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1917U - 공압을이용한때밀이장치 - Google Patents

공압을이용한때밀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1917U
KR19990021917U KR2019990001358U KR19990001358U KR19990021917U KR 19990021917 U KR19990021917 U KR 19990021917U KR 2019990001358 U KR2019990001358 U KR 2019990001358U KR 19990001358 U KR19990001358 U KR 19990001358U KR 19990021917 U KR19990021917 U KR 199900219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od
slider
center
fri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13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강훈
Original Assignee
윤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강훈 filed Critical 윤강훈
Priority to KR20199900013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1917U/ko
Publication of KR199900219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917U/ko

Links

Landscapes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목욕시 타인에게 때를 미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등부분은 손이 닿지 아니하므로 여러 가지 보조 기구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 기구는 전기를 사용하므로 사용전원을 인입하기 위하여 유선에 의한 외부전원의 공급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그외에 밧데리를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 전원에 다습한 목욕탕의 환경 때문에 쇼트현상이 일어나 쉽게 고장이 되며 또다른 현상으로는 사용자의 감전현상도 빈발하고 있다.
본 고안은 공압을 이용한 실린더에 피부박피용 기구를 부착하여 등부분의 때를 벗겨낼수 있게 하였으며 동시에 손으로 파지하여 전신의 때를 벗길 수 있는 소형때밀이도 함께 설치하여 전원의 공급이 없이 때를 밀 수 있게 하였다. 특히 전원의 공급이 필요없게 되어 전원쇼트에 의한 고장현상도 전무하게 하였다.

