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1808U - 벽돌의연결보강부재 - Google Patents

벽돌의연결보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1808U
KR19990021808U KR2019990000400U KR19990000400U KR19990021808U KR 19990021808 U KR19990021808 U KR 19990021808U KR 2019990000400 U KR2019990000400 U KR 2019990000400U KR 19990000400 U KR19990000400 U KR 19990000400U KR 19990021808 U KR19990021808 U KR 199900218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ncrete
brick
fixed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4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석
Original Assignee
이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석 filed Critical 이인석
Priority to KR20199900004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1808U/ko
Publication of KR199900218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808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목적〕
본 고안은 기초 콘크리트의 주위에 벽돌로서 장식벽을 설치할 때 벽돌을 쌓는 과정에 기초 콘크리트와 장식벽 사이에 보강부재를 연결하여 벽을 오랫동안 원상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벽돌의 연결 보강부재에 관한 것이다.
〔구성〕
콘크리트에 고정되는 고정간에 이음링을 연결하는 동시에 벽돌의 메지에 얹히어 응고되는 보강봉을 연결하여서 벽을 평면으로 이루면서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효과〕
벽의 구성에 보강봉의 보강힘살을 갖게 되고, 그 보강봉은 메지가 응고됨에 따라 이음링에 의해 연결된 고정간이 콘크리트에 고정되어 있어서 콘크리트에 의해서 벽의 지탱력이 보강되어 오랫동안 원상태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벽돌의 연결 보강부재{TIE STIFFENING SUBSIDIARY MATERIAL OF BRICKS}
본 고안은 벽돌의 연결 보강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초콘크리트의 주위에 장식벽을 설치하기위해 벽돌을 쌓는 과정에서 기초콘크리트와 장식벽 사이에 보강부재를 연결하여 벽돌을 일직선상으로 쌓아 올릴 수 있도록 보조하여 벽이 평면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장식벽이 기초 콘크리트에 연결된 보강재에의해 지탱되도록 보조하여 오랫동안 원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벽돌의 연결 보강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돌이나 블록으로 벽을 쌓거나 기초콘크리트의 주위에 외관상 미려함을 얻고자 색상을 지닌 적벽돌을 쌓아 건축물의 일원인 벽이나 장식벽을 이루고 있는 바, 벽돌을 쌓는 과정에서 연속 반복되는 벽돌을 서로 견고하게 고정시키고자 벽돌층마다 시멘트를 적절한 높이(약 10mm 정도)로 얹는 메지를 형성하고 있으며, 메지가 응고됨에 따라 상호 벽돌간에 굳게 연결된 벽을 구성하게 된다.
이렇게 쌓은 벽은 정면에서 볼 때 가운데 부분이 평면을 이루지 못하고 완만하게 튀어나오는 곡면이 형성되는 빈도가 높아 벽주위에 불안감이 조성되고 외관상 미려치 않을 뿐만 아니라 벽자체의 자중에 의한 반복하중이 작용되어 곡면을 이루고 있는 부분이 약화되면서 지금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오랫동안 사용되어야 할 건축물이 지탱하지 못하고 무너지게 되는 재산상 막대한 손실과 인명피해를 주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벽돌을 쌓을 때 콘크리트와 벽돌층간을 연결할 수 있도록 보강부재의 일측은 콘크리트에 고정하고, 타측은 벽돌층을 형성하는 메지에 매립되게 연속 반복 설치하여 벽돌을 일직선상으로 이루도록 유도함에 따라 자연히 벽은 평면을 이루어 무너지는 요인을 해소하고, 또한 벽과 콘크리트는 보강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지탱할 수 있으므로 벽자체가 견고성을 갖게 하여 오랫동안 원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하고자 하는데 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에 고정되는 고정간은 유동공간과 천공을 형성하고, 고정간의 유동공간에 이음링을 연결하는 동시에 벽돌의 메지에 얹히도록 연결고리를 끼워 보강봉을 연결하여서 벽을 평면으로 이루면서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한 보강부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 사시도
