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0261U - 진동 모터의 진동추 - Google Patents

진동 모터의 진동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0261U
KR19990020261U KR2019970033713U KR19970033713U KR19990020261U KR 19990020261 U KR19990020261 U KR 19990020261U KR 2019970033713 U KR2019970033713 U KR 2019970033713U KR 19970033713 U KR19970033713 U KR 19970033713U KR 19990020261 U KR19990020261 U KR 199900202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weight
motor
cylindric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37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월승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20199700337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0261U/ko
Publication of KR199900202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261U/ko

Links

Landscapes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통형 진동 모터의 진동추에 대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회전축의 외단에 끼워지는 진동추의 편심 정도를 조정하여 모터의 회전 성능을 향상시키므로서 회전량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수단은 원통형의 외부 케이스와, 이 원통형의 외부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의 내부 케이스와, 상기한 내부 케이스의 속으로 끼워진 내단은 브러시 구조를 가진 로터의 축부에 연결되고, 외부로 노출된 외단에는 진동추가 결합된 회전축으로 이루어진 진동 모터에 있어서, 상기한 진동추는 중앙의 축구멍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으로 형성한 편심부와, 반대쪽으로 형성한 균형부로 형성하여 편심량을 조정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진동 모터의 진동추
본 고안은 원통형 진동 모터의 진동추에 대한 것으로 더 자세히 말하자면 진동추를 모터의 회전축에 축착 고정시키되, 무게의 편심정도를 조정하여 진동회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화기, 무선호출기 등에 사용되는 진동 모터는 원판형 진동 모터와 원통형 진동 모터가 알려져 있으며, 전자는 제조가 어렵고 생산가가 높기 때문에 제조가 비교적 쉽고 가격이 싼 후자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는 도 1에서 볼 수 있다.
도 1의 진동 모터 구성을 보면 원통형의 외부 케이스(1)와, 이 외부 케이스로부터 연장되거나 새로 결합시킨 원통형의 내부 케이스(2)를 형성한 후, 상기한 내부 케이스(2)의 선단부(21)와 내단부(22) 내경에 각각 메탈 베어링(51)(52)을 결합하고, 이 메탈 베어링(51)(52)의 내경으로 회전축(3)을 축착하며, 이 회전축(3)의 내단에는 코일(41)을 포함하는 로터(4)와, 로터의 일측편에 마련된 브러시구조(6)를, 외단에는 진동추(7)를 가지는 것이다.
이때의 진동추(7)는 원통의 일측부는 그대로 두어 편심부(71)로 하고 나머지 일측부를 제거하되, 축압입을 위한 축구멍(73)이 유지되도록 감합부(72)를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진동추(7)에서는 무게가 무거운 편심부(71)가 감합부(72)의 반대쪽에 너무 편중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의 회전 성능에 장애를 주게 되며, 그에 따라 진동정도는 유지되더라도 회전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오히려 진동수가 적어지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회전축의 외단에 끼워지는 진동추의 편심 정도를 조정하여 모터의 회전 성능을 향상시키므로서 회전량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진동 모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진동 모터용 진동추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진동추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진동추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부 케이스 2 : 내부 케이스
3 : 회전축 4 : 로터
6 : 브러시 구조 7 : 진동추
71 : 편심부 72 : 감합부
73 : 축구멍 74 : 균형부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수단은 원통형의 외부 케이스와, 이 원통형의 외부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의 내부 케이스와, 상기한 내부 케이스의 속으로 끼워진 내단은 브러시 구조를 가진 로터의 축부에 연결되고, 외부로 노출된 외단에는 진동추가 결합된 회전축으로 이루어진 진동 모터에 있어서, 상기한 진동추는 중앙의 축구멍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으로 형성한 편심부와, 반대쪽으로 형성한 균형부로 형성하여 편심량을 조정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진동추(7)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보듯이 회전축(3)의 외단에 축착 고정될 진동추(7)는 원통의 중앙에 축구멍(73)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원통의 일측 반은 편심부(71)로 하고, 그 나머지 반은 제거하되, 상기한 축구멍(73)이 유지되도록 감합부(72)를 남겨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감합부(72)의 일측편에서 상기 편심부(71)에 반대되는 위치에 균형부(74)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진동추(7)는 모터가 구동되어 회전축(3)이 회전을 하면 편심부(71)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게 되며, 이때의 진동추(7)는 편심부(71)의 반대쪽에 균형추(74)가 더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편심부(71)에 의한 회전 장애를 어느정도 감소시켜 회전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회전축(3)에 축착하는 진동추(7)를 형성함에 있어서, 편심부(71)만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하중이 반대쪽에 있는 균형부(74)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진동추에 의한 회전 장애가 어느정도 극복되어 진동량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원통형의 외부 케이스(1)와, 이 원통형의 외부 케이스(1)와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의 내부 케이스(2)와, 상기한 내부 케이스의 속으로 끼워진 내단은 브러시 구조를 가진 로터(4)의 축부에 연결되고, 외부로 노출된 외단에는 진동추(31)가 결합된 회전축(3)으로 이루어진 진동 모터에 있어서,
    상기한 진동추(7)는 중앙의 축구멍(73)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으로 형성한 편심부(71)와, 반대쪽으로 형성한 균형부(74)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용 진동추.
KR2019970033713U 1997-11-25 1997-11-25 진동 모터의 진동추 KR199900202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713U KR19990020261U (ko) 1997-11-25 1997-11-25 진동 모터의 진동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713U KR19990020261U (ko) 1997-11-25 1997-11-25 진동 모터의 진동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261U true KR19990020261U (ko) 1999-06-15

