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8423A - 조준경 조립체 - Google Patents
조준경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18423A KR19990018423A KR1019970041599A KR19970041599A KR19990018423A KR 19990018423 A KR19990018423 A KR 19990018423A KR 1019970041599 A KR1019970041599 A KR 1019970041599A KR 19970041599 A KR19970041599 A KR 19970041599A KR 19990018423 A KR19990018423 A KR 199900184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thermal unit
- thermal
- cable
- connecto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16—Housings; Caps; Mountings; Supports, e.g. with counterweigh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32—Night sights, e.g. luminescent
- F41G1/34—Night sights, e.g. luminescent combined with light source, e.g. spot light
- F41G1/35—Night sights, e.g. luminescent combined with light source, e.g. spot light for illuminating the target, e.g. flash ligh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Abstract
상면에 안정거울 유닛이 설치되며 열상유닛하우징부가 일체로 형성된 적치대와, 상기 적치대의 상면에 설치되며 안정거율 유닛 케이블과 연결된 제1커넥터와, 상기 열상유닛하우징부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2커넥터와, 상기 제1,2커넥터를 연결하는 인터 페이스 케이블과, 상기 열상유닛트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열상유닛을 포함하여 된 포수 조준경 조립체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준경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구성요소간의 케이블 접속에 따른 구조가 개선된 준경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준경 조립체는 초음파, 레이저빔등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과, 적외선 또는 열추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방의 사물을 확인 및 거리측정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주야간에 관계없이 거리와 사물을 확인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조준경 조립체의 일예를 도 1에 나타내 보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레이저 거리 측정 유닛(11)이 설치된 장착대(12)와, 상기 장착대의 상면(12)에 설치되는 안정거울 유닛(13)과, 상기 장착대(12)의 하부에 설치된 레이저 거리 측정 유닛(11)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열상유닛(14)과, 상기 장착대(12)에 설치되어 상기 안정거율 유닛(13)을 감싸는 커버(15)을 포함하다. 그리고, 상기 열상유닛(14)의 측면에는 별도의 전자유닛 외부 케이블(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된 제1커넥터(21)가 설치된다. 상기 제1커넥터(21)에 의해 외부 케이블과 인터 페이스 케이블(22)이 연결되는데, 이 인터 페이스 케이블(22)은 열상유닛(14)의 내부를 통하여 적치대(12)의 상면에 설치된 제2커넥터(23)에 의해 안정거울 유닛(13)의 케이블(13a)과 접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조준경 조립체는 외부의 케이블과 연결되는 인터 페이스 케이블(22)이 열상유닛(14)을 관통하여 적치대(12)의 상부에 위치한 제2커넥터(23)에 의해 안정거울 유닛(13)의 케이블(13a)과 접속되어 있으므로 분리가 어렵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열상유닛(14)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적치대(12)로부터 커버(15)를 분리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케이블(12)과 안정거울 유닛의 케이블(13a)을 연결하는 제2케넥터(23)를 분리한 적치대(12)로부터 열상유닛(13)를 분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적치대(12)에 의해 열상유닛(13)를 조립하는 과정에서도 인터 페이스 케이블(12)이 각 유니트의 구성부품에 간섭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요하게 된다. 특히 인터 페이스 케이블(12)의 조립시 안정거울 유닛(13)의 헤드미러의 밑을 지나게 되는데,헤드미러의 회전시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은 조준경 조립체는 각종 군사장비에 이용되는데,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열상유닛는 관통하는 인터페이스 케이블(12)에 의해 조립 및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없으며, 정비가 용이하지 않아 군장비의 유지 보수 및 운용체계에 문제점으로 부각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열상유닛의 개별적인 분리가 가능하며, 정비와 조립이 용이한 조준경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조준경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준경 조립체의 측면도,
도 3은 인터 페이스 케이블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장착대 32; 안정거울 유닛
34a; 열상유닛의 하우징부 34; 열상유닛
41; 제1커넥터 44; 제2커넥터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에 안정거울 유닛이 설치되며 열상유닛하우징부가 일체로 형성된 적치대와, 상기 적치대의 상면에 설치되며 안정거율 유닛 케이블과 연결된 제2커넥터와, 상기 열상유닛하우징부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2커넥터를 연결하는 인터 페이스 케이블과, 상기 열상유닛트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열상유닛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캐이블은 상기 열상유닛 하우징부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준경 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대(31)의 상면에 안정거울 유닛(32)가 설치되고, 상기 장착대(31) 일측하면에는 레이저 거리 측정유닛(33)이 설치된다. 상기 장착대(31)의 타측하면에는 장착대(31)와 일체로 형성된 열상유닛 하우징부(34a)가 형성되고 이 열상유닛 하우징부(34a)에는 열상유닛(34)이 설치되며, 상기 장착대(31)에는 그 상면에 설치된 안정거울 유닛(32)을 감싸는 커버(3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대(31)의 상면에 제1커넥터(41)가 설치되어 안정 거울 유닛의 케이블(42)와 인터 페이스 케이블(43)의 일측단부를 연결하게 되고, 상기 인터 페이스 케이블(43)은 상기 열상유닛 하우징부(34a)의 내부를 통하여 열상유닛 하우징부(34a)의 외주면에 설치된 제2커넥터(44)에 의해 별도의 외부전자 유닛의 외부케이블(45)와 접속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2커넥터(41)(44)는 상기 케이블과 연결된 리드핀이 형성된 숫커넥터와, 상기 리드핀이 결합되는 핀결합부가 형성된 수커넥터가 한조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조준경 조립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조준경 조립체는 레이거리 측정장치와 열상유닛을 이용하여 주야간에 관계없이 특정 지역 및 사물과의 걸리를 측정하거나 관찰할 수 있는 것으로, 각 유니트의 독립적인 분해가 가능하다.
