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8115A - 통신단말기의 단축메뉴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단말기의 단축메뉴 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8115A
KR19990018115A KR1019970041208A KR19970041208A KR19990018115A KR 19990018115 A KR19990018115 A KR 19990018115A KR 1019970041208 A KR1019970041208 A KR 1019970041208A KR 19970041208 A KR19970041208 A KR 19970041208A KR 19990018115 A KR19990018115 A KR 19990018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tem
menu
shortcut menu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1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1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8115A/ko
Publication of KR19990018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115A/ko

Links

Landscapes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통신단말기의 단축 메뉴 설정 방법이, 기능키 입력시 메인 메뉴를 표시하고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키에 따라 해당 항목들을 선택 및 표시하고 지정키 입력시 해당 항목을 단축메뉴에 저장하는 과정과, 단축메뉴 선택시 지정된 세팅 값을 표시하고 아이템 선택키 입력시 해당하는 항목을 선택하여 해당 항목을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통신 단말기의 단축메뉴 설정 방법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서 메뉴를 이용하여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축 메뉴를 이용하여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단말기(telecommunication terminal)의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은 메뉴(menu)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통신단말기는 휴대용 전화기, 팩시밀리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통신단말기의 구성은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통신단말기의 구성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단말기는 휴대용 무선전화기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통신단말기에서 기능키를 이용하여 메뉴 방식에 따라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통신단말기를 사용할 때, 벨 형태(bell type)를 바꾸거나 또는 모드 형태(mode type: CDMA, analog 등)을 바꾸고자 하는 경우, 기능 설정을 위한 일련의 작업 수행시 도 1과 같이 기능키(function key)를 누르면 메인 메뉴가 표시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도 1과 같이 표시되는 메뉴 중에서 사용자가 변경하고자 하는 항목을 하나 하나씩 선택하여 변경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메뉴에 의해 기능을 설정하는 종래의 방법은 작업 실행시 최소한 3번 이상의 버튼을 사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메인 메뉴 항목이 표시됐을 때 각 항목에 무엇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일일이 버튼을 눌러 확인하여야 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축 메뉴를 이용하여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축 메뉴에 기능 아이템을 등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단축 메뉴 설정 방법이, 기능키 입력시 메인 메뉴를 표시하고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키에 따라 해당 항목들을 선택 및 표시하고 지정키 입력시 해당 항목을 단축메뉴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 선택시 지정된 세팅 값을 표시하고 아이템 선택키 입력시 해당하는 항목을 선택하여 해당 항목을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통신단말기에서 메뉴를 이용하여 기능을 설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축 메뉴에 따라 아이템을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축메뉴를 이용하여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축 메뉴를 이용하여 기능을 설정하는 통신단말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용 전화기로 가정한다.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구성은 널리 알려진 상태이므로, 그 구성에 대한 동작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단축 메뉴(shotcut menu)를 만들거나 단축키를 만들어 사용자가 자주 쓰는 아이템만 리스트하여 세팅한다. 이때 상기 세팅 값을 저장하면 메인 메뉴를 통해 기능을 세팅하는 것과 동일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일반 메뉴를 선택하는 기능키신호와 단축메뉴를 선택하는 기능키신호를 다르게 설정한다. 이런 경우 상기 기능키를 2개로 설정하여 일반메뉴 및 단축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키의 눌려지는 시간에 따라 일반메뉴 및 단축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능키의 눌려지는 시간에 따라 일반메뉴 및 단축메뉴를 설정하는 예를 들어 살펴본다.
상기 기능키를 길게 누르면 사용자가 평소에 자주 기능 설정을 변경하는 값들(예를들면 링 형태(ring type), 링톤(ring tone) 등)을 사용자가 지정하여 표시부(LCD)에 표시할 수 있게한다. 따라서 상기 기능키를 누르고 또 다른 키를 누르는 작업을 할 필요없이, 기능키를 길게 한번 누름으로써 직접 억세스할 수 있으며, 세팅 값도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또한 사용자는 상기 단축 메뉴를 일일이 외울 필요없이 자신이 원하는 항목만 저장시켜 놓으면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축 메뉴 처리 과정를 살펴본다. 