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9915U - 용광로 출선구의 지금부착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용광로 출선구의 지금부착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9915U
KR19990019915U KR2019970033313U KR19970033313U KR19990019915U KR 19990019915 U KR19990019915 U KR 19990019915U KR 2019970033313 U KR2019970033313 U KR 2019970033313U KR 19970033313 U KR19970033313 U KR 19970033313U KR 19990019915 U KR19990019915 U KR 199900199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attachment
support arm
fixe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33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호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70033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9915U/ko
Publication of KR199900199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915U/ko

Links

Landscapes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광로 출선구의 지금부착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출선구(15)의 일측에 고정되는 베이스(1)의 상부에 모터(2)에 의해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단에 지지암(7)이 고정되는 회전축(5)과; 상기 회전축(5)을 내장하도록 상기 베이스(1)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상기 지지암(7)에 의해 관통되는 가이드홀(18-1)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홀(18-1)의 양단측에 제어반(20)과 연결되는 리밋스위치(19-1,19-2)가 설치되는 커버(18)와; 상기 지지암(7)의 선단에 결합되는 유로덕트(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 출선구의 지금부착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광로 출선구의 지금부착방지장치
본 고안은 용광로 출선구의 지금부착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출선구를 통해 배출되는 용광로의 용융물을 유도덕트를 이용하여 대탕도로 유도함으로써 출선구면에 지금 부착을 방지할 수 있는 용광로 출선구의 지금부착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광로에는 로저에 고인 용융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4개의 출선구가 90。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종래에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출선시간이 지남에 따라 용융물(10)의 침식작용으로 출선구(15)의 출구측이 점차 커지고, 이에 비례하여 용융물의 배출량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용광로(11)에서 출선구(15)를 통해 고속으로 배출되는 용융물(10)은 출선구의 주위로 비산되면서 출선구면(15-1)에 부착되고, 출선작업완료 후 출선구(15)의 폐쇄작업시 출선구면에 부착되어 있는 지금(13)은 머드건의 출선구 밀착을 방해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환봉을 이용하여 수시로 제거하여야 한다.
이때 출선구면(15-1)의 부착지금제거작업은 작업자에게 과다한 작업부하를 주게되고, 출선구면(15-1)의 부착지금제거작업을 쉽게하기 위한 출선구면의 모래살표작업 또한 작업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출선구면(15-1)의 부착지금(13)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거나, 게거과정에서 지금제거용 환봉에 의해 출선구면에 요철이 발생될 경우 출선구면에 머드건이 밀착되지 않아 머드재가 누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출선구를 통해 배출되는 용광로의 용융물을 유도덕트를 이용하여 대탕도로 유도함으로써 출선구면에 지금 부착을 방지할 수 있는 용광로 출선구의 지금부착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의 용융물 출선작업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2는 종래의 용융물 배출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용광로 출선구의 지금부착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도3의 A-A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용광로 출선구의 지금부착방지장치중 보호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베이스 2: 기어드모터 3: 구동기어 4: 종동기어 5: 회전축 6: 유도덕트 7: 지지암 9: 풍구 10: 용융물 11: 용광로 12: 대탕도 13: 지금 15: 출선구 18: 보호커버 18-1: 가이드홀 19-1,19-2: 리밋스위치 20: 제어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출선구의 일측에 고정되는 베이스의 상부에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단에 지지암이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내장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상기 지지암에 의해 관통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홀의 양단측에 제어반과 연결되는 리밋스위치가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지지암의 선단에 결합되는 유로덕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 출선구의 지금부착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용광로 출선구의 지금부착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의 A-A단면도이며,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용광로 출선구의 지금부착방지장치중 보호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대탕도(12)의 일측편에는 원판의 베이스(1)가 설치되어 있고, 이 베이스의 상면 중앙에 회전축(5)이 회전 가능하도록 수직 결합되어 있고, 이 회전축(5)의 외주면 중단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종동기어(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1)의 상면 일측에는 기어드모터(2)가 부착되어 있고, 이 기어드모터(2)의 동력축 상단에는 구동기어(3)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 구동기어는 종동기어(4)와 치결합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5)에는 그 외주면 상단에 지지암(7)이 수평되게 결합되어 있고, 이 지지암(7)의 선단에 유로덕트(6)가 출선구(15)와 동일축을 이루도록 결합되어 있다.
한편 내화물로 가공되는 유로덕트(6)는 그 선단면이 출선구면(15-1)에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내주면에 직관부(6-1)와 축관부(6-2), 확관부(6-3)가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직관부(6-1)는 출선구(15)와 동일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축관부(6-2)는 서서히 그 내경이 축소되면서 직관부를 통과한 용융물(10)의 속도를 증가시키게 되며, 확관부(6-3)는 그 내경이 서서히 커지면서 축관부(6-2)에서 그 속도가 증가된 용융물의 속도를 감소시키게 된다.
여기서 유도덕트(6)의 내주면을 형성하고 있는 직관부(6-1), 축관부(6-2), 확관부(6-3)가 출선구(15)와 동일축선상에 위치하도록 유로덕트가 출선구에 결합된다.
그리고 회전축(5)의 상부에 씌워지면서 하단이 베이스(1)에 체결되는 원통형의 보호커버(18)에는 그 외주면에 지지암(7)의 90。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홀(18-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가이드홀(18-1)의 양측에는 지지암(7)에 의해 터치되도록 각각 취부외완료리밋스위치(19-1,19-2)가 부착되어 있고, 이 리밋스위치는 제어반(20)에 연결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유로덕트(6)가 출선구(15)로부터 취외된 상태에서 출선구(15)를 통해 용강로(11)의 용융물(10) 출선작업이 개시됨을 알리는 신호가 제어반(20)에 입력되면 제어반(20)에서 기어드모터(2)에 작동지시를 하게 된다.
이때 기어드모터(2)의 작동으로 구동기어(3)가 회전하게 되고, 구동기어에 치결합되는 종동기어(4)가 회전되면서 회전축(5)이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지지암(7)이 출선구(15)측으로 회전되면서 유로덕트(6)를 출선구면(15-1)에 밀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지지암(7)이 가이드홀(18)을 따라 회전되면서 취부완료리밋스위치(19-2)에 터치되면 제어반(20)에서 이를 감지하여 기어드모터(2)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여기서 유로덕트(6)의 직관부(6-1)에서는 출선구(15)와 동일직경으로 형성되어 출선구의 동일 유속으로 용융물(10)이 이동되고, 축관부(6-2)는 서서히 그 내경이 축소되면서 직관부를 통과한 용융물(10)의 속도를 증가시키게 되며, 확관부(6-3)는 그 내경이 서서히 커지면서 축관부(6-2)에서 그 속도가 증가된 용융물의 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대탕도로 배출되는 용융물의 비산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출선구(15)를 통한 용광로(11)의 출선작업이 완료되면 이를 제어반(20)에서 인식하여 기어드모터(2)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기어(3)와 종동기어(4)가 차례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축(5)에 의해 회전되는 지지암(7)이 가이드홀(18-1)을 따라 회전되면서 취외완료리밋스위치(19-1)와 터치하게 되고, 이를 제어반(20)에서 감지하여 기어드모터(2)의 작동을 멈추게 함으로써 용융물(10)의 출선유도작업이 완료된다.
본 고안은 출선구를 통해 배출되는 용광로의 용융물을 유도덕트를 이용하여 대탕도로 유도함으로써 출선구면에 지금 부착을 방지할 수 있고, 별도의 부착지금제거작업이 필요없기 때문에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출선구(15)의 일측에 고정되는 베이스(1)의 상부에 모터(2)에 의해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단에 지지암(7)이 고정되는 회전축(5)과;
    상기 회전축(5)을 내장하도록 상기 베이스(1)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상기 지지암(7)에 의해 관통되는 가이드홀(18-1)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홀(18-1)의 양단측에 제어반(20)과 연결되는 리밋스위치(19-1,19-2)가 설치되는 커버(18)와;
    상기 지지암(7)의 선단에 결합되는 유로덕트(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 출선구의 지금부착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덕트(6)의 내주면에 직관부(6-1), 축관부(6-2), 확관부(6-3)가 상기 출선구(15)와 동일축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 출선구의 지금부착방지장치.
KR2019970033313U 1997-11-21 1997-11-21 용광로 출선구의 지금부착 방지장치 KR1999001991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313U KR19990019915U (ko) 1997-11-21 1997-11-21 용광로 출선구의 지금부착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313U KR19990019915U (ko) 1997-11-21 1997-11-21 용광로 출선구의 지금부착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915U true KR19990019915U (ko) 1999-06-15

