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6662A - 스캐너의 불요데이터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스캐너의 불요데이터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6662A
KR19990016662A KR1019970039299A KR19970039299A KR19990016662A KR 19990016662 A KR19990016662 A KR 19990016662A KR 1019970039299 A KR1019970039299 A KR 1019970039299A KR 19970039299 A KR19970039299 A KR 19970039299A KR 19990016662 A KR19990016662 A KR 19990016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necessary data
black pixels
line
scan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9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2846B1 (ko
Inventor
강은숙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39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2846B1/ko
Priority to CN98116288A priority patent/CN1209012A/zh
Priority to EP98306629A priority patent/EP0898413A3/en
Publication of KR19990016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2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28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blanking or otherwise eliminating unwanted parts of pic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Image Input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한 페이지내의 각 라인별로 블랙픽셀이 검출되는 라인을 카운팅하여, 카운팅된 라인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라인 이상이면, 블랙픽셀을 불요데이터로 판정하여, 블랙픽셀수를 계산한 후, 계산된 크기만큼 블랙픽셀을 화이트픽셀로 대체한다. 이때, 각 라인의 시작부분과 끝부분에 대하여 블랙픽셀을 검출한다.
따라서, 스캐닝영역 이하의 크기를 갖는 원고를 스캐닝하였을 때 발생하는 불요데이터를 화이트데이터로 대체함으로써, 스캐닝영역 이하의 크기를 갖는 원고를 스캐닝함에도 불구하고, 스캐닝영역과 동일한 크기의 원고를 스캐닝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킴으로써, 인쇄품질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스캐너의 불요데이터 제거방법
본 발명은 스캐너(Scanner)의 불요(Garbage)데이터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캐너, 스캐너를 포함한 팩시밀리와 복합기 등에 있어서, 스캐닝영역 이하의 크기를 갖는 원고를 스캐닝할 때 발생하는 불요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스캐너의 불요데이터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캐너는 원고에 기록된 데이터를 이미지데이터(예컨대, '비트 맵(Bit Map)형태의 이미지데이터' 등)로 변환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스캐너에는 원고에 기록된 데이터를 라인단위로 스캐닝하는 라인스캐닝(Line Scanning)방식과, 픽셀단위의 독취부가 원고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원고에 기록된 데이터를 스캐닝하는 셔틀스캐닝(Shuttle Scanning)방식으로 구분된다.
통상적인 팩시밀리 또는 복합기에 적용되는 스캐너는 그 규격이 A4용지의 규격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A4용지의 규격 이하의 원고를 스캐닝하게 되면, 도 1에서와 같이 스캐닝된 이미지데이터의 좌우측 혹은 일 측에는 불요데이터가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그 규격이 규정되지 않은 스캐너에서 원고의 크기를 설정하지 않고 스캐닝한 경우에도 동일한 결과가 발생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스캐너에 의하면, 스캐닝영역(예컨대, 'A4규격용지') 이하의 원고를 스캐닝한 경우 발생하는 불요데이터는 최종인쇄과정에서 블랙데이터(Black Data)로 처리되기 때문에, 기록지의 좌우측 혹은 일 측에는 검은 색상의 흑선이 세로방향으로 길게 인쇄된다. 따라서, 인쇄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스캐닝영역 이하의 크기를 갖는 원고를 스캐닝하였을 때 발생하는 불요데이터를 화이트데이터로 대체함으로써, 스캐닝영역 이하의 크기를 갖는 원고를 스캐닝함에도 불구하고, 스캐닝영역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원고를 스캐닝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한 스캐너의 불요데이터 제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스캐닝영역 이하의 크기를 갖는 원고를 스캐닝하는 경우에도 스캐닝영역과 동일한 크기의 원고를 스캐닝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킴에 따라, 인쇄품질을 향상시킨 스캐너의 불요데이터 제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스캐닝영역 이하의 크기를 갖는 원고를 스캐닝한 경우 불요데이터가 발생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래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팩시밀리의 개략적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불요데이터 제거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각 제어변수들에 대한 메모리 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스캐닝영역 이하의 크기를 갖는 원고를 스캐닝한 경우 불요데이터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중앙처리장치 2: 메모리
3: 조작패널 4: 스캐너
