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5847A - 모세관 냉각장치를 이용한 단성분 중공자발권축섬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모세관 냉각장치를 이용한 단성분 중공자발권축섬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5847A
KR19990015847A KR1019970038187A KR19970038187A KR19990015847A KR 19990015847 A KR19990015847 A KR 19990015847A KR 1019970038187 A KR1019970038187 A KR 1019970038187A KR 19970038187 A KR19970038187 A KR 19970038187A KR 19990015847 A KR19990015847 A KR 19990015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device
hollow
single component
fiber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8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0790B1 (ko
Inventor
이광재
노영옥
신우택
Original Assignee
김윤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 주식회사 삼양사 filed Critical 김윤
Priority to KR1019970038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0790B1/ko
Publication of KR19990015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7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88Cooling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4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hollow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성분의 폴리에스테르폴리머를 중공방사구금으로 용융압출시킨 다음에 냉각, 고화시켜서 중공 자발 권축섬유를 제조할 때, 방사직후(통상의 냉각처리 이전)에 방출사조의 한쪽면에만 냉각공기를 분사시켜서 방출사조의 양쪽부분에 배향도와 결정화크기 등의 차이를 일으켜서 이와 같은 차이가 열수축특성의 차이를 일으키도록 하여 자발권축성이 발현되도록 한 제조방법임.

