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2840U - 통발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통발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2840U
KR19990022840U KR2019990006805U KR19990006805U KR19990022840U KR 19990022840 U KR19990022840 U KR 19990022840U KR 2019990006805 U KR2019990006805 U KR 2019990006805U KR 19990006805 U KR19990006805 U KR 19990006805U KR 19990022840 U KR19990022840 U KR 199900228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ceps
slider
trap
lever
lev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68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길
유금범
Original Assignee
정용길
유금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길, 유금범 filed Critical 정용길
Priority to KR20199900068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2840U/ko
Publication of KR199900228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840U/ko
Priority to KR1020000021279A priority patent/KR100349009B1/ko
Priority to CNB001070592A priority patent/CN1174675C/zh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발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모릿줄에 통발(T)을 연결함에 있어 모릿줄의 고리에 걸어지는 집게레버(20,20')의 동작을 슬라이더(30)의 이동으로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상기 슬라이더(30)는 상기 집게레버(20,20')가 설치된 몸체(10)의 하단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30)에는 상기 집게레버(20,20')에 구비된 캠곡면(20c)과 연동되는 테이퍼돌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테이퍼돌부(32)와 캠곡면(20c)이 서로 연동되면서 상기 집게레버(20,20')가 동작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통발(T)을 모릿줄에 연결하는 작업과 연결된 통발(T)을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자동화가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통발 연결장치{pot connecting apparatus}
본 고안은 통발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릿줄의 고리에 연결되어 있는 통발을 기계작업으로 분리하여 낼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통발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발은 모릿줄에 일정 간격으로 매달아 해저에 침강시키고 일정 시간이 지난 다음 인양시켜 장어등의 수산물을 어획하는 도구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통발이 사용되는 상태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모릿줄(1)에는 일정 간격으로 고리(2)가 설치된다. 그리고, 통발(T)이 묶여져 있는 가짓줄(3)이 상기 고리(2)에 묶여져 상기 통발(T)이 상기 모릿줄(1)에 연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모릿줄(1)에는 약 7000개의 통발(T)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 가짓줄(3)은 상기 고리(2)에 일일이 묶여져 고정된다.
이와 같은 통발(T)은 통발어선에서 어로작업을 하기 전에 미리 일일이 매듭으로 묶여져 상기 모릿줄(1)에 고정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 상기 모릿줄(1)의 고리(2)에 상기 가짓줄(3)을 묶어 주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로 상기 통발(T)을 해저에 침강시켜 일정 시간동안 두어, 예를 들어 장어와 같은 어획대상물이 상기 통발(T)에 들어오게 한 후, 상기 통발(T)을 건져 올려 어획대상물을 잡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통발(T)을 건져 올리는 것은 상기 모릿줄(1)을 인양기를 사용하여 끌어올림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통발(T)은 건져올려짐과 동시에 모릿줄(1)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상기 통발(T)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리(2)에 묶여져 있는 가짓줄(3)을 손으로 풀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통발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상기 통발(T)을 모릿줄(1)의 고리(2)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일일이 상기 통발(T)의 가짓줄(3)을 고리(2)에 매듭지어 연결시켜야 하고, 바다에 침강시켜 둔 후에 회수할 때에도 일일이 작업자가 상기 통발(T)을 모릿줄(1)로부터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상기 통발(T)을 회수할 때에는 선박 현측에 설치된 안내로울러(도시되지 않음)의 전방에 숙련된 작업자가 인양기에 의해 올라오는 통발(T)의 가짓줄(3)을 일일이 풀어 분리시켜야 했다. 이와 같이 통발(T)을 분리시키는 작업은 고도로 숙련된 작업자가 2명이상 필요하고, 작업시간 또한 오래걸릴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릿줄에의 연결과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통발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통발의 분리작업을 기계화할 수 있는 통발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통발을 모릿줄에 연결하는 것을 보인 연결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통발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a,3b,3c,3d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몸체의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단면도.
도 4a,4b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레버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5a,5b,5c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라이더의 정면도, 평면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하는 동작상태도.
