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9914A - Mobile loading plate installed in the cargo compartment of the bus - Google Patents

Mobile loading plate installed in the cargo compartment of the b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9914A
KR19990019914A KR1019970043353A KR19970043353A KR19990019914A KR 19990019914 A KR19990019914 A KR 19990019914A KR 1019970043353 A KR1019970043353 A KR 1019970043353A KR 19970043353 A KR19970043353 A KR 19970043353A KR 19990019914 A KR19990019914 A KR 19990019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plate
cargo compartment
bus
guide rail
lugg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33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무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43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9914A/en
Publication of KR19990019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914A/en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의 화물칸에 설치된 이동식 적재판에 관한 것으로, 버스의 화물칸에 설치된 적재판에 있어서, 상기 화물칸 바닥에는“ㄴ”형으로 된 다수개의 지지용 브라켓의 일측면을 각각 용접 고정한 후 그 지지용 브라켓의 타측면에는 내부로 안내홈이 형성된“ㄷ”자 형의 가이드 레일을 용접 고정하고, 그 가이드 레일의 안내홈에 끼워져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적재판의 양측면에는 다수개의 롤러가 축설된 축봉을 돌출 형성하되, 그 축봉과 적재판 사이에는 상기 지지용 브라켓과 가이드 레일의 상부를 덮도록 보호용 브라켓을 용접 고정하므로써 승객의 수화물을 화물칸에 보관 및 인출시 적재판의 손잡이를 일방향으로 잡아 당기거나 밀면 가이드 레일의 안내홈을 따라 롤러가 슬라이딩 되면서 적재판을 이동 될 수있게 함에 따라 화물칸으로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운 수화물을 쉽고 편리하게 적재 및 인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화물 적재 및 인출시 승객의 불편을 해소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적재판을 횡방향으로 분할 형성하고, 이 적재판의 분할면 단부에는 상기 화물칸 바닥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적재판의 유격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횡방향으로 설치함에 따라 버스의 양편에서 승객이 적재판에 수화물을 동시에 적재 및 인출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하게 수화물의 적재 및 인출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한 유용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loading plate installed in a cargo compartment of a bus, in which a loading plate installed in a cargo compartment of a bus is welded and fixed to one side of a plurality of supporting brackets each having a “b” type on the bottom of the cargo compartment. The other side of the mounting bracket welds and fixes a “c” shaped guide rail with a guide groove formed therein, and protrudes an axial rod having a plurality of roller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ading plate so as to slide into the guide groove of the guide rail. Forming, but by holding and fixing the protective bracket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racket and the guide rail between the shaft and the loading plate by holding the handle of the loading plate in one direction when pulling and pushing the handle of the loading plate in one direction or guide As the roller slides along the guide groove of the rail, it moves to the cargo compartment. It can not only easily and conveniently load and withdraw heavy and heavy luggage, but also solve the inconvenience of passengers when loading and unloading luggage, and prevent safety accidents. At the split end of the loading plate, a stopper is fixed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argo compartment to prevent the play of the loading plat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passengers can load and withdraw luggage from the loading plate at both sides of the bus at the same time.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makes it possible to carry out the loading and withdrawing of luggage more quickly.

Description

버스의 화물칸에 설치된 이동식 적재판Mobile loading plate installed in the cargo compartment of the bus

본 발명은 버스의 화물칸에 설치된 이동식 적재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버스 화물칸의 바닥에는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고, 그 가이드 레일에 의해 손쉽게 슬라이딩되는 적재판을 설치함으로써, 승객의 수화물을 보관 및 인출시 적재판의 손잡이를 일방향으로 잡아 당기거나 밀면 가이드 레일의 안내홈을 따라 롤러가 슬라이딩 되면서 적재판이 이동하게 되므로, 화물칸으로 수화물을 보관 및 인출하는 작업이 보다 쉽고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롤러를 이용한 버스의 화물칸에 설치된 이동식 적재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loading plate installed in a cargo compartment of a bus, and in particular, a guide rail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us cargo compartment, and a loading plate that is easily slid by the guide rail is installed to store and withdraw passenger luggage. When the handle of the loading plate is pulled or pushed in one direction, the loading plate moves as the roller slides along the guide groove of the guide rail, so that the roller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stored and taken out of the cargo compart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loading plate installed in a cargo compartment of a used bus.