Family

ID=69699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3313U KR19990019915U (ko) 1997-11-21 1997-11-21 용광로 출선구의 지금부착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991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39212B1 (en) Apparatus for repair of refractory linings
KR19990019915U (ko) 용광로 출선구의 지금부착 방지장치
JPS6039731B2 (ja) 転炉出鋼口の補修装置
KR100396081B1 (ko) 스테인레스 정련로 내부의 철지금 제거장치
JPH08290140A (ja) 被洗浄容器の洗浄ノズル回転駆動装置
JPH0245542B2 (ko)
KR20010036861A (ko) 출선구 면 이물 자동제거장치
US5695558A (en) Vessel repair
JP2568395Y2 (ja) 電気炉の偏心炉底出鋼口詰まり物除去装置
KR100398401B1 (ko) 배가스 유량 제어용 후드압력 검출단 개공장치
RU2172456C1 (ru) Агрегат для внепечной обработки металлического и шлакового расплавов
KR20000005697U (ko) 턴디쉬 침적노즐 세척장치
KR100290310B1 (ko) 노의열간보수장치
KR20030002571A (ko) 고로 출선구의 부착물 제거장치
KR970000629Y1 (ko) 전로의 와류 억제장치
CN219239690U (zh) 氧枪刮渣器
KR100530099B1 (ko) 석회소성로용 코크스 오븐 가스 분사노즐의 자동청소장치
KR100583996B1 (ko) 진공 탈가스 설비의 배기구 유지보수장치
JP3143071B2 (ja) ダボ面切削装置
KR200198184Y1 (ko) 전기로 출탕구의 지금제거장치
CA1040833A (en) Apparatus for shifting trough of centrifugal casting machine
JPH0679687B2 (ja) 吹付ノズル旋回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耐火物吹付装置
JP2002361431A (ja) スパッタ除去用リーマ及びそれを用いた溶接トーチのスパッタ除去装置
JP2558672Y2 (ja) 鋳銑機の滓掻き出し装置
SU165917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лива металл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