5: 모뎀 6: NCU(Network Control Unit)
7: 프린터 8: 센서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스캐닝영역 이하의 크기를 갖는 원고를 스캐닝할 때 발생되는 불요데이터를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캐닝된 라인단위의 데이터 중 임의의 부분에 대하여 블랙픽셀이 검출되는 라인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단계; 상기 카운팅된 라인수가 미리 설정된 설정치 이상이면 상기 블랙픽셀을 불요데이터로 판정하는 제1 판정단계; 및 상기 불요데이터의 크기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크기만큼 상기 불요데이터를 화이트픽셀로 대체하는 대체단계를 포함하는 스캐너의 불요데이터 제거방법에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임의의 부분은, 상기 각 라인단위 중 시작부분과 끝부분으로 설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운팅단계는, 한 라인단위의 RunLength 버퍼를 생성하는 생성단계; 상기 스캐닝된 데이터에 대한 동일색상의 연속된 개수를 나타내는 변곡점을 상기 RunLength에 저장하는 저장단계; 및 상기 블랙픽셀이 연속적으로 검출되는 라인계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치는, 상기 스캐닝된 한 페이지분량의 데이터 중 유효데이터를 판별하기 위한 최대 유효 라인수로 설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불요데이터의 크기는, 현재 라인의 블랙픽셀수와 현재까지 갱신 저장된 블랙픽셀수 중 작은 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현재 라인의 블랙픽셀수와 상기 현재까지 갱신 저장된 블랙픽셀수 중 작은 값으로 설정한 후, 상기 설정된 블랙픽셀수를 다시 갱신하여 저장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불요데이터의 크기는, 현재 라인의 블랙픽셀수와 현재까지 갱신 저장된 블랙픽셀수의 평균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현재 라인의 블랙픽셀수와 상기 현재까지 갱신 저장된 블랙픽셀수의 평균값으로 설정한 후, 상기 설정된 블랙픽셀수를 다시 갱신하여 저장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카운팅된 라인수가 상기 설정치 이하이면, 해당 페이지에 불요데이터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제2 판정단계; 및 다른 모든 데이터를 정상적인 유효데이터로 처리하는 처리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스캐너의 불요데이터 제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적용된 팩시밀리(Facsimile)의 개략적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팩시밀리는 본 발명의 스캐너를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의 구성이며, 팩시밀리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스캐너를 포함하는 임의의 장치를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팩시밀리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팩시밀리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1)와, 프로그램데이터와 프로토콜데이터와 문자데이터와 전송 및 수신에 관련된 작업내용 등이 저장되며 중앙처리장치(1)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를 억세스(Access)하거나 저장하는 메모리(2)와, 팩시밀리의 키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키를 포함하며 키데이터 발생시 이를 중앙처리장치(1)에 입력시키고 중앙처리장치(1)의 표기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도록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조작패널(OPE: Operation Panel)(3)과, 원고의 데이터를 스캐닝하여 디지털형태의 이미지데이터로 변환한 후 중앙처리장치(1)에 제공하는 스캐너(4)와, 중앙처리장치(1)의 제어를 받아 중앙처리장치(1)의 출력데이터를 아날로그형태로 변조 출력하고 아날로그형태의 입력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모뎀(5)과, 중앙처리장치(1)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일반전화망(PSTN: 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Ring과 Tip으로 구성됨)의 통화 루프(Loop)를 형성하고 모뎀(5)과 일반전화망의 신호를 인터페이싱(Interfacing)하는 NCU(Network Control Unit)(6)와, 중앙처리장치(1)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수신데이터를 프린팅하는 프린터(7)와, 기록지의 잔량을 감지하거나 원고(Document)를 감지하여 이를 중앙처리장치(1)에 제공하는 센서부(8)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각 구성부들은 일반적인 팩시밀리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필수구성요소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는 제거하고자 하는 불요데이터의 위치를 검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LeftOffset(좌측 불요데이터의 크기)과 RightOffset(우측 불요데이터의 크기)은 한 페이지단위로 결정되므로, 먼저 불요데이터의 위치를 검출하고자 하는 현재라인이 페이지의 끝부분인가를 판단한다(S1). 여기서, 현재라인이 한 페이지의 끝부분이 아니라면, 스캐닝된 이미지데이터(비트 맵 데이터, 2진화 데이터)의 가장 첫 라인(예컨대, A4용지에 해상도가 200dpi인 경우 1728 픽셀(Pixels)임)의 RunLength 버퍼(한 라인단위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버퍼)를 생성한다(S2). 이때, RunLength 버퍼에는 각 Run(동일 색상의 연속된 개수)에 대한 변곡점(Change Element Position)이 저장된다. 그리고, RunLength 버퍼는 입력데이터의 한 라인단위로 생성된다. 즉, RunLength 버퍼에는 화이트(White)→블랙(Black)→화이트→블랙→…의 순서로 각 Run에 대한 변곡점이 저장된다.