일반적으로, 버스에 탑승하는 승객들은 각종 수화물등을 소지한 채로 버스 실내로 탑승하여 각각의 좌석에 착석하게 되는데, 이때 버스 실내에는 비교적 조그마한 물건들을 올려 놓아 보관할 수 있도록 버스의 천정측에 선반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선반에 올려 보관할 수 없는 수화물 즉, 부피가 크고 무거운 수화물들의 보관을 위해 버스의 하부에 화물칸이 마련되어 있다.In general, passengers boarding a bus ride inside the bus with various baggage, and are seated at each seat. In this case, shelves are installed on the ceiling side of the bus to store relatively small items on the bus. There is a cargo compartment at the bottom of the bus for the storage of bulky and heavy luggage that cannot be stored on these shelves.

특히, 화물칸을 구성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차체의 바닥면과 객실바닥면 사이에 화물칸이 좌·우로 관통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바, 그 화물칸의 바닥에는 수화물들을 보관한 후 버스의 주행시 요동에 의해 수화물들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수대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화물칸의 좌·우 양편의 개구된 부위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도어는 상부를 힌지점으로 하부를 회전시켜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In particular, in the construction of a cargo compartment, a cargo compartment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of the vehicle body and the bottom of the cabin in a state where the cargo compartment is penetrated left and right. In order to prevent luggage from flow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and doors ar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opened portions of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rgo compartment, and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the lower part to the hinge point at the upper part. It was made to be structured.

이와 같이 구성된 화물칸에 수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먼저, 화물칸의 개구된 부위에 설치된 도어를 손으로 연 다음, 개구된 화물칸의 적재판에 보관할 수화물을 순차적으로 집어 넣은 후 도어를 닫은면 된다. 그리고 나서, 목적지에 도착한 후에는 화물칸의 도어를 연 다음 수화물을 역순으로 인출시키고 있었다.In order to load luggage in the cargo compart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door installed at the opened portion of the cargo compartment is opened by hand, and then the luggage to be stored in the loading plate of the opened cargo compartment is sequentially inserted and then the door is closed. Then, after arriving at the destination, the door of the cargo compartment was opened and the luggage was withdrawn in the reverse order.