도 7은 본 고안 실시예가 사용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 모릿줄 2: 고리
3: 가짓줄 10: 몸체
11: 핀 11p: 핀공
12: 방호핀 14: 간섭회피홈
15p: 핀공 20,20': 집게레버
21,21': 핀 22s: 결합돌기
22r: 결합홈 23: 스프링홈
30: 슬라이더 31: 관통부
32: 테이퍼돌부 33: 연결부
35: 스프링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통발과 일측이 연결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집게레버가 서로 접촉되거나 분리되면서 통발을 모릿줄에 고정 및 분리가능하게 하는 집게기구와, 상기 집게레버가 서로 접촉되거나 분리되는 동작을 제어하는 착탈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집게기구는 상기 몸체에 각각 핀을 중심으로 동작되도록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집게레버와, 상기 집게레버를 각각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으로 지지하여 주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착탈기구는 상기 몸체를 따라 이동되고 내면에 치형돌기를 형성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집게레버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와,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집게레버가 서로 접촉되거나 분리되도록 상기 집게레버와 슬라이더의 서로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 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서로 대향되는 상기 집게레버의 선단에는 각각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형성되어 집게레버의 선단부 결합이 보다 정확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 몸체에는 상기 집게레버에 외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방호핀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통발연결장치에 의하면 통발을 모릿줄에 연결하고 분리하는 작업이 대단히 용이하게 되고, 통발의 연결 및 분리작업의 자동화가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통발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통발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통발(T)의 상단부에 몸체(10)가 핀(11)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상기 몸체(10)의 구성은 도 3a,3b,3c,3d에 잘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몸체(10)에는 상기 통발(T)의 상단부와 연결하기 위한 핀(11)이 삽입되는 핀공(11P)이 그 하단부에 횡으로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상단부에는 방호핀(1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호핀(12)은 아래에서 설명될 집게레버(20,20')에 외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도 3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호핀(12)들이 형성된 내측에는 관통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부(13)는 상기 몸체(10)의 상부와 하부를 서로 관통시키는 것으로 상기 집게레버(20,20')가 위치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양측에는 상하로 길게 간섭회피슬롯(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간섭회피슬롯(14)은 아래에서 설명될 슬라이더(30)의 몸체(10)를 따른 이동을 확보하기 위해 형성하는 것이다. 도면 부호 10'는 아래서 설명될 슬라이더(30)의 상방향 이동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이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상기 관통부(13)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횡으로 관통하여서는 상기 집게레버(20,20')의 회전운동중심이 되는 핀(21,21')이 삽입되는 핀공(15P)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0)의 관통부(13)에는 집게레버(20,20')가 설치된다. 상기 집게레버(20,20')에는 핀공(20p)가 횡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10)의 핀공(15p)과 상기 핀공(20p)에 핀(21,21')이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집게레버(20,2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집게레버(20,20')는 상기 몸체(10)에 스프링(25,25')에 의해 서로 벌어지려는 방향으로 항상 지지되어 있다. 즉, 상기 스프링(25,25')이 그 일단부는 몸체(10)에 타단부는 상기 집게레버(20,20')에 지지되어 그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핀(21,21')을 중심으로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집게레버(20,20')에는 상기 스프링(25,25')의 타단부가 위치되어 지지되는 스프링홈(2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집게레버(20)에는 결합돌기(22s)가 형성되고 상기 집게레버(20')에는 결합홈(22r)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결합돌기(22s)와 결합홈(22r)은 서로 반대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돌기(22s)와 결합홈(22r)은 상기 집게레버(20)의 선단이 서로 보다 정확하게 접촉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집게레버(20)의 하단부 내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슬라이더(30)의 테이퍼돌부(32)와 연동되는 캠곡면(20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곡면(20c)은 상기 테이퍼돌부(32)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집게레버(20)의 접촉과 분리운동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몸체(10)에는 슬라이더(30)가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더(30)는 상기 몸체(10)의 하단부측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이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더(30)의 내부는 역시 상하로 관통되도록 관통부(31)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관통부(31)의 중앙에는 상기 슬라이더(30)의 상단으로 돌출되게 테이퍼돌부(32)가 형성된다. 상기 테이퍼돌부(32)는 그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게 되도록 그 외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집게레버(20,20')의 캠곡면(20c)과 접촉되면서 상기 집게레버(20,20')의 동작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테이퍼돌부(32)는 연결부(33)에 의해 상기 관통부(31)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33)는 상기 간섭회피슬롯(14)을 따라 승강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30)의 관통부(31) 내면은 상기 몸체(10)와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하도록 치형돌기(30t)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치형돌기(30t)를 슬라이더(30)에 형성하는 것은 상기 몸체(10)와의 접촉저항을 감소시켜 슬라이더(30)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슬라이더(30)와 몸체(10)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슬라이더(30)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발(T)의 상단부에 설치된 스프링(35)에 의해 항상 몸체(10)의 상방을 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에는 상기 집게레버(20,20')의 선단부가 서로 접촉되어 있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는 통발연결장치에 외부의 힘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이다. 즉, 모릿줄(1)의 고리(2)에 통발연결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30)가 몸체(10)의 상부측으로 이동되어 스토퍼(10')에 걸려 있는 상태에다. 이 경우, 상기 테이퍼돌부(32)의 하단부 측에 상기 집게레버(20,20')의 캠곡면(20c)이 접촉되어 상기 집게레버(20,20')의 선단부는 상기 스프링(25,25')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서로 접촉된 상태로 된다.
여기서, 상기 집게레버(20,20')의 선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기(22s)와 결합홈(22r)은 서로 결합되어 상기 집게레버(20,20')의 선단부가 서로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집게레버(20,20')의 선단부를 서로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슬라이더(30)를 상기 스프링(35)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를 따라 통발(T)쪽으로 이동시켜 주면 된다.
