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0455U - 지중케이블용 보호부재 - Google Patents

지중케이블용 보호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0455U
KR19990020455U KR2019970033928U KR19970033928U KR19990020455U KR 19990020455 U KR19990020455 U KR 19990020455U KR 2019970033928 U KR2019970033928 U KR 2019970033928U KR 19970033928 U KR19970033928 U KR 19970033928U KR 19990020455 U KR19990020455 U KR 199900204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on member
cable
underground
underground cab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39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대
Original Assignee
박종태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태, 제룡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종태
Priority to KR20199700339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0455U/ko
Publication of KR199900204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455U/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지중케이블용 보호부재에 관한 것으로, 지중케이블이 삽입되는 관의 상부에 지중케이블을 보호하는 지중케이블용 보호부재에 있어서, 몸체 외측으로는 다른 보호부재와 연결 할 수 있도록 결합공을 다수개 형성하고, 그 결합공이 구비된 보호부재의 외측에는 상연결부와 하연결부를 각각 구성하며, 그 상연결부와 하연결부의 내측에는 보강부와 삽입홈을 다수개 순차적으로 구비하고, 상기의 결합공에 삽입되어 보호부재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누름부와 걸림부가 구비된 결합부재를 형성하여 지중테이블이 삽입된 관의 상부에 보호부재를 올려놓고, 그 보호부재의 일측 하연결부에 다른 보호부재의 상연결부를 올려놓고 결합부재로 결합공에 삽입시키게 되면 다른 보호부재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지중케이블의 보호부재가 지중케이블의 관 상부에서 지중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는 위치에 매몰되도록 하고, 지중케이블용 보호부재가 다른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지중케이블용 보호부재
본 고안은 지중케이블용 보호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땅속에 매설되는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하여 케이블의 상부에 올려지는 보호부재에서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한 보호부재에 삽입홈과 보강부를 다수개 순차적으로 구성하며, 그 보호부재의 외측면으로 상연결부와 하연결부를 각각 구성하고, 그 상연결부와, 다른 보호부재의 하연결부가 각각 걸림부와 누름부를 구비한 결합부재로 결합되도록 하여 케이블의 상부에 보호부재가 순차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지중케이블이 포크레인 등의 굴삭작업 시에 보호될 수 있도록 하고, 지중케이블의 매설시에 보호부재가 정상적인 위치에 매설될 수 있도록 한 지중케이블용 보호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다수의 신호나 전원을 동시에 전달할 수 있도록 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으며, 그 케이블은 철탑이나 전주를 통하여 설치되기는 하지만, 땅속에도 케이블이 묻히게 되어 일측 장소에서 다른 장소까지 신호나 전원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왔다.
종래의 케이블이 땅속에 묻히게 되는 경우 케이블은 둥근 원형의 관 내측에 삽입되어 지중에 설치되었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이 지중에 묻힌 후에는 도로의 굴삭공사 등으로 땅이 파헤쳐지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즉, 수도관이나 가스관 및 케이블관 등을 묻거나 보수하기 위하여 도로의 굴삭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었다. 상기의 경우 작업을 신속하게 하기 위하여 포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게 되었다. 이때, 포크레인등의 중장비 작업자가 신중하게 작업을 실시하지 못하는 경우 가스관이나 수도관을 잘못 건드리게 되어 가스폭발 사고나 수도물이 새오나오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였다. 또한, 가스관이나 수도관 이외에 지중케이블선이 내장된 관을 잘못 건드려서 파손될 때 케이블이 단선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이 단선되는 경우 단선된 케이블을 다시 연결하는 것이 단순한 작업이 아니었다. 즉, 단순한 동선과 같이 단선된 동선의 피복을 벗기고, 그 동선을 서로 연결하여 단선된 동선을 연결하는 작업과는 대단히 다른 작업이었다. 케이블의 경우에는 한 케이블 내측에 다수의 광섬유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 광섬유들을 전부 연결하는 작업도 힘들 뿐만 아니라 다수의 광섬유를 서로 연결하였다고 하더라도 그 광섬유를 일측과 타측이 서로 올바르게 연결되도록 하는 것도 대단히 어려운 작업이었다. 일측에서는 +신호를 전달하였으나, 그 신호를 전달하는 광섬유가 단선된 후에 잘못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지중케이블이 묻히게 되는 관의 상부에 아크릴 재질로 된 단순한 판을 올려놓도록 하였다. 이 아크릴 판에 의하여 포크레인 작업을 할 때, 포크레인의 발이 아크릴 판에 걸리도록 하여 관으로 직접 포크레인의 발이 접하지 않도록 한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아크릴 판은 낱개의 판이 지중케이블 관의 상부에 올려지기 때문에 흙이 올려지게 될 때 아크릴 판이 기울어져서 매몰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으며, 이와같은 경우 아크릴 판이 정상적인 위치에서 벗어나 매몰되어 있기 때문에 중장비 등의 굴삭작업 시에 정상적으로 지중케이블의 관을 보호해 줄 수가 없게 되었다.