이와 같은 수화물 적재 및 인출에 있어서, 화물칸의 최내측에 위치되는 곳으로 수화물을 적재 및 인출시 화물칸 내로 작업자가 들어가서 수화물을 적재 및 인출시켜야만 하게 됨에 따라 수화물 적재 및 인출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을 뿐만 아니라 불편함을 초래하였고, 또한, 화물칸이 버스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허리를 굽힌채로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운 수화물을 화물칸 내로 적재 및 인출해야 하므로 승객이 수화물을 옮기는 과정에서 허리를 다치는 등의 안전사고 및 수화물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loading and withdrawing baggage, not only did it take a lot of time for loading and withdrawing baggage, as the worker had to enter and load baggage while loading and withdrawing baggage to the innermost position of the baggage compartment. In addition, since the cargo compartment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us, the bulky and heavy luggage must be loaded and withdrawn into the cargo compartment with the waist bent, thus injuring the waist during the transfer of the luggage. There was a problem of safety accidents and luggage breaka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화물칸내의 바닥에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고, 그 가이드 레일을 따라 손쉽게 슬라이딘되는 적재판을 설치하여, 수화물의 보관 및 인출 작업을 쉽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수화물 보관 및 인출시 승객의 불편을 해소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버스의 화물칸에 설치된 이동식 적재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guide rail at the bottom of the cargo compartment, and to install a loading plate that is easily slid along the guide rail, The storage and withdrawal work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performed, as well as to provide a mobile loading plate installed in the cargo compartment of the bus that can eliminate passenger inconvenience and prevent safety accidents in advanc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버스의 화물칸에 설치된 적재판에 있어서, 상기 화물칸 바닥에는“ㄴ”형으로 된 다수개의 지지용 브라켓의 일측면을 각각 용접 고정한 후 그 지지용 브라켓의 타측면에는 내부로 안내홈이 형성된“ㄷ”자 형의 가이드 레일을 용접 고정하고, 그 가이드 레일의 안내홈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적재판의 양측면에는 다수개의 롤러가 축설된 축봉을 돌출 형성하되, 그 축봉과 적재판 사이에는 상기 지지용 브라켓과 가이드 레일의 상부를 덮도록 보호용 브라켓을 용접 고정하므로써 달성되어 진다.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loading plate installed in the cargo compartment of the bus, the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rackets of the "b" type to the bottom of the cargo compartment, respectively, after welding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bracket Welding and fixing the guide rail of the "c" -shaped guide groove formed therein, and protruding shaft rod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ading plate so as to slide into the guide groove of the guide rail, the shaft and This is achieved by welding and fixing a protective bracket between the mounting plate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racket and the guide rail.

도 1은 본 발명이 버스의 화물칸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cargo compartment of the bus,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 사시도,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정단면도,3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용상태도,5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가 화물칸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cargo compartmen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M : 화물칸 100 : 바닥M: cargo compartment 100: floor

110 : 지지용 브라켓 120 : 가이드 레일110: support bracket 120: guide rail

121 : 안내홈 130 : 적재판121: guide groove 130: loading plate

140 : 축봉 150 : 롤러140: shaft 150: roller

160 : 보호용 브라켓 170 : 스토퍼160: protective bracket 170: stopper

이에 본 발명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이 버스의 화물칸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정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cargo compartment of the bus, 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ure 1, Figure 3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의 화물칸(M)은 좌·우 양편으로 개구되어 있고, 이 개구된 부위에는 도어(180)가 상부를 힌지점으로 하부를 회전시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argo compartment M of the bus is opened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opening 180 is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door 180 to the hinge point.

상기 화물칸(M)의 바닥(100)에는“ㄴ”형으로된 다수개의 지지용 브라켓(110)의 일측면을 용접 고정한다.The bottom 100 of the cargo compartment (M) is fixed by welding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rackets 110 of the "b" type.

그 지지용 브라켓(110)의 타측면에는 내부로 안내홈(121)이 형성된“ㄷ”자형의 가이드 레일(120)을 용접 고정시킨다.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bracket 110 is welded to fix the guide rail 120 of the "c" shape formed with a guide groove 121 therein.

상기 적재판(130)의 양측면에는 지지용 브라켓(110)과 가이드 레일(120)의 상부를 덮도록 보호용 브라켓(160)의 일측면을 용접 고정한다.Both sides of the mounting plate 130 are weld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protective bracket 160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racket 110 and the guide rail 120.

그 보호용 브라켓(160)의 타측면에는 다수개의 축봉(140)을 설치하고, 이 축봉(140)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120)의 안내홈(121)을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롤러(150)를 축설한다.A plurality of shaft rods 140 ar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protection bracket 160, and the rollers 150 sliding through the guide grooves 121 of the guide rail 120 are fitted to the shaft rods 140.

