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007Y1 - 유리창 양면 동시 세척기구 - Google Patents

유리창 양면 동시 세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007Y1
KR200255007Y1 KR2020010023631U KR20010023631U KR200255007Y1 KR 200255007 Y1 KR200255007 Y1 KR 200255007Y1 KR 2020010023631 U KR2020010023631 U KR 2020010023631U KR 20010023631 U KR20010023631 U KR 20010023631U KR 200255007 Y1 KR200255007 Y1 KR 2002550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wipe
magnet
glass window
adju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36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홍모
Original Assignee
남홍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홍모 filed Critical 남홍모
Priority to KR20200100236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0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0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007Y1/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리창 양면 동시 세척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은, 실외닦이와 실내닦이에 대향되어 각각 착설된 자석간의 흡인력으로 유리창의 세척에 필요한 수직력을 형성하는 유리창 세척기구에 있어서, 상기 실내닦이는 착설된 자석의 위치를 그 바닥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간격조정자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건물의 실내에서 유리창의 내외면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유리창 세척 작업의 위험성을 극복하고, 간격 조정자를 이용하여 자석간의 흡인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유리창 세척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리창 양면 동시 세척기구 {Window cleaning device for wiping both sides of the window at the same time}
본 고안은 유리창 세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내부에서 유리창의 내외면을 동시에 세척하기에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유리창 양면 동시 세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이나 사무용 건물의 외벽에는 채광, 보온, 미감 등을 고려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유리창이 설치된다.
건물에 설치된 유리창은 외부 환경의 영향으로 인하여 오손되어지므로 적정한 주기로 닦여져야만 채광성과 미감이 일정 수준으로 확보된다. 유리창 세척작업에 있어서 건물 내측면의 경우에는 큰 어려움이 없지만 건물 외측면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어렵다.
보통 유리창의 외면 세척작업은 사람이 적정한 세척도구를 지참하여 건물 외면에서 직접 작업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건물이 고층화되면서 이러한 방식에 따른 유리창 세척작업은 위험성이 높은 작업이 되었다.
그래서 건물의 내부에서 유리창의 외면까지 세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유리창의 외면을 건물의 내측에서 세척하는 것에 관련된 종래기술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1. 특허출원 제10-1974-003460호에 기재된 '유리창 양면을 동시에 청소하는 방법'
2. 특허출원 제10-1997-031892호에 기재된 '유리창의 내외면 자동청소 장치'
3. 특허출원 제10-1997-001800호에 기재된 '유리창 청소기'
4. 특허출원 제10-1998-036673호에 기재된 '양면 유리창 세척기'
5. 특허출원 제10-1999-040441호에 기재된 '유리창 세척기'
6. 실용출원 제20-1982-008679호에 기재된 '안팎 유리 닦이'
7. 실용출원 제20-1999-029039호에 기재된 '아파트 베란다 실내, 실외 유리창 청소기구'
8. 실용출원 제20-1983-002623호에 기재된 '영구 자석을 이용한 유리창 양면 세척기'
9. 실용출원 제20-1999-007064호에 기재된 '유리창 닦이'
이러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유리창의 외면을 세척하기 위해 창틀 또는 유리면에 부착된 와이퍼형 지지대를 이용하는 방식과 유리면을 사이에 두고 외면과 내면에서 자석식으로 상호 연동되어 운용되도록 한 실내기와 실외기를 이용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여기서 특허출원 제10-1997-031892호에 기재된 '유리창의 내외면 자동청소 장치'를 중심으로 자석식 유리창 세척 기술을 설명한다.
도1은 종래기술에 의한 유리창의 양면 세척기구의 구성도이다.
도1에 따르면, 호우스 감개(10), 실외기(30) 및 실내기(50)로 유리창 청소장치를 구성한다.
호우스감개(10)는 고정구(11) 중앙에 호우스(1) 연결구(12)를 형성하여 이 연결구(12)를 축으로 코일스프링 등에 의해 회전되게 회전구(14)를 축설하고, 고정구(11) 상부에 지지로울러(15)를 축착하고 그 하부에 유동공을 형성하여 상하이동대(17) 상부의 유동봉을 상하 유동되게 끼우고 이에 구동로울러(19)를 정역모터(20)에 의해 구동되게 축설하고, 상하이동대(17)를 스프링(21)(21')에 의해 항상 위로 당겨주게 구성한다.
