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1282A - 차체 전착도장용 도어홀더 - Google Patents

차체 전착도장용 도어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1282A
KR19990021282A KR1019970044817A KR19970044817A KR19990021282A KR 19990021282 A KR19990021282 A KR 19990021282A KR 1019970044817 A KR1019970044817 A KR 1019970044817A KR 19970044817 A KR19970044817 A KR 19970044817A KR 19990021282 A KR19990021282 A KR 19990021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lder
opening
outer panel
doo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4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인섭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44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1282A/ko
Publication of KR19990021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282A/ko

Links

Landscapes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 전착도장용 도어홀더에 관한 것으로,종래 첫째,도어홀더의 잠금장치를 걸거나 풀 때 손을 차실내로 집어넣어야 하므로 불편하고, 작업자의 옷이 도어나 그 밖의 차체 도장면에 접촉해서 도장면이 벗겨지고,둘째,도어홀더를 설치한 상태에서 전착도장을 하기 때문에 도어홀더에 도포된 도장액을 제거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고 비용이 발생되고,세째,도장공정이 끝난 후에 도어홀더를 도어에서 탈거하여 또 다른 도장차체에 장착하기 위해서 전처리 공정으로 이송시켜야 하는데,앞/뒤·좌/우용의 도어 홀더를 박스 4개로 구별시켜 이송해야 하므로 작업공수가 많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따라서 본 발명은 윈도우 글라스가 삽설되는 도어 인너패널(2a)과 아웃터패널(2b)의 상단에 걸쳐지는 걸림부(11a)와 상기 상기 인너/아웃터패널(2a,2b)의 틈에 삽입되는 요부(11b)로 형성된 도어 파지구(11)와,상기 요부(11b)에 회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도어 파지구(11)가 상기 틈에서 빠지지 않게 조종가능한 이탈방지구(12)와,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고 일정간격(d) 열림상태로 유지되게 상기 도어 파지구(11)의 연장부(13)에 설치되어 도어필라 플랜지(3)의 바깥면에 걸리는 도어닫힘 방지구(14)와,도어가 완전히 열리지 않고 상기 일정간격(d) 열림상태로 유지되게 상기 연장부(13)에 회동되게 설치되어 도어필라 플랜지(3)의 안쪽면에 걸리는 도어열림 방지구(15)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차체 전착도장용 도어홀더
본 발명은 차체의 전착도장시 사용되는 도어 홀더에 관한 것으로,특히 도어 홀더의 구조를 변경하여 도어의 윈도우 글라스 삽입부와 필라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앞/뒤·좌/우 도어에 관계없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차체 전착도장용 도어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는 외부에서 보이는 부분으로서 승차석,엔진 및 트렁크 등에 필요한 공간과 주행중에 받는 외력에 대하여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고 있는 외부 구성부분,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으로서 외부 구성부분을 지지하여 차체 전체의 강도를 확보하고 있는,외부 패널의 안쪽에 설치된 각 패널로 이루어진 내부 구성부분 및 인스트루먼트 패널,콘솔박스등과 같은 내장품,바닥에 까는 카펫트,시트등으로 이루어진 내장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체는 차체의 각 부분에 가공하기 쉬운 크기로 패널을 절단하는 재료절단,절단된 패널을 각 부품으로 성형하는 프레스가공,로봇이나 멀티스폿 용접기로 차체의 형태로 조립하는 차체가공,부식을 방지하는 도장 및 내외장 부품을 설치하는 의장공정을 거쳐서 만들어진다.
상기 도장공정은 전처리/전착공정→ 씰링공정→중도공정→상도공정→수정공정을 거쳐서 완료된다.
상기 전처리 공정은 조립이 끝난 차체를 깨끗이 세정하는 공정이고,전착공정은 전착액조에 차체를 넣어 도장하는 공정이고,씰링공정은 방청,방음,방수를 위한 공정이고,중도공정은 원하는 색상을 얻기위한 공정이고,상도공정은 원래색상을 만들어 내는 공정이다.
이러한 도장작업시 상기 각공정간 이동시 도어를 차체에 닫힌 상태로 유지하되,도장을 고려하여 약간 열어놓을 수 있도록 도 1에 나타낸 바와같은 도어홀더(1)를 사용하는데,앞/뒤·좌/우의 도어에 따라 각각 다른 홀더가 사용된다.
즉,전처리 공정에서 도어홀더(1)를 설치하여 전착공정에서 전착도장을 하게 되고,씰링공정에서는 도어홀더(1)의 잠금장치(1a)를 차체에서 풀어서 도어(2)를 열고 내부 씰링작업을 하게 되고,중도/상도/수정공정에서도 도어홀더(1)의 잠금장치(1a)를 차체에서 풀어서 도어(2)를 열고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도어홀더로 인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첫째,도어홀더를 차실내로 설치하여 그 잠금장치를 작업자가 차체에 걸거나 차체에서 풀 때 작업자가 손을 차실내로 집어넣어야 하므로 불편할뿐만아니라 작업자의 옷이 도어나 그 밖의 차체 도장면에 접촉해서 도장면이 벗겨지는 문제점이 있고,둘째,도어홀더를 설치한 상태에서 전착도장을 하기 때문에 도어홀더에는 도장액이 도포되므로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도포된 도장액을 제거해야 하는데,도어홀더가 도어 인너패널과 차체에 설치됨에 따른 길이로 인해서 그 크기가 크기 때문에 도장액을 벗기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고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세째,도장공정이 끝난 후에 도어홀더를 도어에서 탈거하여 또 다른 도장차체에 장착하기 위해서 전처리 공정으로 이송시켜야 하는데,앞/뒤·좌/우용의 도어 홀더를 박스 4개로 구별시켜 이송해야 하므로 작업공수가 많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그 기술적 과제는 도어 홀더를 도어의 윈도우 글라스 삽입부와 