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1477A - Cargo loading system for vehicle - Google Patents

Cargo loading system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1477A
KR20240061477A KR1020220143172A KR20220143172A KR20240061477A KR 20240061477 A KR20240061477 A KR 20240061477A KR 1020220143172 A KR1020220143172 A KR 1020220143172A KR 20220143172 A KR20220143172 A KR 20220143172A KR 20240061477 A KR20240061477 A KR 20240061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vehicle
loading system
transfer
cargo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1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성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20143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1477A/en
Publication of KR20240061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147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0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vehicles with loading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차량의 화물 적재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화물칸에 마련되는 차량의 화물 적재 시스템은 차량의 화물칸에 마련되는 화물 적재 시스템으로서, 차량의 화물칸에 수평으로 설치된 레일; 및 화물을 고정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이송 대차;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 상기 이송 장치를 상기 화물칸에 설치하는 거치 프레임; 및 상기 이송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A cargo loading system for a vehicle is disclosed. The cargo loading system of a vehicle provided in the cargo compartment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includes a rail installed horizontally in the cargo compartment of the vehicle; and a plurality of transport bogies that secure cargo and move along the rail; a transport device comprising a. A mounting frame for installing the transfer device in the cargo compartment;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device.

Description

차량의 화물 적재 시스템{CARGO LOADING SYSTEM FOR VEHICLE}Vehicle cargo loading system {CARGO LOADING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화물 적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화물칸에 마련되어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면서도, 화물의 적재 및 인출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차량의 화물 적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loading system for a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argo loading system for a vehicle that is provided in the cargo compartment of a vehicle and has a structure that improves space utilization and facilitates loading and unloading of cargo.

일반적으로 차량은 사람과 물건을 운송하는 수단으로 이용된다. 차량은 사람을 안정적으로 운송할 수 있도록 탑승석 내에 착석할 수 있는 시트가 탑재되며, 물건은 탑승석과는 구분되는 트렁크 등의 화물칸에 적재되어 운송된다.In general, vehicles are used as a means of transporting people and goods. Vehicles are equipped with seats that can be seated within the passenger seat to safely transport people, and goods are transported in a cargo compartment such as a trunk that is separate from the passenger seat.

오늘날에는 사람들의 다양한 개성과 기호를 만족시켜줄 수 있도록 차량의 사용 목적에 초점을 둔 간결한 구조의 이동 수단인 목적 기반 차량(PBV)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목적 기반 차량은 이용자의 운용 상황에 따라 탑승석과 화물칸의 공간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Today, the development of Purpose-Based Vehicles (PBV), a simple means of transportation that focuses on the purpose of use of the vehicle to satisfy people's diverse personalities and preferences, is being actively developed. These purpose-based vehicles are designed to vary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passenger seats and cargo compartments depending on the user's operating situation.

이와 같은 목적 기반 차량 중 화물의 운송을 목적으로 하는 차량의 경우 차량의 운전을 위한 탑승석을 제외한 화물칸을 모듈화 하여 구성할 수 있다. 화물칸은 적재되는 화물의 크기와 배송 목적에 따라 다른 구성을 취해야 한다. 예를 들어, 부피가 큰 화물이 적재되는 화물칸은 적재공간이 커야 하고, 택배 차량과 같이 부피가 작은 화물이 적재되면서 각각의 화물의 배송지가 다른 경우 화물을 분류 가능하면서, 배송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화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공간을 구획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Among such purpose-based vehicles, in the case of vehicles for the purpose of transporting cargo, the cargo compartment excluding the passenger seat for driving the vehicle can be configured by modularizing it. Cargo compartments must have different configuration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argo being loaded and the purpose of delivery. For example, the cargo compartment where large cargo is loaded must have a large loading space, and when small cargo such as a delivery vehicle is loaded and the delivery address of each cargo is different, the cargo can be sorted and sequentially ordered according to the delivery order. It is necessary to partition the space so that cargo can be retrieved.

이에 다양한 화물 운송 상황에 따라 적절한 화물 적재 시스템을 모듈화 하여 구성함으로써 배송 효율을 향상시키고 배송 종사자의 이용 편이성을 높일 수 있는 화물 적재 시스템의 개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develop a cargo loading system that can improve delivery efficiency and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for delivery workers by modularizing and configuring an appropriate cargo loading system according to various cargo transportation situations.

개시된 실시 예는 차량의 화물칸을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시스템으로 구성할 수 있는 차량의 화물 적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disclosed embodiment seeks to provide a cargo loading system for a vehicle that can configure the cargo compartment of the vehicle into a system that meets the needs of the user.

개시된 실시 예는 작업자가 편한 자세로 적재된 화물을 인출할 수 있는 차량의 화물 적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disclosed embodiment seeks to provide a cargo loading system for a vehicle that allows an operator to retrieve loaded cargo in a comfortable position.