실외기(30)는 세척포(2)를 내입되게 구성한 함체(31)외부에 'ㄷ'자형 작동봉(32)을 축설하여 그 상부에 물방울 제거용 고무(33)를 교체가능하게 구성된 물방울 제거대(4)를 축착한다.
함체의 내측 상부에 모터(35)에 의해 회전되는 세척로울러(36)를 형성하고 중앙에 자석매착홈을 형성하여 이에 자석을 매착하며, 함체(31) 상부에 급수구(39)를 형성하고 그 하부에 오수조(40)와 배수구(41)를 형성한다.
실내기(50)는 상기한 실외기(30)와 거의 동일한 구성으로 세척포(2)를 내입되게 한 함체 중앙에 자석 매착홈(57)(57')을 형성하여 이에 자석을 매착하고, 함체 상부에 급수구(59)를 하부에 오수구(60)와 배수구를 형성하며, 함체 중앙에 손잡이봉(62)을 유동가능하게 축착하여 호우스감개(10)의 호우스(1) 끝단을 실외기(30)의 급수구(39)에 연결하여 실외기(30)와 실내기(50)가 유리면을 사이에 두고 자석에 의해 흡착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자석식으로 상호 연동하는 실외기(30)와 실내기(50)를 운용한다. 작업자가 실외기(30)와 실내기(50)를 서로 흡착시킨 후 실내에서 실내기(50)를 이동시키면 실외기(30)가 이에 연동하여 이동됨으로써 유리창의 내외면에 대한 세척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 기술은 자석을 자석 매착홈(57)(57')에 고정설치한 이후에는 작업 수행중에 자석 흡인력의 조정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세척작업을 위해서 사용되는 세척제와 세척포의 특성에 따라 해당 장치에 요구되는 최적의 수직력이 존재하는데, 자석의 세기가 일정하다면 자석간 거리에 따라 자기적 흡인력이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건물의 각 창문마다 서로 다른 두께의 유리가 착설되어 있는 경우, 최소 두께의 유리창에 적합하도록 된 자석을 이용하여 최대 두께의 유리창에 대한 세척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실외기(30)에 미치는 수직력이 작아져 흡인력이 저하되고 작업성이 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그 반대로 유리창의 두께가 얇아 자석간의 거리가 너무 가까워짐으로써 매우 큰 흡인력으로 인해 실내기와 실외기의 이동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작업자의 피로도를 가중시키게 되는 경우도 예정된다.
또한, 와이퍼형 지지대를 이용하는 방식은 와이퍼를 창틀이나 유리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요구되어 작업준비시간이 상당 정도로 소요되므로 대체적으로 작은 면적을 갖는 유리창을 세척하는 작업에서는 효용성이 떨어진다.
뿐만 아니라 유리창의 내측에서 작업하기 위해 적정하게 굴곡된 지지대의 선단에 블레이드를 장착시켜 운용하는 경우에는 지지대의 길이가 연장됨에 따라 블레이드에 인가되는 수직력의 비율이 줄어든다. 유리면의 세척시에는 유리면에 인가되는 수직력의 크기에 따라 작업성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는데, 지지대의 길이가 길어지면 작업자의 힘이 블레이드에 충분히 전달되지 못해서 작업성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실외닦이에 착설된 자석과 상호 흡인되도록 된 실내닦이의 자석을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전후 이동시켜 실외닦이와 실내닦이간의 흡인력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유리창 세척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킨 유리창 양면 동시 세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기술에 의한 유리창의 양면 세척기구의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양면 세척기구의 측면도.
도3은 도2에서 실외닦이의 사시도.
도4는 도2에서 실내닦이의 사시도.
도5는 도2에서 간격조정자의 상세도.
도6은 도5에 따른 간격조정자의 운용예시도.
도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양면세척기구의 측면도.
