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8037U - 냉정수기의 드레인 구조 - Google Patents

냉정수기의 드레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8037U
KR19990018037U KR2019970031225U KR19970031225U KR19990018037U KR 19990018037 U KR19990018037 U KR 19990018037U KR 2019970031225 U KR2019970031225 U KR 2019970031225U KR 19970031225 U KR19970031225 U KR 19970031225U KR 19990018037 U KR19990018037 U KR 199900180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water
water
drain
tank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12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태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312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8037U/ko
Publication of KR199900180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037U/ko

Link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정수기의 드레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저장탱크 내의 정수드레인 뿐만이 아니라 냉수저장탱크 내의 냉수드레인까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여 냉수저장탱크 내의 냉수가 부패되는 일이 없이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되어지도록 한 냉정수기의 드레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냉정수기의 드레인 구조는, 정수탱크(10)에 드레인관(13) 및 드레인밸브(14)가 구성된 정수탱크(10)와, 상기 정수탱크(10)에 연결된 냉수탱크(15)를 구비한 냉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냉수탱크(15)에 드레인관(16) 및 상기 드레인관(16)상에 드레인밸브(17)를 구성하여 정수탱크(10)의 드레인시 냉수탱크(15)의 드레인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정수탱크(10)의 드레인관(13)과 냉수탱크(15)의 드레인관(16)이 하나의 드레인관(18)에 연결 공유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정수탱크의 정수는 물론 냉수저장탱크 내의 냉수가 부패되는 일이 없이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되어지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냉정수기의 드레인 구조
본 고안은 냉정수기의 드레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저장탱크 내의 정수드레인 뿐만이 아니라 냉수저장탱크 내의 냉수드레인까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여 냉수저장탱크 내의 냉수가 부패되는 일이 없이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되어지도록 한 냉정수기의 드레인 구조에 관한 것이다.
환경 오염으로 인하여 수도물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면서 정수기의 사용이 점차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정수기는 수도물이나 또는 약수와 같은 자연수(이하 원수라함)를 여과하기 위한 장치로서, 원수를 다양한 종류의 필터링 수단을 통과시킴으로써,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유해 물질을 제거하고 인체에 유익한 물질만이 포함되는 음용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정수기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사용되고 있으며, 역삼투압 방식의 정수기가 그 대표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역삼투압 정수기는 소위 역삼투압 필터(이하 맴브레인 필터라 함)를 사용하여 원수를 정화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맴브레인 필터는 직경이 매우 작은 다수의 기공으로 형성되어서 이물질이나 유해 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제1도에는 종래 사용되는 역삼투압 냉정수기의 일구성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 냉정수기는 수도물이나 자연수와 같은 원수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원수 밸브(1)와, 상기 원수 밸브(1)를 통과한 원수중의 비교적 큰 입자의 찌꺼기를 여과하기 위한 고탁도 필터(2)와, 상기 고탁도 필터(2)를 통과하면서 여과되지 않은 비교적 작은 입자의 찌꺼기를 여과하기 위한 침전 필터(3)와, 공급되는 원수를 소정의 압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압용 펌프(4)와, 원수중의 염소 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전카본 필터(5)와, 상기 전카본 필터(5)를 통과한 원수중에 잔류하는 이온성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맴브레인 필터(6)와, 상기 맴브레인 필터(6)를 통과하는 원수의 식수대 폐수 분리 비율을 조정하며 폐수를 방류하는 폐수 조절기(7)와, 상기 맴브레인 필터(6)를 통과한 식수중에 포함된 염소 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후카본 필터(8)와, 상기 후카본 필터(8)를 통과한 원수중의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살균램프(9)와, 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위센서(11) 및 드레인밸브(14)를 구비한 정수탱크(10)와, 상기 정수탱크(10)와 연결된 냉수탱크(15) 및 상기 수위센서(11)의 감지신호에 따라 동작되어 정수탱크(10) 내의 수위를 제어하는 수위제어밸브(12)를 포함한다.
상기 고탁도 필터(2)는 얇은 철망과 같은 것이 사용되며, 커다란 찌꺼기를 여과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침전 필터(3)는 부직포로 구성되며, 모래나 진흙과 같은 비교적 작은 입자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것이다.
전카본 필터(5)와 후카본 필터(8)는 탄소를 주원료로 하는 활성탄과 같은 것으로서, 원수중에 포함된 염소 성분 입자나 냄새를 제거한다.
