커스전압의 변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은, 열팽창계수가 36∼105×10-7/℃ 이고, 체적저항값이 10×10의 10승∼12승 옴·센티미터의 붕규산계 유리 또는 소다유리재료의 유리관 내면에, 열팽창계수가 36∼105×10-7/℃인 고저항재료의 고저항체를 나선형상으로 형성한 주집속렌즈를 가지며, 상기 유리관의 양끝단에 다른 전극부품과의 전기접속을 행하기 위한 금속부품인 봉착링을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유리관에 고저항체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고저항체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고저항체 도막을 나선형상 구조로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유리관을 420∼550℃에서 소성하는 공정과, 상기 유리관에 다른 전극부품을 조합시켜 전자총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상기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형태는, 상기 유리관 중앙부근에 집속전압 공급부를 설치하는 공정을 더욱 가진다.
상기 고저항체 페이스트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리관의 서냉점보다 낮은 연화점을 가지는 유리재료에 산화루테늄을 배합한 고저항체 재료이다.
상기 유리재료는, ZrO2, SiO2및 Al2O3의 적어도 1종의 재료인 충전재가 25∼4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의 형태는, 애노드전압과 포커스전압의 차이전압을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인가했을 때,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흐르는 전류가 0.25μA에서 30μA의 범위가 되도록 저항값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의 더욱 바람직한 형태는, 상기 유리관과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소정의 전위를 부여하는 금속부품을 접착하기 때문에, 플릿(frit)을 이용하여 상기 유리관과 금속부품을 용착하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유리관, 상기 플릿, 상기 금속부품, 및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의 재료의 열팽창계수가 36∼105×10-7/℃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점에 의해 열처리에 따른 고저항체의 균열이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은 상기 유리관과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소정의 전위를 부여하는 금속부품을 접착하기 때문에, 플릿 내지는 유리관 자신을 녹여서 상기 금속부품에 용착하는 것을 환원성 가스분위기 혹은 불활성 가스분위기하에서 행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금속부품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은 상기 유리관과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소정 전위를 부여하는 금속부품을 접착하기 위한, 플릿 내지 유리관 자신을 녹여서 상기 금속부품에 용착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금속부품은 산화를 방지하는 피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산화를 방지하는 피막이 금증착, 금도금 또는 니켈도금의 어느 것인가에 의해 형성된 피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관한, 유리관 내면에 형성되어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로서 이용되는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유리관과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소정의 전위를 부여하는 금속부품을 접착하기 위한, 플릿 내지는 유리관 자신을 녹여서 상기 금속부품에 용착하는 공정과, 상기 유리관과 상기 금속부품을 접착한 후, 상기 금속부품 표면의 산화피막을 제거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산화피막을 제거하는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수소혼합가스 분위기하에서의 가열에 의한 환원공정이다.
본 발명의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은, 수소 또는 수소혼합가스분위기는, 수소 또는 수소혼합가스를 정류메쉬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소를 연소시킴으로써 산소 혼입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산화피막을 제거하는 공정은, 염산 또는 염산계 녹제거제에 담그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산화피막을 제거하는 공정은, 염산 또는 염산계 녹제거제에 담근 후, 다시 중화 녹방지제에 담그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산화피막을 제거하는 공정은, 상기 산화피막을 기계적으로 깎아내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방법에서 산화피막을 제거함으로써, 금속부품과 고저항체막과의 양호한 접속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관한, 유리관 내면에 형성되어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로서 이용되는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유리관과,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소정 전위를 부여하는 금속부품을 접착하기 위해, 플릿 내지 유리관 자신을 녹여서 상기 금속부품에 용착하는 공정과, 상기 금속부품과 상기 유리관의 접합부를 평탄하게 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관한, 유리관 내면에 형성되어 전자총의 주집속 렌즈로서 이용되는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의 적어도 한쪽 개구단부에,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소정 전위를 부여하는 금속부품을 접착하기 위해, 유리관 자신을 녹여서 상기 금속부품에 용착하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유리관의 개구끝단부 근방의 내면이 모떼기되어 있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관한, 유리관 내면에 형성되어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로서 이용되는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을 제조하는 방법에서는, 상기 유리관의 적어도 한쪽 개구끝단부에,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소정의 전위를 부여하는 금속부품을 접착하기 위해, 유리관 자신을 녹여서 상기 금속부분에 용착하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유리관 내경이 상기 금속부품의 내경보다도 크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방법에 의해 금속부품과 유리관의 접속부에서의 고리형상 돌기를 방지하고, 접속부를 평탄하게 할 수 있다.
열팽창계수가 36∼105×10-7/℃인 고저항재료로서 고저항체를 나선형상으로 형성한 주집속렌즈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관한 음극선관은, 상기 유리관 양끝단에 설치된 다른 전극부품과의 전기접속을 행하기 위한 금속부품, 상기 유리관에 고저항체 페이스트를 나선형상으로 형성하고, 420∼550℃로 소성하여 얻은 고저항체막, 및 상기 유리관에 설치된 다른 전극부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극선관은 또한, 상기 유리관 중앙부근에 설치된 집속전압공급부를 가진다.
상기한 유리관 내면에 형성되어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로서 이용되는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에 플릿을 이용하여 접착되고,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소정의 전위를 부여하는 금속부품을 가지며, 상기 유리관, 상기 플릿, 상기 금속부품, 및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인 재료의 열팽창계수가 36∼105×10-7/℃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유리관 내면에 형성되어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로서 움직이는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에 플릿 내지 유리관 자신을 녹여 용착된,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소정 전위를 부여하는 금속부품을 가지며, 상기 유리관과 상기 금속부품과의 접착을 환원성 가스분위기 또는 불활성가스분위기하에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유리관 내면에 형성되어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로서 이용되는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에 플릿 내지 유리관 자신을 녹여서 용착된,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소정 전위를 부여하는 금속부품을 가지며, 상기 금속부품은 산화를 방지하는 피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산화를 방지하는 피막은 금증착, 금도금, 크롬도금 또는 니켈도금의 어느 것인가에 의해 형성된 피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유리관 내면에 형성되어 전자총의 주집속 렌즈로서 이용되는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은, 상기 유리관에 플릿 내지는 유리관 자신을 녹여서 용착된,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소정 전위를 부여하는 금속부품을 가지며, 상기 유리관과 상기 금속부품을 접착한 후, 상기 금속부품 표면의 산화피막을 제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관한, 유리관 내면에 형성되어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로서 이용되는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은, 상기 유리관에 플릿 내지는 유리관 자신을 녹여서 용착된,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소정 전위를 부여하는 금속부품을 가지며, 상기 금속부품에 용착한 상기 유리관의 접합부를 평탄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관한,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로서 이용되며 유리관 내면에 형성된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은, 상기 유리관의 적어도 한쪽의 개구단부에, 유리관 자신을 녹여서 용착된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소정 전위를 부여하는 금속부품을 가지며, 상기 유리관의 개구끝단부 근방의 내면이 모떼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관한,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로서 이용되며 유리관 내면에 형성되는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은, 상기 유리관의 적어도 한쪽편 개구끝단부에, 유리관 자신을 녹여 용착된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소정 전위를 부여하는 금속부품을 가지며, 상기 유리관 내경이, 상기 금속부품의 내경보다도 크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구성에 의해, 금속부품과 유리관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고리형상 돌기를 방지할 수 있고, 접속부를 평탄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1)
[구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a)는 투사형 TV용 음극선관에 실시한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1의 음극선관(1)의 전자총(2)은, 주집속렌즈로서 이용되는 나선형상 고저항체(23)를 내면에 구비한 유리관(13)을 가지고 있다. 전자총(2)의 형광면(3)에 가까운 쪽의 좌측 끝단부에 스텐레스판을 가공한 G5전극(4)과 게터(5)를 구비하고 있다. 전자총(2)의 우측 끝단부에 G3전극(6), G2전극(7), G1전극(8)이 멀티폼 로드(9)로서 지지되어 있다. 캐소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리관(13)의 중앙부 내벽에는, 탄성을 가지는 링형상의 금속판(11)이 나선형상 고저항체(23)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금속판(11)에는 유리관 중앙부의 구멍(19)을 관통하여 리드선(12)의 한끝단이 용접되어 있다. 리드선(12)이 다른끝단은 스템(10A)의 인너핀(10)에 용접되어 있다.