도3 및 도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5 및 도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고정간 2. 이음링 3. 보강봉
4. 연결고리 11. 천공 12. 유동공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및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따른 사시도로써 고정간에 이음링에 의해 보강봉을 연결하여서 된 보강부재를 나타낸 것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고정간이 콘크리트에 고정되고, 보강봉이 벽돌의 메지에 얹히어 매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4는 도3과 같은 기술이지만 콘크리트에 단열재가 사용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5 및 도6을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단면한 것으로서 콘크리트와 벽사이에 보강부재가 연결되어 벽을 지탱하여 주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보강부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천공(11)과 유동공간(12)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간(1)에 일측이 개방된 이음링(2)을 연결하고, 상기 이음링(2)에는 벽돌의 메지에 얹히는 보강봉(3)을 연결고리(4)로 연결시켜서 된 구조이며, 도면중 미설명부호 A는 벽돌, B는 메지, C는 콘크리트, D는 단열재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고정간(1)의 천공(11)은 못이나 앵커같은 체결용 매체를 끼워 콘크리트(C)에 고정간(1)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고, 유동공간(12)은 이음링(2)이끼워진 상태에서 유동되는 공간으로서 이음링(2)에 연결되는 보강봉(3)을 벽돌(A)의 메지(B)에 얹기 위하여 메지(B)의 높이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고자 하는 것이므로 유동공간(12)의 크기를 임의로 만들면 된다. 또한 콘크리트(C)에 단열재(D)가 사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고정간(1)의 양단부를 단열재 두께 만큼의 길이로 절곡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고정간(1)은 박판띠같은 소재를 ″″형으로 절곡할 수도 있고, 가운데 절단선을 형성하여 교차되게 ″″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결국 고정간(1)에 이음링(2)을 끼워 자유자재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므로 어떠한 형태로든간에 유동되는 공간을 이루면 족하다.
상기 이음링(2)은 고정간(1)에 옆으로 길게 된 보강봉(3)을 연결하여 주는 수단이므로 이음링(2)의 일측을 개방한 것은 고정간(1)을 콘크리트(C)에 고정할 때 이음링(2)이 고정간(1)에 달려 있으면 고정작업에 지장을 주기 때문에 고정할 때에는 이탈하였다가 고정한 후에 끼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강봉(3)은 그 길이가 한정된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적절한 길이를 선정하여 사용하면 되고, 필요에 따라 굵은 철선을 이용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에서 구성한 것들을 조합하여 이루는 보강부재는 벽돌을 연결하는 과정에 보강력을 얻기 위한 것이므로 금속재나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보다더 보강력을 얻기 위해서는 금속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초콘크리트(C)의 주위에 벽돌(A)을 쌓을 때 벽돌(A)을 나란히 놓은 뒤 그위에 시멘트를 얹어 형성되는 메지(B)의 높이 수준으로 기초콘크리트(C)에 고정간(1)을 고정매체로 고정시킨다. 이때 기초콘크리트(C)에 단열재(D)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설치될 장소를 선정하여 고정간(1)을 임의로 타격하여 고정간의 절곡부가 단열재(D)를 관통되게 한 뒤 고정간(1)을 고정매체로 고정시키면 된다.
그런뒤 고정간(1)의 유동공간(12)에 이음링(2)의 개방된 부분부터 끼워돌리면 이음링(2)이 고정간(1)에 체결되고, 상기 이음링(2)은 벽돌(A)의 메지(B)에 얹히는 상태에서 이음링(2)의 선단에 연결고리(4)를 끼움과 동시에 보강봉(3)이 벽돌(A)의 메지(B)에 얹히도록 연결고리(4)에 끼우면 다층의 벽돌(A)에 의해 메지(B)에 보강봉(3)이 매립된 상태에서 응고되면서 벽돌층에는 보강힘살이 삽입설치되고 벽은 콘크리트에 의해 보강 지탱하게 된다.
