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6609A - 비트량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프랙탈 동영상 부호화장치 - Google Patents

비트량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프랙탈 동영상 부호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6609A
KR19990016609A KR1019970039203A KR19970039203A KR19990016609A KR 19990016609 A KR19990016609 A KR 19990016609A KR 1019970039203 A KR1019970039203 A KR 1019970039203A KR 19970039203 A KR19970039203 A KR 19970039203A KR 19990016609 A KR19990016609 A KR 19990016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amount
block
frame
generated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9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3194B1 (ko
Inventor
전병우
김창수
이상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39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3194B1/ko
Publication of KR19990016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3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31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 G06T9/001Model-based coding, e.g. wire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비트량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프랙탈 동영상 부호화장치는 매우 낮은 전송율을 가지는 프랙탈 동영상 부호화에 의해 발생하는 비트량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 프레임의 부호화되어 발생하는 비트량과 할당된 비트량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입력 영상을 쿼드트리구조의 가변크기블록으로 분할시 그 분할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쿼드트리 분할의 문턱값을 조절하여 한 프레임을 구성하는 레인지블록의 갯수를 제어하므로써 발생하는 비트량을 제어한다. 또한, 쿼드트리의 최대크기블록단위로 부호화되어 발생하는 비트량과 할당된 비트량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레인지블록의 DC값표현계수에 대한 양자화스텝사이즈를 조절하여 발생하는 비트량을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생되는 비트량을 제어하므로써 전송채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트량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프랙탈 동영상 부호화장치
본 발명은 프랙탈 동영상 부호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순환예측변환과 비축소프레임간변환을 기반으로 부호화되어 발생하는 비트량을 제어할 수 있는 비트량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프랙탈 동영상 부호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디지탈 비디오/오디오서비스를 위한 연구/개발이 활발하며 이중 특별히 기존TV와 같은 일방향의 정보 전달뿐만 아니라, 통신채널을 통한 쌍방향의 다양한 디지탈 비디오/오디오서비스를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제한된 통신채널을 통한 디지탈 비디오/오디오서비스는 고압축율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MPEG(Moving Pictures Experts Group)-4와 같이 영상전화 또는 화상회의시스템등에서의 응용을 목적으로 동영상을 매우 낮은 비트율로 부호화하는 동영상압축기술에 대한 국제 표준화 작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MPEG-4는 64kbps 이하의 저속 전송채널을 사용하여 동영상을 매우 낮은 비트율로 전송하기 때문에 동영상의 고압축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데, 그중에서 프랙탈(Fractal)기법을 이용한 영상부호화에 대한 연구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프랙탈 동영상 부호화기법으로는 3차원 도메인(domain) 블록과 레인지(range) 블록을 이용한 기법과 순환 움직임 보상을 이용한 동영상 부호화기법이 있다. 3차원블록을 이용한 부호화기법은 2차원 프랙탈 부호화기법을 단순히 확장한 것으로, 이는 동영상에서 연속되는 N개의 프레임(frame)을 모아서 3차원 프레임을 구성한 후 3차원 프레임을 3차원블록들로 분할하여 각 3차원블록들에 대해 일반적인 프랙탈 부호화방식을 적용하여 동영상을 부호화하는 것이다. 순환 움직임보상을 이용한 동영상부호화기법에서는 n개의 프레임이 하나의 부호화그룹을 이루어 부호화되고, 각 레인지블록은 순환적 전 프레임 내부에 있는 같은 크기의 도메인블록으로 근사된다. 복호기측에서는 n개의 프레임에 순환예측변환(circular prediction mapping; CPM)을 반복 적용함으로써 영상을 복원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동일출원인에 의해 특허출원된 제 95-67859호의 프렉탈 동영상 부호화장치 및 방법에 개재되어 있다.