개시된 실시 예는 화물칸 내부에서 화물이 이동하여 인출 대상 화물이 인출 게이트 앞으로 이송될 수 있는 차량의 화물 적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disclosed embodiment seeks to provide a cargo loading system for a vehicle in which cargo can be moved inside the cargo compartment and cargo to be retrieved can be transferred to the front of the retrieval gate.

개시된 실시 예는 화물의 배송지 정보에 따라 화물이 인출 게이트 앞으로 이송될 수 있는 차량의 화물 적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disclosed embodiment seeks to provide a cargo loading system for a vehicle in which cargo can be transported to the front of a withdrawal gate according to cargo delivery destination information.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화물칸에 마련되는 화물 적재 시스템은, 차량의 화물칸에 수평으로 설치된 레일; 및 화물을 고정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이송 대차;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 상기 이송 장치를 상기 화물칸에 설치하는 거치 프레임; 및 상기 이송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disclosed invention, a cargo loading system provided in the cargo compartment of a vehicle includes a rail installed horizontally in the cargo compartment of the vehicle; and a plurality of transport bogies that secure cargo and move along the rail; a transport device comprising a. A mounting frame for installing the transfer device in the cargo compartment;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device.

상기 화물 적재 시스템은, 둘 이상의 이송 장치를 포함하고, 둘 이상의 상기 이송 장치는 상하로 나란히 배열되어 설치되어 제공될 수 있다.The cargo loading system may include two or more transfer devices, and the two or more transfer devices may be arranged vertically and installed side by side.

상기 이송 대차는, 상기 레일과 연결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주행부; 및 화물을 파지하여 고정하는 화물 파지부;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The transfer cart includes a traveling unit connected to the rail and provided to move along the rail; and a cargo gripping part that grips and secures the cargo.

상기 레일은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길고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형태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The rail may be provided to have a rectangular shape that is lo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has rounded corners.

상기 차량의 화물칸의 측벽에 마련되는 인출 게이트에서 상기 이송 대차에 고정된 화물을 화물칸 외측으로 인출하는 인출 장치;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It may be provided to further include a take-out device that pulls out the cargo fixed to the transfer cart to the outside of the cargo bay through a take-out gate provided on a side wall of the cargo compartment of the vehicle.

상기 인출 장치는, 상기 인출 게이트의 양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 한 쌍의 상기 가이드 레일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한 쌍의 상하 이동 부재; 및 양 측면이 한 쌍의 상기 상하 이동 부재와 연결되어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상하 이동 부재에 대해 상기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패널;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The take-out device includes: a pair of guide rails extending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take-out gate; a pair of vertical movement members connected to the pair of guide rails and sliding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and a slide panel on which both sides are connected to a pair of the vertical moving members to move toge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o sl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moving members.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이송 대차에 고정되는 화물의 배송지 정보가 각각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배송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송 대차의 정지 위치를 결정하여 상기 이송 장치를 구동 제어하여 제공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includes a memory in which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of the cargo fixed to the plurality of transfer carts is respectively stored, and is provided by determining a stopping position of the transfer cart based on th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and driving and controlling the transfer device. You ca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운행 목적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목적지 정보 및 상기 배송지 정보에 기초하여 인출할 화물이 고정된 이송 대차를 결정하고, 인출할 화물이 고정된 이송 대차를 상기 인출 게이트에 상응하는 정지 위치로 이송하도록 상기 이송 장치를 구동 제어하여 제공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acquires operation destin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determines a transfer cart on which the cargo to be withdrawn is fixed based 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and corresponds the transfer cart on which the cargo to be withdrawn is fixed to the withdrawal gate. It may be provided by driving and controlling the transfer device to transfer to a stopping position.

상기 화물 적재 시스템은, 둘 이상의 이송 장치를 포함하고, 둘 이상의 상기 이송 장치는 상하로 나란히 배열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 대차가 포함된 이송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배송지 정보 및 식별된 상기 이송 장치의 높이에 기초하여 상기 인출 장치를 구동 제어하여 제공될 수 있다.The cargo loading system includes two or more transfer devices, and the two or more transfer devices are arranged side by side up and down, and the control unit identifies the transfer device including the transfer cart, and provides th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and the identified It may be provided by driving control of the take-out device based on the height of the transfer device.

개시된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화물 적재 시스템은 차량의 화물칸을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시스템으로 구성하여 사용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The cargo load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can increase user satisfaction by configuring the cargo compartment of the vehicle into a system that meets the needs of the user.

개시된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화물 적재 시스템은 작업자가 편한 자세로 적재된 화물을 인출할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cargo load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can improve work convenience by allowing workers to withdraw loaded cargo in a comfortable position.