상기 벽돌층에 매립되는 보강봉(3)은 벽돌층의 측면으로 약 90cm정도의 간격을 유지하고 벽돌층으로는 약 40cm정도의 높이로 유지 설치하는 것이 필요 이상의 재료손실을 막으면서 강도상에 아무런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수치임이 실험에 의해서 확인됨에 따라 상기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벽에 보강봉에 의한 보강힘살을 갖게 되고, 그 보강봉은 메지가 응고됨에 따라 이음링에 연결된 고정간이 콘크리트에 고정되어 있어서 벽의 지탱력을 보강하여 주게 된다.
이상과 같이 벽돌층마다 적절하게 보강부재를 갖게 되어 견고성을 얻고 동시에 벽돌이 일직선상으로 쌓아짐에 따라 벽은 평면을 유지하게 되고, 콘크리트에 보강부재로 연결된 벽의 지탱력을 콘크리트에 의해 보강되므로 오랫동안 원상태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보강부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천공(11)과 유동공간(12)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간(1)에 일측이 개방된 이음링(2)을 연결하고, 상기 이음링(2)에는 벽돌의 메지에 얹히는 보강봉(3)을 연결고리(4)로 연결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의 연결 보강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고정간(1)은 ″″형으로 절곡하거나 가운데 부분을 길이 방향으로 절단선을 이루어 상호 내외향 절곡시켜서 유동공간(12)을 이루어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의 연결 보강부재.
KR2019990000400U 1999-01-11 1999-01-11 벽돌의연결보강부재 KR1999002180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400U KR19990021808U (ko) 1999-01-11 1999-01-11 벽돌의연결보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400U KR19990021808U (ko) 1999-01-11 1999-01-11 벽돌의연결보강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808U true KR19990021808U (ko) 1999-06-25

Family

ID=54755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400U KR19990021808U (ko) 1999-01-11 1999-01-11 벽돌의연결보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180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560B1 (ko) * 2005-01-05 2006-10-17 권화숙 조적벽돌 보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560B1 (ko) * 2005-01-05 2006-10-17 권화숙 조적벽돌 보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7328B2 (en) Device for connecting prefabricated concrete sections
US20090308005A1 (en) Anchor for use in joining concrete slabs
US7032354B2 (en) Sandwich erection lift anchor with welding plate assembly
US4718210A (en) Fastener for void-forming member
KR100624190B1 (ko)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발생기
KR19990021808U (ko) 벽돌의연결보강부재
US20030115825A1 (en) Mechanical connector between headed studs and reinforcing steel
US4505088A (en) Method of constructing arcuate structures
JPH11190194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継手構造
KR19990021807U (ko) 벽돌의연결보강부재
WO2001000943A1 (en) Hollow filler block for a block-and-rib reinforced concrete slab
CN210459557U (zh) 侧向支撑预埋件及其装配式pcf板安装施工结构
JPS6032248Y2 (ja) コンクリ−トスラブ用埋込材
JPH0637160Y2 (ja) スリーブ固定金物
AU2008203309B2 (en) Anchoring Device
JP3579815B2 (ja) 中空基礎杭の補修方法
KR200232635Y1 (ko) 조립식 기초 거푸집
JPS59150851A (ja) シヤ−コツタ−
JPH01501494A (ja) 建築物の合わせコンクリ−ト法に用いられる固定要素
JPS583875Y2 (ja) コンクリ−ト型枠支持用アンカ−
KR100569723B1 (ko) 콘크리트 주형의 전단연결재 설치구조
JP3166004B2 (ja) 捨て型枠
JP2554027B2 (ja) 擁壁ブロック及び擁壁の構築方法
JPS5929087Y2 (ja) コンクリ−ト型枠引張支持用アンカ−
JP3430073B2 (ja) 盛土アンカー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