주집속렌즈용 유리관(13)은 종래의 음극선관에 이용되는 규산납유리의 L29F(닛뽄덴키쇼시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유리관의 품번) 유리로 제작한다. L29F유리는 연화점 620℃, 서냉점(서냉온도) 435℃, 왜곡점 395℃이다. 유리관(13)을 상기 450℃로 열처리하면, 서냉점 435℃를 상회하므로 유리관(13)의 왜곡을 없앨 수 있다. 또 연화점보다 상당히 낮기 때문에 유리관(13)은 변형되지 않고 초기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유리관(13)의 양끝단에는 봉착링(14)이 플릿에 의해 접착된다. 열처리시에 봉착링이 산화하지 않도록, 봉착링(14)에 미리 금증착, 금도금, 크롬도금 또는 니켈도금 등을 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증착, 금도금, 크롬도금 또는 니켈도금은, 유리관(13)과 봉착링(14)을 표면에 산화피막이 형성되지 않는 방법으로 접속한 후에라도 좋다. 또 유리관(13)의 양끝단부 내면에 은(Ag), 파라듐(Pd), 루테늄(Ru) 등을 포함하는 도전성을 가지는 막을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막의 존재에 의해 나선형상 고저항체(23)와 봉착링(14)과의 안정된 전기적 접속을 얻을 수 있다. 또 나선형상 고저항체(23)와 봉착링(14) 간의 접속부의 전위차가 감소하므로 전계의 왜곡이 적어지게 되어, 스폿형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L29F유리의 열팽창계수는 94×10-7/℃이다. 여기서 봉착링(14)과 플릿재료로서 각각 표 1에 나타낸 NS-1(스미토모도쿠슈긴조쿠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봉착링 재료의 품번), 7590(이와키쇼시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플릿재료의 품번)을 사용하였다. 이들 재료의 열팽창계수는 L29F유리와 대략 동등하다.
표 1
실시예 1에 사용한 재료의 열팽창계수
부품/재료명 품번(메이커) 열팽창계수(30∼380℃)
유리관 L29F(닛뽄덴키쇼시) 94×10-7/℃
플릿 7590(이와키쇼시) 99×10-7/℃
봉착링 NS-1(스미토모도쿠슈긴조쿠) 94×10-7/℃
고저항체 재료 ---- 92×10-7/℃
[제조방법]
다음에, 상기 재료를 이용한 본 발명의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 2의 플로우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주로, 유리관에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형성한 주집속렌즈의 제조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a)는 주집속렌즈(13A)의 측단면도이다. 이 주집속렌즈(13A)의 제작공정을 다음에 설명한다. 유리관(13) 중앙부에 줄 등을 이용하여 구멍(19)을 낸다[도 2의 플로우챠트의 구멍내기 공정(31)]. 구멍(19)을 내는 방법은 초음파가공, 레이저가공, 샌드브라스트가공 등 다른 방법을 이용해도 좋다. 구멍(19)을 낸 유리관(13)을 세정·건조한 후[동 세정·건조공정(32)] 그 양끝단에 도 3의 (c)에 나타낸 봉착링(14)을 표 1의 플릿재료 7590을 이용하여 가열 접착한다[동 플릿 베이크공정(33)]. 그 후 다시 세정·건조한다[동 세정·건조공정(34)].
이와 같이 하여 봉착링(14)을 접착한 유리관[이하, 이것을 봉착링부착 유리관(18)이라 함]에 하기의 고저항체 페이스트(16)를 딥(dip)법으로 도포부착한다[고저항체 도포공정(35)]. 고저항체 페이스트(16)를 톨루엔 혹은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유기용제로 입혀서 점도를 조정한다. 도 4에서와 같이, 용기(15)에 고저항체 페이스트(16)를 넣는다. 용기(15)는 호스(17)를 통하여 도포대(15A)로 연결되어 있다. 도포대(15A) 상에 봉착링부착 유리관(18)을 세로로 고정하고, 주입구멍(17A)과 봉착링부착 유리관(18)의 관 입구를 밀착시킨다.
우선 용기(15)를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위로 이동시키면, 중간의 고저항체 페이스트(16)는 사이폰작용에 의해 호스(17)를 거쳐 봉착링부착 유리관(18) 내로 주입된다. 이 때 용기(15) 위치를 조절하여 고저항체 페이스트(16)의 액면(液面)을 봉착링부착 유리관(18)의 구멍(19) 아래쪽에서 정지시킨다. 다음에 용기(15)를 화살표 B와 같이 하강시켜서, 봉착링부착 유리관(18) 내의 고저항체 페이스트를 용기(15)로 되돌려 보낸다. 그 다음 바로 봉착링부착 유리관(18)을 수직으로 한 채 온풍을 불게 하여 고저항체 페이스트(16)를 예비건조시킨다[예비건조·본건조공정(36)].
페이스트(16)의 점도와 용기(15)의 하강속도를 적절히 조합시킴으로써, 또한 직후의 온풍건조로 용제를 발산시킴으로써 균일한 막두께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봉착링부착 유리관(18)을 상하 반전하여, 구멍(19)보다 하측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고저항체 페이스트(16)를 도포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고저항체막의 두께는 5∼10μm이다. 마지막으로 구멍(19) 근방의 고저항체 페이스트를 부착하지 않은 부분에 솔 등으로, 상기 고저항체 페이스트를 도포한다.
상기 고저항체 페이스트(16)는 주로 0.5∼5중량%의 산화루테늄 미세분말과, 나머지부의 열팽창계수가 90∼100×10-7/℃인 붕규산납계의 유리분말의 혼합물이다. 이 혼합물에 다시 소량의 금속산화물 혹은 유기금속의 첨가제와 유기 바인더를 첨가하고 있다.