한편, 도면중 미설명 부호(131)은 상기 적재판(130)의 상면에 설치된 손잡이를 나타낸 것이다.Meanwhile, reference numeral 131 in the drawing indicates a handl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plate 130.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승객이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운 수화물등을 보관 및 인출할 경우 화물칸(M)의 개구된 부위에 설치된 도어(180)를 연 다음 적재판(130)의 손잡이(131)를 잡아 당기거나 밀면 적재판(130)에 연설된 롤러(150)가 가이드 레일(120)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수화물을 쉽고 편리하게 보관 및 인출될 수 있게한 발명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assenger stores and withdraws bulky and heavy luggage, the door 180 is installed at the opened portion of the cargo compartment M, and then the handle 131 of the loading plate 130 is opened. When pulled or pushed, the roller 150 spoken to the loading plate 130 is slid along the guide rail 120 so that luggage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stored and taken out.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먼저 본 발명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상기 화물칸(M)의 바닥(100)에 지지용 브라켓(110)의 일측면을 용접 고정한 다음, 그 지지용 브라켓(110)의 타측면으로 안내홈(121)이 형성된 가이드 레일(120)을 용접 고정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적재판(130)의 양측면에 상기 지지용 브라켓(110)과 가이드 레일(12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보호용 브라켓(160)을 용접 고정한다.First, in order to combine the present invention by welding and fixing one side of the support bracket 110 to the bottom 100 of the cargo compartment (M), the guide groove 121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bracket 110 The guide rail 120 is fixed by welding. Then, welding fixing to the support bracket 110 and the protective bracket 160 that can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rail 120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plate 130.

다음, 보호용 브라켓(160)의 내측면에 축봉(140)을 다수개 설치한 후 이 축봉(140)에 롤러(150)를 축설 하면된다.Next, after installing a plurality of shaft rods 14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bracket 160, the roller 150 may be laid on the shaft rods 140.

이 상태에서 상기 적재판(130)의 양측에 연설된 롤러(150)를 상기 가이드 레일(120)의 안내홈(121)에 끼워 결합하면 된다.In this state, the rollers 150 protruded on both sides of the loading plate 130 may be fitted into the guide grooves 121 of the guide rails 120.

이와 같이 결합된 본 발명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In the case of using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로써, 승객이 물건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180)를 손으로 잡고 상향으로 올려 화물칸(M)을 개방 한 다음, 상기 적재판(130)의 상면에 형성된 손잡이(131)를 손으로 잡고 잡아 당긴다. 그러면, 화물칸(M)의 바닥(100)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121)의 안내홈(121)을 따라 적재판(130)의 양측에 연설된 롤러(150)가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적재판(130)이 화물칸(M)의 외부로 인출되면 승객은 보관 할 수화물을 적재판(130) 위에 적재시킨 후 상기 적재판(130)의 손잡이(131)를 잡고 적재판(130)을 밀어주게 되면 적재판(130)의 양측에 연설된 롤러(150)가 가이드 레일(120)의 안내홈(121)을 따라 슬라이딩 되고 이때 적재판(130)은 수화물을 상치한 채로 화물칸(M) 내부로 들어가 안전하게 보관된다.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load the passenger by holding the door 180 by hand to lift upwards to open the cargo compartment (M), then the top surface of the loading plate 130 Hold the handle 131 formed in the hand by pulling. Then, along the guide groove 121 of the guide rail 121 installed on the bottom 100 of the cargo compartment (M) is to move while sliding the rollers 150 spoken on both sides of the loading plate 130. When the loading plate 130 is drawn out of the cargo compartment M, the passenger loads the luggage to be stored on the loading plate 130 and then grabs the handle 131 of the loading plate 130 to hold the loading plate 130. When pushed, the rollers 150 extending on both sides of the loading plate 130 slide along the guide grooves 121 of the guide rails 120, and the loading plate 130 is loaded with cargo at the inside of the cargo compartment M. Enter and keep saf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용상태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판(130)이 횡방향으로 분할 형성하고, 이 적재판(130)의 분할면 단부에는 상기 화물칸(M) 바닥(10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적재판(130)의 유격을 방지하는 스토퍼(170)를 횡방향으로 설치된 것으로, 도 4와 동일한 작용을 하면서 상기 화물칸(M)의 바닥(100)에 설치된 스토퍼(170)를 중심으로 적재판(130)이 양편에 개구된 화물칸(M)으로 각각 슬라이딩 되는 것이다. 따라서, 수화물을 화물칸(M)에 적재 및 인출시 버스의 양편에서 승객이 적재판(130)에 수화물을 동시에 적재 및 인출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하게 수화물의 적재 및 인출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5 is a view showing a use state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loading plate 130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ivided, the split surface end of the loading plate 130, the bottom of the cargo compartment (M) The stopper 170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100 to prevent the play of the loading plate 13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same as FIG. 4 while the stopper installed on the bottom 100 of the cargo compartment (M) ( The loading plate 130 is slid to the cargo compartment (M) open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170, respectively. Therefore, when loading and withdrawing luggage in the cargo compartment (M), the passengers can simultaneously load and withdraw luggage on the loading plate 130 at both sides of the bus to perform the loading and withdrawal operation of luggage more quickly.

