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1930U - 피복살균건조기 - Google Patents

피복살균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1930U
KR19990021930U KR2019990001425U KR19990001425U KR19990021930U KR 19990021930 U KR19990021930 U KR 19990021930U KR 2019990001425 U KR2019990001425 U KR 2019990001425U KR 19990001425 U KR19990001425 U KR 19990001425U KR 19990021930 U KR19990021930 U KR 199900219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nclosure
shelf
drying chamber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14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택
Original Assignee
홍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영택 filed Critical 홍영택
Priority to KR20199900014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1930U/ko
Publication of KR199900219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930U/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0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with devices for preserving the shape of the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6Condition of the drying air, e.g. air humidity or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복 살균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피복 살균 건조기를 형성함에 있어서, 힌지에 의해 지지 개폐되는 문을 갖는 함체의 내부 천정에 자외선 살균등을 설치하고, 이 함체의 내부를 일정간격으로 구획 분리한 격벽을 형성하여 의복 건조실과 다용도 건조실로 분리되도록 하며, 상기 의복 건조실의 상부에는 옷걸이 걸이용 행거를 설치하고, 다용도 건조실측의 내측벽과 격벽 상부에는 장갑, 모자 등을 걸어 건조시키는 걸이봉을 형성하며, 상기 걸이봉의 하부에는 선반홈을 형성하여 이 선반홈에 다수의 선반구멍이 천공된 선반이 끼워져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의복 건조실과 다용도 건조실의 하부에 오존 살균기를 각각 설치하여 형성하며, 상기 함체의 외측벽과 내측벽 사이에 외부 공기가 함체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인 송풍로를 형성하되, 상기 송풍로의 소정 일곳에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를 설치하여 형성하고, 내측벽 바닥면에는 송풍로의 공기를 함체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함체의 상측에는 외부 공기를 송풍로로 유입시키는 송풍기와 함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형성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복 살균 건조기{CLOTHING DRIER}
본 고안은 피복 살균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젖은 피복을 신속하게 건조시킴과 동시에 인체에 해로운 병원균을 살균시킬 수 있는 피복 살균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식당의 주방, 하천의 정비, 상.하수도의 보수 등과 같이 물 또는 습기와 같은 수분이 많은 곳에서 작업하는 사람들이 착용하고 있던 작업복, 모자, 장갑 등의 피복은 상기의 장소에서 작업이 끝날 무렵이 되면 상기 물 또는 습기, 땀 등으로 인해 축축하게 젖어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피복이 젖어있는 상태로 계속 작업을 행하면 작업자의 기분이 불쾌해짐은 물론이고, 각종 세균이 번식하게 되며 이로 인해 악취까지 발생되는 등 비위생적인 상태가 되어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결과까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들 작업자들은 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피복을 벗어 다음 작업을 할 때 까지 통풍이 잘되는 곳에 걸어놓고 건조시킨 후, 건조된 피복을 입고 다음 작업을 행하게 되는데, 주로 주간 시간대인 아침부터 저녁까지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고, 이와 같이 저녁에 작업이 종료되면 다음날 오전에 다시 작업을 행할 때 까지 통풍이 잘되는 곳에 작업당시 착용하고 있던 피복을 벗어 놓아 건조시킨다.