또한, 상기의 아크릴 판은 평평한 판이었기 때문에 아크릴 판이 매설되는 도중이나 매설된 후에 아크릴 판이 미끄러지기 쉽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착안한 것으로 지중케이블의 보호부재가 지중케이블의 관 상부에서 지중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는 위치에 매몰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지중케이블용 보호부재가 다른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지중케이블이 삽입되는 관의 상부에 지중케이블을 보호하는 지중케이블용 보호부재에 있어서, 몸체 외측으로는 다른 보호부재와 연결 할 수 있도록 결합공을 다수개 형성하고, 그 결합공이 구비된 보호부재의 외측에는 상연결부와 하연결부를 각각 구성하며, 그 상연결부와 하연결부의 내측에는 보강부와 삽입홈을 다수개 순차적으로 구비하고, 상기의 결합공에 삽입되어 보호부재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누름부와 걸림부가 구비된 결합부재를 형성하여 지중테이블이 삽입된 관의 상부에 보호부재를 올려놓고, 그 보호부재의 일측 하연결부에 다른 보호부재의 상연결부를 올려놓고 결합부재로 결합공에 삽입시키게 되면 다른 보호부재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지중케이블을 상측에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보호부재를 배면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결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보호부재를 정면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보호부재12 : 몸체
13 : 보강부14 : 삽입홈
15 : 하연결부16 : 상연결부
20 : 결합부재22 : 누름부
24 : 걸림부
도 1은 본 고안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로써, 본 고안의 지중케이블용 보호부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중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재(11)는 몸체(12)의 외측으로 <형상의 하연결부(15)를 형성하고, 그 반대측에는 >의 형상으로 상연결부(16)를 구성하며, 하연결부(15)는 일정 높이 상측이 제거된 형상이고, 상연결부(16)는 일정 높이 하측이 제거된 형상인 것이다. 이때, 상연결부(16)와 하연결부(15)를 다른 보호부재(11)의 하연결부(15)와 상연결부(16)에 겹치도록 하게 되면 보호부재(11)의 몸체(12) 높이가 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좋은 실시예이며, 몸체(12)의 높이보다 상연결부(16)와 하연결부(15)의 겹침높이가 낮아지거나 높아지도록 하여도 된다.
그러나, 하연결부(15)와 상연결부(16)의 겹침높이가 너무 높게 되는 경우 보호부재(11)가 지중케이블의 관에 접하는 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보호기능이 약해지게 되며, 상연결부(16)와 하연결부(15)의 의 겹침높이가 너무 낮게 되는 경우 보호부재(11)와 보호부재(11)의 결합이 약해지게되어 하연결부(15)와 상연결부(16)가 쉽게 파손될 가능성이 많은 것이었다. 따라서, 하연결부(15)와 상연결부(16)의 겹침높이는 보호부재(11)의 몸체(12) 높이에 가깝게 하는 것이 좋은 실시예이다.