상기 펌프(4)는 원수를 매우 큰 고압으로 원수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맴브레인 필터(6)의 작동 상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서, 평균 60psi 이상의 압력으로 원수를 공급하여야만 맴브레인 필터(6)에서 정수작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맴브레인 필터(6)는 특히 고압에서 작동되며, 온도에 매우 민감하여 5∼40℃의 온도 범위를 이탈하면 필터가 손상된다.
상기의 정수행정에서와 같이 원수중에 포함된 염소성분입자나 냄새를 제거하게 되므로 음용시에 적합하지만 세균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는 소독제 성분이 제거되므로 정수탱크에서 장시간 저장시에 세균의 번식확율이 증가된다.
이것은 특히 자외선살균등과 같은 살균램프(9)에서 살균작용이 수행되어진다.
정수를 사용하게 되면 정수탱크(10) 내의 수위는 낮아지게 되고, 이를 수위센서(11)가 감지하여 살균램프(9)를 온(ON)시킴과 동시에 수위제어밸브(12)를 동작시켜 되면, 원수는 각종 필터들을 통과하면서 정수되어지고 살균램프(9)를 통과하면서 설균되어져 마침내 상기 정수탱크(10)에 보충되어진다.
한편, 냉수를 사용하게 되면 냉수탱크(15) 내의 냉수수위는 낮아지게 되고, 이 때에는 정수탱크(10)내의 정수가 상기 냉수탱크(15)에 유입되어져 냉수의 사용량 만큼을 자동으로 보충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정수탱크(10)내의 정수는 일정한 시간동안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 정체에 따른 부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드레인밸브(14)를 통해 전량 배수시키게 된다.
대체로 3일동안인 72시간내에 정수의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드레인밸브(14)를 통해 전량 배수시킨 후 새로운 정수를 채워 넣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드레인이 정수탱크(10)에서만 실시되어지는 까닭에 냉수탱크(15)에는 항시 냉수가 그대로 채워져 있게 되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안게 된다.
즉, 드레인 동작시에는 항상 정수탱크(10)내의 정수만이 물갈이되어지고, 냉수탱크(15)내의 냉수는 그대로 정체되어지는 까닭에 물때가 끼게 되며 부패되는 등의 비위생적인 냉수의 저장상태가 되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정수탱크 내의 정수드레인 뿐만이 아니라 냉수탱크 내의 냉수드레인까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여 냉수저장탱크 내의 냉수가 부패되는 일이 없이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되어지도록 한 냉정수기의 드레인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냉정수기의 드레인 구조는, 냉수탱크에 드레인관 및 상기 드레인관상에 드레인밸브를 구성하고, 상기 냉수탱크의 드레인관이 정수탱크의 드레인관에 연결되도록 하여 소정시간 사용이 없을시 정수탱크에 연결된 수위센서의 감지에 의해 정수탱크 및 냉수탱크에 설치된 드레인밸브를 동시에 동작시켜 하나의 드레인관을 통해 동시에 배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냉정수기의 수배관도,
도 2는 본 고안의 드레인구조가 적용된 냉정수기의 수배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드레인구조의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원수밸브 2: 고탁도필터
3: 침전필터 4: 가압용펌프
5: 전카본필터 6: 맴브레인필터
7: 폐수조절기 8: 후카본필터
9: 살균램프 10: 정수탱크
11: 수위센서 12: 수위제어밸브
13,16,18: 드레인관 14,17: 드레인밸브
15: 냉수탱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드레인구조가 적용된 냉온정수기의 수배관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드레인구조의 상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냉정수기의 드레인 구조는, 정수탱크(10)에 드레인관(13) 및 드레인밸브(14)가 구성된 정수탱크(10)와, 상기 정수탱크(10)에 연결된 냉수탱크(15)로 이루어진 냉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냉수탱크(15)에 드레인관(16) 및 상기 드레인관(16)상에 드레인밸브(17)를 구성하고, 상기 정수탱크(10)의 드레인관(13)과 냉수탱크(15)의 드레인관(16)이 하나의 드레인관(18)에 연결 공유되게 하였다.
상기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정수를 사용하게 되면 정수탱크(10) 내의 수위는 낮아지게 되고, 이를 수위센서(11)가 감지하여 살균램프(9)를 온(ON)시킴과 동시에 수위제어밸브(12)를 동작시켜 되면, 원수는 각종 필터들을 통과하면서 정수되어지고 살균램프(9)를 통과하면서 설균되어져 마침내 상기 정수탱크(10)에 보충되어진다.
또한 냉수를 사용하게 되면 냉수탱크(15) 내의 냉수수위는 낮아지게 되고, 이 때에는 정수탱크(10)내의 정수가 상기 냉수탱크(15)에 유입되어져 냉수의 사용량 만큼을 자동으로 보충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정수탱크(10)내의 정수는 일정한 시간동안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 정체에 따른 부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드레인밸브(14)를 통해 전량 배수시키게 된다.
대체로 3일동안인 72시간내에 정수의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드레인밸브(14)를 통해 전량 배수시킨 후 새로운 정수를 채워 넣게 되는 것이다.
즉, 수위센서(11)의 감지에 의해 정수탱크(10)내의 수위가 일정시간동안 변화량이 없을 경우에는 드레인밸브(14)를 동작시켜 상기 정수탱크(10)내의 정수를 완전히 배수시켜 물갈이를 하게 된다.
이 때 정수탱크(10)의 드레인밸브(14)동작시 냉수탱크(15)의 드레인밸브(17)가 동시에 동작되어진다.
따라서 정수탱크(10)의 드레인시 냉수탱크(15)의 드레인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며, 이 때 정수탱크(10)의 드레인은 드레인관(13)을 통해, 냉수탱크(15)의 드레인은 드레인관(16)을 통해 배수되어 마침내 하나의 드레인관(18)에 합류 배수된다.
이에 따라 정수탱크(10)와 냉수탱크(15)가 동시에 물갈이되어져 부패되지 않는 청결한 상태의 정수 및 냉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냉정수기의 드레인 구조는, 냉수탱크에 드레인관 및 상기 드레인관상에 드레인밸브를 구성하고, 상기 냉수탱크의 드레인관이 정수탱크의 드레인관에 연결되도록 하여 소정시간 사용이 없을시 정수탱크에 연결된 수위센서의 감지에 의해 정수탱크 및 냉수탱크에 설치된 드레인밸브를 동시에 동작시켜 하나의 드레인관을 통해 동시에 배수되도록 한 드레인구조에 의해, 정수탱크의 정수는 물론 냉수저장탱크 내의 냉수가 부패되는 일이 없이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되어지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2)