도8은 도7에 따른 간격조정자의 상세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유리창 210 : 실외닦이
220 : 실내닦이 211, 221 : 자석
212, 222 : 세척포 213, 223 : 안전끈 고리
224 : 손잡이 225 : 간격조정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유리창 양면 동시 세척기구는, 실외닦이와 실내닦이에 대향되어 각각 착설된 자석간의 흡인력으로 유리창의 세척에 필요한 수직력을 형성하는 유리창 세척기구에 있어서, 상기 실내닦이는 착설된 자석의 위치를 그 바닥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간격조정자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양면 세척기구의 측면도이며, 도3은 도2에서 실외닦이의 사시도이고, 도4는 도2에서 실내닦이의 사시도이며, 도5는 도2에서 간격조정자의 상세도이며, 도6은 도5에 따른 간격조정자의 운용예시도이며, 도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 양면세척기구의 측면도이고, 도8은 도7에 따른 간격조정자의 상세도이다.
도2에 따르면, 유리창 양면 세척기구는 크게 실외닦이(210)와 실내닦이(220)로 이루어진다,
도3에 따르면, 실외닦이(210)는 유리창(200)의 외면을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 적정 부위에 착설된 자석(211)과 유리창(200)에 직접 접촉되어 세척기능을 담당하는 세척포(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 작업도중 실외닦이(210)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끈 고리(213)를 더 포함한다.
도4에 따르면, 실내닦이(220)는 유리창(200)의 내면을 세척하게 되며, 작업자에 의해 상하좌우 이동된다. 그래서 실내닦이(220)는 착설된 자석(221)과 세척기능을 담당하는 세척포(2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본적인 구성은 실외닦이(210)와 실내닦이(220)에 있어 서로 동일하다.
여기서 실외닦이(210)와 실내닦이(220)에는 한쌍의 자석(211)(221)이 각각 착설되도록 한다.
그리고 실내닦이(220)는 작업중에 실내닦이(220)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끈 고리(223)와, 작업자의 작업영역을 증대시키기 위한 손잡이(224)와, 자석(221)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한 간격조정자(22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간격 조정자(225)는 작업자가 유리창(200)의 두께를 고려하여 실내닦이(220)의 자석(221)과 실외닦이(210)의 자석(211)간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 자석(211)(221)간의 간격이라 함은 세척대상이 되는 유리창(200)의 두께를 제외하고 실외닦이(210)와 실내닦이(220)를 직접 접촉시킨 경우를 기준으로 판정되는 자석(211)(221)간의 거리를 지칭한다.
그러면 작업환경에 따라 유리창(200)의 두께가 가변되는 경우에 있어서, 자석(211)(221)간의 흡인력이 달라져 작업성이 저하되거나 실외닦이(210)가실내닦이(220)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간격조정자(225)를 사용한다.
간격 조정자(225)로 자석(211)(221)간의 흡인력을 조절함으로써, 실외닦이(210)와 실내닦이(221)에 각각 구비된 세척포(212)(222)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세척포(212)(222)의 마찰력은 해당 세척포와 유리창의 표면특성에 따른 마찰계수와 그 표면에 수직으로 인가되는 수직력의 곱으로 나타난다.
이 간격조정자(225)는 자석(221)의 하단에 작업자가 끼워 넣는 것으로, 작업자는 다양한 두께의 간격조정자(225)를 지참하였다가 유리창(200)의 두께에 따라 적정한 것으로 교체 운용할 수 있다.
도5의 (a)에 따르면, 간격조정자(225)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게 되며, 작업자에 의한 삽입/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보조 손잡이(226)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5의 (b)에 따르면, 실내닦이(220)에 슬롯부(220B)를 구비하여 간격조정자(225)가 하나 또는 그 이상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간격조정자(225A)(225B)를 사용할 수 있도록 2개의 슬롯을 구비한다.
여기서 간격조정자1(225A)은 간격조정자2(225B)의 삽입 또는 분리에 따른 영향을 받게 된다. 예를 들어 간격조정자2(225B)가 삽입된 상태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는 간격조정자1(225A)이 자석(221)의 중량에 눌려져 종전의 간격조정자2(225B)의 위치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실외닦이의 자석(211)과 실내닦이의 자석(221)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된다.