그런데, 3차원 블록을 이용한 기법은 3차원블록에 대해 프랙탈 부호화가 적용되므로 그 구현이 매우 복잡해지며, 복호화시 재생되는 영상에 3차원 블록화현상에 따른 심각한 화질열화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순환움직임보상만을 이용한 프랙탈 부호화기법은 축소변환의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동영상에 내재하는 시간영역의 상관관계를 완전히 활용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순환움직임보상을 이용한 프랙탈 동영상부호화기법을 확장하여 순환예측변환과 비축소프레임간변환을 결합한 보다 효율적인 동영상부호화기법을 동일출원인에 의해 특허출원된 제 96-34536호의 순환예측변환과 비축소프레임간변환을 결합한 프렉탈 동영상 부호화방법 및 장치에 제시하였다. 이는 일정한 주기로 처음 또는 뒤의 일정개 프레임만을 순환예측변환으로 부호화하고, 그 이외의 프레임들은 비축소프레임간변환으로 부호화한다. 이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은 순환예측변환과 비축소프레임간변환을 결합한 부호화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를 보면, 부호화하고자 하는 프레임이 첫번째 프레임이었고, 프레임 부호화에 이용되는 프레임을 n번째 프레임이었으면 첫번째 프레임은 n번째 프레임을 사용하여 움직임 보상이 된 것이다. 그 후에 두번째 프레임은 첫번째 프레임에서 움직임 보상을 하는 대신에 움직임 보상이 된 첫번째 프레임에서 도메인블록을 찾아 움직임 보상을 한다. 마찬가지로, 세번째 프레임도 움직임 보상된 두번째 프레임을 사용하여 움직임 보상을 하고, 이와 같은 과정을 n(=4)번째 프레임까지 반복한다. 네번째 프레임(F3)까지 순환예측변환에 따른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고, 다섯번째 프레임부터(F4→F5→…)는 앞의 움직임 보상된 프레임(F3→F4→…)을 사용하여 움직임 보상을 한다. 여기서, 영상의 시작이나 장면 전환 후에는 처음 네 프레임을 순환예측변환으로 부호화하고 그 이후의 프레임은 비축소프레임간변환으로 부호화한다. 이러한 프랙탈 동영상 부호화기법은 흑백영상에 효율적으로 사용되어 진다.
하지만, 위와 같은 종래의 순환예측변환과 비축소프레임간변환을 결합한 프랙탈 동영상 부호화기법은 실제 영상통신을 위한 버퍼제어전략이 없어서 부호화되어 발생하는 비트량을 예측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데이타 손실 및 한정된 대역을 가지는 전송채널을 충분히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순환예측변환과 비축소프레임간변환을 결합한 프랙탈 동영상 부호화에서 발생하는 비트량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비트량 제어방법을 적용한 프랙탈 동영상 부호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순환예측변환과 비축소프레임간변환을 결합한 부호화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프랙탈 동영상 부호화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동영상저장부 12 : 프레임추출부
13 : 블록분할 및 움직임보상부 14 : 변환선택부
15 : 부호화기 16 : 버퍼
17 : 비트량제어부 171 : 비트량판단기
172 : 문턱값조절기 173 : 양자화스텝사이즈선택기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트량 제어방법은, 프랙탈 동영상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1) 순환예측변환과 비축소프레임간변환에 근거하여 입력되는 동영상에서 부호화하고자 하는 제 1프레임과 그 프레임 부호화에 이용되는 제 2프레임을 추출하는 단계와, (2) 추출된 제 1프레임을 움직임 보상의 대상이 되는 소정 크기의 레인지블록들로 분할하고, 각 레인지블록이 제 2프레임에서 움직임 보상을 위하여 추출한 도메인블록에 대해 움직임 보상된 에러가 문턱값보다 작을 때까지 움직임 보상 및 레인지블록을 쿼드트리구조의 가변크기블록으로 