여기서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단축 메뉴에 아이템(item)을 저장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후 도 3을 참조하여 단축메뉴를 이용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기능키를 누르면, 제어부는 2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3단계에서 표시부 상에 메인 메뉴를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가 키입력부를 통해 원하는 아이템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는 2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7단계에서 표시부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항목에 대한 서브 메뉴(submenu)를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서브메뉴를 보고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원하는 항목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는 221단계에서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억세스하기 원하는 항목을 표시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원하는 마지막 아이템에 대한 세팅 값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임의 키를 누르면(예: store key 등),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키가 지정된 키인가 검사하며, 지정된 키가 아니면 상기 221단계로 되돌아가며 지정된 키이면 225단계에서 해당 키를 단축 메뉴에 저장한다. 즉,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임의의 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단측 메뉴에 자신이 선택한 마지막 아이템이 저장되고, 그렇지 않은 키가 입력되면 다시 상기 표시 과정으로 되돌아가 지정된 키가 수신되기를 대기한다.
상기 도 2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면서 단축메뉴에 아이템들을 등록한 상태에서 단축 메뉴를 이용하는 과정은 도 3과 같이 진행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기능키 입력시 상기 제어부는 3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3단계에서 기능키의 눌려진 시간을 검사한다. 이때 상기 기능키의 눌려진 시간이 설정된 시간 보다 길게 입력되면 단축 메뉴를 사용하고, 설정된 시간 보다 짧게 입력되면 메인메뉴를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상기 기능키의 입력이 설정시간 보다 길게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3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5단계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세팅할 값들이 표시한다. 이는 사용자가 도 2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면서 메뉴를 통해 단축 메뉴에 저장한 아이템들이 된다. 상기와 같이 단축 메뉴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볼륨키(volume key)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3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9단계에서 상기 볼륨키의 눌림 회수에 대응되는 단축 메뉴의 아이템을 선택하여 표시한다. 상기 볼륨키는 볼륨-업 키와 볼륨-다운 키가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런 볼륨키를 단축메뉴의 아이템 선택키로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단축 메뉴의 아이템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볼륨키가 수신되면 해당 볼륨키의 입력횟수에 따라 대응되는 단축메뉴의 아이템을 선택하여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원하는 메뉴의 아이템이 선택되면, 사용자는 해당 아이템을 등록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지정키(*키 또는 #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는 3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3단계에 저장키(store key)의 입력을 대기한다. 상기 저장키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는 32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5단계에서 세팅값을 저장한다. 또한 단축 메뉴의 아이템을 선택한 후 삭제키(clear key)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32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9단계에서 선택된 메뉴의 아이템을 삭제한다.
또한 상기 313단계에서 기능키가 설정시간 보다 짧게 눌려진 경우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333단계에서 메인 메뉴를 표시하고 335단계에서 입력되는 키들에 대응되는 메뉴를 선택하여 해당하는 항목을 실행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종래의 기능 실행 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에서 하나의 키로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항목들을 단축 메뉴로 설정하여 세팅할 수 있다, 따라서 이로인해 메인 메뉴에 설정된 아이템들 중 자주 사용하는 아이템들을 단축메뉴에 저장하고 간단한 버튼 조작으로 단말기의 세팅 값의 변경이나 확인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통신단말기의 단축 메뉴 설정 방법에 있어서, 기능키 입력시 메인 메뉴를 표시하고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키에 따라 해당 항목들을 선택 및 표시하며, 지정키 입력시 해당 항목을 단축메뉴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 선택시 지정된 세팅 값을 표시하며, 아이템 선택키 입력시 해당하는 항목을 선택하여 해당 항목을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단축 메뉴 설정방법.
  2. 메인메뉴에서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여 저장한 단축메뉴를 구비하는 통신단말기의 단축메뉴 기능 수행방법에 있어서, 기능키 입력시 입력시간을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과정에서 설정시간 초과시 상기 단축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단축메뉴 표시상태에서 아이템 선택키 입력시 대응되는 아이템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아이템 선택 후 저장키 입력시 해당 아이템을 등록하고 종료하는 과정과, 상기 아이템 선택 후 삭제키 입력시 단축메뉴에서 해당 아이템을 삭제하고 종료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과정에서 설정시간 이하일 시 메인메뉴를 표시하고 입력되는 키에 해당 항목을 선택하여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단축메뉴 기능 수행방법.
KR1019970041208A 1997-08-26 1997-08-26 통신단말기의 단축메뉴 설정방법 KR19990018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208A KR19990018115A (ko) 1997-08-26 1997-08-26 통신단말기의 단축메뉴 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208A KR19990018115A (ko) 1997-08-26 1997-08-26 통신단말기의 단축메뉴 설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115A true KR19990018115A (ko) 1999-03-15