일 예를 들면, 평균입자지름 0.3μm인 산화루테늄 분말과 평균입자지름 1.5μm인 유리(유리조성이 PbO 77중량%, B2O318중량%, SiO25중량%) 분말을 중량비로서 3대 97의 비율로 배합한다. 그리고 유기바인더로서 10%의 에틸셀룰로오스를 용해한 타피네올과 소량의 산화동을 혼입한다. 이 혼합물을 3개의 롤로서 혼련하여 고저항체 페이스트(16)를 만든다.
이 고저항체 페이스트(16)의 고저항체 재료의 배합에는 다음의 3가지 점을 고려하여 행하였다.
첫째로, 이 고저항체 재료의 열팽창계수를 다른 3개의 부품의 유리관(13), 금속판(11) 및 봉착링(14) 재료의 열팽창계수에 맞추었다. 이에 따라 열처리시에 고저항체막에 균열, 박리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유리관(13)과 봉착링(14)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표 1에 본 실시예에 사용한 재료의 열팽창계수의 일 예를 나타낸다. 전자총(2)을 구성하는 유리관(13), 플릿재료, 봉착링(14) 및 고저항체 재료의 열팽창계수는 85∼105×10-7/℃ 범위에 있는 것을 실제 사용하게 된다.
둘째로, 유리관(13)의 왜곡을 없애기 위해, 고저항체 재료의 유리분말 연화점을 유리관(13)의 서냉점보다 낮게 선택하게 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리관(13)의 서냉점이 435℃이기 때문에 연화점은 그 이하인 430℃로 하였다. 도전성 미세분말의 산화루테늄과 비도전물질인 유리분말이 용융하고, 유리막 안으로 상기 산화루테늄이 균일하게 들어가 고저항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저항 재료를 상기 연화점 이상으로 소성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 때문에 소성온도로서 450℃가 적합하다.
상기 첫째와 둘째 점은 주로 유리분말의 조성비를 상기와 같이 PbO 77 중량%, B2O318중량%, SiO25중량%로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었다.
셋째로, 도포한 고저항체 재료를 나선형상으로 커팅할 때의 치수를 적절한 값으로 선택한다. 그리고 소성온도 450℃, 소성시간 10분에서 소성했을 때 목표하는 저항값을 얻을 수 있도록, 산화루테늄과 유리분말의 배합비를 상기와 같이 3대 97로 결정했다.
이어서 고저항체 페이스트(16)를 도포한 봉착링부착 유리관(18)을 250℃ 정도의 온도에서 본건조를 행한다[예비건조·본건조공정(36)]. 다음에 선반에서 봉착링부착 유리관(18)을 축회전으로 고속회전시키고, 초경공구로서 봉착링부착 유리관(18)의 내면에 도포된 고저항체막(22)을 나선형상으로 절단하여 커팅영역(20)을 형성한다[나선형상 커팅공정(37)].
커팅에 있어서,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선형상 커팅영역(20)을 유리관(13)의 구멍(19)에 대하여 대칭으로 좌측 반 및 우측 반으로 각각 5군데 설치하였다. 도 3의 (a)에서는 커팅영역(20)과 커팅하지 않은 부분을 번갈아 배치하고 있다. 커팅폭과 피치는 필요에 따라 바꿀 수 있다. 그 일예를 도 3의 (b)의 나선형상 커팅영역(20)의 확대도로 나타낸다. 도 3 (b)에서는 커팅에 의해 고저항체막이 제거된 부분을 홈(21)으로 나타내고 있다. 고저항체막(22)은 도 3의 (a), 도 3의 (b)와 같은 방향의 사선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유리관(13)의 축방향으로 균등하게 같은 피치로 나선형상 홈(21)을 커팅해도 좋다.
도 1에 나타낸 나선형상 고저항체(23)는 유리관(13)의 중앙부를 없애고, 유리관(13)의 폭방향으로 균등하게 홈(21)을 커팅하고 있다. 도 1에서는 커팅후의 홈(21)을 도 3의 (a)에서의 홈(21)과 마찬가지로 경사진 실선으로 나타내며, 공백부분에는 나선형상 고저항체(23)가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도 1에서 나타낸 나선형상 패턴은 도 3의 (a)에서 나타낸 유리관(13)의 축방향으로 불균등하게 형성된 나선형상 패턴과 다르다.
나선형상 홈(21)을 형성한 유리관(13)을 수직으로 배치하여 450℃에서 10분간 소성을 행한다[소성공정(38)]. 소성후 유리관(13)의 구멍(19)의 내벽에 금속판(11)을 부착한다. 그리고 도 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판(11) 대신, 구멍(19)에 핀(11A)을 삽입하고, 소성전에 고저항체 페이스트를 핀(11A)과 고저항체막(22)을 씌우도록 도포해도 좋다.
상기의 소성에 의해, 유기 바인더가 분해, 소성한다. 그리고 고저항체막(22)은 유리화하여 봉착링부착 유리관(18) 내에 고정되어 나선형상 고저항체(23)로 된다. 그 두께는 3∼6μm이다. 또한 상기 소성에 의해 유리관(13)의 양끝단부에 있어서, 나선형상 고저항체막(23)은 각각의 봉착링(1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유리관(13) 중앙부에 있어서, 좌우 양쪽의 나선형상 고저항체막(23)은 금속판(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나선형상 고저항체막(23)의 특성을 표 2에 나타낸다. 종래 예로서 나타낸 것은, 수산화루테늄을 이용하여 형성한 경우이다. 표 2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는, 페이스트형상의 고저항체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막압을 두껍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저항값은 종래 예보다 낮은 20GΩ로 되고, 저항값의 오차를 큰폭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표 2
종래예와 본 발명 실시예의 나선형상 고저항체의 특성
소성온도 막두께 저항값 저항값의 오차
종래예 450℃ 1.3μm 26GΩ ±70%
실시예 450℃ 4.5μm 20GΩ ±20%
음극선관(1)이 주집속렌즈로서 이용되는 나선형상 고저항체(23)는 애노드전압과 포커스전압 사이에 전위분포를 주는 것으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도록 고저항값이 필요하다.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나선형상으로 커팅한 상태에서, 나선형상 고저항체(23)의 저항값은 약 20GΩ을 목표치로 하고 있다. 예컨대 도 1의 유리관(13)의 양끝단의 봉착링(14)에 정의 애노드전압 32kV를 인가하여 금속판(11)에 정의 포커스전압 7kV를 인가하면, 나선형상 고저항체(23)를 흐르는 리크전류(Ig4)는 (32kV-7kV)/20GΩ=1.25μA정도이다. 이와 같은 전류값으로 되기 때문에 음극선관(1)의 동작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안정된 동작이 확보된다.