재분할하는 단계와, (3) 움직임 보상 및 레인지블록 재분할이 완료되면 완료시의 블록분할정보, 도메인블록의 위치표현움직임벡터, 레인지블록의 DC값표현계수, 도메인블록과 레인지블록간의 변환대조표현계수를 양자화스텝사이즈에 따라 양자화하여 부호화하는 단계, 및 (4) 부호화되어 발생하는 비트량과 할당된 비트량을 비교하며,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문턱값과 양자화스텝사이즈중에 하나를 조절하여 비트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프랙탈 동영상 부호화장치는, 순환예측변환과 비축소프레임간변환에 근거하여 입력되는 동영상에서 부호화하고자 하는 제 1프레임과 그 프레임 부호화에 이용되는 제 2프레임을 추출하는 프레임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제 1프레임을 움직임 보상의 대상이 되는 소정크기의 레인지블록들로 분할하고, 각 레인지블록이 제 2프레임에서 움직임 보상을 위하여 추출한 도메인블록에 대해 움직임 보상된 에러가 문턱값보다 작을 때까지 움직임 보상 및 레인지블록을 재분할하고, 움직임 보상 및 레인지블록의 재분할이 완료되면 완료시의 블록분할정보, 도메인블록의 위치표현움직임벡터, 레인지블록의 DC값표현계수, 도메인블록과 레인지블록간의 변환대조표현계수를 출력하는 블록분할 및 움직임보상부와, 상기 블록분할정보, 도메인블록위치값, 레인지블록의 밝기평균, 대조조절계수를 양자화스텝사이즈에 따라 양자화하여 부호화하는 부호화기와, 상기 부호화되어 발생되는 비트량을 입력받아 일정한 전송율로 전송하는 버퍼, 및 상기 버퍼의 충만도에 따라 상기 문턱값과 양자화스텝사이즈중에 하나를 조절하여 발생할 비트량을 제어하는 비트량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프랙탈 동영상 부호화장치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도 2에 보여지는 장치는 동영상을 인가받아 그룹단위로 분할하여 저장하는 동영상저장부(11), 부호화하고자 하는 동영상중에서 인접한 두개의 프레임을 동영상저장부(11)로부터 읽어내는 프레임추출부(12), 읽어낸 프레임을 쿼드트리구조의 가변크기블록으로 분할하여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고, 움직임 보상된 에러가 기설정된 문턱값보다 작을 때까지 블록 재분할 및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블록분할 및 움직임보상부(13) 및 순환예측변환과 비축소프레임간변환을 선택하는 변환선택부(14)를 구비한 순환예측변환과 비축소프레임간변환을 결합한 일반적인 프랙탈 동영상 부호화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블록분할 및 움직임보상부(13)에서 출력하는 블록분할정보, 도메인블록의 위치표현움직임벡터, 레인지블록의 DC값표현계수 그리고 도메인블록과 레인지블록간의 변환대조표현계수를 부호화하는 부호화기(15), 부호화기(15)에서 출력하는 부호화된 비트스트림형태의 데이타를 입력받아 일정한 전송율로 전송하는 버퍼(16) 및 버퍼(16)의 충만도에 근거하여 부호화기(15)에 의해 발생되는 비트량을 제어하는 비트량제어부(17)를 포함한다. 비트량제어부(17)는 버퍼(16)의 충만도에 근거하여 전 프레임에 사용된 비트량 및 각 마크로블록에 사용된 비트량을 판단하는 비트량판단기(171), 비트량 판단에 근거하여 쿼드트리 분할의 문턱값을 조절하는 문턱값조절기(172) 및 레인지블록의 DC값표현계수에 대한 양자화스텝사이즈를 선택하는 양자화스텝사이즈선택기(173)로 이루어진다.
도 2에서, 동영상이 인가되면, 동영상저장부(11)는 동영상을 인가받아 그룹단위로 분할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그룹단위의 동영상이란 부호화하고자 하는 N개의 동영상 프레임들을 의미한다. 프레임추출부(12)는 부호화하고자 하는 동영상중에서 인접한 두 개의 프레임을 동영상저장부(11)에서 읽어낸다. 즉, N개 프레임주기로 처음 n개 프레임까지는 현재 프레임에 대해 순환적으로 앞에 있는 프레임을 읽어내고, 그 외의 프레임에 대해서는 앞에 있는 프레임을 차례로 읽어낸다. 프레임추출부(12)는 읽어낸 두 개의 프레임을 블록분할 및 움직임보상부(13)로 출력한다.
