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930A - 개량된 퍼지 밸브를 가진 캐니스터 퍼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량된 퍼지 밸브를 가진 캐니스터 퍼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930A
KR19990014930A KR1019970708276A KR19970708276A KR19990014930A KR 19990014930 A KR19990014930 A KR 19990014930A KR 1019970708276 A KR1019970708276 A KR 1019970708276A KR 19970708276 A KR19970708276 A KR 19970708276A KR 19990014930 A KR19990014930 A KR 19990014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armature
shaft
collection system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8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8946B1 (ko
Inventor
에버링햄게리
쿡존에드워드
페리폴디.
부사토머레이프랜시스
Original Assignee
알렌디
지멘스일렉트릭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렌디, 지멘스일렉트릭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알렌디
Publication of KR19990014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9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36Arrangement of valves controlling the admission of fuel vapour to an engine, e.g. valve being disposed between fuel tank or absorption canister and intake manifold

Abstract

퍼지밸브는 전기자(18)에 작용하는 선형힘 대 전류 특성을 가진 솔레노이드(S)를 도시하고 있다. 히스테리시스의 영향은 밸브를 작동하는 방법과 일정 구조적인 특징에 의해 최소화된다. 일부 실시예가 발표되었다.

Description

개량된 퍼지 밸브를 가진 캐니스터 퍼지 시스템
최신의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마이크로프로세스를 근거로 한 엔진조정시스템에 의해 발생된 퍼지제어신호의 제어하에 있는 솔레노이드 작동식 퍼지밸브로 구성되어 있다. 전형적인 퍼지제어신호는, 예를들어 5Hz 내지 50Hz 범위에서,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를 가진 충격계수 변조 펄스파형이다. 그 변조는 0%에서 100%까지 변한다. 어떤 종래의 솔레노이드 작동식 퍼지 밸브의 반응은 그 밸브가 밸브에 적용되는 파동하는 파형을 어느정도 뒤따를 정도로 충분히 빠르고, 이것은 퍼지흐름이 비슷한 파동을 나타내게 한다. 이러한 파동은 흡기다기관에서의 파동하는 증기흐름이 그 엔진 배기관내에 불쾌한 탄화수소 스파이크를 만들 수 있기때문에 배기관 배출제어객체에 때때로 유해할 수 있다. 또한 수단의 정상작동시 일어나는 흡기다기관 진공에서의 변화는, 진공 조절 밸브를 포함시킴으로써와 같이, 그들의 영향을 고려하여 준비되지 않았다면 제어전략을 뒤집는 방법으로 밸브에 직접 작용할 수 있다. 더욱이, 저주파수 작동은 교란시킨다고 생각될 수 있는 가청 소음을 만들수 있다.
본 발명은 내연기관 구동식 자동차용 내장형 증기배출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런 시스템은 엔진용 휘발성 액체 연료를 가진 탱크에서 배출된 연료증기를 수집하는 증기수집 캐니스터와 엔진의 흡기다기관에 수집된 증기를 주기적으로 퍼지하기위한 퍼지밸브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증기 배출 제어 시스템과 연관하여 밸브를 도시하고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제1 실시예의 캐니스터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한 세로단면도이다.
도 2는 수정된 형태를 그린 도 1의 원 2를 확대한 부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제2 실시예의 캐니스터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한 세로 단면도이다.
도 4는 압력조절기와 연관하여 도 1의 밸브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추가 특징이 세부적으로 묘사되게 도 1의 밸브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추가 특징이 세부적으로 묘사되게 도 1의 밸브를 도시하고 있다.
도 7,8 그리고 9는 본 발명의 어떤 측면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각각의 그래픽도이다.
도 10은 캐니스터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의 전기적인 세부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측면은 제어 정확도를 나쁘게 할 수 있는 영향에도 불구하고 더 정확한 제어를 제공할 수 있는 캐니스터 퍼지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일반적인 목적의 추가로, 더 특별한 측면은 선형 솔레노이드 액츄레이터에 캐니스터 퍼지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더 특별한 측면은 밸브와 시트 요소의 상세도와 같이 여러 구조적인 특징과 관계가 있다.