Family

ID=69692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3713U KR19990020261U (ko) 1997-11-25 1997-11-25 진동 모터의 진동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026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506B1 (ko) * 2006-06-08 2007-02-22 주식회사 세라젬 편심회전체와 이것을 포함한 진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506B1 (ko) * 2006-06-08 2007-02-22 주식회사 세라젬 편심회전체와 이것을 포함한 진동장치
WO2007142377A1 (en) * 2006-06-08 2007-12-13 Ceragem Co., Ltd. An eccentric-revolutionary body and a vibr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0151921A (ru) Электрическая зубная щетка
KR870011381A (ko) 스크로울 압축기
KR890008456A (ko) 회전기계용 회전자와 그 균형추
US5561909A (en) Battery operated saw
US5327035A (en) Vibrator motor for a wireless silent alerting device
EP1176702A1 (en) Coreless motor
KR19990020261U (ko) 진동 모터의 진동추
KR910012541A (ko) 일체형 크랭크축, 상부 베어링 및 균형추를 가진 스크롤 압축기
EP1098096A1 (en) Dynamic pressure bearing and spindle motor
JPS6275092A (ja) ロ−タリコンプレツサ
US20020100338A1 (en) Eccentric assembly with eccentric weight and biased counterweight
KR100518022B1 (ko) 전동기용 엔드 브래킷의 마운트 링 체결구조
JPH05180183A (ja) ロータリー圧縮機
JPS63113785U (ko)
KR200176041Y1 (ko) 두드리기 기구(器具) 의 크랭크장치
KR19990020262U (ko) 진동 모터의 진동추
KR100722601B1 (ko) 진동모터
JPS6320867Y2 (ko)
JPH05344699A (ja) 円筒コアレス振動モータ
JPS6318938A (ja) モ−タの軸受装置
JP4629927B2 (ja) 掃除機用床ノズルの回転ロータ
CN2217283Y (zh) 寻呼机振动器
SU1065107A1 (ru) Вибрационный инструментальный шпиндель
KR200177049Y1 (ko) 가동날개 압축기의 구조
KR19990033917U (ko) 에이비에스모터의 스톱부싱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