그러나 상기의 경우에서와 같이 야간에 자연 통풍 작용으로 피복을 건조 시킨다는 것은, 공기중의 수분함유량이 주간에 비해 야간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다소의 건조 효과는 있을 수 있으나, 완전 건조될 것이라는 기대는 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피복은 다음날 오전에도 눅눅한 상태로 젖어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다시 착용을 하고 작업하는 과정에서 물이나 습기, 땀 등으로 더욱더 젖는 상태로 되며, 이후 다시 눅눅한 상태로 건조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상기 피복은 세균이 번식하기에 더없이 좋은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피복을 자연 통풍에 의해 건조시키는 방법은 완전 건조 되지 않고 수분이 포함되어 있는 눅눅한 상태로 건조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기분을 불쾌하게 하여 작업의 능률을 저하시킴은 물론이고, 각종 세균의 번식으로 인해 주위의 환경을 비위생적으로 만들며, 심지어는 작업자에게 세균의 감염으로 인한 피부병이 발병되는 등 건강상태까지 위협을 주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대형 식당의 주방, 하천의 정비, 상.하수도 보수 등과 같이 물이나 습기 등이 많은 장소에서 작업자들이 작업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분과 땀 등으로 인해 젖은 작업복, 모자, 장갑 등의 피복을 작업종료후 신속하게 건조시킴과 동시에 살균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다음 작업시에는 완전 건조된 쾌적한 상태의 피복을 작업자들에게 제공하므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세균이 서식하는 것을 방지하여 환경을 위생적으로 하며, 작업자에게 세균이 감염되는 건강 저해 요인을 제거하는 피복 살균 건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피복 살균 건조기를 형성함에 있어서, 힌지에 의해 지지 개폐되는 문을 갖는 함체의 내부 천정에 자외선 살균등을 설치하고, 이 함체의 내부를 일정간격으로 구획 분리한 격벽을 형성하여 의복 건조실과 다용도 건조실로 분리되도록 하며, 상기 의복 건조실의 상부에는 옷걸이 걸이용 행거를 설치하고, 다용도 건조실측의 내측벽과 격벽 상부에는 장갑, 모자 등을 걸어 건조시키는 걸이봉을 형성하며, 상기 걸이봉의 하부에는 선반홈을 형성하여 이 선반홈에 다수의 선반구멍이 천공된 선반이 끼워져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의복 건조실과 다용도 건조실의 하부에 오존 살균기를 각 설치하여 형성하며, 상기 함체의 외측벽과 내측벽 사이에 외부 공기가 함체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인 송풍로를 형성하되, 상기 송풍로의 소정 일곳에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를 설치하여 형성하고, 내측벽 바닥면에는 송풍로의 공기를 함체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함체의 상측에는 외부 공기를 송풍로로 유입시키는 송풍기와 함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형성하여 이루어 지는 것이며, 상기 함체의 바닥면에 형성한 송풍구멍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하단에 형성하고 상단은 의복이 걸려 지지되는 어깨부를 형성하며 내부는 송풍로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수용하는 중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건조구멍을 표면에 형성하여서 된 옷걸이 봉과, 상기 선반구멍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하단에 형성하고 내부는 송풍로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수용하는 중공부를 형성하며 상기 중공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건조구멍을 표면에 형성하여서 된 건조봉을 각각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피복 살균 건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피복 살균 건조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내부에 옷걸이봉과 건조봉을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함체 11 : 외측 벽 12 : 내측 벽
13 : 격벽 14 : 의복 건조실 15 : 다용도 건조실
16 : 행거 17 : 선반 17' : 선반구멍
18 : 선반홈 19 : 걸이봉 20 : 송풍로
21 : 히터 22 : 송풍기 23 : 배출구
24 : 송풍구멍 25 : 자외선 살균등 26 : 오존 살균기
27 : 문 28 : 힌지 29 : 손잡이
30 : 옷걸이 봉 31 : 어깨부 32, 37 : 삽입부
33, 36 : 건조구멍 34, 38 : 중공부 35 : 건조봉
100 : 피복 살균 건조기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피복 살균 건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피복 살균 건조기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힌지(28)에 의해 지지 개폐되는 문(27)을 갖는 함체(10)의 내부 천정에 자외선 살균등(25)을 설치하고, 이 함체(10)의 내부를 일정간격으로 구획 분리한 격벽(13)을 형성하여 상기 함체(10)의 내부가 의복 건조실(14)와 다용도 건조실(15)로 분리되도록 하며, 상기 의복 건조실(14)의 상부에는 옷걸이 걸이용 행거(16)를 설치하고, 다용도 건조실(15)측의 내측벽(12)과 격벽(13) 상부에는 장갑, 모자 등을 걸어 건조시키는 걸이봉(19)을 형성하며 상기 걸이봉(19)의 하부에는 다수의 선반홈(18)을 형성하여 이 선반홈(18)에 다수의 선반구멍(17')이 천공된 선반(17)이 끼워져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에 있어서 자외선 살균등(25)은 의복 건조실(14)과 다용도 건조실(15) 각각에 설치 할 수 있으며, 하나를 설치하여 의복 건조실(14)과 다용도 건조실(15)을 동시에 살균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의복 건조실(14)과 다용도 건조실(15)의 하부에 오존 살균기(26)를 각각 설치하여 형성하므로써 더욱더 확실한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함체(10)의 외측벽(11)과 내측벽(12) 사이에 외부 공기가 함체(10)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인 송풍로(20)를 형성하되, 상기 송풍로(20)의 소정 일곳에는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21)를 설치하여 형성하고, 내측벽(12) 바닥면에는 송풍로(20)의 공기를 함체(10)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구멍(24)을 형성하며, 상기 함체(10)의 상측에는 외부 공기를 송풍로(20)로 유입시키는 송풍기(22)를 형성 설치한다. 또한 함체(10) 내부의 습기가 포함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23)를 상기 함체(10)의 상측에 형성한다.