추가적인 특징에 따라, 본 발명의 전술한 다른 장점과 잇점은 도면에 의해 동반되는 청구항과 뒤따른 설명에서 볼 수 있을 것이다. 도면은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해 이때에 기대되는 가장 좋은 모드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은 통상적으로 내연기관(200)의 흡기다기관(180)과 연료탱크(160) 사이에 일자로 연결된 캐니스터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140)와 증기수집 캐니스터(120)로 구성되어 있는 자동차의 증기배출제어시스템(100)을 도시하고 있다. 엔진조정 컴퓨터(220)는 밸브(140)를 작동시키기 위한 퍼지제어신호를 공급한다.
밸브(140)는 도관(280)을 매개로 하여 캐니스터(120)의 퍼지포트와 결합된 입구포트(23)와 그리고 도관(320)을 매개로 하여 흡기다기관(180)과 결합되어 있는 출구 포트(22)를 가진 2부분 몸체(B1, B2)부로 구성되어 있다. 도관(321)은 연료탱크(160)의 헤드공간에 캐니스터 탱크 포트를 연통시킨다. 캐니스터 퍼지 솔레노이드밸브(140)는 세로축(340)을 가지며, 몸체부(B1)는 축(340)과 공유축이고 몸체부(B2)와 조립하는 상부축 끝에서 개방되는 원통형의 측면벽(36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의 하부축 끝에서, 몸체부(B1)는 축(340)과 공유축이고, 방사상으로 포트(22)에 의해 차단되어 있는 측면벽(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숄더(350)는 측면벽(11)을 측면벽(360)과 합체시킨다. 측면벽(11)은 측면벽(11)의 하부와 상부부분(11A, 11B)를 각각 결합시키는 숄더를 포함하고 있다; 후자부분이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반면 전자부분은 완전한 원통형이다. 자동으로, 몸체부(B1)는 이것의 개방 상부축 끝과 두개의 포트(22와 23)를 제외하고 둘러싸인다.
솔레노이드(S)는 조립시 몸체부(B1)의 개방 상부 끝을 통해서 알맞게, 몸체부(B1)에서 배치된다. 그 솔레노이드는 보빈(8), 보빈장착 전자기 코일을 형성하는 보빈(8)상에 감긴 자성와이어(9), 그리고 보빈코일과 연관된 고정자 구조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고정자 구조물은 보인 코일의 상부끝에 배치된 상부 고정자 끝부(7), 보빈코일의 바깥주위에 원주로 배치된 원통형의 측면 고정자 부(19), 그리고 보빈코일의 하부끝부에 배치된 하부고정자 끝 부(10)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고정자 끝부(7)는 외주면이 측면부(19)의 상부끝에 알맞은 평평한 원형의 디스크 부분을 포함하고, 부싱(4)이 축(340)과 공유축이 되도록 억지끼워맞춘 구멍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디스크 부분은 자성 와이어(9)의 끝이 결합되어있는 한쌍의 보빈장착 전기단자(17)의 통로쪽으로 향한 다른 구멍을 포함하고 있다. 끝부(7)는 축(340)과 공유축인 보빈(8)내의 중심 관통 구멍에 어떤 거리로 디스크부분에서 아래로 뻗은 원통형의 넥(7A)으로 더 구성되어 있다. 넥(7A)의 내표면부는 원통형인 반면 이것의 외표면부는 넥이 보빈관통구멍으로 뻗은 것과 같이 점점 감소하는 테이퍼를 가진 방사성의 두께를 제공하기 위해 원뿔대이다.