이후, 시작 픽셀의 색상이 블랙인가를 검사한다(S3). 여기서, StartWhite가 2 이상의 값이면 현재 라인은 White Run으로 시작되는 라인이며, StartWhite가 1이면 현재 라인은 Black Run으로 시작되는 라인이 된다. 현재 라인의 시작 픽셀의 색상이 블랙이라고 판단되면, LConsecWhiteLineCnt(좌측 WhiteLine의 연속계수)를 0으로 리셋(Reset)시키고, 블랙라인(Black Line)이 연속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하여 LConsecBlackLineCnt(좌측 BlackLine의 연속계수)를 1 증가시킨 후(S4), 해당 라인에 대한 LeftOffset값을 계산한다(S5).
여기서, LeftOffset을 구하는 방법은 아래의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 번째, 실제 불요데이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LeftOffset과 StartBlack을 비교하여 둘 중 작은 값으로 LeftOffset을 업데이터(Update)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경우, 한 페이지에 대해 LeftOffset은 가장 짧은 불요데이터의 위치값을 가지게 된다.
두 번째, LeftOffset과 StartBlack을 비교하여 최대치와 최소치의 값을 구하고, 그 중간값을 LeftOffset으로 설정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경우, 원고의 삐뚤어짐(Skew)이 발생하였을 때 첫 번째의 경우보다 보상범위가 넓어진다.
위의 단계 5(S5)에서 LeftOffset를 구한 후, 스캐닝된 데이터의 오른쪽에 불요데이터가 발생하였는지 체크한다(S6). 즉, EndBlack에 0이 아닌 값이 존재하면 이는 마지막 픽셀이 블랙인 것을 의미하므로, RConsecWhiteLineCnt(우측 WhiteLine의 연속계수)를 0으로 리셋시키고, 블랙라인이 연속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하여 RConsecBlackLineCnt(우측 BlackLine의 연속계수)를 1 증가시킨 후(S7), RightOffset을 계산한다(S8). 이때, RightOffset을 구하는 방법은 위의 LeftOffset을 구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아래의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 번째, 실제 불요데이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RightOffset과 EndBlack을 비교하여 둘 중 작은 값으로 RightOffset을 업데이터(Update)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경우, 한 페이지에 대해 RightOffset은 가장 짧은 불요데이터의 위치값을 가지게 된다.
두 번째, RightOffset과 EndBlack을 비교하여 최대치와 최소치의 값을 구하고, 그 중간값을 RightOffset으로 설정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경우, 원고의 삐뚤어짐(Skew)이 발생하였을 때 첫 번째의 경우보다 보상범위가 넓어진다.
위의 단계 8(S8)을 수행한 후, 다음 라인으로 이동하고(S9), 단계 1(S1)에서 단계 9(S9)까지를 한 페이지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 수행한다.
한편, 위의 단계 3(S3)에서 StartWhite가 2 이상인 값을 갖는 경우, 현재 라인이 화이트로 시작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LConsecBlackLineCnt를 0으로 리셋시키고(S10), LConsecWhiteLineCnt가 미리 설정된 설정치(유효데이터를 판별하기 위한 최대 유효라인 수)보다 크면 유효데이터로 판정한 후(S11), LConsecWhiteLineCnt와 LConsecBlackLineCnt 및 LeftOffset을 0으로 리셋시킨다(S12). 이것은 원고의 왼쪽에는 불요데이터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좌측 불요데이터를 제거하기 위해 수행하던 모든 작업을 종료하고(S13), 한 페이지 중 나머지 데이터들은 정상적으로 처리한다.