블록분할 및 움직임보상부(13)는 입력되는 두 개의 프레임중 부호화하고자 하는 프레임을 부호화하기 위하여 프레임 부호화에 이용되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을 한다. 움직임 보상을 하기 위하여 쿼드트리구조의 가변크기블록을 이용한다. 즉, 프레임을 32×32 크기의 마크로블록들로 분할하여 32×32 크기의 마크로블록에 대해서 움직임 보상을 하고, 그 움직임 보상된 에러가 미리 정한 문턱값을 넘으면 4개의 작은 16×16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어 움직임 보상을 한다. 마찬가지로 16×16 크기의 블록에 대해서 움직임 보상된 에러가 문턱값을 넘으면 4개의 8×8 크기의 블록으로 재분할한다. 8×8 크기의 블록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여 움직임 보상된 에러가 문턱값보다 작을 때까지 블록을 계속 분할한다. 여기서, 움직임 보상의 대상이 되는 블록은 레인지블록(range block; R)이다. 이렇게 하여 생성된 가변크기의 블록분할정보는 부호화기(15)를 통해 부호화되어 복호화측으로 전달된다. 부호화하고자 하는 프레임의 각 레인지블록(R)은 앞에 있는 프레임에서 추출된 도메인블록(domain block; D)의 정보를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된다. 이때, 변환선택부(14)에 의해 순환예측변환방식이 선택되면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n개(여기서는, n=4)의 프레임이 순환적으로 앞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되고, 그 이외의 프레임들에 대해서 변환선택부(14)에서 비축소프레임간변환방식을 선택하면 앞의 프레임만을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을 한다.
이렇게 움직임 보상된 프레임을 원 영상 대신에 다음 프레임의 움직임 보상에 사용하면, 부호화측에서 복원된 영상과 원 영상의 오차가 작게 된다. 따라서, 부호화측에서는 움직임 보상에 사용된 도메인블록의 위치(움직임벡터)와 블록분할정보 즉, 쿼드트리(quadtree)정보 그리고 각 레인지블록의 DC값, 즉 0계수만을 복호화측에 보내면, 복호화측에서는 이와 같은 움직임 보상을 임의의 n-프레임에 반복하면 근사된 원 영상을 얻게 된다.
한편, 부호화하고자 하는 프레임의 각 레인지블록의 움직임 보상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a(i)는 레인지블록을 부호화하기 위한 최적의 도메인블록의 위치를 나타내는 움직임벡터이며, si및 oi는 각각 상수이다. 그리고, C는 모든 화소값이 1인 상수블록이고,는 직교변환으로써 Da(i)로부터 DC성분을 제거함으로써(Da(i))와 C가 서로 직교하도록 만든다.
직교화 후에, si및 oi계수의 최적값은 Ri를 각각 span{(Da(i))}과 span{C}에 사영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위의 수학식 1로부터 si계수는 도메인-레인지 변환의 대조(contrast)를 결정하고, oi계수는 레인지 블록 Ri의 DC값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부호화기(15)는 s, o계수 그리고 도메인블록의 위치를 부호화하여 복호화측으로 전송하고, 복호화측에서는 이를 전송받아 영상을 복원한다. 버퍼(16)는 부호화기(15)에 의해 부호화되는 비트스트림형태의 데이타를 수신받아 일정한 전송율로 전송한다. 비트량제어부(17)는 버퍼(16)의 충만도를 입력받아 쿼드트리분할의 문턱값과 양자화스텝사이즈중에 하나로 발생될 비트량을 제어한다. 문턱값을 이용한 비트량제어에 대해서 먼저 설명한다.