Description

공압을 이용한 때밀이장치{AUTOMATIC MACHINE FOR WASHING OFF THE DIRT}
본 고안은 공압을 이용한 자동 때밀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때밀이 기구는 전기구동 모터의 동력축에 별도의 때밀이수건을 고정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채 피부에 압박하므로서 떼를 벗겨내고 있다. 이와 같은 때밀이 장치는 동력원으로 전기를 사용하므로 다습한 목용탕내에서 장시간 사용시 방습처리부분이 마모되어 쇼트현상이 빈발하며 심한 경우 사용자에게 감전현상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는 것이다.
이상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테이블 형태의 박스내에 구동모터를 내장하고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롤러 표면에 마찰타월을 부착하여 이 롤러만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한 다음 이곳에 사용자가 신체를 눕히거나 밀착하여 주는 고정방식도 제공되고 있으나 설치규모가 사람이 손쉽게 사용하기 어려우며 상당한 수준의 설치비가 소요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두 개의 가이딩축사이에 에어실린더를 설치하고 내부에 마그네트가 있는 피스톤을 내장하여 피스톤의 승하강으로 외부에 자력에 의한 고정이 되어 있는 슬라이더도 함께 승하강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 슬라이더에는 별도의 봉체를 체결하고 봉체의 단부에 때밀이용 마찰타월을 부착하여 슬라이더의 승하강에 따라 사용자의 등부분과 같은 곳을 깨끗이 닦을 수 있게 하였다. 따라서 습도가 많은 목욕탕의 실내에서 전원의 사용이 없이 작동이 되므로 사용시 발생되는 누전이나 그에 따른 고장의 현상이 전무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장시간 사용이 되어도 고장이 없도록 하였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2 는 본 고안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에어실린더 2,3 : 좌.우 가이드봉
4,5 : 상.하 벤튜리부 12 : 체결부 13 : 마찰타월고정구
15 : 센터감지봉 7,8 : 상.하감지센서 21 : 핸들부
30 : 하우징 31 : 가이드슬릿 20 : 콘트롤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1 에 도시하듯이 중앙에 에어실린더(1)를 설치하고 그 좌우로는 좌.우가이드봉(2)(3)을 설치하여 상.하의 에어벤튜리부(4)(5)를 통하여 중앙의 에어실린더로 에어가 공급가능하도록 구성한 구동부와,
상기한 구동부의 에어실린더(1)와 좌.우가이드봉(2)(3)이 관통가능하도록 가이드공(1a)(2a)(3a)이 형성되고 전면일측에 고정봉(11) 체결용 체결부(12)가 형성된 슬라이더와,
상기한 슬라이더의 체결부(12)에 일단이 체결되고 타단은 마찰타월 고정구(13)를 조립하여 하우징의 가이드슬릿(31)올 통하여 외부에 부분 노출된 봉체와,
상기한 봉체의 마찰타원고정구만 외부로 노출하고 구동부와 슬라이더를 내장하는 하우징(30)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구동부는 에어실린더의 내부에 자석으로 제작한 피스톤을 내장하였다. 따라서 외부에 조립되는 슬라이더가 철재와 같은 자력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제작되는 경우 피스톤의 승하강에 따라 함께 승강토록 하였다. 그리고 에어벤튜리부(4)(5)에는 방향제어밸브를 내장하여 도시한 상하감지센서(7)(8)에 슬라이더의 일측면이 감지되면 에어벤튜리내로의 에어공급방향을 전환하여 중앙의 에어실린더로 공급하도록 하였다.
본 고안의 슬라이더는 좌.우가이드봉(2)(3)과 에어실린더(1)와 접하는 가이드공 내면에 마찰저항감소를 위한 베어링과 같은 재질을 설치하였으며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슬라이더의 크기와 형태를 단순한 육면체에서 원통형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고안의 봉체는 일정길이의 봉상체의 하단이 슬라이더의 체결부와 체결되고 타단은 때밀이 타월이 억지끼워맞춤가능하도록 요철부(14)가 다수개 표면에 형성된 마찰타월고정구(13)의 하단과 일체화되어 있다.
본고안에서 상.하 에어벤튜리부(4)(5)에는 에어인입배출도관(4a)(5a)가 측면에 설치되며 상하단부는 하우징과 일체화되어져 목욕탕의 벽체에 고정되어 진다.
본고안에서 하우징의 전면측에는 거리조절봉(16)이 수직입설되고 그선단에 원형, 타원형, 사각형등의 다각형 형태의 센터감지봉(15)을 설치하여 그 중앙부에 마찰타월고정구(13)가 배치토록 하였다.
본 고안에서 하우징(30)은 봉체의 승하강로드용 가이드슬릿(31)이 중앙에 설치되고, 슬릿의 폭은 탄성재(31a)로 마감하여 봉체승강이 자유로우면서도 외부로 부터의 이물질 침입이 없도록 하였다. 하우징은 상기한 가이드슬릿의 설치형태가 유지되는 한 도시한 직육면체 와 사다리꼴 형태로 하거나, 원통체등의 다양한 형태로 설치할 수 있으며 외부와의 단절이 가능한 형태라면 어떠한 것도 동일한 것이다.
본고안에서 미설명부호(20)은 콘트롤부로 에어의 진입방향과 강약을 조절하는 곳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로는 이동식 공압때밀이기구로서 핸들부(21)에 에어조절간(22)을 설치하고, 핸들의 선단에는 보조축(23)을 설치하고 이곳에 마찰타월고정구(25)의 고정단(26)이 고정토록 하였다. 상기한 에어조절간(22)은 핸들 내부에 설치된 밸브와 연계토록 하여 에어조절간의 온,오프에 따라 핸들로의 에어공급이 제어토록 에어조절밸브축(22a)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내장된 밸브의 개방과 폐쇄를 임의 조절이 가능하며 핸들후단에는 에어공급관이 부착되어진다.
이상의 구조적 특징에 따른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목욕탕의 샤워기등이 설치된 벽면에 본고안의 장치를 설치하고 봉체의 마찰타월고정구(13)에 공지의 때밀이 타월을 덮어 씌워준다. 이상태에서 에어를 공급하면 상하감지센서(7)(8)의 감지된 형태에 따라 에어벤튜리부(4)(5)에 대한 에어의 공급이 제어된다. 만일 상측에 에어가 공급되면 슬라이더는 중앙의 실린더에 내장된 피스톤을 중심으로 그 상부에 에어가 공급되어 피스톤을 하측으로 밀어주므로 슬라이더가 하강하게 된다. 슬라이더의 하강으로 이것에 체결된 봉체와 봉체에 고정된 마찰타월고정구(25)도 하강한다. 이때에 사용자가 센터감지봉(15)에 의한 정확한 위치를 맞추어 등부분을 밀착하므로 때미는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슬라이더가 하강하여 하측 감지센서(8)에 터치가 되면 역방향으로의 에어공급이 되어 슬라이더는 반대로 이동한다. 이상의 동작이 연속반복하면서 등부분에 대한 때밀이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다른 실시예로 제공되는 핸들이 있는 이동식 공압때밀이기구는 핸들부(21)를 파지하고 마찰타월고정구(25)에 마찰타월을 덮어씌운 다음 이곳을 피부에 대고 마찰하므로서 등부분을 제외한 전체의 때밀이 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은 등과 같이 사람의 손이 잘 닿지 않는 부위에 대하여 손쉽게 때를 밀수 있도록 하였으며 기타의 신체부위는 별도의 이동식 공압때밀이 기구를 이용하여 가능하게 하였다. 특히 중앙의 실린더전체가 이동가능 행정거리로 이용될 수 있어 최저의 용적내에 설치가 가능하며 에어압을 공급하는 도관만 설치하면 모든 구동이 가능하므로 전원부에 대한 감전이나 누전의 이상발생도 전무한 것이다.