즉, 상기 조준경 조립체로부터 열상유닛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장착대(31)와 일체로 설치된 열상유닛 하우징(34a)으로부터 열상유닛(34)을 분리하면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인터 페이스 케이블(43)은 열상유닛(34)의 내부를 통과하지 않고 하우징부(34a)의 내부를 통과할 뿐만아리나 열상유닛(34)과는 별개로 적치대에 일체로 형성된 열상유닛 하우징부(34a)의 단부에 설치된 제2커넥터(44)에 의해 외부케이블과 접속되어 있으므로 열상유닛(34)의 분리시 인터 페이스 케이블(43)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열상유닛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인터 페이프 케이블(43)을 장착대(31)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안정거울 유닛(32) 및 이의 장착부위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인터 페이스 케이블이 안정거울 유니트와 결합될 때에 인터 페이스 케이블의 안정거울 유닛의 헤드미러 측면에서 바로 연결되므로 인터 페이스 케이블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며 헤드미러와 인터 페이스 케이블(43)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조준경 조립체는 장착대에 설치되는 안정거울 유닛과 연결되는 인터 페이스 케이블을 장착대의 상면과 열상유닛 하우징부에 설치된 제1,2커넥터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열상유닛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조준경 조립체의 정비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일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본원 발명의 기술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2)
- 상면에 안정거울 유닛이 설치되며 열상유닛 하우징부가 일체로 형성된 적치대와, 상기 적치대의 상면에 설치되며 안정거율 유닛 케이블과 연결된 제1커넥터와, 상기 열상유닛하우징부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2커넥터와, 상기 제1,2커넥터를 연결하는 인터 페이스 케이블과, 상기 열상유닛트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열상유닛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준경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캐이블이 상기 열상유닛 하우징부의 내부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준경 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41599A KR100248057B1 (ko) | 1997-08-27 | 1997-08-27 | 조준경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41599A KR100248057B1 (ko) | 1997-08-27 | 1997-08-27 | 조준경 조립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18423A true KR19990018423A (ko) | 1999-03-15 |
KR100248057B1 KR100248057B1 (ko) | 2000-03-15 |
Family
ID=19518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41599A KR100248057B1 (ko) | 1997-08-27 | 1997-08-27 | 조준경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48057B1 (ko) |
-
1997
- 1997-08-27 KR KR1019970041599A patent/KR10024805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248057B1 (ko) | 2000-03-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54313B2 (en) | Photoelectric combined connector | |
US20100260456A1 (en) | Interconnection system | |
US6287016B1 (en) |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connection | |
US20180091779A1 (en) | Imager with wire harness connecting features | |
US6799901B2 (en) | Optical semiconductor module | |
US20120214326A1 (en) | Cable connector assembly adapted for power and signal transmitting | |
JPH0799074A (ja) | 電気コネクタ | |
EP0515085B1 (en) | Cable connecting structure of a solid state image sensor | |
KR960700546A (ko) | 백셸 접속 시스템(backshell interface system) | |
US6807021B2 (en) | Optical module | |
KR100248057B1 (ko) | 조준경 조립체 | |
CA2216369A1 (en) | Accidental arc detector for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witching equipments | |
US5455739A (en) | Assembly for transferring heat from heat generating components to a surrounding housing | |
JP3921063B2 (ja) | 光コネクタのシールド構造 | |
US20190324221A1 (en) | Connector Assembly | |
US5957728A (en) | Data transmission adapter | |
JPH04269482A (ja) | アース、電力または信号接続を与えるためのキー結合された装置 | |
JP2003029094A (ja) | 光伝送装置 | |
US5614697A (en) | Electrical trunking with watertight coupling | |
US20050238295A1 (en) | Optical assembly with a sleeve assembly comprising a resin cover and a metal holder easily fitted thereto | |
US5554847A (en) | Flexibly connectable high precision thermal and structural focal plane array mount | |
JPH1164647A (ja) | 光パッケージ及び電子装置筺体 | |
CN221508609U (zh) | 传感器导线支架 | |
JPH05501622A (ja) | 光接続装置及びビデオ信号伝送におけるその使用 | |
US11168846B2 (en) |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