상기, 적재판(130)의 슬라이딩 수단으로서 롤러(150) 외에 베어링, 호차등의 슬라이딩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As the sliding means of the mounting plate 130, a sliding member such as a bearing or a door roller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roller 150.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가 화물칸(M)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써,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용 브라켓(220)을 상기 화물칸(M)을 이루는 수직필라(210)와 바닥(200)에 용접 고정한 다음, 그 보호용 브라켓(220)의 내측면에는 롤로(240)가 축설되도록 축봉(230)을 돌출 형성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cargo compartment (M),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vertical pillars forming the protective bracket 220 the cargo compartment (M) ( After welding and fixed to the 210 and the bottom 200,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bracket 220 is formed to protrude the shaft rod 230 so that the roll 240 is built.

상기 롤러(240)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250)의 안내홈(251)이 끼워져 슬라이딩되게 하고, 그 가이드 레일(250)의 외측면에는 상기 적재판(260)을 용접 고정한다.The guide groove 251 of the guide rail 250 is inserted into the roller 240 to slide, and the mounting plate 260 is welded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rail 250.

이와 같이 구성된 작용은 승객이 물건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260)를 손으로 잡고 상향으로 올려 화물칸(M)을 개방 한 다음, 상기 적재판(260)의 상면에 형성된 손잡이(261)를 손으로 잡고 잡아 당긴다. 그러면, 적재판(260)의 양측면에 용접 고정된 가이드 레일(250)의 안내홈(251)이 보호용 브라켓(220)에 연설된 롤러(240)를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적재판(260)이 화물칸(M) 외부로 인출되면 승객은 보관 할 수화물을 적재판(260) 위에 상치시킨 후 상기 적재판(260)의 손잡이(261)를 잡고 밀어주게 되면 적재판(260)의 양측에 용접 고정된 가이드 레일(250)의 안내홈(251)이 보호용 브라켓(220)에 연설된 롤러(240)를 따라 슬라이딩 되고 이때 적재판(260)은 수화물을 상치한 채로 화물칸(M) 내부로 들어가 안전하게 보관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passenger holds the door 260 by hand to open the cargo compartment M, and then lifts a handle 26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plate 260 by hand to load the goods. Grab and pull Then, the guide groove 251 of the guide rail 250 welded to both sides of the mounting plate 260 is moved while sliding along the roller 240, which is addressed to the protective bracket 220. When the loading plate 260 is withdrawn to the outside of the cargo compartment (M), the passenger loads the luggage to be stored on the loading plate 260, and then grabs the handle 261 of the loading plate 260 and pushes the loading plate 260. The guide groove 251 of the guide rail 250 welded to both sides of the slide is sliding along the roller 240 protruded to the protective bracket 220, wherein the loading plate 260 is a cargo compartment (M) ) Inside and stored safely.