하부 고정자 끝부(10)는 외주변이 측부(19)의 하부끝에 알맞은 평평한 원형의 디스크 부를 포함하고 있고, 축(340)과 공유축을 가지고 있기 위해 부싱(20)이 억지끼워맞춘 구멍을 포함하고 있다. 끝부(10)는 축(340)과 공유축인 보빈(8)내의 중심 관통 구멍에 어떤 거리로 디스크 부분에서 아래로 뻗은 상부 원통형의 넥(10A)으로 더 구성되어 있다. 넥(10A)은 균일한 두께를 가지고 있다. 끝부(10)는 어떤 거리로 디스크 부분에서 아래로 뻗은 하부 원통형의 넥(10B)으로 보다 더 구성되어 있으며 이것의 가장 하부 끝부는 측면벽(11)의 하부부분(11A)내에 밀접하게 끼워진다. 밸브 시트 요소(21)는 넥(10B)의 하부 끝부로 억지끼워맞추기 위해 좁혀지고 O링(24)에 의해 벽부분(11A)의 내쪽에서 밀폐된다. 측면벽(11)에 맞은 최하부 끝위에서, 넥(11B)은 시트 요소(21)위에 배치되고 넥(10B)에 의해 경계된 공간과 포트(22)사이의 연통을 위해 제공하는 몇몇 관통구멍(10C)을 포함하고 있다. 측면 벽(11)의 상부부분(11B)은 초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관통구멍(10C)을 제한하지 않음으로써 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해 형태 지어진다.
부싱(4, 20)은 축(340)을 따른 선형운동을 위해 밸브축(12)을 가이드한다. 축(12)의 중심지역은 관상의 전기자(18)의 적합한 압착을 위해 약간 확대되어 있다. 축(12)의 하부끝부는 밸브 시트 요소(12)와 같이 작용하는 밸브요소로 만들어진다. 도 1의 밸브요소는 테이퍼진 축의 일반적인 형태로 존재하고 둥근 끝을 가진 원뿔대의 팁(12A)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지 팁(12A)상에서, O링 타입 시일(13)은 시트 요소(21)에 대하여 밀폐하기 위해 축 주위에 배치된다. 시트 요소의 상세한 설명은 도2와 연관시켜 나중에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포트(22,23)사이의 흐름경로를 닫는 요소(21)상에 닫히게 착좌된 시일을 도시하고 있다. 이 위치에서, 전기자(18)의 상부부분은 넥(10A)의 상부 끝과 넥(7A)의 하부끝 사이에 존재하는 공극에 축방향으로 겹치지만, 전기자(18)가 실제로 넥과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약간의 방사성 틈새는 존재하고, 그것에 의해 자기적인 단락을 피할 수 있다.
축(12)의 상부 끝은 부싱(4) 위로 밀리고, 스프링 시트(3)의 부착에 대해 제공되도록 형태지어진다. 그들 사이에 시일(6)을 샌드위치시키기 위해 대면하여 맞물린 플랜지를 꽉잡는 클린치링(5)에 의해 몸체부(B1)에 몸체부(B2)가 부착된 상태로, 나선형의 코일스프링(2')는 몸체부(B2)의 적합한 형태의 포켓으로 수신되는 다른 스프링 시트(1)와 시트(3)사이에 갇혀있다. 구경측정 스크류(14)는 스프링 시트(1)가 포켓에 관련하여 축방향으로 위치조정되는 크기를 설정하기 위해 적합한 터닝도구(도시생략)에 의해 외부적으로 접근가능하고 축(340)과 공유축을 가진 이 포켓내의 구멍에 꿰어진다. 구멍에 점점 꿰어지는 스크류(14)는 그 과정에서 스프링(2')을 점점 압축하면서 스프링 시트(3)로 시트(1)를 점점 이동시킨다. 또한 단자(17)는 몸체부(B2)에 장착된 단자(16)와 결합되고, 엔진 조정 컴퓨터(220)에 연결된 다른 연결체(도시 생략)와 맞물린 전기연결체(15)를 형성한다.