상기 슬라이더(30)가 통발(T)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테이퍼돌부(32)와 캠곡면(20c)과의 접촉부분이 달라지면서, 상기 집게레버(20,20')가 핀(21,21')을 중심으로 상기 스프링(25,25')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분리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통발(T)을 모릿줄(1)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7에는 본 고안에 의한 통발연결장치를 사용하여 통발(T)을 모릿줄(1)에 연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통발연결장치는 상기 슬라이더(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집게레버(20,20')가 서로 분리되고 접촉되도록 동작되므로 별도의 기계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슬라이더(30)를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통발(T)을 모릿줄(1)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통발연결장치는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집게레버가 서로 벌어지거나 오무러지게 동작되도록 하여 통발을 모릿줄에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더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통발을 모릿줄에 연결하는 작업과 모릿줄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만들어 내기 위한 별도의 기계장치를 구비하면 상기 통발을 모릿줄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게 되어 어업분야에서의 큰 노동력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통발과 일측이 연결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집게레버가 서로 접촉되거나 분리되면서 통발을 모릿줄에 고정 및 분리가능하게 하는 집게기구와,
    상기 집게레버가 서로 접촉되거나 분리되는 동작을 제어하는 착탈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기구는 상기 몸체에 각각 핀을 중심으로 동작되도록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집게레버와,
    상기 집게레버를 각각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으로 지지하여 주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연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서로 대향되는 상기 집게레버의 선단에는 각각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형성되어 집게레버의 선단부 결합이 보다 정확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연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기구는 상기 몸체를 따라 이동되고 내면에 치형돌기를 형성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집게레버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와,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집게레버가 서로 접촉되거나 분리되도록 상기 집게레버와 슬라이더의 서로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 캠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연결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집게레버에 외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방호핀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연결장치.
KR2019990006805U 1999-04-23 1999-04-23 통발연결장치 KR19990022840U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805U KR19990022840U (ko) 1999-04-23 1999-04-23 통발연결장치
KR1020000021279A KR100349009B1 (ko) 1999-04-23 2000-04-21 통발 연결장치
CNB001070592A CN1174675C (zh) 1999-04-23 2000-04-24 筌连接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805U KR19990022840U (ko) 1999-04-23 1999-04-23 통발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840U true KR19990022840U (ko) 1999-07-05

Family

ID=547559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6805U KR19990022840U (ko) 1999-04-23 1999-04-23 통발연결장치
KR1020000021279A KR100349009B1 (ko) 1999-04-23 2000-04-21 통발 연결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1279A KR100349009B1 (ko) 1999-04-23 2000-04-21 통발 연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9990022840U (ko)
CN (1) CN1174675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717A (ko) * 1999-12-21 2000-03-06 김용문 통발용 포획줄 착탈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043B1 (ko) 2008-07-23 2011-03-25 박명오 어로장비 체결분리장치
KR101543259B1 (ko) 2014-05-22 2015-08-10 박홍규 통발착탈장치
KR102445694B1 (ko) 2020-05-22 2022-09-21 유금범 통발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7080Y1 (ko) * 1997-04-07 1999-10-01 조영주 통발연결 및 분리장치
KR19980068957U (ko) * 1998-09-23 1998-12-05 조영주 통발연결 및 분리장치
KR100285578B1 (ko) * 1999-01-22 2001-03-15 박명오 어로장비 체결분리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717A (ko) * 1999-12-21 2000-03-06 김용문 통발용 포획줄 착탈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1517A (zh) 2000-11-01
KR20000053824A (ko) 2000-09-05
CN1174675C (zh) 2004-11-10
KR100349009B1 (ko) 200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150969A (ja) 細長い可撓要素の保持装置
US4101157A (en) Tool for fishing an object from a bore hole
KR960001842B1 (ko) 앵커 회수장치
KR100349009B1 (ko) 통발 연결장치
KR200202788Y1 (ko) 통발 연결장치
US5791382A (en) Separable collar for the harness of a Jacquard mechanism
JP4545853B2 (ja) アンカー回収装置
US4700979A (en) Apparatus for lifting concrete panels
JP4897498B2 (ja) 鳥害防止装置、鳥害防止具、鳥害防止具の配設構造、鳥害防止具の配設方法、および、鳥害防止具の回収方法
KR200276309Y1 (ko) 통발 연결장치
US4846093A (en) System for releasing an anchor moored to the bottom of the sea
US3283736A (en) Collapsible anchor
US4946394A (en) Connection mechanism for connecting a cable connector to a bushing
US3967460A (en) Apparatus for use in replacing broken guidelines
KR200235188Y1 (ko) 어로장비 체결분리기
EP0398740B1 (en) Anchor retrieving device
KR100311902B1 (ko)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
KR102112265B1 (ko) 통발 연결구
USRE33881E (en) Apparatus for lifting concrete panels
US6926082B2 (en) Wireline fishing safety sleeve
KR200253339Y1 (ko) 통발 연결장치
JP3065581U (ja) 漁業用器具着脱器
US4537435A (en) Downhole retrieval tool
JPS59501342A (ja) はりす頭からの釣針の離脱装置
KR100448375B1 (ko) 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