필라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앞/뒤·좌/우 도어에 관계없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그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설치용이,도장면의 손상방지,도어 홀더의 도액 제거시간 단축 및 비용절감,도어홀더의 전처리 공정으로의 이송작업에 따른 작업공수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차체 전착도장용 도어홀더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도어 인너패널과 아웃터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는 도어 파지구와,상기 도어 파지구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 파지구가 이탈되지 않게 하는 이탈방지구와,상기 도어 파지구의 일측에 설치되어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도록 하는 도어닫힘 방지구와,상기 일측에 설치되어 도어가 완전히 열리지 않도록 하는 도어열림 방지구로 도어홀더를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도어홀더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홀더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홀더의 사용상태 요부 확대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홀더 2 : 도어
11 : 도어 파지구 11a : 걸림부
11b : 요부 12 : 이탈방지구
14 : 도어열림 방지구 15 : 도어닫힘 방지구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어홀더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것이고,도 3은 도어홀더의 사용상태 요부 확대상세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나타낸 바처럼 본 발명은 윈도우 글라스가 삽설되는 도어 인너패널(2a)과 아웃터패널(2b)의 상단에 걸쳐지는 걸림부(11a)와 상기 상기 인너/아웃터패널(2a,2b)의 틈에 삽입되는 요부(11b)로 형성된 도어 파지구(11)와,상기 요부(11b)에 회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도어 파지구(11)가 상기 틈에서 빠지지 않게 조종가능한 이탈방지구(12)와,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고 일정간격(d) 열림상태로 유지되게 상기 도어 파지구(11)의 연장부(13)에 설치되어 도어필라 플랜지(3)의 바깥면에 걸리는 도어닫힘 방지구(14)와,도어가 완전히 열리지 않고 상기 일정간격(d) 열림상태로 유지되게 상기 연장부(13)에 회동되게 설치되어 도어필라 플랜지(3)의 안쪽면에 걸리는 도어열림 방지구(15)로 구성된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도어홀더는 도어 파지구(11),이탈방지구(12),연장부(13),도어닫힘 방지구(14) 및 도어열림 방지구(15)로 이루어진 것으로,종래와 달리 도어 인너/아웃터패널(2a,2b)과 도어필라 플랜지(3)에 설치하여 소형화함과 아울러 차실내가 아닌 차외부로 노출설치하고,앞/뒤·좌/우 도어에 공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도어홀더의 사용방법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 파지구(11)의 걸림부(11a)를 도어 인너/아웃터 패널(2a,2b)의 상단에 끼우고 요부(11b)를 도어 인너/아웃터 패널간의 틈새로 넣어 설치하여 도어닫힘 방지구(14)가 도어필라 플랜지(3)의 바깥면에 위치되도록 한 후에 이탈방지구(12)를 회전시켜 그 하단의 수평절곡부(12a)가 도어 인너 또는 아웃터 패널(2a,2b)의 경사면(2a´,2b´)에 걸리도록 한다.
그리고 도어열림 방지구(15)를 그 손잡이(15a)를 잡고 반대로 회전시켜 도어필라 플랜지(3)의 안쪽면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렇게 도어홀더를 설치하면 도어열림/닫힘 방지구에 의해 도어가 완전히 열리지도 닫히지도 않으면서 일정간격(d)이 유지된채 열려 있게 되어 도장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도어홀더를 각 도어에 설치함에 따라 첫째,도어홀더를 도어 인너/아웃터 패널과 도어필라 플랜지에 설치함으로써 도어홀더의 잠금장치를 작업자가 차체에 걸거나 차체에서 풀 때 작업자가 손을 차실내로 집어넣을 필요가 없어 편할뿐만아니라 차실내로 손이 들어가지 않음으로써 작업자의 옷이 도어나 그 밖의 차체 도장면에 접촉되지 않아 도장면의 도장액 도포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고,둘째,도어홀더를 도어 인너/아웃터 패널과 도어필라 플랜지에 설치하여 그 크기를 소형화함으로써 도어홀더에 도포되는 도장액을 벗기는 시간이 단축됨과 아울러 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고,셋째,도어홀더가 공용화됨으로써 도어홀더의 전처리 공정으로의 이송작업에 드는 작업공수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윈도우 글라스가 삽설되는 도어 인너패널(2a)과 아웃터패널(2b)의 상단에 걸쳐지는 걸림부(11a)와 상기 상기 인너/아웃터패널(2a,2b)의 틈에 삽입되는 요부(11b)로 형성된 도어 파지구(11)와,상기 요부(11b)에 회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도어 파지구(11)가 상기 틈에서 빠지지 않게 조종가능한 이탈방지구(12)와,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고 일정간격(d) 열림상태로 유지되게 상기 도어 파지구(11)의 연장부(13)에 설치되어 도어필라 플랜지(3)의 바깥면에 걸리는 도어닫힘 방지구(14)와,도어가 완전히 열리지 않고 상기 일정간격(d) 열림상태로 유지되게 상기 연장부(13)에 회동되게 설치되어 도어필라 플랜지(3)의 안쪽면에 걸리는 도어열림 방지구(1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전착도장용 도어홀더.
KR1019970044817A 1997-08-30 1997-08-30 차체 전착도장용 도어홀더 KR199900212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817A KR19990021282A (ko) 1997-08-30 1997-08-30 차체 전착도장용 도어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817A KR19990021282A (ko) 1997-08-30 1997-08-30 차체 전착도장용 도어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282A true KR19990021282A (ko) 1999-03-25