이어서 간격조정자1(225A)을 제거하게 되면, 자석(211)(221)간의 거리가 보다 가까워지고 흡인력이 충분하게 됨으로써 보다 두터운 유리창에서 실외닦이(210)와 실내닦이(220)간 수직력이 최적하게 유지된다.
이와는 달리 세척대상 유리창의 두께가 얇아져 수직력의 크기를 줄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슬롯부(220B)의 자석(221)의 하단쪽에 간격조정자(225)를 해당 상황을 고려하여 하나 또는 두 개 삽입한다. 그러면 유리창(200)에 게재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수직력 크기가 조정되므로 얇은 유리창(200)에 적응하여 최적의 수직력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케 된다.
그리고 실내닦이(220)와 실외닦이(210)의 바닥면(220A)은 자석(211)(221)간의 흡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세척포(212)(222)를 골고루 압박하여 유리면(200)에 접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바닥면(220A)은 실내닦이(210)와 실외닦이(220)의 이동시 세척포(212)(222)의 밀림이나 접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고무로 코팅되거나 미끄럼 방지용 요철이 형성된 플라스틱 부재로 구현된다.
도6에 따르면, 두 개의 간격조정자(225A)(225B)를 슬롯부(220B)에 삽입하는 방식에 따라 자석(211)(221)간 흡인력을 3단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각 닦이의 함체 바닥면(220A)을 기준으로 슬롯부(220B)에 적층되는 순서에 따라 흡인력을 약/중/강의 단계로 조절한다. 그 적층순서는 도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으로 조절하는 경우에 간격조정자1(225A), 간격조정자2(225B), 자석(221)의 순이며, 동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으로 조절하는 경우에 간격조정자2(225B), 자석(221), 간격조정자1(225A)의 순이며, 동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으로 조절하는 경우에 자석(221), 간격조정자2(225B), 간격조정자1(225A)의 순이다. 여기서간격조정자1(225A)과 간격조정자2(225B)는 편의상 지칭된 것으로, 그 구별로 인한 기능상의 차이는 없으며 상호간의 대체 사용이 가능하다.
작업자는 보조 손잡이(226)를 잡고 간격조정자1(225A)과 간격조정자2(225B)를 슬롯부(220B)로부터 분리하거나 삽입시킬 수 있으며, 보조 손잡이(226)는 간격조정자(225)의 최대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겸하도록 할 수도 있다.
더불어 운용/관리상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슬롯부(220B)의 하단에서 분리된 간격조정자(255)를 슬롯부(220B)의 상단에 다시 삽입할 수도 있다. 그러면 슬롯부(220B)에 적층된 자석(221) 및 간격조정자(225)의 전체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되며, 간격조정자(225)에 의해 자석(221)이 고정됨으로써 그 유동을 방지하는 기능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면 실외닦이(210)와 실내닦이(220)는 자석(211)(221)간의 흡인력에 의해 유리창(200)을 사이에 두고 서로 연동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실내닦이(220)를 특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실외닦이(210)의 자석(211)에 흡인력이 작용하여 실외닦이(210)도 해당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실외닦이(210)와 실내닦이(220)에 각각 착설된 자석(211)(221)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져야 한다. 이에 따라 상호간에 흡인력이 작용한다. 이 흡인력은 유리창(200)의 세척시 필요한 수직력과 수평력의 근원이 되기 때문에 실외닦이(210)에 인가되는 별도의 외력이 없어도 유리창(200)의 외면 세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7에 따르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도2에 도시된 장치를 일부 변형시킨 것으로써 실외닦이(310)의 안전끈 고리(313)에 안전끈(314)을 결속시켜 운용하며, 세척제를 세척포(312)에 원활히 공급하기 위한 세척제통(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실내닦이(320)의 간격조정자(325)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나사결합을 이용한다. 즉, 간격조정자(325)는 전후 이동은 가능하지만 좌우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고, 이 간격조정자(325)의 상면에 자석(321)을 접착시킨 후, 나사(326)의 회전에 따라 간격조정자(325)가 전후 이동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실내닦이(320)의 간격조정자(325)의 길이 방향으로 두 개의 자석(321)을 배치하고, 간격조정자(325)의 중심을 관통하는 암나사구를 통해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작업자가 나사(326)를 회전시켜 간격조정자(325)를 전후 이동시킨다.
