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8841U - 배터리 하부링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하부링 공급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18841U KR19990018841U KR2019970032135U KR19970032135U KR19990018841U KR 19990018841 U KR19990018841 U KR 19990018841U KR 2019970032135 U KR2019970032135 U KR 2019970032135U KR 19970032135 U KR19970032135 U KR 19970032135U KR 19990018841 U KR19990018841 U KR 1999001884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wer ring
- battery body
- battery
- guide
- jig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Primary Ce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터리 하부링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부링(102)을 공급하는 공급부(110)와, 상기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하부링(102)을 가이드하여 배터리 몸체(101)의 하단에 안치시키는 안치부(120)로 구성하여 배터리 몸체의 하단에 하부링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안치시켜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배터리 몸체에 하부링 결합시 하부링이 정확하게 세팅되어 불량발생을 억제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배터리 하부링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하부링 정확하고 신속하게 배터리 몸체의 저면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하부링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자동화 공정에 있어서, 배터리 몸체의 하부링을 결합하기 위하여 배터리 몸체의 상단에 하부링을 하나씩 안치한 다음 이를 프레싱하여 결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배터리 하부링 공급 장치는 배터리 몸체의 하단에 하부링을 공급하는 경우 하부링을 정확하게 배터리의 하단에 안치하기 까다롭고 이로 인하여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배터리가 불량처리 되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배터리 몸체의 하단에 하부링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안치시켜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 몸체에 하부링 결합시 하부링이 정확하게 세팅되어 불량발생을 억제하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배터리 하부링 공급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부링 공급 장치101 : 배터리 몸체
102 : 하부링110 : 공급부
111 : 이송블럭112 : 슈터
120 : 안치부121 : 턴테이블
122 : 지그123 : 가이드블럭
124 : 테이퍼125 : 홀더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배터리 몸체의 하단에 하부링을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부링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하부링을 가이드하여 배터리 몸체의 하단에 안치시키는 안치부로 구성함이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배터리 하부링 공급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하부링 공급 장치(100)는 은 배터리 몸체(101)의 하단에 하부링(102)을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부링(102)을 공급하는 공급부(110)와, 상기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하부링(102)을 가이드하여 배터리 몸체(101)의 하단에 안치시키는 안치부(120)로 구성한다.
상기 공급부(110)는 가이드홈을 형성한 이송블럭(111)을 소정높이로 설치하고 이송블럭(111)의 전면 하측에 슈터(112)를 설치한다.
상기 안치부(120)는 이송블럭(111)의 일측에 턴테이블(121)을 설치하고 턴테이블(121)의 상면에 지그(122)를 설치한다.
또한 지그(122)의 상면에는 배터리 몸체(101)를 지지하는 가이드블럭(123)을 소정높이로 설치하고 가이드블럭(123)은 상측에 나팔 형상으로 테이퍼(124)되게 형성시킨 가이드공(126)을 형성한다.
상기 지그(122)에는 배터리 몸체(101)를 지지하는 홀더(125)를 설치한다.
한편 상기 이송블럭(111)에서 슈터(112)로 하부링을 이송하는 수단(도시하지 않음)구비하되 이송수단은 스윙아암 등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부링(102) 결합시키고자 하는 배터리 몸체(101)를 지그(122)에 안치시켜 홀더(125)가 홀딩시킨 상태에서 턴테이블(121)을 회전시켜 이송블럭(111)측에 가이드블럭(123)이 위치되게 한다.
이때 이송블럭(111)의 가이드홈에 위치된 하부링(102)을 스윙아암 등의 이송수단으로 이송하여 슈터(112)에 이동시키면 하부링(102)이 슈터(112)에 가이드되어 가이드블럭(123)의 가이드공(126)으로 유입된다.
한편 가이드공(126)의 상부가 테이퍼(124)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링(102)이 정확하게 가이드되어 가이드공(126)에 삽입된 배터리 몸체(101)의 저면에 안치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하부링 공급 장치(100)는 배터리 몸체(101)의 하단에 하부링(102)을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부링(102)을 공급하는 공급부(110)와, 상기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하부링(102)을 가이드하여 배터리 몸체(101)의 하단에 안치시키는 안치부(120)로 구성하여 배터리 몸체의 하단에 하부링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안치시켜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배터리 몸체에 하부링 결합시 하부링이 정확하게 세팅되어 불량발생을 억제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가이드홈을 형성한 이송블럭을 소정높이로 설치하고 이송블럭의 전면 하측에 슈터를 설치하여 하부링을 공급하는 공급부와,상기 이송블럭의 일측에 턴테이블을 설치하고 턴테이블의 상면에 지그를 설치하되 지그의 상면에는 배터리 몸체를 지지하는 가이드블럭을 소정높이로 설치하고 가이드블럭의 상측에 나팔 형상으로 테이퍼 되게 형성시킨 가이드공을 형성하며 지그에 배터리 몸체를 지지하는 홀더를 설치하여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하부링을 가이드하여 배터리 몸체의 하단에 안치시키되 는 안치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하부링 공급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32135U KR200176195Y1 (ko) | 1997-11-14 | 1997-11-14 | 배터리 하부링 공급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32135U KR200176195Y1 (ko) | 1997-11-14 | 1997-11-14 | 배터리 하부링 공급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18841U true KR19990018841U (ko) | 1999-06-05 |
KR200176195Y1 KR200176195Y1 (ko) | 2000-04-15 |
Family
ID=19514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32135U KR200176195Y1 (ko) | 1997-11-14 | 1997-11-14 | 배터리 하부링 공급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76195Y1 (ko) |
-
1997
- 1997-11-14 KR KR2019970032135U patent/KR20017619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76195Y1 (ko) | 2000-04-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176195Y1 (ko) | 배터리 하부링 공급 장치 | |
CN208961208U (zh) | 一种钨极自动更换机 | |
KR200176196Y1 (ko) | 배터리 상부링 공급 장치 | |
EP0078472A3 (en) | Machine for grinding points of drills | |
JP2007331779A (ja) | キャップ取着方法 | |
CN212823749U (zh) | 一种装配送料装置 | |
KR100644268B1 (ko) | 컨테이너선의 셀가이드 구조를 이용한 블럭 세팅 방법 | |
CN217475100U (zh) | 一种saw晶片打标机定位治具 | |
JPS6219127U (ko) | ||
CN218225303U (zh) | 缸体工件焊接用定位治具及焊接设备 | |
CN213411715U (zh) | 一种添加低温金属治具 | |
JP2001162463A (ja) | ベアリング挿入治具 | |
CN209239840U (zh) | 一种气缸生产用工装夹具 | |
JPH0438946Y2 (ko) | ||
CN210615564U (zh) | 一种焊接机器人夹具快换装置 | |
JPS61142028A (ja) | 部品の装着装置 | |
KR19990018840U (ko) | 배터리 공급 장치 | |
KR0119964Y1 (ko) | 전자총의 스템핀 자동 성형장치 | |
KR200176197Y1 (ko) | 배터리 적재 장치 | |
KR19990057474A (ko) | 전지 가이드 장치 | |
KR200203135Y1 (ko) | 리이드 납땜을 위한 지그구조 | |
JPH11342435A (ja) | ダイ装着治具及びダイ装着方法 | |
JPS606312A (ja) | ダミ−シヤフトを有するワ−クへのニ−ドル插入方法 | |
KR19980013811A (ko) | 스냅링을 이용한 플러그 캡 자동조립 장치 | |
SU1151435A1 (ru) |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 установки обрабатываемых детале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