문턱값을 조절함으로써 한 프레임을 구성하는 레인지블록의 갯수를 제어할 수 있어 비트량 제어가 가능하다. 쿼드트리 분할의 문턱값 조절은 프레임단위로 한다. 왜냐하면, 문턱값 조절을 프레임 내부에서도 수행하면 부호화가 잘 안되는 영역에서 작은 블록을 사용하므로써 얻는 가변블록 크기 부호화의 장점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즉, 화소값이 급격히 변화하거나 움직임이 커서 부호화가 잘 안되는 비트량이 많이 발생하는 영역에서 문턱값이 커짐으로써 가변블록 크기 부호화의 의미가 없어진다. 그래서, 비트량제어부(17)의 비트량판단기(171)는 버퍼(16)의 충만도에 근거하여 전 프레임에 사용된 비트량을 판단한다. 즉, 비트량판단기(171)는 델타-변조(Δ-modulation)와 유사하게, 전 프레임에 사용된 비트량과 할당된 비트량을 대소비교한다. 문턱값조절기(172)는 비트량판단기(171)의 판단결과, 전 프레임에 사용된 비트량이 할당된 비트량보다 1.1배 이상크면 문턱값을 평균제곱오차의 의미에서 10 증가시키고, 사용된 비트량이 할당된 비트량보다 0.9배 이하로 적으면 문턱값을 10 감소시킨다. 여기서, 각 수치들은 실험치이다. 블록분할 및 움직임보상부(13)는 문턱값조절기(172)에 의해 블록분할의 기준이 되는 문턱값이 조절된다.
또한, 각 블록을 부호화하는 데 사용되는 양자화스텝사이즈를 조절함으로써 각 블록을 부호화하기 위한 비트량을 제어할 수 있다. 양자화스텝사이즈를 조정하는 경우는, 프레임 내부에서는 레인지블록의 부호화에 사용되는 계수들의 양자화스텝사이즈를 변화시킴으로써 비트량을 제어하는 것이다. 제안하는 부호화기는 모든 계수를 균일 양자화기를 사용하여 양자화하는 데, 그 스텝사이즈를 변환시킴으로써 비트량을 제어할 수 있다. 레인지블록의 부호화에 사용되는 계수는 최적 도메인블록의 위치를 표현하는 움직임벡터, 도메인-레인지변환의 대조(contrast)를 나타내는 s계수, 레인지블록의 DC값을 표현하는 o계수가 있다. 여기서, 도메인블록위치를 표현하는 움직임벡터는 부호화기(15)내에서 양자화되지 않고 바로 가변장부호화(variable-length coding; VLC)되며, s계수는 변화량이 거의 없기 때문에 발생 비트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다. 그래서, o계수에 대한 양자화스텝사이즈만을 조절하여 비트량을 제어한다. 쿼드트리구조에 따라 가장 큰 레인지블록은 32×32인데, 이를 마크로블록이라 한다. 비트량판단기(171)는 버퍼(16)의 충만도에 근거하여 각 마크로블록에 사용된 비트량과 할당된 비트량을 비교한다. 양자화스텝사이즈선택기(173)는 비트량판단기(171)의 비교결과에 따라 o계수에 대한 양자화스텝사이즈를 선택하여 부호화기(15)로 출력한다. 양자화스텝사이즈선택기(173)는 비트량판단기(171)에서 마크로블록단위의 사용된 비트량이 할당된 비트량보다 1.1배 이상크면 양자화스텝사이즈를 한단계 크게 하고, 사용된 비트량이 할당된 비트량보다 0.9배이하로 적으면 양자화스텝사이즈를 한단계 작게 한다. 여기서, 각 수치들은 실험치로서, o계수의 양자화스텝사이즈에는 1, 2, 4, 8의 4가지가 있다. 부호화기(15)는 양자화스텝사이즈선택기(173)에 의해 선택되는 양자화스텝사이즈로 o계수를 양자화하고, 이를 가변장부호화하므로써 발생되는 비트량을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트량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프랙탈 동영상 부호화장치는, 순환예측변환과 비축소프레임간변환을 결합한 프랙탈 동영상 부호화에서 쿼드트리 분할의 문턱값을 조절하거나 레인지블록의 DC값 표현 계수(o)의 양자화스텝사이즈를 조절하여 부호화되어 발생하는 비트량을 제어하므로써 저전송율 동영상 부호화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8)

  1. 프랙탈 동영상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1) 순환예측변환과 비축소프레임간변환에 근거하여 입력되는 동영상에서 부호화하고자 하는 제 1프레임과 그 프레임 부호화에 이용되는 제 2프레임을 추출하는 단계;
    (2) 추출된 제 1프레임을 움직임 보상의 대상이 되는 소정 크기의 레인지블록들로 분할하고, 각 레인지블록이 제 2프레임에서 움직임 보상을 위하여 추출한 도메인블록에 대해 움직임 보상된 에러가 문턱값보다 작을 때까지 움직임 보상 및 레인지블록을 쿼드트리구조의 가변크기블록으로 재분할하는 단계;