Family

ID=66038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4817A KR19990021282A (ko) 1997-08-30 1997-08-30 차체 전착도장용 도어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12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2187A (zh) * 2019-04-03 2019-07-05 上汽大通汽车有限公司 用于汽车涂装电泳的多车型兼容夹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2187A (zh) * 2019-04-03 2019-07-05 上汽大通汽车有限公司 用于汽车涂装电泳的多车型兼容夹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45654A1 (en) Door closure prevention tool and vehicle body coating method using the tool
KR20070106148A (ko) 트림장착용 패스너
DE10334603A1 (de) Einrast-Festhaltegriff und zugehöriges Zusammenbauverfahren
KR19990021282A (ko) 차체 전착도장용 도어홀더
US5104094A (en) Car door latch mechanism viewing tool
JPH0730474Y2 (ja) 自動車フロントドア当り止めロック用治具
KR19990007352U (ko) 자동차의 프론트 도어용 홀더
KR0135130Y1 (ko) 전착도장시 도어고정지그의 구조
KR0115863Y1 (ko) 자동차의 트렁크용 사물함
KR19990007351U (ko) 자동차의 리어 도어용 홀더
KR200141439Y1 (ko) 트렁크후드의 도장용 고정식 치구
KR19990026099U (ko) 자동차의 프론트 도어용 홀더
JPH0730475Y2 (ja) 自動車リヤドア当り止めロック用治具
JP2022021004A (ja) 車両の塗装方法
KR19990026098U (ko) 자동차의 리어 도어용 홀더
KR19990024759U (ko) 도장용 스터드 볼트 캡
JPH0646730Y2 (ja) ブラケット付きドアトリム
KR200141607Y1 (ko) 차량의 트렁크리드용 힌지
KR19980013934U (ko) 차량의 도어 고정용 홀더
JP2577915B2 (ja) 自動車の小物入れ
KR100792553B1 (ko) 플립업글라스 손잡이 결합구조
JPH0332525Y2 (ko)
KR200150281Y1 (ko) 차체의 락커패널 전착도장 구조
JPH0439081Y2 (ko)
KR200159776Y1 (ko) 트렁크 리드 개방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