개시된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화물 적재 시스템은 화물칸 내부에서 화물이 이동하여 인출 대상 화물이 인출 게이트 앞으로 이송되어 적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cargo load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can improve loading efficiency by moving cargo inside the cargo compartment and transporting cargo to be retrieved in front of the output gate.

개시된 실시 예에 의한 차량의 화물 적재 시스템은 화물의 배송지 정보에 따라 화물이 인출 게이트 앞으로 이송될 수 있어 배송 정확도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cargo loading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can improve delivery accuracy and efficiency by allowing cargo to be transferred to the front of the withdrawal gate according to cargo delivery destination information.

도 1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물 적재 시스템이 마련된 차량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물 적재 시스템이 마련된 차량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물 적재 시스템에 화물이 인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물 적재 시스템에 화물이 인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물 적재 시스템에 화물이 인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물 적재 시스템에 화물이 적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showing a vehicle equipped with a cargo lo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vehicle equipped with a cargo lo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cargo being withdrawn from a cargo lo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cargo being withdrawn from a cargo lo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cargo being withdrawn from a cargo lo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cargo being loaded into a cargo lo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개시된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개시된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Hereinafter,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esented to sufficiently convey the idea of the disclosed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disclosed invention belongs. The disclosed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order to clarify the disclosed invention, the drawings may omit illustrations of parts unrelated to the description and may exaggerate the sizes of components somewhat to aid understanding.

도 1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물 적재 시스템이 마련된 차량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물 적재 시스템이 마련된 차량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gure 1 is a side view showing a vehicle equipped with a cargo lo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vehicle equipped with a cargo lo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물 적재 시스템은 차량(1)의 화물칸(20)에 마련되는 화물 적재 시스템으로서, 차량(1)의 화물칸(20)에 수평으로 설치된 레일(110); 및 화물(3)을 고정하여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이송 대차(120);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100); 이송 장치(100)를 화물칸(20)에 설치하는 거치 프레임(200); 및 이송 장치(1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cargo lo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is a cargo loading system provided in the cargo compartment 20 of the vehicle 1, and is installed horizontally in the cargo compartment 20 of the vehicle 1. rail (110); and a plurality of transfer carts 120 that secure the cargo 3 and move along the rail 110; a transfer device 100 including a; A mounting frame 200 for installing the transfer device 100 in the cargo compartment 20;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device 100.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은 격벽(30)에 의해 탑승석(10)과 화물칸(20)으로 구분된다. 도 1 및 도 2에는 차량(1)의 화물칸(20)에 레일(110)이 거치 프레임(200)에 의해 설치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레일(110)에는 복수의 이송 대차(120)가 마련되어 레일(110)을 따라 이동한다.1 and 2, the vehicle 1 is divided into a passenger seat 10 and a cargo compartment 20 by a partition wall 30. 1 and 2 show a rail 110 being installed in the cargo compartment 20 of a vehicle 1 using a mounting frame 200. A plurality of transfer carts 120 are provided on the rail 110 and move along the rail 110.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물 적재 시스템은 둘 이상의 이송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세 개의 이송 장치(100a, 100b, 100c)를 포함하는 화물 적재 시스템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때 둘 이상의 이송 장치(100a, 100b, 100c)는 상하로 나란히 배열되어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이송 장치(100a, 100b, 100c)는 위에서부터 제1 이송 장치(100a), 제2 이송 장치(100b), 제3 이송 장치(100c)가 순서대로 나란히 배열되어 설치된다.A cargo lo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may include two or more transfer devices 100. Figure 1 shows an embodiment of a cargo loading system including three transport devices 100a, 100b, and 100c. At this time, two or more transfer devices (100a, 100b, 100c) are installed side by side arranged vertically. As shown in FIG. 1, the three transfer devices 100a, 100b, and 100c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order from the top, with the first transfer device 100a, the second transfer device 100b, and the third transfer device 100c. It is installed.

이와 같은 이송 장치(100)는 거치 프레임(200)에 의해 화물칸(20)에 설치된다. 거치 프레임(200)은 화물칸(20)의 바닥에 고정되는 수직 프레임(210)과 연결되고 수평으로 연장되어 레일(110)과 연결되는 수평 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 예에서는 수직 프레임(210)의 소정 높이에 수평 프레임(220)들이 연결되어 세 개의 이송 장치(100a, 100b, 100c)들의 레일(110)을 화물칸(20)에 설치하고 있다.This transfer device 100 is installed in the cargo compartment 20 by a mounting frame 200. The mounting frame 200 may include a horizontal frame 220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210 fixed to the bottom of the cargo compartment 20 and extended horizontally and connected to the rail 110. In the embodiment of Figure 1, the horizontal frames 220 are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vertical frame 210, and the rails 110 of the three transfer devices 100a, 100b, and 100c are installed in the cargo compartment 20.