    (3) 움직임 보상 및 레인지블록 재분할이 완료되면 완료시의 블록분할정보, 도메인블록의 위치표현움직임벡터, 레인지블록의 DC값표현계수, 도메인블록과 레인지블록간의 변환대조표현계수를 양자화스텝사이즈에 따라 양자화하여 부호화하는 단계; 및
    (4) 부호화되어 발생하는 비트량과 할당된 비트량을 비교하며,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문턱값과 양자화스텝사이즈중에 하나를 조절하여 비트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트량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전 프레임의 부호화되어 발생하는 비트량과 할당된 비트량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발생한 비트량이 할당된 비트량보다 크면 문턱값을 증가시키고, 발생한 비트량이 할당된 비트량보다 적으면 문턱값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량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각 마크로블록의 부호화되어 발생하는 비트량과 할당된 비트량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발생한 비트량이 할당된 비트량보다 크면 양자화스텝사이즈를 한단계 크게 하고, 발생한 비트량이 할당된 비트량보다 적으면 양자화스텝사이즈를 한단계 작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량 제어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로블록은 쿼드트리구조의 가변크기블록중 32×32의 최대크기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량 제어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되는 양자화스텝사이즈는 레인지블록의 DC값표현계수에 대한 양자화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트량 제어방법.
  6. 프랙탈 동영상 부호화장치에 있어서,
    순환예측변환과 비축소프레임간변환에 근거하여 입력되는 동영상에서 부호화하고자 하는 제 1프레임과 그 프레임 부호화에 이용되는 제 2프레임을 추출하는 프레임추출부;
    상기 추출된 제 1프레임을 움직임 보상의 대상이 되는 소정크기의 레인지블록들로 분할하고, 각 레인지블록이 제 2프레임에서 움직임 보상을 위하여 추출한 도메인블록에 대해 움직임 보상된 에러가 문턱값보다 작을 때까지 움직임 보상 및 레인지블록을 재분할하고, 움직임 보상 및 레인지블록의 재분할이 완료되면 완료시의 블록분할정보, 도메인블록의 위치표현움직임벡터, 레인지블록의 DC값표현계수, 도메인블록과 레인지블록간의 변환대조표현계수를 출력하는 블록분할 및 움직임보상부;
    상기 블록분할정보, 도메인블록의 위치표현움직임벡터, 레인지블록의 DC값표현계수, 도메인블록과 레인지블록간의 변환대조표현계수를 양자화스텝사이즈에 따라 양자화하여 부호화하는 부호화기;
    상기 부호화되어 발생되는 비트량을 입력받아 일정한 전송율로 전송하는 버퍼; 및
    상기 버퍼의 충만도에 따라 상기 문턱값과 양자화스텝사이즈중에 하나를 조절하여 발생할 비트량을 제어하는 비트량제어부를 포함하는 프랙탈 동영상 부호화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량제어부는
    버퍼의 충만도를 입력받아 부호화되어 발생하는 비트량을 판단하는 비트량판단기;
    비트량 판단결과, 전 프레임의 부호화되어 발생되는 비트량이 할당된 비트량보다 크면 문턱값을 증가시키고 발생된 비트량이 할당된 비트량보다 적으면 문턱값을 감소시키는 문턱값조절기; 및
    비트량 판단결과, 최대크기의 각 레인지블록의 부호화되어 발생하는 비트량이 할당된 비트량보다 크면 양자화스텝사이즈를 크게 하고 발생된 비트량이 할당된 비트량보다 적으면 양자화스텝사이즈를 작게 하는 양자화스텝사이즈선택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랙탈 동영상 부호화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기는 비트량제어부에 의해 조절되는 양자화스텝사이즈로 레인지블록의 DC값표현계수를 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랙탈 동영상 부호화장치.