나선형상 고저항체(23)의 저항값은 소정 범위내에 있는 것이 필요하다. 즉 너무 저항값이 높으면, 예컨대 1TΩ이 되면 리크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으므로 필요한 전위분포를 얻을 수 없고, 또한 유리의 유전작용으로 전위가 불안정하게 된다. 본 발명자들의 실험에 따르면 100GΩ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애노드전압이 32kV, 포커스전압이 7kV인 경우, 리크전류(Ig4)는 0.25μA이상 흐르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반대로 너무 저항값이 낮으면, 리크전류(Ig4)가 많이 흐르므로, 주집속렌즈를 형성하기 위해, 집속전압을 공급하는 전극(본 실시예의 경우는 G4)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저항(도시생략)으로 전위차를 만들고 포커스전압을 바꾸어 버린다. 특히 리크전류(Ig4)가 변화하면 포커스전압이 변화한다. 이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리크전류(Ig4)는 30μA이하, 저항값으로서 0.8GΩ 이상이 필요하다.
다음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멀티폼 로드(9) 상에서 조립된 G3전극(6)내지 G1전극(8)까지의 부품을 우측 봉착링(14)에 용접한다. 또한 G5전극(4) 내지 게터(5)까지의 부품을 좌측 봉착링(14)에 용접하여 조립하고 전자총(2)을 완성한다[전자총 조립공정(39)]. 다음에 형광면 등을 설치한 완성밸브에 전자총(2)을 봉입한다. 그 후의 공정은 통상의 음극선관의 제조방법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음극선관 제작공정(40)].
[실시예 1과 종래예와의 성능비교]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의 스폿크기와 종래 것의 스폿크기를 도 5에 나타낸다. 가로축은 양극전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스폿크기를 나타낸다. 실선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음극선관의 스폿크기는, 양극전류가 소전류 영역에서 대전류 영역에 걸쳐, 점선으로 나타낸 종래 것의 스폿크기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금속전극의 조합으로 주집속렌즈를 형성한 음극선관과 비교하여, 훨씬 양호한 해상도특성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유리관(13)의 중앙 구멍(19)에 형성한 접속점과, 유리관 양끝단에 가까운 부분의 2개의 접속점 사이에는 대칭적인 전압을 인가하는 유니포텐셜(UPF) 타입의 전자총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과 다른 바이포텐셜(BPF) 타입의 전자총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유리관(13) 중앙의 구멍(19)에 형성한 접속점은 불필요하게 되고, 유리관(13) 양끝단에 접속한 금속전극에 각각 애노드전압과 포커스전압이 공급된다.
(실시예 2)
실시예 2를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2는 음극선관의 전자총 주집속렌즈로서 이용되는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설치하는 유리관체에 관한 것이다.
[유리관체의 구성]
도 6은 유리관체(43)의 측단면도이다. 유리관체(43)는 유리관(44)과, 유리관(44)의 양끝단에 설치된 금속부품의 봉착링(45)으로 구성된다. 유리관(44)은 실시예 1의 유리관(13)과 형상은 실질적으로 같지만, 그 재질에 있어서 다르다. 또 봉착링(45)도 재질에 있어서 실시예 1의 봉착링(14)과는 다르다.
유리관(44)의 재료는, 붕규산계 유리인 BCL 또는 소다유리의 SKC를 이용한다. BCL 및 SKC는 각각의 메이커인 상품명으로, 그 조성과 특성을 표 4에 나타낸다.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BCL 및 SKC는 체적저항율이 L-29F보다도 낮다.
표 3
유리관재료명조성과 특성 L-29F BCL SKC
PbO (중량%) 28.0 0 0
SiO2(중량%) 60.0 72.0 70.3
Al2O3(중량%) 1.0 7.0 2.0
B2O3(중량%) 0 10.5 1.2
MgO (중량%) 0 0 2.8
CaO (중량%) 0 0.5-1.0 5.9
BaO (중량%) 0 1.5-2.0 0
Na2O (중량%) 8.0 7.5 16.0
K2O (중량%) 3.0 7.5 1.3
연화점 (℃) 615 785 694
서냉점 (℃) 435 570 525
열팽창계수×10-7/℃ 94 52 98.5
체적저항율logρ : Ωcm(100℃) 13.4 11.1 10.4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관(13) 내면에 형성된 나선형상 고저항체(20)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홈(21)의 바닥부 즉 유리관 표면에 전하가 축적된다. 축적된 전하량은 유리의 체적저항율에 따라 변화하고, 체적저항율이 작으면 감소한다. 홈(21)의 바닥부에 축적된 전하는 주집속렌즈의 동작에 영향을 주고, 이 영향에 의해 표시면의 스폿형상이 불규칙하게 변동하는 것을 발명자들은 발견하였다. 따라서 홈(21)의 바닥부에 축적된 전하는 가능한 한 적은 쪽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적저항율이 비교적 낮은 유리재료인 BCL, SKC를 이용하여 유리관(44)을 제작함으로써 상기한 홈(20)의 유리표면에 축적된 전하를 감소시키고, 상기한 스폿형상의 불규칙적인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유리관(44)의 재료로서 BCL을 이용할 경우에 이 유리관(44) 내면에 도포부착되는 고저항체 페이스트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BCL의 열팽창계수는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52×10-7/℃이기 때문에, 고저항체 페이스트에 이용되는 저항재료는 표4에서와 같이, 열팽창계수가 55 내지 60×10-7/℃인 저항재료(3,4 및 5)가 적합하다. 이와 같이 유리관과 고저항체에 각각의 열팽창계수가 그만큼 다르지 않은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고저항체막이 유리관(44)에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항체재료로서 필라(filler)를 혼입한 것을 이용할 경우는, 분산성 피막의 균일성면에서 약간 떨어지므로, 납함유량이 적은 저항재료(3)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유리입자의 연화점이 515℃로 높으므로, 소성온도를 520∼550℃ 전후로 올릴 필요가 있다.
표 4
저항재료명조성과 특성 저항재료1 저항재료2 저항재료3 저항재료4 저항재료5
RuO2(중량%) 8 3 10 10 8
PbO (중량%) 66 74.5 36 48 52
B2O3(중량%) 16 17.5 15 11 12
SiO2(중량%) 7 5 5.5 1.5 2
ZnO (중량%) 2.8 0 31.5 3 3
Al2O3(중량%) 0.2 0 1 2 2
SnO2(중량%) 0 0 1 0 0
ZrO2필라(중량%) 0 0 0 16.5 14
SiO2필라(중량%) 0 0 0 8 7
Al2O3필라(중량%) 0 0 0 0 0
연화점 (℃) 490 430 515 430 430
서냉점 (℃) 395 365 440 365 365
열팽창계수×10-7/℃ 80 90 60 55 55
[유리관과 금속부품의 용착]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관(44) 양끝단에는 금속부품의 봉착링(45)이 부착되어 있다. 유리관(44)과 봉착링(45)은 플릿을 이용하여 양자를 용착하든지 또는 유리관(44) 자체를 녹여서 용착한다. 유리관(44)과 봉착링(45)은 각각의 열팽창계수가 가까운 재료를 이용하여 만들 필요가 있다. 유리관(44)을 BCL로 만들 경우에, 그 열팽창계수는 52×10-7/℃이므로, 봉착링(45)의 금속재료는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팽창계수가 44∼55×10-7/℃의 KV-2, KV-15, YEF-29-7, DK 등을 이용한다. 또 유리관(44)을 SKC로 만들 경우에 그 열팽창계수는 98.5×10-7/℃이기 때문에, 봉착링(45)의 금속재료는 열팽창계수가 94∼100인 NS-1을 이용한다. 유리관(44)과 봉착링(45)을 플릿재로 용착할 때는, 플릿재의 열팽창계수를 유리관(44)의 열팽창계수에 맞출 필요가 있다. 상기한 점에서 유리관(44), 플릿, 봉착링(45) 및 후공정에서 유리관(44) 내면에 도포부착되는 고저항체의 재료는, 열팽창율이 36∼105×10-7/℃의 범위에 있는 것을 이용한다.