Description

모세관 냉각장치를 이용한 단성분 중공 자발 권축 섬유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모세관 냉각장치(제 1 도 참조)를 이용하여 단성분(單成分)의 중공 자발 고권축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냉각풍을 방사구금 하부에서 모세관을 통해 강하게 불어 넣어 섬유의 한쪽 영역만이 냉각되도록 함으로서 섬유의 길이방향으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중공 단면과 유사하게 서로 다른 분자배향과 열수축 특성을 갖도록 하여서, 이를 이완 열처리하였을 때 자발 고권축 특성과 함께 우수한 초기벌키성과 압축회복률이 동시에 발현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축성등 물성이 다른 이종의 폴리머를 함께 복합방사하여 단일 섬유로 제조할 때 단일 필라멘트의 횡단면을 편심 시스 - 코어(Sheath-core) 또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형으로 형성시킨 복합섬유는 잠재 권축성을 지니며, 이를 이완 열처리하면 균일한 나선상의 고권축성이 발현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권축성 복합섬유를 제조하는 종래의 방법으로서는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첫째는 각각 수축성이 다른 섬유를 이수축 혼섬 방식으로 혼섬하여 고권축성을 발현시키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일특개소 59-216934호), 둘째는 성질이 다른 이종의 폴리머를 단일섬유로 복합방사하여 제조하는 방법(일특개소 51-67421호)과, 셋째로는 동일계 폴리머로서 각각 특성이 다른 공중합체를 각각 제 1 성분과 제 2 성분으로 하여 고권축특성을 발현시키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일특개소 51-116220호) 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위의 첫째 방법인 이수축혼섬방식의 복합섬유제조방법은 동일조성의 폴리머의 특성을 기준으로 해서 연신시 각각 열수축성이 다르게 연신한 다음, 공기 교락 복합하여 권축이 발현되도록 하는 방법이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제조된 복합섬유는 권축의 발현 상태가 불균일하고 섬유 상호간의 접착성이 약하기 때문에 가공 및 후가공 공정중에서 섬유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각 성분간에 이탈이 발생하거나 권축특성이 감소하는 등의 권축 내구성이 부족한 단점을 지니고 있다.
두번째 방법인 이종의 폴리머로 조성되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아마이드를 사용해서 복합방사법으로 복합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은 양성분의 열특성의 불균형, 염색성의 차이에 따른 염색 불균일 및 상호 폴리머간의 낮은 상용성에 기인한 계면에서의 낮은 접착성 때문에 방사후 섬유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양성분간에 계면분리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으며, 또한 양성분의 용융점도차에 의해 중공부를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용융점도가 큰 물질쪽에 중공부가 편심, 축소(제 4 도 참조)되므로 고반발성과 우수한 압축 회복력을 기대하기 힘들다. 최근에는 이성분간의 분리에 따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성분의 복합사 단면 형태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가 아닌 편심 시스 - 코어 형태로 하는 것이 제안(일특개소 52-124925호)되고 있지만, 이 경우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에 비하여 권축 특성이 떨어지고 반발성 및 압축 회복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공부를 형성시킬 수 없고 섬유로 제조하기 위한 방사구금장치도 복잡하여 섬유제조 작업성도 떨어지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세번째 방법인 동일계 공중합 폴리머를 사용, 2성분의 특성차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권축성 복합섬유는 양성분간의 상용성이 위의 경우 보다는 우수하나 권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두성분 간의 특성차를 높였을 경우에는 상용성이 떨어지며, 방사시 방사구금에서의 곡사 발생 등의 제사 공정상의 문제점이 있으며, 또 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양성분의 용융점도차에 의해 중공부를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용융점도가 큰 물질쪽으로 중공부가 편심, 축소되기 때문에 고반발성과 우수한 압축 회복력을 기대하기 힘들다. 또한 방사구금 역시 복합방사형이므로 복잡한 단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단성분을 사용하여 통상의 중공방사구금으로 제조하더라도 이완 열처리 공정에서 자발 고권축 특성과 함께 중공부에 의한 고반발성과 우수한 압축회복력이 발휘됨과 동시에 곡사, 방사작업성 및 상용성의 문제점이 해결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제 1 도(가)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 개략도.
제 1 도(나)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냉각장치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사구금의 횡단면도.
제 3 도는 일반적인 이성분 복합방사법으로 제조한 원사의 횡단면도.
제 4 도는 비교실시예에서 사용된 방사구금의 횡단면도.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은 제 1 도의 (가) 및 (나)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일성분의 폴리에스테르폴리머를 사용하고, 이것을 통상의 중공사용방사구금(제 2 도 참조)을 통하여 용융방사한 후에 통상의 냉각장치로 냉각, 고화시킴에 있어서, 방사구금과 통상의 냉각장치와의 사이에 모세관냉각장치(1)를 설치하여 방출사조(Y)로부터 근접한 위치에서 모세관냉각장치(1)의 분사공(2)으로부터 냉각공기를 분사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방출사조의 길이방향으로 모세관냉각장치(1)로부터 냉각풍을 받는 쪽과 받지않는 쪽이 있게 되고 그 결과 일차로 냉각을 받는 쪽과 받지 않는 쪽 사이에 배향도와 결정크기의 차이 등이 유발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는 서로 다른 열수축특성이 발현된다.
본 발명에서는 방출사조(Y)와 모세관냉각장치(1)간의 거리, 냉각풍온도와 속도 등을 조절하면 방출사조의 양쪽에 발현되는 열수축특성차이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자발권축특성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 1~2]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한 중량 평균분자량 6.5×104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합체를 280℃의 온도로 용융압출하고 방사공이 36개인 제 2 도에 도시된 방사구금을 사용하여 일정 속도로 권취하되 모세관냉각장치(1)의 모세관의 직경은 1.2㎜, 분사공(2)의 직경은 0.3㎜, 냉각풍의 속도는 60㎝/sec, 모세관과 방출사조(Y)의 거리는 1㎝(실시예 1)과 2㎝(실시예 2)으로 하여 미연신 필라멘트를 제조하고 이를 연신 배율 3.0배, 연신온도 110/190℃의 조건에서 연신공정을 실시하고, 연신후 이완 열처리는 습열(수) 80℃에서 5분간 처리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사의 특성 및 방사연신 작업성을 표 1 에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제 1 성분은 고유점도가 0.85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고, 제 2 성분은 고유점도가 0.52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서 양성분의 고유점도차가 0.3이고 방사온도에서의 용융점도차가 1,730 포아스인 것을 사용하였다. 방사구금은 제 4 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그외 조건은 위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그 결과는 표 1 에 나타내었다.
[표 1]
원사 특성 및 방사 작업성
* : ◎ 우수 ; ○ 양호 ; △ 보통 ; × 불량
압축탄성 : KS K 2617(면 이불솜 시험방법)에 준하여 시료를 20×20㎝의 크기로 하고 측정하여 압축율과 회복율을 구하였다.
건조에 의한 용적 회복율 : KS K 2617(면 이불솜 시험방법)에 준하여 시료를 20×20㎝의 크기로 하여 측정하였다.
중공율 = (중공부의 단면적)/(섬유의 단면적) × 100 (%)
권축수 C1, C2 : 시료를 단섬유로 채취하여 가능한 장력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0.05g/d의 초하중에서 5㎝식 10본을 만든 후 현미경으로 확대하여 초하중 권축수(개/inch) C1을 측정하고, 초하중을 제거하여 장력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30초 방치한 후 외관 권축수 C2를 측정한다.
본 발명은 단성분을 사용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한 방사구금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이성분 사용시 야기되는 곡사, 방사작업성의 저하 및 상용성의 문제점을 함께 해결하고 있다. 또한 이성분을 사용할 때 양성분의 용융점도차 때문에 중공부를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용융점도가 큰 물질쪽에 중공부가 편심, 축소되는 현상(제 3 도 참조)이 방지되므로 중공도의 증가와 함께 고반발성과 우수한 압축 회복력을 갖게 된다.

