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8911U - 마이크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8911U
KR19990018911U KR2019970032217U KR19970032217U KR19990018911U KR 19990018911 U KR19990018911 U KR 19990018911U KR 2019970032217 U KR2019970032217 U KR 2019970032217U KR 19970032217 U KR19970032217 U KR 19970032217U KR 19990018911 U KR19990018911 U KR 199900189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charging
wireless
rechargeable battery
charg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22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윤하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322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8911U/ko
Publication of KR199900189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911U/ko

Link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이크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충전용 건전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별도의 충전기를 구입해야 하는 등 비용의 지출과 건전지의 교환 등 간편하게 무선 마이크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충전 건전지(14)가 내장된 마이크 몸체(11)의 외주면 한쪽에 접촉단자(15)가 설치되고, 충전 건전지(14)를 충전시키는 충전장치(20)는 윗면에 충전단자(24)가 설치된 마이크 삽입홈(23)이 형성되므로 마이크의 보관 및 충전이 함께 이루어지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마이크 충전장치
본 고안은 마이크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의 보관 및 충전이 함께 이루어져 무선 마이크의 사용이 보다 편리한 마이크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는 사용자의 음성, 즉 음향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시스템과 같은 전자제품에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것으로, 오디오 시스템외에 노래방 기기 등에 연결되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마이크는 크게 유선 마이크와 무선 마이크로 나뉘어지며, 먼저 유선 마이크는 마이크에 접속 케이블이 설치되어 유선에 의해 전기신호의 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반면 무선 마이크는 무선신호에 의해 전기신호의 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최근에는 무선 마이크가 보편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무선 마이크는 접속 케이블이 없으므로 그 사용이 편리하나 전기신호를 전파신호로 바꾸는데 전력이 소모되므로 무선 마이크 내부에 건전지가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무선 마이크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 몸체(1a)의 외주면에 건전지 삽입부(1c)가 형성되고, 그리고 마이크 몸체(1a)의 전방에는 마이크부(1c)가 설치되며, 이러한 마이크부(1c)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게 된다.
또한, 마이크 몸체(1a)의 내부에는 마이크부(1c)를 통한 전기신호를 전파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장치가 설치되며, 이러한 주파수 변환장치는 상기한 건전지 삽입부(1c)에 장착되는 건전지(1d)의 전원에 의해 동작된다. 그리고 마이크 몸체(1a)의 저면에는 안테나 선(1e)이 돌출 설치되며, 이 안테나 선(1e)은 상기한 주파수 변환장치와 연결되어 전파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무선 마이크(1)는 건전지(1d)의 전원공급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음향신호)을 전기신호와 전파신호로 변환시키게 되며, 이러한 전파신호는 안테나 선(1e)을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한편, 안테나 선(1e)을 통해 출력된 전파신호는 도시되지 않은 오디오 시스템의 내부에서 다시 전기신호로 변환된 후 스피커를 통해 음향신호로 출력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무선 마이크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시간 사용한 후에는 건전지를 교환하므로 이로 인해 잦은 비용이 지출되며, 또한 충전용 건전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충전기를 구입해야 하는 등 비용의 지출과 건전지의 교환 등으로 보다 간편하게 무선 마이크(1)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술하면, 일반 건전지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일정시간 무선 마이크(1)를 사용할 때마다 건전지를 교체하므로 잦은 건전지의 교체로 인한 불편과 비용이 지출되며, 또한 충전용 건전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건전지를 별도로 구입하는 문제는 해결되나 별도의 충전기를 구입해야만 하며, 또한 충전을 위해 무선 마이크에 장착된 충전 건전지를 빈번히 교체하는 불편함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전지의 교체없이 충전장치에 무선 마이크를 올려 놓으므로 충전이 이루어져 무선 마이크를 보다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 충전장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선 마이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무선 마이크와 충전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보관 및 충전 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무선 마이크 11; 마이크 몸체
12; 마이크부 13; 안테나 선
14; 충전 건전지 15; 접촉단자
20; 충전장치 21; 파워코드
22; 충전기 23; 마이크 삽입홈
24; 충전단자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마이크 충전장치는 마이크 몸체의 내부에 충전 건전지가 설치되고, 외주면 한쪽에는 각각의 접촉단자가 외부로 노출 설치되는 무선 마이크와; 이 무선 마이크의 충전 건전지를 충전시키기 위해 내부와 외부에 충전기와 파워코드가 각각 설치되며, 윗면에는 마이크 삽입홈이 형성되고, 이 마이크 삽입홈에는 충전단자가 설치되는 충전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마이크 충전장치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선 마이크와 충전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무선 마이크의 보관 및 충전 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이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 몸체(11)는 한쪽 끝부분에 마이크부(12)가 설치되며, 이러한 마이크부(12)는 사용자의 음향신호를 음성신호를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마이크 몸체(11)의 내부에는 주파수 변환장치가 설치되고, 그리고 마이크 몸체(11)의 다른쪽 끝부분에는 안테나 선(13)이 설치되어 음성신호를 라디오 신호(전파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시스템 등으로 출력하게 된다.
