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1524A - 도어의 인 사이드 핸들 - Google Patents

도어의 인 사이드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1524A
KR19990021524A KR1019970045069A KR19970045069A KR19990021524A KR 19990021524 A KR19990021524 A KR 19990021524A KR 1019970045069 A KR1019970045069 A KR 1019970045069A KR 19970045069 A KR19970045069 A KR 19970045069A KR 19990021524 A KR19990021524 A KR 19990021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ever
knob
inside handle
sid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5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국현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45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1524A/ko
Publication of KR19990021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524A/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인 사이드 핸들에 관한 것이고, 본 발명은 스트라이커를 로크시키는 도어래치의 로드와 상기 도어래치를 로크시키는 노브의 로드를 구비할 필요없이 로드 하나만 이용하여 노브(22)를 상하 이동시키면서 사이드 도어(11)를 로크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작업공정의 간편화와 작업성 향상 및 부품감소로 원가를 절감시키고, 또한 도어래치를 로크시킨 상태에서 사이드 도어를 닫아도 외부에서 사이드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도어의 인 사이드 핸들
본 발명은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사이드 도어 내측에 각각 구비되어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된 인사이드 핸들을 개선하여 그 부품수를 감소시켜 작업성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Inside handle of doo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의 개폐장치는, 사이드 도어의 내측에 구비되며 회동가능한 레버를 구비한 인 사이드 핸들, 사이드 도어의 외측벽에 구비되며 회동가능한 레버를 구비한 아웃 사이드 핸들, 상기 도어가 밀착되는 차체 패널에 구비된 스트라이커, 그리고 상기 인 사이드 핸들과 아웃 사이드 핸들의 레버에 각각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스트라이커에 로크 되도록 로드를 구비한 도어래치, 상기 인 사이드 핸들의 상측에 구비되어 로크시 상기 도어래치가 상기 스트라이커에 로크되도록 한 로크버튼, 운전석 앞쪽에 구비되어 상기 사이드 도어의 각각 스트라이커에 도어래치가 로크되도록 한 도어 잠금버튼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었다.
종래의 인 사이드 핸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힌지(1)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된 레버(2), 상기 레버(2)와 상기 도어래치(미도시)에 연결된 로드(3), 회동된 레버(2)를 복원시키는 판 스프링(4), 그리고 상기 레버(2)의 상측에 구비되는 노브(5)을 누룸으로서 당겨져 상기 도어래치를 로크시키도록 로드(6)로 이루어져 사이드 도어(7)를 개폐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레버(2)를 잡아당겨 스트라이커(미도시)에서 도어래치를 해제시키고,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이드 도어(7)를 로크시에는 상기 노브(5)의 일측을 눌러 도어래치를 로크시키는 구조로 되어 이때에는 상기 레버(2)를 잡아당겨도 도어래치가 스트라이커에서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사이드 도어의 인 사이드 핸들은, 사이드 도어의 개폐시 또는 로크시에 별도의 로드를 각각 작동시켜서 사이드 도어를 개폐 또는 로크 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어, 조립시에 여러 작업공정이 필요하게 되어 작업성이 저하 되었고, 이에 따른 부품추가로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칫 실수로 사이드 도어의 노브를 눌러 도어래치를 로크시킨 상태에서 사이드 도어를 닫게되면, 외부에서 키가 없이는 사이드 도어를 열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이드 도어의 스트라이커에 로크시키도록 된 도어래치의 로드와, 상기 도어래치를 로크시키는 노브의 로드를 구비할 필요없이 로드 하나로서 로크 및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공정을 간편화 시킴과 동시에 이에 따른 부품감소로 원가를 절감시키며, 또한 도어래치를 로크시킨 상태에서 사이드 도어를 닫아도 외부에서 사이드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하차후 도어의 잠김을 방지하도록 한 도어의 인 사이드 핸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도어의 인 사이드 핸들을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도 1의 B - B 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C - C 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인 사이드 핸들을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도 4의 E - E 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사이드 도어 12: 인 사이드 핸들
13: 하우징 14: 레버
15: 연동레버 16: 개방홀
17: 회전축 18,25: 판 스프링
19: 고정홀 20: 연결로드
21: 가이드 홀 22: 노브
23: 래치부 24: 고정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실내의 사이드 도어 내측에 구비된 레버를 당겨 이와 로드로서 연결된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므로써 차체 패널의 스트라이커에 로크된 도어래치를 해제시켜 사이드 도어를 개폐시키는 인 사이드 핸들에 있어서, 상기 인 사이드 핸들은 내측벽에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일단이 힌지되어 판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동가능하고 상측에 록킹홀을 구비한 레버와, 상기 레버의 상측에 구비되어 회동 가능하며 그 일측에 상기 도어래치와 연결된 로드를 구비한 연동레버와, 상기 연동레버에 슬라이드 구비되어 상하 이동가능하며 하향 이동시 상기 레버에 로크되도록 고정구를 구비한 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은, 노브를 하향 이동시킨 상태에서 레버를 회동시키면 노브가 연동하여 도어래치를 해제시키고 상기 노브를 상향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레버를 회동시키면 상기 레버가 상기 노브와 분리되어 각기 회동되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인 사이드 핸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사이드 핸들이 설치된 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의 E - E 선을 취한 작동상태도이다.
차실내의 사이드 도어(11) 내측벽에는, 상기 사이드 도어(11)를 개폐시키도록 된 인 사이드 핸들(1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인 사이드 핸들(12)은, 하우징(13)과, 상기 하우징(13)에 상하로 구비되는 레버(14), 및 연동레버(1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13)은, 상기 사이드 도어(11)의 내측벽에 차실내로 개방되도록 개방홀(16)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레버(14)는 일측에 회전축(17)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17)의 양단이 상기 하우징(13)의 상하 내벽에 힌지되어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14)에는 판 스프링(18)이 권취 구비되어 상기 레버(14)의 회동시 복원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레버(14)의 상측면에는 상향으로 개방된 고정홀(1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14)의 윗쪽에는 연동레버(15)가 구비되는데, 상기 연동레버(15)는, 상기 레버(14)의 회전축(17)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타측에는 차체 패널의 스트라이커(미도시)에 고정되는 도어래치(미도시)의 연결로드(20)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동레버(15)에는 가이드 홀(21)이 차실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홀(21)에는 상하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노브(2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노브(22)는 일측면에 손으로 누룰수 있도록 래치부(23)가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는 고정구(24)가 구비되어 하향 이동시 상기 레버(14)의 고정홀(19)에 슬라이드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홀(21)의 대향되는 양쪽 내측벽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한 쌍의 판 스프링(25)이 구비되어 상기 노브(22)의 양쪽 측면을 가이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차실내에 탑승한 승객이 사이드 도어(11)를 개폐시에는, 도 4의 연동레버(15)에 도시된 노브(22)를 하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노브(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판 스프링(25)에 의해 탄력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노브(22)의 고정구(24)가 레버(14)의 고정홀(19)에 끼워져 삽입된다. 이때 승객이 레버(14)를 잡아 당기게 되면, 상기 레버(14)는 회동되면서 상기 노브(22)의 고정구(24)에 의해 연동레버(15)를 회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연동레버(15)는 회전축(17)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동시에, 상기 연동레버(15)에 연결된 연결로드(20)를 잡아 당기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로드(20)와 연결된 도어래치가 스트라이커에서 해제되어 사이드 도어(11)는 개방되는 것이다.
또한, 차실내에 탑승한 승객이 레버(14)를 당겨도 사이드 도어(11)가 개폐되지 않도록 사이드 도어(11)를 잠금시키고자 할 때에는, 인 사이드 핸들(12)의 연동레버(15)에 구비된 노브(22)를 상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노브(22)의 고정구(24)가 상기 레버(14)의 고정홀(19)에서 빠져나오게 되며 동시에 상기 노브(22)는 판 스프링(25)의 탄력을 받아 상향 고정된다. 이때 승객이 사이드 도어(11)를 개방시키고자 상기 레버(14)를 잡아 당겨도 사이드 도어(11)는 개방되는 않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인 사이드 핸들은, 스트라이커를 로크시키는 도어래치의 로드와 상기 도어래치를 로크시키는 노브의 로드를 구비할 필요없이 로드 하나만 이용하여 노브를 상하 이동시키면서 사이드 도어를 로크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작업공정을 간편화 시켰고, 또한 작업성 향상 및 이에 따른 부품감소로 원가를 절감시킨 장점이 있다. 또한 도어래치를 로크시킨 상태에서 사이드 도어를 닫아도 외부에서 사이드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실내의 사이드 도어 내측에 구비된 레버를 당겨 상기 레버와 연결된 로드를 연동시켜 차체 패널의 스트라이커에 로크된 도어래치를 해제시키며 사이드 도어를 개폐시키는 인 사이드 핸들에 있어서,
    상기 인 사이드 핸들은 내측벽에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일단이 힌지되어 판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동가능하고 상측에 록킹홀을 구비한 레버와;
    상기 레버의 상측에 구비되어 회동 가능하며 그 일측에 상기 도어래치와 연결된 로드를 구비한 연동레버와;
    상기 연동레버에 슬라이드 구비되어 상하 이동가능하며 하향 이동시 상기 레버에 로크되도록 하는 고정구를 구비한 노브;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인 사이드 핸들.
KR1019970045069A 1997-08-30 1997-08-30 도어의 인 사이드 핸들 KR199900215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069A KR19990021524A (ko) 1997-08-30 1997-08-30 도어의 인 사이드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069A KR19990021524A (ko) 1997-08-30 1997-08-30 도어의 인 사이드 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524A true KR19990021524A (ko) 1999-03-25