Claims (2)

  1. 단일성분의 폴리에스테르폴리머를 통상의 중공방사구금으로 용융방사하고 냉각, 고화시킴에 있어서, 통상의 방법으로 냉각, 고화시키기 전에 방사구금의 직하부에서 방출사조의 한쪽에 냉각풍을 분사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냉각장치를 이용한 단성분 중공 자발 권축섬유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냉각풍을 모세관냉각장치(1)의 분사공(2)으로부터 분사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냉각장치를 이용한 단성분 중공자발권축섬유의 제조방법.
KR1019970038187A 1997-08-11 1997-08-11 모세관냉각장치를이용한단성분중공자발권축섬유의제조방법 KR100490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187A KR100490790B1 (ko) 1997-08-11 1997-08-11 모세관냉각장치를이용한단성분중공자발권축섬유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187A KR100490790B1 (ko) 1997-08-11 1997-08-11 모세관냉각장치를이용한단성분중공자발권축섬유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847A true KR19990015847A (ko) 1999-03-05
KR100490790B1 KR100490790B1 (ko) 2005-09-12

Family

ID=37304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8187A KR100490790B1 (ko) 1997-08-11 1997-08-11 모세관냉각장치를이용한단성분중공자발권축섬유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07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9393A (ko) * 1999-08-23 2001-03-15 박종계 냉각온도 차이를 이용한 합성수지제 실의 변형방법 및 그장치
KR100423481B1 (ko) * 2002-04-22 2004-03-18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균제도와 방사 작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극세섬유의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420497Y1 (ko) * 1967-03-01 1969-09-02
EP0068378B1 (en) * 1981-06-26 1986-03-05 Schering Corporation Novel imidazo(1,2-a)pyridines and pyrazine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JPH06287809A (ja) * 1993-03-31 1994-10-11 Teijin Ltd 潜在捲縮性ポリエステル繊維の製造方法
US5407625A (en) * 1993-11-22 1995-04-18 Wellman, Inc. Method of forming self-texturing filaments and resulting self-texturing filaments
JPH07243123A (ja) * 1994-03-03 1995-09-19 Mitsubishi Rayon Co Ltd 自己捲縮性ポリエステル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の製造方法
JPH08188918A (ja) * 1994-12-28 1996-07-23 Toray Ind Inc 嵩高詰綿用中空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0123943B1 (ko) * 1995-01-20 1997-11-27 박홍기 폴리에스터섬유 제조용 중공 방사구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9393A (ko) * 1999-08-23 2001-03-15 박종계 냉각온도 차이를 이용한 합성수지제 실의 변형방법 및 그장치
KR100423481B1 (ko) * 2002-04-22 2004-03-18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균제도와 방사 작업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극세섬유의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0790B1 (ko) 2005-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18534A (en) Spontaneously crimping synthetic composite filament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ame
JP7319470B2 (ja) 編物に用いる自発巻縮弾性混繊糸の製造方法
US6174601B1 (en) Bicomponent fibers in a sheath-core structure comprising fluoropolyme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20120007173A (ko) 권축성이 우수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이성분 중공필라멘트 및 그 제조방법
US6316103B1 (en) Bicomponent fibers in a sheath-core structure comprising fluoropolyme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100490790B1 (ko) 모세관냉각장치를이용한단성분중공자발권축섬유의제조방법
CN105862166A (zh) 生物质尼龙56纤维/pbt纤维的fdy/poy异收缩混纤丝及其制备方法
US5733656A (en) Polyester filament yarn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and fabric thereof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3113124B2 (ja) 極細繊維ウエブの製造方法
KR100231196B1 (ko) 압축회복력이 우수한 단성분 중공자발 권축섬유의 제조방법
KR0132355B1 (ko) 자발 고권축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KR100291599B1 (ko) 자발권축섬유
KR100245664B1 (ko) 계면접착성과 권축특성이 우수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자발권축섬유
KR100270437B1 (ko) 자발고권축 중공섬유제조용 방사구금
JPH0787880B2 (ja) 詰め綿用ポリエステル原綿の製造法
JP3736886B2 (ja) 潜在捲縮能を有する繊維よりなる紡績糸
KR100291600B1 (ko) 자발고권축복합중공섬유의제조방법
KR100227161B1 (ko)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KR20030022553A (ko) 자발고권축성 폴리에스터 복합섬유
KR20070072013A (ko)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성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및 상기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섬유
KR20010028163A (ko)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복합 중공사 제조방법, 그 방사노즐 및 그로부터 제조된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복합 중공사
KR980009556A (ko) 잠재권축성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JP3835579B2 (ja) 複合微細捲縮付与軽量ポリエステル混繊糸
KR950001653B1 (ko) 자발 고권축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KR860001914B1 (ko) 고기능성 u형 복합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