또한, 위의 단계 11(S11)에서 LConsecWhiteLineCnt가 설정치보다 작은 값이면 위의 단계 6(S6)으로 진행하여 단계 6(S6) 이후의 모든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한편, 위의 단계 6(S6)에서 현재라인의 마지막 픽셀이 화이트라 판단되면, RConsecBlackLineCnt를 0으로 리셋시키고, RConsecWhiteLineCnt를 1 증가시킴으로써, 연속적인 White Line을 체크한다(S14). 이후, RConsecWhiteLineCnt가 미리 설정된 설정치보다 큰 값이면(S15), 원고의 우측에는 불요데이터가 발생하지 않은 것을 의미하므로, 이를 유효데이터로 판정하여 RConsecWhiteLineCnt와 RConsecBlackLineCnt 및 RightOffset을 0으로 리셋시킨 후(S16), 우측 불요데이터를 제거하기 위하여 수행하던 모든 작업을 종료하고(S17), 한 페이지 중 나머지 데이터들은 정상적으로 처리한다.
여기서, 위의 단계 15(S15)에서 RConsecWhiteLineCnt가 설정치보다 작은 값이면 위의 단계 9(S9)로 진행하여 단계 9(S9) 이후의 모든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따라서, 한 페이지에 대하여 최적의 LeftOffset과 RightOffset을 구할 수 있다.
이렇게 구해진 LeftOffset과 RightOffset 크기의 데이터만큼을 불요데이터로 판정한 후, 불요데이터로 판정된 부분을 블랙 대신에 화이트로 대체함으로써, 불요데이터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불요데이터를 제거하기 위하여 필요한 제어변수들에 대한 메모리 맵(Memory Map)을 나타낸다. 각각의 변수들은 2바이트(Bytes)로 구성되며, StartWhite는 현재 라인의 StartWhite 색상의 RunLength를 저장하고 있는 변수이고, StartBlack은 현재 라인의 StartBlack 색상의 RunLength를 저장하고 있는 변수이다. 이 두 변수는 원고의 좌측에 불요데이터가 발생하였는가를 체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EndWhite는 현재 라인이 화이트 색상으로 끝난 경우 마지막 White 색상의 RunLength를 기억하는 변수이고, EndBlack은 현재 라인이 블랙 색상으로 끝난 경우 마지막 Black 색상의 RunLength를 기억하는 변수이다. 이 두 변수는 원고의 우측에 불요데이터가 발생하였는가를 체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불요데이터가 제거된 이미지데이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스캐너의 불요데이터 제거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1) 스캐닝영역 이하의 크기를 갖는 원고를 스캐닝하였을 때 발생하는 불요데이터를 화이트데이터로 대체함으로써, 스캐닝영역 이하의 크기를 갖는 원고를 스캐닝함에도 불구하고, 스캐닝영역과 동일한 크기의 원고를 스캐닝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킨다.
(2) 스캐닝영역 이하의 크기를 갖는 원고를 스캐닝하는 경우에도 스캐닝영역과 동일한 크기의 원고를 스캐닝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킴에 따라, 인쇄품질이 향상된다.

Claims (9)

  1. 스캐닝영역 이하의 크기를 갖는 원고를 스캐닝할 때 발생되는 불요데이터를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캐닝된 라인단위의 데이터 중 임의의 부분에 대하여 블랙픽셀이 검출되는 라인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단계;
    상기 카운팅된 라인수가 미리 설정된 설정치 이상이면 상기 블랙픽셀을 불요데이터로 판정하는 제1 판정단계; 및
    상기 불요데이터의 크기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크기만큼 상기 불요데이터를 화이트픽셀로 대체하는 대체단계를 포함하는 스캐너의 불요데이터 제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부분은,
    상기 각 라인단위 중 시작부분과 끝부분으로 설정하는 스캐너의 불요데이터 제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단계는,
    한 라인단위의 RunLength 버퍼를 생성하는 생성단계;
    상기 스캐닝된 데이터에 대한 동일색상의 연속된 개수를 나타내는 변곡점을 상기 RunLength에 저장하는 저장단계; 및
    상기 블랙픽셀이 연속적으로 검출되는 라인계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단계를 포함하는 스캐너의 불요데이터 제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치는,
    상기 스캐닝된 한 페이지분량의 데이터 중 유효데이터를 판별하기 위한 최대 유효 라인수로 설정하는 스캐너의 불요데이터 제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요데이터의 크기는,
    현재 라인의 블랙픽셀수와 현재까지 갱신 저장된 블랙픽셀수 중 작은 값으로 설정하는 스캐너의 불요데이터 제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라인의 블랙픽셀수와 상기 현재까지 갱신 저장된 블랙픽셀수 중 작은 값으로 설정한 후, 상기 설정된 블랙픽셀수를 다시 갱신하여 저장하는 스캐너의 불요데이터 제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불요데이터의 크기는,
    현재 라인의 블랙픽셀수와 현재까지 갱신 저장된 블랙픽셀수의 평균값으로 설정하는 스캐너의 불요데이터 제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라인의 블랙픽셀수와 상기 현재까지 갱신 저장된 블랙픽셀수의 평균값으로 설정한 후, 상기 설정된 블랙픽셀수를 다시 갱신하여 저장하는 스캐너의 불요데이터 제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된 라인수가 상기 설정치 이하이면, 해당 페이지에 불요데이터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는 제2 판정단계; 및
    다른 모든 데이터를 정상적인 유효데이터로 처리하는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캐너의 불요데이터 제거방법.