이송 대차(120)는 레일(110)을 따라 이동한다. 이송 대차(120)는 레일(110)과 연결되어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주행부(121); 및 화물(3)을 파지하여 고정하는 화물 파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fer cart 120 moves along the rail 110. The transfer cart 120 includes a running part 121 connected to the rail 110 and provided to move along the rail 110; and a cargo gripping part 122 that grips and secures the cargo 3.

주행부(121)는 레일(110)과 연결되어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주행부(121)는 레일(1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휠이 마련되고, 레일(11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이탈 방지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The traveling unit 121 may be connected to the rail 110 and may be arranged to move along the rail 110. The running unit 121 may be provided with wheels so that it can move along the rail 110, and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to prevent it from leaving the rail 11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 파지부(122)는 주행부(121)의 하측에 마련되어 주행부(121)가 레일(110)을 따라 이동할 때 화물(3)을 하측으로 고정하여 화물(3)이 레일(110)의 하측에 매달려 이송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일부 이송 대차(120)에는 화물(3)이 고정되어 있고, 일부 이송 대차(120)에는 화물(3)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비어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argo gripping part 122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traveling part 121 and fixes the cargo 3 downward when the traveling part 121 moves along the rail 110 to hold the cargo 3. It can be transported hanging on the lower side of the rail 110. In Figure 1, cargo 3 is fixed to some of the transfer carts 120, and cargo 3 is not fixed to some of the transport carts 120 and is empty.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10)은 차량(1)의 전후 방향(도 2의 좌우 방향)으로 길고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레일(110)이 차량(1)의 전후 방향으로 긴 형태를 가짐으로써 이송 대차(120)에 고정된 화물(3)이 차량(1)의 전후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rail 110 may be lo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vehicle 1 (left-right direction in FIG. 2 ) and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with rounded corners. Since the rail 110 has a long shape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vehicle 1, the cargo 3 fixed to the transfer cart 120 can be transport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vehicle 1.

레일(110)은 모서리가 둥근 형태를 가짐으로써 이송 대차(120)가 레일(110)을 따라 회전하여 화물(3)이 이송될 수 있다. 또한 레일(110)은 폐곡선 형태를 가짐으로써 이송 대차(120)가 레일(110)을 반복적으로 순환하여 이동할 수 있다.The rail 110 has rounded corners so that the transport cart 120 rotates along the rail 110 to transport the cargo 3. Additionally, the rail 110 has a closed curve shape so that the transfer cart 120 can move by repeatedly circulating the rail 110.

레일(110)에는 복수의 이송 대차(120)가 마련되어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이동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여섯 개의 이송 대차(120)가 마련되어 레일(110)을 따라 순환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송 대차(120)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이송 대차(120)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자주식으로 주행하여 이동할 수도 있고, 혹은 별도로 마련되는 장치에 의해 구동력을 공급 받아 이동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레일(110)에 마련되는 복수의 이송 대차(120)는 동시에 이동하여 이송 대차(120)에 고정된 화물(3)이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plurality of transfer carts 120 are provided on the rail 110 and can be placed and mov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six transfer carts 120 are provided and can move circularly along the rail 110. This transfer cart 120 can be mov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 transfer cart 120 may move in a self-propelled manner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 unit, or may be moved by receiving driving force from a separately provided device. Preferably, the plurality of transfer carts 120 provided on the rail 110 move simultaneously to prevent the cargo 3 fixed to the transport carts 120 from colliding with each other.

도 3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물 적재 시스템에 화물이 인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물 적재 시스템에 화물이 인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cargo being withdrawn from a cargo lo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Figures 4 and 5 show cargo being pulled out from a cargo lo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It is a floor plan.

도 3을 참조하면 차량(1)의 화물칸(20)의 측벽(40)에는 인출 게이트(50)가 마련될 수 있다. 인출 게이트(50)는 화물 적재 시스템에 적재된 화물(3)을 인출하기 위해 개방되어 작업자가 화물(3)을 배송지에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3, an extraction gate 5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wall 40 of the cargo compartment 20 of the vehicle 1. The withdrawal gate 50 is opened to withdraw the cargo 3 loaded in the cargo loading system, allowing the worker to easily retrieve the cargo 3 from the delivery location.