Family

ID=66047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1208A KR19990018115A (ko) 1997-08-26 1997-08-26 통신단말기의 단축메뉴 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811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806B1 (ko) * 1999-12-07 2002-05-02 윤종용 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 정의에 따른 단축키 설정 방법
KR100424475B1 (ko) * 2002-01-10 2004-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단축키를 이용한 통신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KR100479588B1 (ko) * 2000-08-05 200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정보 검색 방법
KR100689587B1 (ko) * 2000-12-21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적용방법
KR100746486B1 (ko) * 2000-07-01 2007-08-06 인포뱅크 주식회사 원클릭 무선인터넷 접속방법
KR100970614B1 (ko) * 2003-02-26 2010-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설정메뉴 디스플레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93951A (en) * 1939-09-20 1942-08-25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Indu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re construction therefor
JPH06152497A (ja) * 1992-11-09 1994-05-31 Nec Corp 無線選択呼出受信機
WO1995019028A1 (en) * 1994-01-03 1995-07-13 Motorola Inc. Automatic menu item sequencing method
JPH0918945A (ja) * 1995-06-29 1997-01-17 Daini Denden Kk 携帯端末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93951A (en) * 1939-09-20 1942-08-25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Indu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re construction therefor
JPH06152497A (ja) * 1992-11-09 1994-05-31 Nec Corp 無線選択呼出受信機
WO1995019028A1 (en) * 1994-01-03 1995-07-13 Motorola Inc. Automatic menu item sequencing method
JPH0918945A (ja) * 1995-06-29 1997-01-17 Daini Denden Kk 携帯端末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806B1 (ko) * 1999-12-07 2002-05-02 윤종용 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 정의에 따른 단축키 설정 방법
KR100746486B1 (ko) * 2000-07-01 2007-08-06 인포뱅크 주식회사 원클릭 무선인터넷 접속방법
KR100479588B1 (ko) * 2000-08-05 200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정보 검색 방법
KR100689587B1 (ko) * 2000-12-21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적용방법
KR100424475B1 (ko) * 2002-01-10 2004-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단축키를 이용한 통신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KR100970614B1 (ko) * 2003-02-26 2010-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설정메뉴 디스플레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4806B1 (ko) 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 정의에 따른 단축키 설정 방법
KR100689522B1 (ko) 휴대단말기의 아이콘 표시 및 바로가기 제어 방법
US20030022700A1 (en) Method for simplifying cellular phone menu selection
KR10066411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핫키 실행 방법
KR19990018115A (ko) 통신단말기의 단축메뉴 설정방법
KR20010026243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선택 방법
KR20000059621A (ko) 터치스크린패널을 사용자 정보 입력 수단으로 구비하는 디지털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방법
KR100697026B1 (ko) 단축키 설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606784B1 (ko) 초기화면 메뉴 등록방법
KR10086831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
KR1006895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 적용방법
KR20010110034A (ko) 개인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정의 단축키 설정방법
KR20080088090A (ko) 메인 메뉴와 서브 메뉴를 동시에 표시하는 이동통신단말의메뉴 표시 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
KR10080650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통한 기능별 메뉴 검색방법
KR1006566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이동 방법
KR100277125B1 (ko) 전화번호의 특정 자릿수 탐색에 의한 다이얼링 장치 및 방법
KR100810339B1 (ko) 시프트키를 이용하여 단축 메뉴 및 부가 기능을 구현하는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9811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제공 방법
KR20000056153A (ko) 터치스크린패널 입력을 통해 전화번호 검색을 수행하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표시 상태 제어 방법
KR100442593B1 (ko) 무선단말기의 호 서비스 방법
KR940010850B1 (ko) 다기능 무선전화기의 사용자기능 접근방법
KR10068118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 검색 방법
KR100701946B1 (ko)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전화번호 입력기능을 구비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설정방법
KR100428851B1 (ko) 단축메뉴 설정방법
JP2001145138A (ja) 小型通信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309

Effective date: 2006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