표 5
메이커명 스미토모도쿠슈긴조쿠고교 히다치긴조쿠 닛뽄고교
금속재료명 NS-1 KV-2 KV-15 YEF-29-17 DK
열팽창계수 ×10-7/℃(30∼400℃) 94∼100 44∼52 46 48 44∼55
유리관(44)과 봉착링(45)의 용착은 양자를 800도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행해진다. 이 가열을 공기중에서 행하면 봉착링(45)의 표면에 산화피막이 생긴다. 이 산화피막은 유리와 금속의 접착강도를 크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점에서는 산화피막의 존재는 바람직한 것이다. 그러나 다른쪽에서는, 후공정에서 유리관(44) 내에 고저항체 피막을 형성했을 때, 고저항체막과 봉착링(45)의 전기적 접속이 불완전하게 될 경우가 있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봉착링(45)의 표면에 산화피막이 생기지 않도록 다음에 나타낸 여러 가지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봉착링의 산화를 억제하는 방법]
이 방법으로는, 공기중에서 봉착링(45)을 유리관(44)에 용착한 직후에, 봉착링(45)이 부착된 유리관(44)을 환원성기체 예를들어 수소분위기중이나, 불활성가스 예를들어 질소 분위기중에 넣는다. 이 처리에 의해 봉착링(45) 표면의 산화피막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처리는 집속전압 공급부인 도 1에 나타낸 금속판(1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봉착링의 산화방지방법 및 장치]
봉착링의 산화방지대책으로서, 미리 금증착, 금도금, 크롬도금 또는 니켈도금 등의 표면처리를 해놓는 것은 이미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사전의 표면처리를 행하지 않고 산화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불활성가스에 의한 산화방지)
도 7은 질소가스 등의 불활성가스 분위기 중에서 유리관(44)과 봉착링(45)을 용착하는 용착장치의 요부단면도이다. 이 용착장치에서는 플릿을 이용하지 않고 유리관(44) 자체를 용융하여 봉착링(45)에 용착한다. 도면에 있어서, 차폐관(51)은 상부에 질소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멍(52)을 가지는 내열성 절연물의 관이다. 차폐관(51)의 내경은 유리관(44) 및 봉착링(45)의 외경보다 소정의 치수만큼 크게 되어 있다. 차폐관(51) 내에는 유리관(44)과 봉착링(45)이 도시하지 않은 치구(治具)에 의해 소정의 위치관계를 유지하여 삽입된다. 봉착링(45) 상에 중심부에 구멍(53A)을 가지는 카본블럭(53)이 놓여져 있고, 카본블럭(53) 상에 다시 중심부에 구멍(54A)을 가지고 겹쳐 움직이는 금속블럭(54)이 놓여져 있다. 카본블럭(53)은 카본으로 만들어져 있는데, 이것은 카본에는 녹은 유리가 부착되지 않기 때문이다. 카본블럭(53) 및 금속블럭(54)의 외경은 차폐관(51)의 내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차폐관(51) 외주의 봉착링(45) 근방에는 고주파 유도가열을 행하기 위한 가열코일(55)이 설치되어 있다. 차폐관(51) 내에는 용착시에 유리관(44)이 녹은 길이(이하 녹는값이라 칭함)를 규제하기 위한 3 내지 6개의 세라믹제의 규제봉(58)이 설치되어 있다. 유리관(44)과 봉착링(45)의 용착시에, 유리관(44)의 상단이 녹아서 그 길이가 짧아지고, 봉착링(45)이 금속블럭(54)의 중력에 의해 하강한다. 봉착링(45)이 소정거리 하강하면, 그 아래면이 규제봉(58)의 상단에 맞닿아, 그 이상 하강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유리관의 녹는값을 소정값(0.2∼0.3mm)으로 규제할 수 있다.
다음에, 이 용착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폐관(51)의 구멍(52)으로부터 화살표(56)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질소가스 등의 불활성가를 주입한다. 불활성가스는 금속블럭(54), 카본블럭(53)의 각각의 구멍(54A,53A)을 통하여 유리관(44)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또한 불활성가스는 차폐관(51)의 내벽과, 금속블럭(54), 카본블럭(53) 및 봉착링(45) 외주면과의 사이를 통하여, 유리관(44) 외벽과 차폐관(51)의 내벽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다. 상기한 유리관(44)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을 불활성가스가 흐름으로써 봉착링(45)은 불활성가스 분위기중에 놓여지고, 산소에 녹지 않게 된다.
다음에, 가열코일(55)에 고주파전류를 흘려 봉착링(45)을 가열하면, 봉착링(45)에 접하는 유리관(44)의 끝단부가 녹아 양자는 용착된다. 상기 가열중에 봉착링(45)은 불활성가스 분위기중에 있으므로 그 표면은 산화되지 않는다.
도 7에 나타낸 용착장치에서는, 고주파 유도가열에 의한 국부가열에 의해 주로 봉착링(45)과 그에 접하는 유리관(44)의 끝단부영역이 가열된다. 따라서 유리관(44) 전체는 고온으로 되지 않아, 유리관(44)의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유리관(44) 재료의 연화점은 785℃이므로, 상기 환원장치를 이용하는 대신에, 종래의 방법으로 유리관(44) 전체를 온도 800℃ 내지 그 이상의 로내에 넣어서 용착하면 유리관(44) 전체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본 실시예의 용착장치에서는, 봉착링(45) 부분 만을 가열하기 때문에 유리관(44) 전체에 변형이 생기지 않는다.
[봉착링의 산화피막의 제거방법 및 장치]
상기의 산화방지법에 의하지 않고 용착한 경우에, 봉착링(45)의 표면에 형성된 산화피막을 제거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해 다음에 설명한다. 유리관(44)과 봉착링(45)을 플릿으로 용착할 때, 혹은 플릿을 이용하지 않고 유리관(44) 자체를 녹여 봉착링(45)에 용착할 때, 공기중에서 가열하면, 가열된 봉착링 표면이 산회되고 산화피막이 형성된다. 봉착링(45)의 표면에 산화피막이 형성되면, 이 산화피막에 의해 고저항체막과 봉착링(45)과의 전기적 접속이 불안정하게 된다. 이 점에 대해서는, 집속전압 공급부의 금속판(11)을 고저항체 페이스트의 도포전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문제가 생긴다.