그리고, >형상의 상연결부(16)와 < 형상의 하연결부(15)는 각각 선단부가 만나지 않도록 하여 형성한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지중케이블용 보호부재(11)가 전면과 후면이 뒤바뀌는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의 하연결부(15)와 상연결부(16)에는 다수개의 결합공(17)을 형성한 것이다. 이때, 그 위치는 다른 보호부재(11)의 결합공(17)과 같은 위치에 형성하도록 하여 어떤 보호부재(11)에서 다른 보호부재(11)와 연결하게 될 때 균일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보호부재(11)는 하연결부(15)와 상연결부(16)의 내측으로 다수개의 삽입홈(14)을 순차적으로 구성하고, 그 삽입홈(14)과 삽입홈(14)의 사이에는 보강부(13)를 구비한 것이다.
도 2 는 본 고안의 보호부재(11)와 보호부재(11)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20)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결합부재(20)의 몸체(21) 상부에는 누름부(22)를 구성하고, 그 몸체(21)의 하부에는 안내경사면(23)과 걸림부(24)을 형성한 것이다.
도 3 은 본 고안의 보호부재(11)의 정면을 나타낸 사시도로써, 전면에 삽입홈(14)과 보강부(13)를 다수개 구성한 보호부재(11)의 후면에는 도시한 바와같이 평평한 면으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포크레인의 발이 보호부재(11)에 접하게 될때에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땅속에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관(30)이 매설되게 되면 그 관(30)의 상부에 보호부재(11)가 올려지게 된다. 이때, 보강부(13)와 삽입홈(14)이 하측을 향하게 되며, 보호부재(11)의 하연결부(15)는 하측으로 놓이게 되고, 보호부재(11)의 상연결부(16)는 상측으로 놓이게 된다.
보호부재(11)의 하연결부(15) 상부에 다른 보호부재(11)의 상연결부(16)를 올려놓게 되면 하연결부(15)의 결합공(17)과 상연결부(16)의 결합공(17)이 서로 겹치게 되고, 그 하연결부(15)의 결합공(17)과 상연결부(16)의 결합공(17)에 결합부재(20)를 삽입하게 된다.
결합부재(20)의 안내경사면(23)이 결합공(17)을 향하도록 한 뒤에 결합부재(20)의 누름부(22)를 누르게 되면 안내경사면(23)이 하연결부(15)의 결합공(17)과 상연결부(16)의 결합공(17)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부재(20)의 안내경사면(23)이 하연결부(15)의 결합공(17)과 상연결부(16)의 결합공(17)을 통과하게 되면 안내경사면(23)의 선단부에 구성된 걸림부(24)가 보호부재(11)의 하연결부(15) 하면에 걸리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결합부재(20)는 소정의 보호부재(11)와 다른 보호부재(11)를 서로 연결시키게 된다.
이때, 케이블의 관(30)이 두 개인 경우에는 좁은 방향인 세로로 하여 보호부재(11)를 배치하며, 케이블의 관(30)이 세 개의 경우에는 보호부재(11)를 넓은 방향인 가로로 하여 배치하게 된다. 도 4 에서는 세로로 하여 케이블의 관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지중케이블의 관(30) 상부에 보호부재(11)가 배치된 후에 흙을 묻게 될 때, 보호부재(11)가 다른 보호부재(11)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제거된다. 따라서, 보호부재(11)는 지중케이블의 관(11) 상부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보호부재(11)는 포크레인등의 중장비가 케이블 선로를 파헤치게 되어도 지중케이블을 정확한 위치에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중케이블용 보호부재(11)가 케이블의 상부에 설치된 후에 매몰되면 중장비나 작업자의 삽 등에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즉, 중장비인 포크레인의 발이나 작업자의 삽이 케이블을 감싸고 있는 관(30)에 직접 접하지 않도록 보호부재(11)가 보호하게 된다. 포크레인의 발이 보호부재(11)에 접하게 되는 경우 보호부재(11)의 평평한 면에 포크레인의 발이 미끄러지게 되어 케이블의 관(30)을 보호할 수 있게 되고, 보호부재(11)의 보강부(13)와 삽입홈(14)에 의하여 포크레인의 발이 보호부재(11)에 접하게 될 때에도 보호부재(11)가 부서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지중케이블의 보호부재를 지중케이블의 관 상부에서 지중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는 위치에 정확히 매몰되게 되며, 지중케이블용 보호부재가 다른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 방지되고, 보호부재의 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지중케이블이 삽입되는 관의 상부에 지중케이블을 보호하는 지중케이블용 보호부재에 있어서, 몸체 외측으로 형성한 다수개의 결합공이 구비된 보호부재의 외측에는 상연결부와 하연결부를 각각 구성하며, 그 상연결부와 하연결부의 내측에는 보강부와 삽입홈을 다수개 순차적으로 구비하고, 누름부와 걸림부가 구비된 결합부재를 형성하여 지중테이블이 삽입된 관의 상부에 보호부재를 올려놓고, 그 보호부재의 일측 하연결부에 다른 보호부재의 상연결부를 올려놓고 결합부재로 결합공에 삽입시키게 되면 다른 보호부재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케이블용 보호부재.