도8에 따르면, 실내닦이(320)에 슬롯부(320B)를 형성하고, 이 슬롯부(320B)를 따라 상하 유동하도록 된 간격조정자(325)의 중심에서 암나사구와 나사결합되는 나사(326)를 구비한다. 나사(326)의 좌우 회전은 간격조정자(325)의 상하 이동으로 전환된다. 이 간격조정자(325)에 자석(321)을 부착하면 자석간의 거리 조절이 가능케 된다. 그리고 나사(326)의 좌우 회전을 안정화시키고 해당 나사(326)가 실내닦이(3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나사 지지부(327)를 구비한다.
따라서 간격조정자(325)를 사용하여 유리창 두께에 따라 자석(321)(321)간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간격이 조정된 자석(321)(321)은 실외닦이(310)와 실내닦이(320)에 인가되는 수직력을 적정하게 유지하여 유리창 표면과세척포(312)(322)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세척작업에 적합하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예는 플레이트 방식의 간격조정자(225) 또는 나사 결합 방식의 간격조정자(325)를 실내닦이(220)(320) 뿐만 아니라 실외닦이(210)(310)에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실내닦이와 실외닦이에 하나씩의 간격조정자를 두는 정도로 3단의 간격조절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실내닦이와 실외닦이에 각각 구비된 간격조정자를 두 개 모두 자석의 안쪽에 두면 가장 약한 흡인력이 형성되고, 그중 어느 하나를 자석의 바깥쪽에 삽입하면 중간 정도의 흡인력이 형성되며, 이 두 개의 자석을 모두 자석의 바깥쪽에 삽입하면 가장 강한 흡인력이 형성되어지는 체계이다.
나사 방식의 간격 조정자를 구비한 양면 닦이를 유리창 세척시 적용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전끈(314)의 길이를 적당하게 조정하여 그 일단은 실외닦이의 안전끈 고리(313)에 결속하고 다른 일단은 건물의 외벽 등에 고정시킨다. 유리창에 흡착시킨 흡착기(도시되지 않음)에 안전끈(314)을 결속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흡착기를 사용함으로써 실외기(310)의 추락에 따른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끈(314)의 결속 방식은 실내기(320)에도 적용 가능하며, 작업 환경에 따라서는 실내기(320)에는 안전끈(314)을 결속하지 않을 수도 있다. 실외기(310)에 비해 실내기(320)의 추락에 따른 위험성은 크지 않기 때문이다.
이어서 실내닦이(320)를 유리창(300)에 밀착하고 실외닦이(310)를 바깥으로 내어서 실내닦이(320)와 실외닦이(310)간을 대향시킨다. 그러면 자석(311)(321)간의 흡인력으로 실외닦이(310)와 실내닦이(320)간의 상대적인 위치는 고정된다.
계속해서 실내닦이(320)를 유리창(300)의 표면을 따라 이동시켜 세척작업을 수행한다. 이로써 실내닦이(320)를 움직이는 방향으로 실외닦이(310)도 이동될 것이며, 실내닦이(320)와 실외닦이(310)에 구비된 세척포(312)(322)의 마찰력으로 세척이 이루어진다. 이때 자석(311)(321)간의 흡인력이 부적합하여 작업성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나사(326)를 회전시켜 간격 조정자(325)를 전후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자석(311)(321)간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최적의 흡인력이 확보되도록 한다.