(환원가스에 의한 산화피막의 제거장치)
도 8은 산화피막을 가지는 봉착링(45)을 환원가스중에서 환원하기 위한 환원장치를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환원장치의 차폐관(61)은 내열성을 가지는 관으로 도면의 상단부에 환원가스의 주입구멍(63)을 가진다. 주입구멍(63)에서 소정 거리의 관내에, 관 중심축에 대략 수직으로 금속망 등으로 형성된 정류메쉬(6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정류메쉬(62)에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봉착링(45)을 용착한 유리관(44)이 삽입된다. 주입구멍(63)에서 화살표(6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원가스로서 수소가스를 주입한다. 주입된 수소가스는 정류메쉬(62)에 의해 정류되고, 정류메쉬(62)를 통과한 후의 차폐관(61) 내에서는 유속의 분포가 균일하게 된다.
본 장치에 의한 환원은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해진다. 공기중에서의 가열에 의해 봉착링(45)을 유리관(44)에 용착한 후, 봉착링(45)이 고온인 상태에서, 봉착링이 부착된 유리관(44)을 차폐관(61) 내에 삽입한다. 차폐관(61) 내에서는 고온의 봉착링(45)에 수소가스가 접하고, 봉착링(45)의 표면 산화물은 수소가스에 의해 환원된다. 수소가스의 유속은 상기의 정류메쉬(62)에 의해 보다 균일하게 되어 있으므로, 봉착링(45)의 표면은 얼룩없이 균일하게 환원된다.
도 8에 나타낸 수소가스에 의한 환원장치에 있어서, 차폐관(61)의 하부개구부(61A)에서 방출되는 수소가스를 점화하면, 불꽃(61B)이 생겨 수소가스는 연소한다. 이와 같이 수소가스를 연소시키면, 차폐관(61)의 하단 개구부(61A)에서 차폐관(61) 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발명자들은 발견하였다. 이 공기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봉착링(45)은 보다 양호하면서 얼룩없이 환원된다. 공기중에서의 가열에 의해 봉착링(45)에 산화피막이 생기지만, 이 산화피막은 봉착링(45)과 유리관(44)과의 접착강도를 증가시키는 작용이 있다. 따라서 공기중에서 용착을 행하고, 용착후 수소가스에 의해 봉착링(45)의 표면 산화피막을 환원하여 제거함으로써, 높은 접착강도를 얻음과 동시에, 후공정에서 고저항체막(22)을 형성했을 때 봉착링(45)과 고저항체막(22)과의 사이에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화학적처리에 의한 산화피막의 제거)
다음에 봉착링(45)의 산회피막을 화학적 처리에 의해 제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하는 약액은 염산 또는 염산계 녹제거제이다. 이와 같은 약액의 시판품으로서는 예컨대 자스코 RS-207이라는 상품명인 닛뽄효멘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의 액체 녹방지제가 있다.
자스코 RS-207을 이용할 경우, 소정의 농도 및 액온으로 수분 내지 10수분간 액중에 담근다. 그리고 봉착링(45)의 표면으로 떠 오른 산화피막을 천 등으로 문질러 떼어낸 후 물로 씻어 낸다. 다음에 산화 피막이 다시 생성되지 않도록 알칼리성 중화 녹방지제에 담근다. 중화 녹방지제로서는 상기 자스코 RS-207과 같은 메이커의 예를들어 자스코 M-194를 이용한다.
(산화막의 기계적 제거방법)
다음에 봉착링(45)의 산화피막을 기계적으로 깎아내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계적 방법의 예로서 금속브러쉬를 회전시켜서 산화피막을 깎아내린다. 이 처리에서는 금속브러쉬의 녹방지오일, 깎아낸 고온의 산화피막과 금속가루 등이 비산하여 유리관(44)에 부착하여 늘어붙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유리관(44)에 물을 뿌리면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관(44)의 끝단부 형상]
유리관(44)과 봉착링(45)을 용착했을 때 유리관(44)의 끝단부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하여 부풀어 올라 고리형상 돌기(71)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고리형상 돌기(71)는 유리관(44)의 녹는값이 0.2 내지 0.3mm가 되면 발생한다. 고리형상 돌기(71)가 생기면 후공정에서 고저항체 페이스트를 도포했을 때, 고리형상 돌기(71) 부분의 고저항체 페이스트의 도포층 두께가 얇아져 도통불량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이 고리형상 돌기(71)는 용착후에 기계적으로 깎아냄으로써 없앨 수 있다. 그러나 이 처리는 번잡하다. 그리하여 고리형상 돌기가 생기지 않도록 유리관(44) 및 봉착링(45)을 다음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한다.
도 10의 (a)는 제 1 구성을 나타낸 유리관(44)과 봉착링(45)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봉착링(45)의 내경은 유리관(44) 내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리관(44)과 봉착링(45)을 용착하면,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관(44)의 끝단부는 매끄러운 플레어형태로 되어 고리형상 돌기는 생기지 않는다. 봉착링(45)과 유리관(44) 각각의 내경 차이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소망하는 플레어형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의 (a)는 제 2 구성을 나타낸 유리관(44)과 봉착링(45)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봉착링(45) 내경은 유리관(44)의 내경과 대략 같게 되어 있다. 유리관(44)의 끝단부 내면에 모떼기부(72)가 형성되어 있다. 모떼기 치수는 예를들어 0.2 내지 0.5mm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유리관(44)을 용착하면,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관(44) 내경은 봉착링(45) 내경과 대략 같게 되며 고리형상 돌기는 형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에서는, 주집속렌즈용 유리관 내면에 고저항체 페이스트를 도포한 후 건조하여 고저항체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고저항체 도막에 나선형상 홈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고저항체 도막을 420℃∼550℃ 온도에서 소성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상기 고저항체 페이스트로서 상기 온도 범위에서의 소성에 의해 0.8GΩ이상, 100GΩ이하의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의 저항값을 부여하는 것을 사용한다. 이것에 의해 주집속렌즈용 유리관의 재료에 고가인 세라믹스나 석영유리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통상의 저렴한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문제이었던 수산화루테늄과 유리분말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고저항 현탁액을 사용하지 않고, 고저항체 페이스트로서 유리분말에 산화루테늄을 배합한 고저항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나선형상 고저항체(23)의 저항값의 온도 의존성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연화점이 유리관의 서냉점보다 낮은 유리분말을 사용함으로써, 소성온도가 낮아지고, 저렴한 유리관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낮은 온도에서의 소성에 의해 유리관의 왜곡이 제거됨과 동시에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전자총(2)을 구성하는 유리관, 플릿재료, 봉착링 및 고저항재료 각각의 열팽창계수를 맞춤으로써, 고저항체막에 균열, 박리를 방지하고, 유리관과 봉착링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나선형상 고저항체의 저항값으로서 0.8GΩ이상, 100GΩ이하인 값을 줌으로써, 유리관의 내면에 설치된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부여된 전압에 의해 전자비임에 대하여 바람직한 전위분포를 얻을 수 있다.