이와 함께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함체(10)의 바닥면에 형성한 송풍구멍(24)에 삽입 고정되는 옷걸이 봉(30)을 형성함에 있어서, 하단에 상기 송풍구멍(24)에 삽입되는 삽입부(32)를 형성하고, 상단은 의복이 걸려 지지되는 어깨부(31)를 형성하며, 내부는 송풍로(20)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수용하는 중공부(34)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부(34)의 공기를 배출하는 건조구멍(33)을 표면에 형성하여 구비하며, 이와 함께 상기 선반구멍(17')에 삽입고정되는 건조봉(35)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선반구멍(17')에 삽입되는 삽입부(37)를 하단에 형성하고, 내부는 송풍로(20)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수용하는 중공부(38)를 형성하며, 상기 중공부(38)의 공기를 배출하는 건조구멍(36)을 표면에 형성하여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피복 살균 건조기(100)를 구비한다.
첨부한 도면중 미설명 부호 29는 손잡이 이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피복 살균 건조기(100)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물, 습기 등 수분이 많은 곳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이 착용하는 작업복, 모자, 장갑 등 피복은 상기 수분과 작업자의 땀 등으로 인해 작업이 끝날 무렵에는 젖어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이 끝나면 상기 작업자는 착용하고 있던 피복을 벗어 건조시키게 되는데, 이때 본 고안인 피복 살균 건조기(100)를 이루는 함체(10)에 힌지(28)로 지지되는 문(27)의 손잡이(29)를 잡고 상기 문(27)을 개방시킨후, 피보을 상기 함체(10)의 내부에 걸어놓고 문(27)을 닫은 다음 상기 피복 살균 건조기(100)에 전원을 인가하면 피복이 건조되면서 상기 피복에 서식하는 세균까지 살균된다.
즉, 작업복은 옷걸이 등을 이용하여 의복 건조실(14)에 형성된 행거(16)에 걸어 놓고, 모자, 장갑 등은 다용도 건조실(15)에 형성 설치한 선반(17)위에 올려 놓거나 걸이봉(19)에 걸어 놓고 피복 살균 건조기(100)에 전원을 인가하면, 함체(10)의 상측에 형성 설치한 송풍기(22)가 작동하며 외부의 공기를 송풍로(20)측으로 보내게 된다. 이와 같이 송풍기(22)가 작동하면서 외부의 공기를 계속하여 송풍로(20)로 보내면, 송풍로(20)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송풍로(20)를 따라 함체(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히터(21)가 설치된 곳을 지나면서 상기 히터(21)에 의해 가열된다. 이 과정에서 공기중에 있던 수분이 증발되어 건조한 상태가 되며, 상기 히터(21)는 전원에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 될 때 작동하게 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가열 건조된 공기는 함체(10)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한 송풍구멍(24)을 통해 의복 건조실(14)과 다용도 건조실(15)로 들어오게 되며, 이 가열 건조된 공기가 상기 피복의 수분을 흡수하여 피복은 완전 건조된다. 이때 피복의 수분을 흡수한 공기는 가열 건조된 공기가 계속하여 유입됨에 따라 이 공기에 의해 밀리면서 배출구(2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의복 건조실(14)과 다용도 건조실(15)은 항상 따뜻하고 건조한 상태가 유지되어 수분이 함유된 피복을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원이 인가되면서 자외선 살균등(25)과 오존 살균기(26)를 작동시키게 되는데, 의복 건조실(14)과 다용도 건조실(15)의 상.하에서 살균작용하게 되므로, 구석구석을 살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복 건조실(14)과 다용도 건조실(15)에 걸려져 있는 피복에 서식하는 세균을 완전 살균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한 피복 외에 행주, 작업화, 장화 등 세균 번식이 쉬운 물품중 청결한 위생상태를 요하는 것은 어느 것이라도 살균 건조시킬 수 있다.