KR1019970039203A 1997-08-18 1997-08-18 비트량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프랙탈 동영상 부호화장치 KR100223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203A KR100223194B1 (ko) 1997-08-18 1997-08-18 비트량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프랙탈 동영상 부호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203A KR100223194B1 (ko) 1997-08-18 1997-08-18 비트량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프랙탈 동영상 부호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609A true KR19990016609A (ko) 1999-03-15
KR100223194B1 KR100223194B1 (ko) 1999-10-15

Family

ID=19517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9203A KR100223194B1 (ko) 1997-08-18 1997-08-18 비트량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프랙탈 동영상 부호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319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3194B1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3789B1 (ko) 비디오 부호기의 전송율을 제어하기 위한 비트 할당 방법
US5952943A (en) Encoding image data for decode rate control
KR100596706B1 (ko)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및 디코딩 방법, 이를 위한 장치
KR101263813B1 (ko) 듀얼 패스 인코딩에서 주사 모드의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654431B1 (ko) 가변 gop 사이즈를 갖는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방법및 이를 위한 스케일러블 비디오 인코더
KR20050026484A (ko) 하이브리드 비디오 코덱 비트스트림간 트랜스코딩 방법 및장치
KR100843080B1 (ko) 비디오 트랜스코딩 방법 및 장치
JP3739388B2 (ja) 二重基準画像符号化方法、符号化装置および復号化器
KR100382516B1 (ko) 물체 단위 영상신호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KR20070033313A (ko) 콘벡스 훌 탐색을 이용한 레이트-왜곡 비디오 데이터 분할
EP1720356A1 (en) A frequency selective video compression
KR101086724B1 (ko) 영상의 복잡도를 이용한 h.264/avc 부호화기의 양자화 파라미터 결정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h.264/avc 부호화기
KR100713400B1 (ko) 평균 히스토그램 오차 방식을 이용한 h.263/mpeg비디오 인코더 및 그 제어 방법
KR100801967B1 (ko) 문맥 기반 적응적 가변 길이 부호화 인코더 및 디코더,문맥 기반 적응성 가변 길이 부호화하는 방법과 복호화하는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동영상 전송 시스템.
KR20040079084A (ko) 시간적 복잡도를 고려한 적응적 동영상 부호화와 그 장치
WO2011148887A1 (ja) 動画像配信システム、動画像送信装置、動画像配信方法および動画像配信プログラム
KR20040007818A (ko) 동영상 부호화를 위한 dct연산량 조절 방법 및 그 장치
JP3948266B2 (ja) 動画像符号化装置、符号化方法、復号化装置、復号化方法及び動画像符号列伝送方法
KR100260702B1 (ko)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0566290B1 (ko) 스캔 테이블을 이용한 영상 주사방법과 그를 적용한 이산코사인 변환 장치
KR100223194B1 (ko) 비트량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프랙탈 동영상 부호화장치
JP5847199B2 (ja) 符号化動画像の生成方法、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画像符号化装置
KR102020953B1 (ko) 카메라 영상의 복호화 정보 기반 영상 재 부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재부호화 시스템
KR100627494B1 (ko) 동영상 부호화기 및 이를 이용한 부호화 방법
JP5389298B2 (ja) 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装置、画像符号化方法及び画像復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