이와 같은 인출 게이트(50)는 슬라이딩 이동하여 화물칸(20)의 측벽(40)에 마련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1 게이트부재(51), 차량(1)의 측벽(40) 외측에 마련되는 게이트 레일(52), 제1 게이트부재(51)와 결합되고 게이트 레일(5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게이트 슬라이더(53) 및 제1 게이트부재(51)와 측벽(40)을 연결하는 제2 게이트부재(54)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This withdrawal gate 50 includes a first gate member 51 that slides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provided in the side wall 40 of the cargo compartment 20, and a gate rail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40 of the vehicle 1 ( 52), a gate slider 53 that is coupled to the first gate member 51 and slides along the gate rail 52, and a second gate member 54 connecting the first gate member 51 and the side wall 40. ) can be prepared including.

제1 게이트부재(51)는 제2 게이트부재(54) 및 게이트 슬라이더(53)에 의해 가이드되어 차량(1)의 측벽(40)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이와 같은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화물칸(20)의 측벽(40)에 마련된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The first gate member 51 is guided by the second gate member 54 and the gate slider 53 and can slide to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40 of the vehicle 1, and by this slide movement, the cargo compartment 20 ) can open and close the opening provided in the side wall 40.

작업자는 제1 게이트부재(51)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개구부가 개방되면 인출 게이트(50)에 상응하는 정지 위치에 정지되어 있는 이송 대차(120)에 결합된 화물(3)을 분리하여 인출할 수 있다.When the first gate member 51 slides and opens the opening, the worker can separate and withdraw the cargo 3 coupled to the transfer cart 120, which is stopped at a stop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ithdrawal gate 50. .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물 적재 시스템은 차량(1)의 화물칸(20)의 측벽(40)에 마련되는 인출 게이트(50)에서 이송 대차(120)에 고정된 화물(3)을 화물칸(20) 외측으로 인출하는 인출 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는 이와 같은 인출 장치(300) 및 인출 장치(300)를 이용하여 화물(3)을 인출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the cargo loading system transfers cargo (3) fixed to the transfer cart (120) from the take-out gate (50) provided on the side wall (40) of the cargo compartment (20) of the vehicle (1) to the cargo compartment (20). ) may further include a withdrawal device 300 that draws out to the outside. 3 to 5 show the unloading device 300 and the cargo 3 being taken out using the unloading device 300.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인출 장치(300)는, 인출 게이트(50)의 양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310); 한 쌍의 가이드 레일(310)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한 쌍의 상하 이동 부재(320); 및 양 측면이 한 쌍의 상하 이동 부재(320)와 연결되어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하 이동 부재(320)에 대해 차량(1)의 좌우 방향(도 4 및 도 5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패널(330);을 포함한다.3 to 5, the withdrawal device 300 includes a pair of guide rails 310 extending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withdrawal gate 50; A pair of vertical movement members 320 connected to a pair of guide rails 310 and sli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both sides are connected to a pair of vertical moving members 320 and move toge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l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vehicle 1 (up and down directions in FIGS. 4 and 5)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moving members 320. Includes a moving slide panel 330.

슬라이드 패널(3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패널 형태로 마련된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 패널(330)은 이송 대차(120)에 결합된 화물(3)을 하측에서 지지하여 화물(3)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The slide panel 33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anel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in FIG. 4. Such a slide panel 330 supports the cargo 3 coupled to the transfer cart 120 from the lower side, allowing the cargo 3 to be removed.

슬라이드 패널(330)은 상하 이동 부재(320)에 대해 차량(1)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패널(330)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화물칸(20) 내측으로 위치한 경우 이송 대차(120)에 결합된 화물(3)을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패널(330)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화물칸(20) 외측으로 위치한 경우 지지하고 있는 화물(3)을 화물칸(20) 외측으로 인출할 수 있다.The slide panel 330 sli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vehicle 1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movement member 320. As shown in FIG. 4 , when the slide panel 330 slides and moves to be located inside the cargo compartment 20, the cargo 3 coupled to the transfer cart 120 can be supported from the lower side. Meanwhile, as shown in FIG. 5, when the slide panel 330 slides and moves to be located outside the cargo compartment 20, the supported cargo 3 can be pulled out to the outside of the cargo compartment 20.

상하 이동 부재(320)는 가이드 레일(310)에 대해 차량(1)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 적재 시스템은 복수의 이송 장치(100a, 100b, 100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인출 게이트(50)에는 서로 다른 높이에서 복수의 이송 장치(100a, 100b, 100c)의 이송 대차(120)에 고정된 화물(3)을 인출할 수 있다. 이 때 상하 이동 부재(320)는 가이드 레일(31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연결된 슬라이드 패널(330)이 인출하려는 이송 장치의 화물(3) 높이에 맞추어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The vertical movement member 320 sli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hicle 1 with respect to the guide rail 310. As shown in FIG. 3, the cargo loading system may include a plurality of transfer devices 100a, 100b, and 100c. Accordingly, the cargo 3 fixed to the transfer carts 120 of the plurality of transfer devices 100a, 100b, and 100c can be withdrawn from the withdrawal gate 50 at different heights. At this time, the vertical movement member 320 can sl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uide rail 310 so that the connected slide panel 330 can rise or fall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cargo 3 of the transfer device to be pulled out.