작업 도중에 세척포(312)(322)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실외닦이(310)와 실내닦이(320)를 유리창(300)의 일측단으로 이동시켜 작업자가 실외닦이(310)를 실내닦이(320)로부터 분리시킨 후 세척포(312)(322)의 교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다양한 변화, 변경 및 균등물의 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실시예에 대한 기재내용으로 본 고안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유리창 양면 동시 세척기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우선, 건물의 실내에서 유리창의 내외면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유리창 세척 작업의 위험성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닦이와 실외닦이에 각각 구비된 자석간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유리창의 두께 가변에 적응하여 세척작업에 최적한 흡인력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5)

  1. 실외닦이와 실내닦이에 대향되어 각각 착설된 자석간의 흡인력으로 유리창의 세척에 필요한 수직력을 형성하는 유리창 세척기구에 있어서,
    상기 실내닦이는 착설된 자석의 위치를 그 바닦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간격조정자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양면 동시 세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닦이는,
    상기 간격조정자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자석이 상기 간격조정자에 부착되며, 상기 나사의 회전시 상기 간격조정자가 해당 실내닦이의 바닥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이동되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양면 동시 세척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닦이는,
    슬롯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간격조정자는 상기 슬롯부에 대해 삽입/분리되며, 상기 자석은 상기 간격조정자의 삽입 및 분리 동작에 따라 상기 슬롯부상에서 그 바닥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양면 동시 세척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닦이는,
    슬롯부와;
    상기 슬롯부에 삽입/분리되도록 된 간격조정자와;
    상기 간격조정자의 삽입 및 분리 동작에 따라 상기 슬롯부상에서 상하 이동되도록 된 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양면 동시 세척기구.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정자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슬롯부상에서 상기 자석을 기준으로 그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자석과 해당 실내닦이 바닥면간의 간격이 가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양면 동시 세척기구.
KR2020010023631U 2001-08-03 2001-08-03 유리창 양면 동시 세척기구 KR2002550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631U KR200255007Y1 (ko) 2001-08-03 2001-08-03 유리창 양면 동시 세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631U KR200255007Y1 (ko) 2001-08-03 2001-08-03 유리창 양면 동시 세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007Y1 true KR200255007Y1 (ko) 2001-12-01

Family

ID=73067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631U KR200255007Y1 (ko) 2001-08-03 2001-08-03 유리창 양면 동시 세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00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743B1 (ko) * 2011-08-18 2013-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창문 청소기
CN109259657A (zh) * 2018-11-14 2019-01-25 河北洁仕宝日用塑料制品有限公司 万向节式擦窗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743B1 (ko) * 2011-08-18 2013-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창문 청소기
CN109259657A (zh) * 2018-11-14 2019-01-25 河北洁仕宝日用塑料制品有限公司 万向节式擦窗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742B1 (ko) 자력의 무단 조절구조가 마련된 유리창용 세척장치
KR101530217B1 (ko) 덕트 청소용 로봇
KR100987121B1 (ko) 창문닦기로봇
WO2014166194A1 (zh) 玻璃清洁器
CN110547720B (zh) 一种建筑玻璃清洁设备
CN210995471U (zh) 一种刹车盘镀锌清洗装置
KR200255007Y1 (ko) 유리창 양면 동시 세척기구
KR20000067506A (ko) 상하좌우 자동이동 유리창 청소장치
KR101183116B1 (ko) 유리창 청소기구
CN106943077B (zh) 一种窗玻璃擦洗装置
KR100203553B1 (ko) 유리창의 내외면 자동청소 장치
CN110054106B (zh) 一种千斤顶专用日常维护保养设备
KR20140033983A (ko) 안정하게 탈부착되는 고무 블레이드를 구비한 유리창 청소기구
CN110897544A (zh) 一种擦窗机器人
KR20000010460A (ko) 유리창 청소장치
CN205697518U (zh) 一种擦窗装置
KR101045161B1 (ko) 미닫이 창문의 실외 유리창 청소기
KR100257586B1 (ko) 유리창닦이장치
KR200238595Y1 (ko) 자동 유리창 청소장치
CN109386082B (zh) 一种玻璃幕墙
CN113245266A (zh) 一种木质集成墙板加工用表面清洁装置
KR200305524Y1 (ko) 유리창 양면 청소기구
CN110593740B (zh) 节能型内置百叶窗
KR20110096942A (ko) 유리창 청소기구
KR200240332Y1 (ko) 유리창 청소기의 물기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