고저항체를 이용한 주집속렌즈는, 전자렌즈를 형성하는 전위구배가 완만하고 균일하므로, 외관상 주집속렌즈의 렌즈지름이 커진 것과 같은 효과를 낸다. 그 결과 구면수차를 줄일 수 있고 고해상도의 음극선관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봉착링의 산화피막을 제거함으로써, 금속부품과 고저항체막과의 양호한 접속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불활성가스 분위기중에서 용착함으로써, 봉착링 표면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산화피막을 제거함으로써, 고저항체막을 형성했을 때 봉착링과 고저항체막과의 접속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봉착링의 내경을 유리관 내경보다 작게 함으로써 용착시의 고리형상 돌기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유리관의 끝단부 내면을 모떼기함으로써 마찬가지로 고리형상 돌기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어느 정도 상세히 적합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 적합한 형태의 현 개시내용은 구성의 세부에 있어서 변화할 수 있는 것이며, 각 요소의 조합이나 순서 변화는 청구된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8)

  1.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로서 이용되며, 유리관의 내면에 형성된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유리관 내면에 고저항체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고저항체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고저항체 도막에 나선형상 홈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나선형상 홈을 가지는 고저항체 도막을 440∼460℃의 온도에서 소성하여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얻는 공정을 구비하며,
    또, 상기 고저항체 페이스트로서, 상기 온도 범위에서의 소성에 의해 0.8GΩ이상, 100GΩ이하의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의 저항값을 부여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저항체 페이스트로서, 유리관의 서냉점보다 낮은 연화점을 갖는 유리분말에 산화루테늄을 배합한 고저항체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분말은 77중량%의 PbO, 18중량%의 B2O3및 5중량%의 SiO2를 함유하고, 상기 산화루테늄과 상기 유리분말을 가지는 고저항체 페이스트중의 산화류테늄의 함유량은 0.5∼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전자총을 구성하는 유리관 및 고저항체 재료의 열팽창계수가 85∼105×10-7/℃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애노드전압과 포커스전압의 차이전압을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인가했을 때,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흐르는 전류가 0.25μA에서 30μA의 범위가 되도록,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 저항의 저항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6.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로서 이용되며, 봉착링을 가지는 유리관 내면에 형성된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형성하기 위한 고저항체 페이스트가, 상기 유리관의 서냉점보다 낮은 연화점을 갖는 유리분말에 산화루테늄을 배합한 고저항체 재료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7. 제 6 항에 있어서, 전자총을 구성하는 유리관, 봉착링 및 고저항재료의 열팽창계수가 85∼105×10-7/℃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8. 제 6 항에 있어서, 나선형상 고저항체의 저항값을, 애노드전압과 포커스전압의 차이전압을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인가했을 때,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흐르는 전류가 0.25μA에서 30μA의 범위가 되도록 선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9. 열팽창계수가 36∼105×10-7/℃이고, 체적저항값이 1×10의 10승∼12승 옴·센티미터인 붕규산계 유리 또는 소다유리 재료로 한 관형상 구조의 유리관 내면에 열팽창계수가 36∼105×10-7/℃인 고저항재료로서 고저항체를 나선형상으로 형성한 주집속렌즈를 갖는 음극선관이며, 또
    상기 유리관의 양끝단에 다른 전극부품과의 전기접속을 행하기 위한 금속부품을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유리관에 고저항체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고저항체 도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고저항체 도막을 나선형상 구조로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유리관을 420∼550℃로 소성하는 공정과,
    상기 유리관에 다른 전극부품을 조합시켜 전자총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의 중앙부근에 집속전압 공급부를 설치하는 공정을 가지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저항체 페이스트는, 상기 유리관의 서냉점보다 낮은 연화점의 유리재료에 산화루테늄을 배합한 고저항체 재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애노드전압과 포커스전압의 차이전압을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인가했을 때,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흐르는 전류가 0.25μA에서 30μA 범위가 되도록 저항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재료는, ZrO2, SiO2및 Al2O3의 적어도 1종의 재료인 충전재가 25 내지 4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14.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로서 이용되며, 유리관 내면에 형성된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과,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소정 전위를 부여하는 금속부품을 접착하기 위해, 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유리관과 금속부품을 용착시키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유리관, 플릿, 상기 금속부품, 및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 재료의 열팽창계수가 36∼105×10-7/℃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15.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로서 이용되며, 유리관 내면에 형성된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과,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소정 전위를 부여하는 금속부품을 접착하기 위한, 플릿 내지는 유리관 자신을 녹여서 상기 금속부품에 용착하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유리관과 상기 금속부품과의 용착공정의 환원성 유리분위기 또는 불활성 가스분위기하에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16.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로서 이용되며, 유리관 내면에 형성된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과,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소정 전위를 부여하는 금속부품을 접착하기 위한, 플릿 내지는 유리관 자신을 녹여서 상기 금속부품에 용착하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금속부품은 산화를 방지하는 피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를 방지하는 피막은 금증착, 금도금, 크롬도금 또는 니켈도금의 어느 것인가에 의해 형성된 피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18.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로서 이용되며, 유리관 내면에 형성된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과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소정 전위를 부여하는 금속부품을 접착하기 위한, 플릿 내지는 유리관 자신을 녹여서 상기 금속부품에 용착하는 공정과,
    상기 유리관과 상기 금속부품을 접착한 후, 상기 금속부품 표면의 산화피막을 제거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피막을 제거하는 공정은, 수소 또는 수소혼합가스 분위기하에서의 가열에 의한 환원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또는 수소혼합가스 분위기는 수소 또는 수소혼합가스를 정류메쉬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또는 수소혼합가스 분위기는, 수소가스를 연소시켜서 산소의 혼입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피막을 제거하는 공정은, 염산 또는 염산계 녹제거제에 담그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피막을 제거하는 공정은, 염산 또는 염산계 녹제거제에 담근 후, 다시 중화 녹방지제에 담그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피막을 제거하는 공정은, 상기 산화피막을 기계적으로 깎아내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25.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로서 이용되며, 유리관 내면에 형성된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과,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소정 전위를 부여하는 금속부품을 접착하기 위해, 플릿 내지 유리관 자신을 녹여서 상기 금속부품에 용착하는 공정과,
    상기 금속부품과 상기 유리관의 접합부를 평탄하게 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26.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로서 이용되며, 유리관 내면에 형성된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의 적어도 한쪽 개구단부에,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소정 전위를 부여하는 금속부품을 접착하기 위해, 유리관 자신을 녹여서 상기 금속부품에 용착하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유리관의 개구단부 근방의 내면이 모떼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27.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로서 이용되며, 유리관 내면에 형성된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의 적어도 한쪽 개구단부에,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소정 전위를 부여하는 금속부품을 접착하기 위해, 유리관 자신을 녹여서 상기 금속부품에 용착하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유리관 내경이, 상기 금속부품 내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28. 열팽창계수가 36∼105×10-7/℃이고, 체적저항값이 1×10의 10승∼12승 옴·센티미터인 붕규산계 유리 또는 소다유리재료로 한 관형상 구조의 유리관 내면에 열팽창계수가 36∼105×10-7/℃인 고저항재료로서 고저항체를 나선형상으로 형성한 주집속렌즈를 갖는 음극선관으로서,