KR1019970039299A 1997-08-19 1997-08-19 스캐너의 불요데이터 제거방법 KR100232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299A KR100232846B1 (ko) 1997-08-19 1997-08-19 스캐너의 불요데이터 제거방법
CN98116288A CN1209012A (zh) 1997-08-19 1998-08-10 清除扫描仪垃圾数据的方法
EP98306629A EP0898413A3 (en) 1997-08-19 1998-08-19 Method of eliminating garbage data of a scan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299A KR100232846B1 (ko) 1997-08-19 1997-08-19 스캐너의 불요데이터 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662A true KR19990016662A (ko) 1999-03-15
KR100232846B1 KR100232846B1 (ko) 1999-12-01

Family

ID=19517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9299A KR100232846B1 (ko) 1997-08-19 1997-08-19 스캐너의 불요데이터 제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898413A3 (ko)
KR (1) KR100232846B1 (ko)
CN (1) CN120901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87813B2 (ja) * 2009-09-02 2014-05-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055284A (ja) * 2009-09-02 2011-03-17 Seiko Epson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149019B (zh) * 2013-02-05 2015-03-25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一种吸嘴试验平台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1883B2 (ja) * 1988-01-20 1997-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通信装置
JP3312787B2 (ja) * 1993-07-22 2002-08-1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システム
JPH08274968A (ja) * 1995-03-31 1996-10-18 Canon Inc ファクシミリ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9012A (zh) 1999-02-24
KR100232846B1 (ko) 1999-12-01
EP0898413A2 (en) 1999-02-24
EP0898413A3 (en) 1999-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27332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difying enlarged ratio or reduced ratio of image
US7933049B2 (en) Multifunction printer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5422734A (en) Method for arithmetically encoding half-tone image in image processing system
KR100232846B1 (ko) 스캐너의 불요데이터 제거방법
US6181833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the image data is reduced before the image data is stored in a memory or a buffer
KR100246458B1 (ko) 복합기의 스탬프 인쇄방법
EP1077572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selectively applying a smoothing operation to image data
US20040212852A1 (en) Method of scanning a document using a pre-scanning operation
JP2008236540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0018867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executing the image processing method
KR100224583B1 (ko) 고속 스캐닝을 위한 스캐닝 영역 설정 방법
US5986772A (en) Techniqu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resolution
KR100245021B1 (ko) 현재 처리중인 라인영상의 임계치 값 결정방법
JP3434395B2 (ja) 画像処理装置
KR100214331B1 (ko) 영상 축소 방법
JPH08321949A (ja) 中間調画像の2値化処理方法
EP0496619B1 (en) Image processing machine
KR100193840B1 (ko) 영상 임의 배율 변환방법
KR930006834B1 (ko) 팩시밀리에서의 전송원고 화상 데이타 처리방법
JPH11266364A (ja) 画像処理装置
JP2008117248A (ja) 画像処理装置
JP2001016440A (ja) 記録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H0965143A (ja) 地図原稿種判定付画像処理装置
JP2003304393A (ja) 通信端末装置
JP2006173992A (ja) 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