솔레노이드(S)가 전류에 의해 점진적으로 에너지를 받을 때, 전기자(18)는 흐름이 포트(22,23)사이에서 일어나도록 밸브를 개방하고 시트로부터 밸브를 착좌하지 않도록 스프링(2')의 대립하는 스프링힘에 대하여 위쪽으로 잡아당겨진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밸브의 개방도는 코일을 통한 전류흐름의 크기에 의존하므로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밸브를 통해서 퍼지흐름은 제어된다. 이 제어와 밸브 응답은 본 발명의 고상한 측면의 추가 설명과 연관하여 더 길게 나중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축(12)의 하부끝에 있는 밸브 요소의 개조된 형태의 상세도와 시트요소(21)의 상세도이다. 밸브 요소는 둥근 팁(12B), 팁(12B)으로부터 뻗은 원뿔대의 테이퍼진 단면(12C), 단면(12C)으로부터 뻗은 일자원통형의 단면(12D), 단면(12C)위에서 축상에 배치된 고무 O링 타입 시일(13), 그리고 시일의 상부끝에 대한 전체적인 백업 플랜지(12F)로 구성되어 있다. 시트요소(21)내의 관통구멍은 일자원통형의 단면(21B)과 단면(21B)에서 뻗은 원뿔형의 시트 표면부( 21C)를 가진 내부로 유도된 숄더(21A)로 구성되어 있고 넥(10B)에 의해 바운드된 내부 공간에서 개방한다. 도시된 닫힌 위치에서, 시일(13)의 라운드된 표면부는 시트표면(21C) 근처 단면(21B)과 원주적으로 밀폐하며 접촉하고, 단면(12D)은 축(21B)과 축방향으로 동연이다.
밸브축은 시트 요소로부터 밸브요소를 착좌하지 않도록 윗방향으로 초기에 배치되어있는 바와같이, O링 시일(13)은 시트 표면(21C)과 접촉이 없을 것이지만, 직단면(12D)은 여전히 어떤 상당한 윗방향 진행에 대해 단면(21B)과 축방향으로 계속해서 겹친다. 그러므로, 흐름에 대한 효과적인 개방 지역은 테이퍼진 단면(12C)에 단면(21B)과 동연하게 될 시간에 이러한 겹침이 중지할때까지 실질적으로 일정할 것이다. 이제 축(12)의 계속된 윗방향 운동은 팁(12B)이 통과할 때까지 그 효과적인 지역을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할 것이다. 팁이 단면(21B) 밖으로 통과된 후, 관통 구멍은 밸브 요소에 의해 제한되어 중지될 것이다.
도 3은 도 1과 도 2내의 유사한 부품에 일치하는 부품이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같은 참조숫자에 의해 확인되는 캐니스터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과 도 1과 도 2 사이의 중대한 차이점은 설명될 것이지만, 다른 방법으로 각각의 부품, 밸브에서의 그들 관계, 그리고 그들의 기능은 근본적으로 같다. 도 3에서, 포트(23)는 L자보다는 직선이고, 시트 요소(21)는 분할 삽입물이기보다는 몸체 부(B1)에서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축(12)은 상부 축 부분(12')과 하부축부분(12)으로 구성된 두개의 구조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축 부분(12')은 도 1에서와 같이 스프링 시트(3)에 부착하기 위해 윗방향으로 통과하여, 부싱(4)에 의해 가이드되지만, 전기자(18)는 축 부분(12')의 하부 끝상에 누르기 위해 막힌 구멍을 가지고 있다. 원통형 슬리브(27)의 상부끝은 넥(7A)의 안쪽에 맞게 있고, 그 슬리브의 하부끝부는 넥(10A)의 안쪽에 맞게 있고, 그 넥의 전체길이뿐만 아니라, 숄더(10D)에서 가능한한 멀리 부분적으로 넥(10B)으로 뻗어있다. 슬리브(27)는 도자를 전기자(18)의 선형운동을 위해 제공하고, 전기자와 상부 축 부분(12')으로 구성된 조립체는 두개의 축방향으로 공간지어져 떨어진 위치에 가이드된다.
고정자 끝 부에서 전기자의 다른 유해한 자기단락을 피하기 위해서 슬리브(27)는 고자기 리액턴스물질이다. 황동은 슬라이딩하는데 매우 낮은 마찰 저항을 가지고 있으므로 슬리브에 적합한 물질이다. 부싱(4, 20)은 자기단락을 피하고 슬라이딩에 낮은 마찰 저항을 제공하는 물질로 바람직하다. 흑연함유 청동이 적합한 물질이다. 축(12)은 비자기 스테인리스강이 적합하고, 전기자(18)는 근본적으로 넥(7A,10A)사이의 자기회로공극에 배치되어 있는 유일한 자속 도체이다.