한편, 다용도 건조실(15)측의 내측벽(12)과 격벽(13)에 다수의 선반홈(18)을 형성하여, 건조시킬 물품의 형태와 모양에 따라 선택적으로 선반(17)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선반(17)에 다수의 선반구멍(17')을 형성하여, 송풍로(20)로 부터 유입되는 가열 건조된 공기가 이 선반구멍(17')을 통해 함체(10)의 내부 하측에서 상측으로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외에도 본 고안은 송풍구멍(24)과 선반구멍(17')에 각각 끼워 사용하는것으로, 내부 중공부(34, 38)로 가열 건조된 공기를 수용하고, 이 공기를 건조구멍(33, 36)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여 피복이 보다 더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옷걸이 봉(30)과 건조봉(35)을 각각 형성 구비하였는데, 상기 옷걸이 봉(30)은 하단에 형성된 삽입부(32)를 의복 건조실(14)의 바닥면에 형성한 송풍구멍(24)에 삽입 고정 설치하고, 상부에 형성한 어깨부(31)에 의복을 걸어 놓되, 어깨부(31)가 의복의 내부에서 상기 의복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걸어 놓으면, 옷걸이 봉(30)이 의복 내부로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 송풍로(20)에서 송풍구멍(24)을 통과한 가열 건조된 공기가 옷걸이 봉(30)의 내부 중공부(34)로 수용되고, 이와 같이 수용된 공기는 다시 건조구멍(3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의복의 내부를 건조시키게 된다. 따라서 옷걸이 봉(30)으로 수용되는 공기는 의복의 내부를 건조시키고, 옷걸이 봉(30)이 설치되지 않아 송풍구멍(24)을 통해 의복 건조실(14)로 직접 유입되는 공기는 의복의 외부를 건조시키게 되므로, 보다 신속하게 의복을 건조시킬 수 있어, 급하게 건조시켜야 할 필요가 있는 의복은 이 옷걸이 봉(30)을 사용하여 건조시키도록 한다.
또한, 선반구멍(17')에 삽입 설치하는 건조봉(35)은 그 작용이 상기 옷걸이 봉(30)과 같으나, 이 건조봉(35)에는 모자, 장갑 등을 걸어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대형 식당의 주방, 하천의 정비, 상.하수도 보수 등과 같이 물이나 습기 등이 많은 장소에서 작업자들이 작업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분과 땀 등으로 인해 젖은 작업복, 모자, 장갑 등의 피복을 작업종료 후 신속하게 건조시킴과 동시에 살균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다음 작업시에는 완전 건조된 쾌적한 상태의 피복을 작업자들에게 제공하므로써 작업자들이 상쾌한 상태로 작업에 임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세균이 서식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 환경을 위생적으로 함과 동시에, 작업자에게 세균이 감염되어 피부질환 등의 질병이 발발하는 등 건강 저해 요인을 제거하였고, 작업자가 착용 하는 피복 외에도 위생상 살균 건조를 요하는 행주 등도 살균 건조시킬 수 있는 고안이다.

Claims (2)

  1. 피복 살균 건조기를 형성함에 있어서, 힌지(28)에 의해 지지 개폐되는 문(27)을 갖는 함체(10)의 내부 천정에 자외선 살균등(25)을 설치하고, 이 함체(10)의 내부를 일정간격으로 구획 분리한 격벽(13)을 형성하여 의복 건조실(14)과 다용도 건조실(15)로 분리되도록 하며, 상기 의복 건조실(14)의 상부에는 옷걸이 걸이용 행거(16)를 설치하고, 다용도 건조실(15)측의 내측벽(12)과 격벽(13)상부에는 장갑, 모자 등을 걸어 건조시키는 걸이봉(19)을 형성하며, 상기 걸이봉(19)의 하부에는 선반홈(18)을 형성하여 이 선반홈(18)에 다수의 선반구멍(17')이 천공된 선반(17)이 끼워져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의복 건조실(14)과 다용도 건조실(15)의 하부에 오존 살균기(26)를 각각 설치하여 형성하며, 상기 함체(10)의 외측벽(11)과 내측벽(12) 사이에 외부 공기가 함체(10)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인 송풍로(20)를 형성하되, 상기 송풍로(20)의 소정 일곳에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21)를 설치하여 형성하고, 내측벽(12) 바닥면에는 송풍로(20)의 공기를 함체(10)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구멍(24)을 형성하며, 상기 함체(10)의 상측에는 외부 공기를 송풍로(20)로 유입시키는 송풍기(22)와 함체(10)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23)를 형성하여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살균 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0)의 바닥면에 형성한 송풍구멍(24)에 삽입되는 삽입부(32)를 하단에 형성하고 상단은 의복이 걸려 지지되는 어깨부(31)를 형성하며 내부는 송풍로(20)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수용하는 중공부(34)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부(34)의 공기를 배출하는 건조구멍(33)을 표면에 형성하여서 된 옷걸이 봉(30)과, 상기 선반구멍(17')에 삽입되는 삽입부(37)를 하단에 형성하고 내부는 송풍로(20)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수용하는 중공부(38)를 형성하며 상기 중공부(38)의 공기를 배출하는 건조구멍(36)을 표면에 형성하여서 된 건조봉(35)을 각각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살균 건조기.