  1. 정수탱크(10)에 드레인관(13) 및 드레인밸브(14)가 구성된 정수탱크(10)와, 상기 정수탱크(10)에 연결된 냉수탱크(15)를 구비한 냉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냉수탱크(15)에 드레인관(16) 및 상기 드레인관(16)상에 드레인밸브(17)를 구성하여 정수탱크(10)의 드레인시 냉수탱크(15)의 드레인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정수기의 드레인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탱크(10)의 드레인관(13)과 냉수탱크(15)의 드레인관(16)이 하나의 드레인관(18)에 연결 공유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정수기의 드레인 구조.
KR2019970031225U 1997-11-06 1997-11-06 냉정수기의 드레인 구조 KR1999001803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225U KR19990018037U (ko) 1997-11-06 1997-11-06 냉정수기의 드레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225U KR19990018037U (ko) 1997-11-06 1997-11-06 냉정수기의 드레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037U true KR19990018037U (ko) 1999-06-05

Family

ID=69691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1225U KR19990018037U (ko) 1997-11-06 1997-11-06 냉정수기의 드레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803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5183A (ko) * 2015-11-19 2015-12-02 코웨이 주식회사 고탁도필터의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5183A (ko) * 2015-11-19 2015-12-02 코웨이 주식회사 고탁도필터의 세척이 가능한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288539A (ja) 逆浸透膜浄水器の細菌汚染の防止及び除菌、抗菌システム
KR102462650B1 (ko) 수처리장치, 수처리장치의 세척시스템 및 그 세척방법
KR0126324Y1 (ko) 정수기의 살균용 정수순환장치
KR0135464Y1 (ko) 정수기의 살균통 정수순환장치
KR19990018037U (ko) 냉정수기의 드레인 구조
CN205442920U (zh) 一种净水设备
KR19990070114A (ko) 고투수성한외여과막모듈을이용한중앙정수시스템
KR100356437B1 (ko) 역삼투막 정수기의 제균 및 항균 시스템
KR100484922B1 (ko) 이온 정수 시스템
KR20090013556A (ko) 고탁도 필터
KR100199339B1 (ko) 역삼투 정수기
KR100576256B1 (ko) 이온 정수기의 세균제거장치
JPH08141565A (ja) 浄水装置
KR200199539Y1 (ko) 정수장치
KR100942132B1 (ko) 고탁도 필터
KR0170609B1 (ko) 정수기의 맴브레인필터 보존액 배출방법
KR0167325B1 (ko) 정전발생시의 정수기 배수제어방법
KR960005046Y1 (ko) 정수기
KR19990018032U (ko) 정수기의 살균램프 제어장치
KR100583408B1 (ko) 세균억제장치를 구비한 이온 정수기
KR101412852B1 (ko) 세디먼트 필터
KR960011885B1 (ko) 정수장치
KR200143602Y1 (ko) 정수기의 폐수 재활용 시스템
KR100484923B1 (ko) 데스크형 이온 정수기
KR960008083B1 (ko) 정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