Claims (2)

  1. 중앙에 에어실린더(1)를 설치하고 그 좌우로는 좌.우가이드봉(2)(3)을 설치하여 방향제어밸브가 내장된 상.하의 에어벤튜리부(4)(5)를 통하여 중앙의 에어실린더로 에어가 공급가능하도록 구성한 구동부와,
    상기한 구동부의 에어실린더(1)와 좌.우가이드봉(2)(3)이 관통가능하도록 가이드공(1a)(2a)(3a)이 형성되고 전면일측에 고정봉(11) 체결용 체결부(12)가 형성된 슬라이더와,
    상기한 슬라이더의 체결부(12)에 일단이 체결되고 타단은 마찰타월고정구(13)이 조립되어져 하우징의 가이드슬릿을 통하여 외부에 부분 노출된 봉체와,
    상기한 봉체의 마찰타원고정구만 외부로 노출하고 중앙의 가이드슬릿(31)을 통하여 봉체가 승하강하도록 구성된 구동부와 슬라이더를 내장한 하우징(30)으로 구성된 공압을 이용한 때밀이 장치.
  2. 원통형의 핸들부(21)에 에어조절간(22)을 설치하고 핸들 선단에는 보조축(23)을 설치하여 마찰타월고정구(25)의 고정단(26)이 고정토록 하고,
    상기한 에어조절간(22)에 선단이 맞닿도록 핸들부 내부의 에어조절밸브조정용 조절밸브축(22a)과 연계토록 하여 내장된 밸브의 개방과 폐쇄를 임의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을 이용한 때밀이 장치.
KR2019990001358U 1999-01-30 1999-01-30 공압을이용한때밀이장치 KR1999002191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358U KR19990021917U (ko) 1999-01-30 1999-01-30 공압을이용한때밀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358U KR19990021917U (ko) 1999-01-30 1999-01-30 공압을이용한때밀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917U true KR19990021917U (ko) 1999-06-25

Family

ID=54755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1358U KR19990021917U (ko) 1999-01-30 1999-01-30 공압을이용한때밀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191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43004A1 (en) * 2002-09-28 2004-05-21 Kt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for home automation using advanced ads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43004A1 (en) * 2002-09-28 2004-05-21 Kt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for home automation using advanced ads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73789B2 (ja) 排水制御機構及び洗濯機
ATE466293T1 (de) Sensor für die detektion der richtung eines magnetfeldes
ATE268307T1 (de) Aufzug mit im aufzugsschacht oben seitlich angeordneter antriebseinheit
WO2006089116A3 (en) Drill chuck actuator
KR19990021917U (ko) 공압을이용한때밀이장치
CA102143S (en) Tub with lid
DE50211385D1 (de) Schraubvorrichtung für Schraubendreher-Einsätze
JP2009028273A (ja) 昇降物干し装置
AU2001258135A1 (en) Elevator installation with a device for carrying out work in an elevator shaft
US20110016622A1 (en) Floor drain and method for installing a floor drain
FR2786723B1 (fr) Machine-outil a main avec boitier de bobine
CN219303539U (zh) 一种带灯旋钮开关
ATE513180T1 (de) Anordnung zum erfassen der aktuellen länge eines elektromechanischen linearantriebs
CN220598603U (zh) 下水器
DE50203127D1 (de) Duschtrennwand
CN210570908U (zh) 一种水文地质勘查用地下水水位监测装置
KR100635449B1 (ko) 비데용 힌지장치
CN210960580U (zh) 一种钉扣方式可变换的钉扣机
KR200246236Y1 (ko) 자석을 이용한 샤워기 헤드의 행거 구조
KR900004918Y1 (ko) 제습기 집수조의 만수 방지장치
KR200364101Y1 (ko) 냉온수 외길 손잡이 수도꼭지용 토출량 절수장치가부설된 전자 감지식 개폐장치
KR200255007Y1 (ko) 유리창 양면 동시 세척기구
KR200295423Y1 (ko) 조명기기
KR970000569Y1 (ko) 비닐하우스용 비닐개폐장치
KR200248752Y1 (ko) 스위치 커버용 벽면 보호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