또한, 마이크 몸체(11)는 내부에 충전 건전지(14)가 설치되며, 이러한 충전 건전지(14)는 상기한 마이크부(12)와 주파수 변환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마이크 몸체(11)는 외부에 접촉단자(15)가 각각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이러한 각각의 접촉단자(15)는 상기한 충전 건전지(14)의 양쪽 단자(+,-극)와 접촉된다.
한편, 무선 마이크(10)를 충전시키는 충전장치(20)는 외측에 파워코드(21)가 설치되고, 내측에는 충전기(22)가 설치된다. 이러한 충전기(22)는 일반 충전용 어댑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충전장치(20)는 윗면에 대략 반원 형상의 마이크 삽입홈(23)이 형성되고, 이 마이크 삽입홈(23)의 한쪽 부분에는 충전단자(22)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충전단자(22)는 충전기(22)와 연결되어 상기한 충전 건전지(14)를 충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무선 마이크(10)를 이용하여 자신의 음성을 녹음시키거나, 또는 노래를 부르게 된다. 즉, 무선 마이크(10)는 사용자의 음향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시킨 후에 오디오 시스템 등의 전자제품에 그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무선 마이크(10)를 통해 음성신호를 전달받은 오디오 시스템은 그 신호를 음향신호로 바꾸어 출력하거나 카세트 테이프 등의 기록매체에 그 음성을 녹음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무선 마이크(10)는 일정시간 경과시 내부의 전원, 즉 충전 건전지(14)에 충전된 전력이 모두 소모되므로 사용자는 충전장치(20)를 이용하여 무선 마이크(10)를 충전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단순히 무선 마이크(10)를 충전장치(20)의 마이크 삽입홈(23)에 올려 놓으므로 무선 마이크(10)를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마이크 몸체(11)의 외주면에 돌출된 각각의 접촉단자(15)가 마이크 삽입홈(23)의 충전단자(22)와 접촉되므로 부족한 전원이 충전된다.
상술하면, 충전장치(20)의 파워코드(21)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는 충전장치(20)의 내부에 설치된 충전기(22)에 의해 일정전압(3V,4.5V,6V 등등)으로 전압강하가 이루어진 후, 충전단자(22)를 통해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무선 마이크(10)의 내부에 설치된 충전 건전지(14)는 충전단자(22)를 통해 전달되는 전류에 의해 충전된다.