제어부는 이처럼 화물(3)을 인출할 수 있도록 화물(3)이 고정된 이송 대차(120)를 인출 게이트에 상응하는 정지 위치로 이송하도록 구동 제어할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an drive and control the transfer cart 120 on which the cargo 3 is fixed to be transferred to a stop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ithdrawal gate so that the cargo 3 can be withdrawn.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제어부(미도시)는 복수의 이송 대차(120)에 고정되는 화물(3)의 배송지 정보가 각각 저장되는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not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may include a memory (not shown) in which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of the cargo 3 fixed to the plurality of transfer carts 120 is respectively stored.

이 때 제어부는 화물(3)의 배송지 정보에 기초하여 이송 대차(120)의 정지 위치를 결정하여 이송 장치(100)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device 100 by determining the stopping position of the transfer cart 120 based on th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of the cargo 3.

화물(3)의 배송지 정보는 화물(3)이 적재될 때 메모리에 저장되어 제어부가 배송지 정보에 따라 화물(3)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이송 장치(100)를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Th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of the cargo 3 is stored in the memory when the cargo 3 is loaded, so that the control unit can drive the transfer device 100 to easily retrieve the cargo 3 according to th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부는 차량(1)의 운행 목적지 정보를 획득하고, 목적지 정보 및 배송지 정보에 기초하여 인출할 화물(3)이 고정된 이송 대차(120)를 결정하고, 인출할 화물(3)이 고정된 이송 대차(120)를 인출 게이트(50)에 상응하는 정지 위치로 이송하도록 이송 장치(100)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acquires the operation destin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 determines the transfer cart 120 on which the cargo 3 to be withdrawn is fixed based 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transport cart 120 on which the cargo 3 to be withdrawn is fixed. The transfer device 100 can be driven and controlled to transfer the fixed transfer cart 120 to a stop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ake-out gate 50.

예를 들어 이송 대차(120)에 고정된 화물(3)의 배송지 정보가 A이고, 차량(1)이 현재 목적지가 A로 일치하는 경우, 해당 이송 대차(120)가 제2 정지 위치에 정지하도록 이송 장치(100)를 구동 제어한다.For example, if th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of the cargo 3 fixed to the transfer cart 120 is A, and the current destination of the vehicle 1 matches A, the transfer cart 120 is stopped at the second stop position. The transfer device 100 is driven and controlled.

또한 제어부는 복수의 이송 장치(100a, 100b, 100c)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경우 이송 대차(120)가 포함된 이송 장치(100)를 식별하고, 배송지 정보 및 식별된 이송 장치(100)의 높이에 기초하여 인출 장치(300)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embodiment including a plurality of transfer devices 100a, 100b, and 100c, the control unit identifies the transfer device 100 including the transfer cart 120 and provides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and the height of the identified transfer device 100. Based on this, the extraction device 300 can be driven and controlled.

예를 들어 가장 상단의 이송 장치(100a)의 이송 대차(120)에 고정된 화물(3)의 배송지 정보가 A 이고, 차량(1)이 현재 목적지가 A로 일치하는 경우, 해당 이송 대차(120)가 제2 정지 위치에 정지하도록 이송 장치(100)를 구동 제어하고, 인출 장치(300)의 슬라이드 패널(330)이 가장 상단의 이송 장치(100a)의 높이에 맞추어 고정된 화물(3)을 인출할 수 있도록 상하 이동 부재(320)를 구동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of the cargo 3 fixed to the transfer cart 120 of the uppermost transfer device 100a is A, and the current destination of the vehicle 1 matches A, the transfer cart 120 ) drives and controls the transfer device 100 to stop at the second stop position, and the slide panel 330 of the take-out device 300 moves the fixed cargo 3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ppermost transfer device 100a. The vertical movement member 320 can be driven to enable withdrawal.

차량(1)이 A에 도착한 경우 작업자는 인출 게이트(50)를 개방하고 상하 이동 부재(320)가 구동하여 슬라이드 패널(330)이 정지 위치에 정지한 이송 대차(120)의 화물(3)을 하측에서 지지하여 인출함으로써 화물(3)의 배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가 화물(3)의 배송지 정보에 따라 이송 장치(100) 및 인출 장치(300)를 구동함으로써 배송 오류를 방지할 수 있고 배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When the vehicle (1) arrives at A, the worker opens the withdrawal gate (50) and moves the vertical moving member (320) so that the slide panel (330) moves the cargo (3) of the transfer cart (120) stopped at the stop position. Delivery of cargo (3) can be performed by supporting and withdrawing from the lower side. In this way, the control unit drives the transfer device 100 and the take-out device 300 according to th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of the cargo 3, thereby preventing delivery errors and increasing delivery efficiency.