이와 같이 본 발명 버스의 화물칸에 설치된 이동식 적재판에 따르면, 버스 화물칸(M)의 바닥에는 지지용 브라켓(110)과 내부로 안내홈(121)이 형성된 가이드 레일(120)을 설치하고, 그 가이드 레일(120)의 안내홈(121)에 끼워져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적재판(130)의 양측면에 다수개의 롤러(150)가 축설된 축봉(140)을 돌출 형성하고, 그 축봉(140)과 적재판(130) 사이에 보호용 브라켓(160)을 설치하므로써, 승객이 수화물을 화물칸(M)에 보관 및 인출시 적재판(130)의 손잡이(131)를 일방향으로 잡아 당기거나 밀면 가이드 레일(120)의 안내홈(121)을 따라 롤러(150)가 슬라이딩 되면서 적재판(130)을 이동 될 수 있게 함에 따라 화물칸(M)으로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운 수화물을 쉽고 편리하게 적재 및 인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화물 적재 및 인출시 승객의 불편을 해소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적재판(130)을 횡방향으로 분할 형성하고, 이 적재판(130)의 분할면 단부에는 상기 화물칸(M) 바닥(10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적재판(130)의 유격을 방지하는 스토퍼(170)를 횡방향으로 설치함에 따라 버스의 양편에서 승객이 적재판(130)에 수화물을 동시에 적재 및 인출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하게 수화물의 적재 및 인출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한 유용한 발명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ovable loading plate installed in the cargo compartment of the b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rail 120 having the support bracket 110 and the guide groove 121 formed therein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us cargo compartment M, and the guide Protrudingly formed shaft bar 140, a plurality of rollers 15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plate 130 so as to slide into the guide groove 121 of the rail 120, the shaft bar 140 and the mounting plate ( By installing the protective bracket 160 between the 130, the passenger guides the guide rail 120 when the passenger pulls or pushes the handle 131 of the loading plate 130 in one direction when storing and withdrawing the luggage in the cargo compartment M. As the roller 150 slides along the groove 121 to allow the loading plate 130 to be moved, the bulky and heavy luggage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loaded and withdrawn into the cargo compartment M as well as luggage. Eliminate passenger inconvenience when loading and unloading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the stacking plate 130 is divid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divided surface end of the stacking plate 130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cargo compartment M 100 so as to prevent the accident. By installing the stopper 17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prevent the play of the trial 130, passengers can simultaneously load and withdraw luggage on the loading plate 130 on both sides of the bus, so that the luggage loading and withdrawal work more quickly.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makes it possible to carry out.

Claims (3)