KR2019990001425U 1999-02-01 1999-02-01 피복살균건조기 KR1999002193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425U KR19990021930U (ko) 1999-02-01 1999-02-01 피복살균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425U KR19990021930U (ko) 1999-02-01 1999-02-01 피복살균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930U true KR19990021930U (ko) 1999-06-25

Family

ID=54755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1425U KR19990021930U (ko) 1999-02-01 1999-02-01 피복살균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1930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1438A2 (ko) * 2011-04-13 2012-10-18 Kim Guk-Hwan 세탁물 건조용 송풍유닛 및 이를 이용한 열풍 건조장치
KR101355037B1 (ko) * 2012-03-19 2014-01-27 송중식 가방 건조기
KR101971618B1 (ko) * 2019-01-09 2019-05-09 주식회사 유렌코리아 미용 마스크팩의 온열살균장치
CN115218626A (zh) * 2022-06-13 2022-10-21 马鞍山市徽盛服饰有限公司 一种用于服装加工用烘干生产线和服装烘干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1438A2 (ko) * 2011-04-13 2012-10-18 Kim Guk-Hwan 세탁물 건조용 송풍유닛 및 이를 이용한 열풍 건조장치
WO2012141438A3 (ko) * 2011-04-13 2013-01-10 Kim Guk-Hwan 세탁물 건조용 송풍유닛 및 이를 이용한 열풍 건조장치
KR101368656B1 (ko) * 2011-04-13 2014-03-04 김국환 세탁물 건조용 송풍유닛 및 이를 이용한 열풍 건조장치
KR101355037B1 (ko) * 2012-03-19 2014-01-27 송중식 가방 건조기
KR101971618B1 (ko) * 2019-01-09 2019-05-09 주식회사 유렌코리아 미용 마스크팩의 온열살균장치
CN115218626A (zh) * 2022-06-13 2022-10-21 马鞍山市徽盛服饰有限公司 一种用于服装加工用烘干生产线和服装烘干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948B1 (ko) 살균 탈취기가 구비된 붙박이 수납장
KR100893217B1 (ko) 의류관리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KR100928466B1 (ko) 위생복 소독기
KR20050120728A (ko) 신발살균탈취기
KR200388257Y1 (ko) 위생 관리 보관 장치
KR101465190B1 (ko) 의류 건조기
KR200187262Y1 (ko) 위생 신발장
KR19990021930U (ko) 피복살균건조기
KR20170034804A (ko) 의자 체결형 의류 살균 탈취기
KR200377330Y1 (ko) 의류 건조기
KR100625104B1 (ko) 신발 건조기
KR20210126448A (ko) 신발 겸용 의류 관리기
KR19990021939U (ko) 피복살균건조기
JP3619203B2 (ja) 乾燥装置
KR200440273Y1 (ko) 공기순환식 살균라커
KR200165450Y1 (ko) 위생 신발장
JP2000233099A (ja) 衣類等収納乾燥装置
JP3418529B2 (ja) 乾燥機能付収納箱
KR100645084B1 (ko) 의류 살균 및 건조 수납장
KR102538441B1 (ko) 환기 기능을 갖는 옷장
KR200179341Y1 (ko) 의류 건조기
KR101595511B1 (ko) 가변형 건조 살균기
KR200252075Y1 (ko) 위생 신발장
KR200298653Y1 (ko) 빨래 건조기
KR200357805Y1 (ko) 건조탈취기능을 갖는 옷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DR Request for amendment
U051 Notice for disposition of invali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