    상기 유리관 양끝단에 다른 전극부품과의 전기접속을 행하기 위한 금속부품,
    상기 유리관에 고저항체 페이스트를 나선형상으로 형성하고, 420∼550℃로 소성하여 얻은 고저항체막, 및
    상기 유리관에 부착된 다른 전극부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의 중앙부근에 설치된 집속전압 공급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0.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로서 이용되며, 유리관 내면에 형성된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에 플릿을 이용하여 접착되고,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소정 전위를 부여하는 금속부품을 가지며,
    상기 유리관, 상기 플릿, 상기 금속부품, 및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 재료의 열팽창계수가 36∼105×10-7/℃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1.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로서 이용되며, 유리관 내면에 형성된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에 플릿 내지는 유리관 자신을 녹여서 용착된,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소정 전위를 부여하는 금속부품을 가지며,
    상기 유리관과 상기 금속부품과의 접착을 환원성가스분위기 또는 불활성가스분위기하에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2.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로서 이용되며, 유리관 내면에 형성된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에 플릿 내지는 유리관 자신을 녹여서 용착된,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소정 전위를 부여하는 금속부품을 가지며,
    상기 금속부품은 산화를 방지하는 피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를 방지하는 피막은 금증착, 금도금, 크롬도금 또는 니켈도금의 어느 것인가에 의해 형성된 피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4.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로서 이용되며, 유리관 내면에 형성된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에 플릿 내지는 유리관 자신을 녹여서 용착된,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소정 전위를 부여하는 금속부품을 가지며,
    상기 유리관과 상기 금속부품을 접착한 후, 상기 금속부품 표면의 산화피막을 제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피막의 제거는, 수소 또는 수소혼합가스분위기하에서의 환원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6.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로서 이용되며, 유리관 내면에 형성된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에 플릿 내지는 유리관 자신을 녹여서 용착된,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소정 전위를 부여하는 금속부품을 가지며, 플릿 내지 유리관 자신을 녹여 상기 금속부품에 용착한 상기 유리관의 접합부를 평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7.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로서 이용되며, 유리관 내면에 형성된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의 적어도 한쪽 개구단부에, 유리관 자신을 녹여서 용착된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소정 전위를 부여하는 금속부품을 가지며,
    상기 유리관의 개구단부 근방 내면이 모떼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8. 전자총의 주집속렌즈로서 이용되며, 유리관 내면에 형성된 나선형상 고저항체를 구비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의 적어도 한쪽 개구단부에, 유리관 자신을 녹여서 용착된 상기 나선형상 고저항체에 소정 전위를 부여하는 금속부품을 가지며,
    상기 유리관 내경이, 상기 금속부품의 내경보다도 크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KR1019970709447A 1996-04-18 1997-04-17 음극선관및그제조방법 KR100278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9096 1996-04-18
JP96-97190 1996-04-18
PCT/JP1997/001342 WO1997039471A1 (fr) 1996-04-18 1997-04-17 Tube cathodique et procede de fabr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977A true KR19990022977A (ko) 1999-03-25
KR100278769B1 KR100278769B1 (ko) 2001-02-01

Family

ID=14185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9447A KR100278769B1 (ko) 1996-04-18 1997-04-17 음극선관및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05338A (ko)
KR (1) KR100278769B1 (ko)
MX (1) MX9710406A (ko)
WO (1) WO199703947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055A (ko) * 2002-05-03 2003-11-07 주식회사 네오비트로 냉음극 형광램프용 유리관
KR100768172B1 (ko) * 2000-08-05 2007-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8756A (ja) * 2000-08-23 2002-03-08 Toyo Glass Co Ltd 高周波加熱シール用ガラスびん
KR100547189B1 (ko) * 2003-04-23 2006-01-31 스타전자(주) 그라파이트 펠트를 이용하는 탄소 발열 장치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500905A (nl) * 1985-03-28 1986-10-16 Philips N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inrichting met een elektrische weerstandslaag en toepassing van de werkwijze.
NL8600391A (nl) * 1986-02-17 1987-09-16 Philips Nv Kathodestraalbuis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kathodestraalbuis.
JPH0617004B2 (ja) * 1987-07-16 1994-03-09 東陶機器株式会社 セラミックハニカム構造体の押出し成形方法及び装置
NL8800194A (nl) * 1988-01-27 1989-08-16 Philips Nv Kathodestraalbuis.
JPH0423402A (ja) * 1990-05-18 1992-01-27 Fuji Electric Co Ltd 電圧非直線抵抗素子
DE69214876T2 (de) * 1991-05-16 1997-04-30 Philips Electronics Nv Kathodenstrahlröhre/Abtastlaser mit schneller Abtastung
JP3380926B2 (ja) * 1992-12-28 2003-02-24 ソニー株式会社 陰極線管の電子銃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陰極線管
EP0604951B1 (en) * 1992-12-28 1996-06-05 Sony Corporation Electron gun for a cathode ray tub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172B1 (ko) * 2000-08-05 2007-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30086055A (ko) * 2002-05-03 2003-11-07 주식회사 네오비트로 냉음극 형광램프용 유리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05338A (en) 1999-12-21
KR100278769B1 (ko) 2001-02-01
WO1997039471A1 (fr) 1997-10-23
MX9710406A (es) 199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6182B1 (ko) 음극선관의전자총및음극선관의제조방법
KR19990022701A (ko) 함침형 음극 구조체, 이것에 사용되는 음극 기재, 이 음극 기재를 이용한 전자총 구조체 및 전자관
KR100278769B1 (ko) 음극선관및그제조방법
JP5060722B2 (ja) 電子放出源形成用組成物及び電子放出源用被膜の形成方法
CA124995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device having an electric resistance layer and the use of the method
US3980917A (en) Photo-electrode structure
JPS63279536A (ja) 電子ビーム装置およびこれに用いる電子銃の製造方法
US2162808A (en) Electrode structure for television transmitting tubes
JPS6310887B2 (ko)
US2175701A (en) Method of manufacturing mosaic electrodes
US4608516A (en) Electron tube having glass-to-metal-to-glass seal
KR100238694B1 (ko) 음극선관의 전자총 및 그 제조방법
US8280006B2 (en) X-ray tube
WO2019181394A1 (en) Method of producing a vehicle glass assembly
US4827189A (en) Solder connection for an electrode of the gas discharge lamp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e
US4305744A (en) Method of making an electron multiplier device
US2204251A (en) Electrode for television tubes
JP2000277021A (ja) ガス放電型表示パネル用隔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71312A (ja) 電子放出源形成用組成物及び電子放出源用被膜の形成方法
JPH06275211A (ja) 陰極線管の電子銃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陰極線管
JPH0334827Y2 (ko)
SU97100A1 (ru) Трубчатый диодный разр дник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
JPH0384902A (ja) 分圧抵抗素子の製造方法
JP2000340122A (ja) ガス放電型表示パネル用隔壁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5441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