KR2019970033928U 1997-11-26 1997-11-26 지중케이블용 보호부재 KR1999002045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928U KR19990020455U (ko) 1997-11-26 1997-11-26 지중케이블용 보호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928U KR19990020455U (ko) 1997-11-26 1997-11-26 지중케이블용 보호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455U true KR19990020455U (ko) 1999-06-15

Family

ID=69676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3928U KR19990020455U (ko) 1997-11-26 1997-11-26 지중케이블용 보호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0455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698B1 (ko) * 2006-02-27 2006-09-28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 지중 케이블 보호판 구조
KR100649553B1 (ko) * 2006-09-12 2006-11-30 (주)미가엔지니어링 건축단지 내 지중의 케이블 보호판 구조
KR100889385B1 (ko) * 2008-12-23 2009-03-19 (주)유진씨엔이 건축단지내의 지중케이블 보호장치
KR20190043313A (ko) * 2017-10-18 2019-04-26 한국전력공사 지중케이블보호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698B1 (ko) * 2006-02-27 2006-09-28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 지중 케이블 보호판 구조
KR100649553B1 (ko) * 2006-09-12 2006-11-30 (주)미가엔지니어링 건축단지 내 지중의 케이블 보호판 구조
KR100889385B1 (ko) * 2008-12-23 2009-03-19 (주)유진씨엔이 건축단지내의 지중케이블 보호장치
KR20190043313A (ko) * 2017-10-18 2019-04-26 한국전력공사 지중케이블보호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9613B1 (ko) 지중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
US20080190509A1 (en) End cap assembly
KR19990020455U (ko) 지중케이블용 보호부재
KR101894912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선로 보호장치
CA224788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undergound cables
KR102018483B1 (ko) 지중케이블 보호판
KR100835931B1 (ko) 배전 지중 케이블 보호관
US6494232B2 (en) Modular protective sleeve for underground utilities
ES2435642B1 (es) Procedimiento de sustitución, sin realización de zanjas, de una canalización subterránea de plomo
CN210164998U (zh) 一种地下管线保护板
KR19990055739A (ko) 지하관로의 위치 탐지방법
KR100770456B1 (ko) 지중선로보호판용 물감팩
KR200194962Y1 (ko) 파형관용 스페이셔
KR100673485B1 (ko) 지중배전용 케이블 보호구조
US20010043071A1 (en) Closure guard with electronic marker
CN208954515U (zh) 地下管道警示装置
JP2912890B2 (ja) 地中埋設物用防護板
EP0420961A1 (en) RESETTABLE CUFF FOR PIPE CONNECTION.
KR20200039968A (ko) 지중 선로 보호장치
JPH05106779A (ja) 埋設配管の保護カバー構造
US11287061B1 (en) Underground gas line protection and method to use
KR200143440Y1 (ko) 지하매설물 경고 테이프
JPH10115394A (ja) 埋設管保護装置
KR200300940Y1 (ko) 지하 매설용 배선의 보호덮개
CN209913463U (zh) 一种非开挖可探测的改性聚丙烯电缆导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