따라서, 무선 마이크(10) 사용자는 별도의 건전지를 구입하지 않고, 충전에 의해 지속적으로 무선 마이크(10)를 사용하게 되며, 더욱이 충전과 보관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이러한 충전장치(20)는 오디오 장식장이나 오디오 시스템 등의 한쪽 측면에 설치하므로 무선 마이크(10)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면 오디오 시스템과 연결되어 사용되는 무선 마이크외에 건전지가 내장되는 여러 마이크에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충전 건전지가 내장되는 마이크 몸체의 외주면 한쪽에 접촉단자가 설치되고, 이 무선 마이크의 충전 건전지를 충전시키는 충전장치는 윗면에 충전단자가 설치된 마이크 삽입홈이 형성되므로 마이크의 보관 및 충전이 함께 이루어져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고 무선 마이크를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마이크부와 주파수 변환장치 및 안테나 선 등이 설치되는 무선 마이크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마이크는(10)는 마이크 몸체(11)의 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건전지(14)가 설치되고, 상기 마이크 몸체(11)의 외주면 한쪽에는 상기 충전 건전지(14)와 연결되는 각각의 접촉단자(15)가 외부로 노출 설치되며,
    충전장치(20)는 상기 무선 마이크(10)를 충전시키도록 내부와 외부에 충전기(22)와 파워코드(21)가 각각 설치되며, 윗면에 대략 반원 형상의 마이크 삽입홈(23)이 형성되고, 이 마이크 삽입홈(23)의 한쪽 부분에는 상기 충전기(22)와 연결되는 충전단자(22)가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 충전장치.
KR2019970032217U 1997-11-14 1997-11-14 마이크 충전장치 KR1999001891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217U KR19990018911U (ko) 1997-11-14 1997-11-14 마이크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217U KR19990018911U (ko) 1997-11-14 1997-11-14 마이크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911U true KR19990018911U (ko) 1999-06-05

Family

ID=69676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2217U KR19990018911U (ko) 1997-11-14 1997-11-14 마이크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891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723B1 (ko) * 2004-09-20 2006-08-17 주식회사 엔터기술 노래방용 무선 마이크의 채널 액세스장치
KR102251675B1 (ko) 2020-07-01 2021-05-12 최정선 마이크 충전 겸용 탈취 살균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723B1 (ko) * 2004-09-20 2006-08-17 주식회사 엔터기술 노래방용 무선 마이크의 채널 액세스장치
KR102251675B1 (ko) 2020-07-01 2021-05-12 최정선 마이크 충전 겸용 탈취 살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8201B1 (en) Device for converting direct current input into multiple voltage outputs
US64736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ing a wireless headset used with a personal electronic device
US7272421B2 (en) Wireless earphone charging adapter
US20080123287A1 (en) Casing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CA2561810A1 (en) Apparatus for powering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AU2015277299B2 (en) Hearing aid battery door module
DE69929368D1 (de) Nachladbare Batterie angetriebenes tragbares zwangsbeständige Audiogerät
KR19990018911U (ko) 마이크 충전장치
US5504658A (en) Remote control plug unit carrying a battery
US20020090983A1 (en) Device for charging a battery unit of a mobile telephone handset
CN211780325U (zh) 一种多功能手摇自发电灾害应急设备
JPH099382A (ja) 電池式ステレオ音響再生装置用の無線イヤホーン装置
CN209982122U (zh) 带伸缩线结构移动电源
CN220307384U (zh) 一种穿戴式设备
CN214960052U (zh) 一种蓝牙耳机充电舱及蓝牙耳机套件
CN218634201U (zh) 一种灵活结构麦克风
CN212909065U (zh) 一种可折叠式充电储物盒
CN209545828U (zh) 一种具有充电底座的蓝牙耳机
CN215647189U (zh) 带有无线麦克风充电功能的功放一体机
CN210608596U (zh) 无线充电线圈盒及无线充电器
JP3501167B2 (ja) ワイヤレス式オーディオ機器及びその受信機
CN116709150A (zh) 一种穿戴式设备
KR200253455Y1 (ko)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 충전기
KR200319973Y1 (ko) 교류전원에서 직접 충전기능이 내장된 휴대전화용 배터리
KR20000039991A (ko) 휴대 통신 단말기와 퍼스널 컴퓨터간 데이타 공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