도 6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물 적재 시스템에 화물이 적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cargo being loaded into a cargo lo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이송 장치(100a, 100b, 100c)를 포함하는 화물 적재 시스템은 이송 장치(100)가 상하로 배치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차량(1)의 후방의 트렁크 도어를 통해 이와 같이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이송 장치(100a, 100b, 100c)의 이송 대차(120)에 동시에 화물(3)을 적재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in a cargo loading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transfer devices 100a, 100b, and 100c, the transfer devices 100 are arranged up and down.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cargo 3 can be loaded simultaneously on the transfer cart 120 of the plurality of transfer devices 100a, 100b, and 100c arranged vertically in this way through the rear trunk door of the vehicle 1. You can.

제어부는 화물(3)을 적재하기 위한 이송 대차(120c)를 이송 제어하여 차량(1)의 최후방 위치로 이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an transfer the transport cart 120c for loading the cargo 3 to the rearmost position of the vehicle 1.

이 때 이송 대차(120c)에 화물(3)을 적재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재 장치(5)가 이용될 수 있다. 적재 장치(5)는 적재 가이드(7)를 이용하여 복수의 적재 대상 화물(3a)을 동시에 적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ading device 5 as shown in FIG. 6 may be used to load the cargo 3 on the transfer cart 120c. The loading device 5 can simultaneously load a plurality of cargoes 3a to be loaded using the loading guide 7.

적재 가이드(7)에 적재된 복수의 적재 대상 화물(3a)이 차량(1)의 트렁크 도어를 통해 화물칸(20)으로 삽입되어 이송 대차(120c)에 고정될 수 있다. 이 후 이송 대차(120c)는 레일(110)을 통해 이송되고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빈 이송 대차(120)가 다시 차량의 최후방 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도 6에는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화물이 적재된 이송 대차들(120a, 120b)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A plurality of cargoes 3a loaded on the loading guide 7 may be inserted into the cargo compartment 20 through the trunk door of the vehicle 1 and fixed to the transfer cart 120c. Afterwards, the transfer cart 120c is transferred through the rail 110, and the empty transfer cart 120 for loading cargo can be transferred back to the rearmost position of the vehicle. Figure 6 shows the transfer carts 120a and 120b loaded with cargo through this process.

1: 차량 3: 화물
10: 탑승석 20: 화물칸
30: 격벽 40: 측벽
50: 인출 게이트 51: 제1 게이트부재
52: 게이트 레일 53: 게이트 슬라이더
54: 제2 게이트부재 100: 이송 장치
110: 레일 120: 이송 대차
121: 주행부 122: 화물 파지부
200: 거치 프레임 210: 수직 프레임
220: 수평 프레임 300: 인출 장치
310: 가이드 레일 320: 상하 이동 부재
330: 슬라이드 패널
1: Vehicle 3: Cargo
10: Boarding seat 20: Cargo compartment
30: bulkhead 40: side wall
50: withdrawal gate 51: first gate member
52: Gate rail 53: Gate slider
54: second gate member 100: transfer device
110: rail 120: transfer bogie
121: Running part 122: Cargo holding part
200: Mounting frame 210: Vertical frame
220: horizontal frame 300: withdrawal device
310: guide rail 320: vertical movement member
330: Slide panel

Claims (9)