Family

ID=66043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5069A KR19990021524A (ko) 1997-08-30 1997-08-30 도어의 인 사이드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152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86159B2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KR100828820B1 (ko)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크구조
US5984384A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with self-cancelling mechanism
US4612728A (en) Double-opening device of automobile doors
JP3104740B2 (ja) 自動車用ドアのインサイドハンドルロック装置
JP4599641B2 (ja) 車両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19990021524A (ko) 도어의 인 사이드 핸들
CN112840093B (zh) 车辆用车门的操作杆装置
JP4543468B2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KR100535766B1 (ko)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
JP3364566B2 (ja) 車両用スライド扉の中継機構
KR100318069B1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오작동 방지장치
KR100431985B1 (ko) 차량의 운전석 도어잠금장치
KR100443967B1 (ko) 자동차 도어의 록킹장치
KR100561770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록킹 컨트롤러
KR20020040346A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래치
JPH061021B2 (ja) 上下開閉式車両用ドアの開閉装置
KR200173679Y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안전래치 해제장치
KR200144576Y1 (ko) 어린이 보호레버와 연동되는 리어도어의 록킹장치
KR200150745Y1 (ko) 버스 선반의 도어잠금장치
KR100339103B1 (ko) 자동차용 도어록
KR0130449Y1 (ko) 자동차의 뒷문 개폐장치
KR20080105529A (ko) 도어 개폐기능을 갖춘 차량용 풀 핸들
KR0158147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JP2001279979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