버스의 화물칸(M)에 설치된 적재판(130)에 있어서,In the loading plate 130 installed in the cargo compartment M of the bus, 상기 화물칸(M) 바닥(100)에는“ㄴ”형으로 된 다수개의 지지용 브라켓(110)의 일측면을 각각 용접 고정한 후 그 지지용 브라켓(110)의 타측면에는 내부로 안내홈(121)이 형성된“ㄷ”자 형의 가이드 레일(120)을 용접 고정하고, 그 가이드 레일(120)의 안내홈(121)에 끼워져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적재판(130)의 양측면에는 다수개의 롤러(150)가 축설된 축봉(140)을 돌출 형성하되, 그 축봉(140)과 적재판(130) 사이에는 상기 지지용 브라켓(110)과 가이드 레일(120)의 상부를 덮도록 보호용 브라켓(160)을 용접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화물칸에 설치된 이동식 적재판.The bottom of the cargo compartment (M) (100) by welding one si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brackets 110 of the "b" type and then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brackets (110) guide grooves 121 into the interior. The formed “c” shaped guide rails 120 are welded and fixed, and a plurality of rollers 150 are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loading plate 130 so as to slide into the guide grooves 121 of the guide rails 120. Protrudingly formed shaft rod 140, the protective bracket 160 is welded and fixed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racket 110 and the guide rail 120 between the shaft rod 140 and the mounting plate 130 Mobile loading plate installed in the cargo compartment of the bus,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판(130)이 횡방향으로 분할 형성하고, 이 적재판(130)의 분할면 단부에는 상기 화물칸(M) 바닥(10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적재판(130)의 유격을 방지하는 스토퍼(170)를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화물칸에 설치된 이동식 적재판.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ading plate 130 is divided into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plit surface end of the loading plate 130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cargo compartment (M) 100, the loading plate 130 Mobile stop plate installed in the cargo compartment of the bus,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topper 170 to prevent the pl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 브라켓(220)을 상기 화물칸(M)을 이루는 수직필라(210)와 바닥(200)에 용접 고정하고, 그 보호용 브라켓(220)의 내측면에는 롤로(240)가 축설되도록 축봉(230)을 돌출 형성하고, 그 롤러(240)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250)의 안내홈(251)이 끼워져 슬라이딩 되도록 하고, 그 가이드 레일(250)의 외측면에는 상기 적재판(260)이 용접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화물칸에 설치된 이동식 적재판.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tective bracket 220 is welded and fixed to the vertical pillar 210 and the bottom 200 forming the cargo compartment (M), the roller 24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bracket 220 A shaft rod 230 is formed to protrude, and the roller 240 has a guide groove 251 of the guide rail 250 fitted therein so as to slide therethrough, and an outer surface of the guide rail 250 allows the loading plate 260 to slide therethrough. A movable loading plate installed in the cargo compartment of the bus, characterized in that the welding is fixed.
KR1019970043353A 1997-08-30 1997-08-30 Mobile loading plate installed in the cargo compartment of the bus KR199900199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353A KR19990019914A (en) 1997-08-30 1997-08-30 Mobile loading plate installed in the cargo compartment of the b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353A KR19990019914A (en) 1997-08-30 1997-08-30 Mobile loading plate installed in the cargo compartment of the b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914A true KR19990019914A (en) 1999-03-25

Family

ID=66037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3353A KR19990019914A (en) 1997-08-30 1997-08-30 Mobile loading plate installed in the cargo compartment of the b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9914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512A (en) * 2001-06-25 2003-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reight Removal Device of Bus
KR100380386B1 (en) * 2000-12-26 2003-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Freight Removal Device of Bus
KR101438874B1 (en) * 2011-11-25 2014-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reight conveying device of b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386B1 (en) * 2000-12-26 2003-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Freight Removal Device of Bus
KR20030000512A (en) * 2001-06-25 2003-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reight Removal Device of Bus
KR101438874B1 (en) * 2011-11-25 2014-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reight conveying device of b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3977B1 (en) Cargo handling device for a vehicle
KR200409079Y1 (en) Sliding Container
KR19990019914A (en) Mobile loading plate installed in the cargo compartment of the bus
US10486603B2 (en) Luggage compartment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KR101036730B1 (en) Taking a truck and and getting off of freigt
KR200395400Y1 (en) Cover apparatus of carrier box for truck
JP2562462Y2 (en) Multi-story parking device with vehicle size detector
KR101181184B1 (en) Luggage Room Structure for Automobile
KR200156295Y1 (en) Baggage keeping structure
KR20040070385A (en) A withdrawal-typed stepping device for the cargo of a vehicle
JPS6341424Y2 (en)
KR19980023985U (en) Luggage storage drawer installed in the luggage room of a vehicle
KR0167447B1 (en) Slidable loader provided on truck bed
KR920003164Y1 (en) Non-fixed roofs for vehicles
JPH01119445A (en) Automobile
JPH10266613A (en) Multistory parking device
KR100472140B1 (en) Acceptable type ladder for truck
KR20240061477A (en) Cargo loading system for vehicle
JPS59164240A (en) Device for supporting tail gate of cargo-handling vehicle
JPH0416754Y2 (en)
KR19980047391U (en) Luggage room for buses with cargo stop
JPH0427914Y2 (en)
KR100221269B1 (en) Load-carrying plateform structure of cargo truck
WO2000034075A1 (en) Side closure for vehicle bodies
CN113772519A (en) Telescopic lift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