차량의 화물칸에 마련되는 화물 적재 시스템으로서,
차량의 화물칸에 수평으로 설치된 레일; 및 화물을 고정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이송 대차;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
상기 이송 장치를 상기 화물칸에 설치하는 거치 프레임; 및
상기 이송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화물 적재 시스템.
A cargo loading system provided in the cargo compartment of a vehicle,
Rails installed horizontally in the cargo compartment of a vehicle; and a plurality of transport bogies that secure cargo and move along the rail; a transport device comprising a.
A mounting frame for installing the transfer device in the cargo compartment; and
A cargo loading system for a vehicle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적재 시스템은,
둘 이상의 이송 장치를 포함하고,
둘 이상의 상기 이송 장치는 상하로 나란히 배열되어 설치되는 차량의 화물 적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argo loading system is,
comprising two or more transport devices,
A cargo loading system for a vehicle in which two or more of the transport devices are arranged side by side up and dow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대차는,
상기 레일과 연결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주행부; 및
화물을 파지하여 고정하는 화물 파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화물 적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ransfer cart is,
a running part connected to the rail and provided to move along the rail; and
A cargo loading system for a vehicle including a cargo gripping unit that grips and secures carg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길고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 차량의 화물 적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rail is a cargo loading system for a vehicle that is lo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and has a rectangular shape with rounded corn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화물칸의 측벽에 마련되는 인출 게이트에서 상기 이송 대차에 고정된 화물을 화물칸 외측으로 인출하는 인출 장치;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화물 적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A cargo loading system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retrieval device for withdrawing cargo fixed to the transfer cart to the outside of the cargo compartment through a retrieval gate provided on a side wall of the cargo compartment of the vehic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장치는,
상기 인출 게이트의 양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
한 쌍의 상기 가이드 레일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한 쌍의 상하 이동 부재; 및
양 측면이 한 쌍의 상기 상하 이동 부재와 연결되어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상하 이동 부재에 대해 상기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패널;을 포함하는 차량의 화물 적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5,
The withdrawal device is,
a pair of guide rails extending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withdrawal gate;
a pair of vertical movement members connected to the pair of guide rails and sliding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and
A cargo loading system for a vehicle comprising: a slide panel on which both sides are connected to a pair of the vertical moving members to move toge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o sl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moving member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이송 대차에 고정되는 화물의 배송지 정보가 각각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배송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송 대차의 정지 위치를 결정하여 상기 이송 장치를 구동 제어하는 차량의 화물 적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6,
The control unit,
It includes a memory in which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of the cargo fixed to the plurality of transport carts is respectively stored,
A cargo loading system for a vehicle that determines a stopping position of the transfer cart based on th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and drives and controls the transfer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운행 목적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목적지 정보 및 상기 배송지 정보에 기초하여 인출할 화물이 고정된 이송 대차를 결정하고, 인출할 화물이 고정된 이송 대차를 상기 인출 게이트에 상응하는 정지 위치로 이송하도록 상기 이송 장치를 구동 제어하는 차량의 화물 적재 시스템.
In clause 7,
The control unit,
Obtain operation destin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determine a transfer cart on which the cargo to be retrieved is fixed based 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and move the transport cart on which the cargo to be retrieved is fixed to a stop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trieval gate. A cargo loading system for a vehicle that drives and controls the transport device to transpor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적재 시스템은,
둘 이상의 이송 장치를 포함하고,
둘 이상의 상기 이송 장치는 상하로 나란히 배열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 대차가 포함된 이송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배송지 정보 및 식별된 상기 이송 장치의 높이에 기초하여 상기 인출 장치를 구동 제어하는 차량의 화물 적재 시스템.
In clause 7,
The cargo loading system is,
comprising two or more transport devices,
Two or more of the transfer devices are arranged vertically and installed side by side,
The control unit,
A cargo loading system for a vehicle that identifies a transfer device including the transfer cart and drives and controls the take-out device based on th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and the height of the identified transfer device.
KR1020220143172A 2022-10-31 2022-10-31 Cargo loading system for vehicle KR2024006147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172A KR20240061477A (en) 2022-10-31 2022-10-31 Cargo loading system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172A KR20240061477A (en) 2022-10-31 2022-10-31 Cargo loading system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1477A true KR20240061477A (en) 2024-05-08

Family

ID=91074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172A KR20240061477A (en) 2022-10-31 2022-10-31 Cargo loading system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147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6990B1 (en) Transport vehicle and transport equipment
KR101664238B1 (en) Conveyance system and temporary storage method of articles in conveyance system
JP7206272B2 (e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method of operating system, and multi-trolley vehicle
KR20200033272A (en) Transport vehicle and transport equipment
US9783301B2 (en) Handling system for handling objects in a vehicle,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objects in a vehicle
US20120325960A1 (en) Device for the optimized storage of trolleys
JP6807617B1 (en) Trailer for transporting air containers
US9463926B2 (en) Automated storage cabinet for trolleys, and aircraft incorporating such a cabinet
JP7354980B2 (en) Delivery vehicles and delivery vehicle control systems
KR20240061477A (en) Cargo loading system for vehicle
CN218431456U (en) Logistics vehicle
CN110325462B (e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20100181429A1 (en) Device for moving objects, intended in particular for luggage in a hold of an aircraft
CN113386650A (en) Truck
CN108275426B (en) Automatic train luggage loading system
KR20240061476A (en) Cargo loading system for vehicle
JP6790719B2 (en) Drive trolley
JP7367648B2 (en) delivery vehicle
JP6759975B2 (en) Automatic warehouse
KR101618050B1 (en) Mourning-Buses slide-enshrined in place having an independent
KR102597634B1 (en) Loading module for vehicle
KR20240061463A (en) Cargo loading system for vehicle
JP7296853B2 (en) Door device and transport system
JP6637147B1 (en) The cab and transport method of the dedicated baggage elevator
JP3448037B2 (en) Plane reciprocating park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