하부축 부분(12)은 부싱(20)에 의해 가이드되고, 둥근 하부팁끝 아래에 어떤 거리를 두고 공간진 플랜지(25)로 구성되어 있다. 나선형의 코일 스프링(24)은 부싱으로부터 멀리 윗방향으로 하부 축 부분(12)을 탄력있게 가압하는 플랜지(25)와 부싱(20)의 하부끝 사이의 축부분(12)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전기자(18)의 하부끝은 축부분(12)의 상부팁끝보다 약간 더 큰 직경과 약간 움푹패인 베이스를 가진 막힌 구멍(29)을 포함하고 있다. 축 부분(12)의 둥근 상부 끝은 스프링(24)의 힘으로 인한 구멍(29)의 이런 움푹패인 베이스에 대하여 지지한다. 스프링(24)에 의해 발휘되는 힘은 스프링(2')에 의해 발휘되는 힘보다 훨씬 적고 그래서, 스프링(24)은 하부 축 부분(12)을 전기자(18)의 전위 윗방향으로 추적되게 한다. 전기자의 아래방향의 전위는 밸브가 개방될 때, 전기자와 조화하여 아래방향으로 그것에 힘을 가하기 위해 축 부분(12)에 직접 작용하고 그 과정에서 스프링(24)을 점점 압축한다. 도 3에 도시된 축의 두부분 구조의 중요한 잇점은 부싱과 밸브시트의 배열이 도1의 한개의 축 구조보다 덜 절대적이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3 실시예에서 다수 부품이 필요하지만 개개의 부품상에 만들어지는 공차를 줄일 수가 있다. 두 부품 축은 도3과 같이, 적당한 상황에서 도1의 밸브로 설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솔레노이드가 에너지를 받을 때 넥(7A)과 넥(10A) 사이의 전기자를 통해 지나는 자속의 선은 양축선을 가지고 그축선은 주된 것이지만 방사성 성분을 가진다. 실제 문제에서 방사성 성분은 완벽히 균형이 잡힌것은 결코 아니므로, 알짜 반지름 방향힘을 전기자에 의해 촉진하는 전기자에 가할 것이다. 2부분의 축 구조는 전기자에 작용하는 자기력의 알짜 반지름방향 힘이 중요한 밸브에 유리하다. 도3의 밸브상의 이러한 반지름 자기력의 영향은 단지 전기자와 상부 축 부분에 작용할 것이고, 그들의 선형운동은 단지 두 점의 도자를 가지므로, 이런 반지름 방향힘의 영향은 도 1에서와 같다. 세점의 도자 경우보다 훨씬 관대하다. 그러므로, 세점의 도자는 전형적으로 더 정밀한 배열과 더 밀접한 부품과 조립 오차를 필요로 한다. 도 3 밸브에서, 전기자에 작용하는 반지름 방향힘은 구멍(29)의 패인 베이스와 축부분(12)의 둥근 팁끝 사이의 접촉성으로 인해 어떤 유효한 방법으로도 하부 축부분(12)에 전달될 수 없고, 또한 구멍과 축부분 사이에 제공된 방사성 틈새에도 전달될수 없다. 밸브시트요소의 부싱(20)에의 배열제어와 부싱(4)의 슬리브(27)에의 배열제어는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고, 이것은 세점배열에 전형적으로 요구되는 고정밀성을 제거한다.
하부축부분(12)의 하부 끝과 시트요소(21)는 밸브가 어떤 최소값으로 개방되고 엔진 다기관 진공이 어떤 최소값보다 클때, 즉 음속흐름일때 흡기다기관 진공에서 변하여 실제로 반응하지 않는 흐름을 제공하도록 형태지어진다. 시트요소(21)는 도시된 바와같이 노즐외형인 측면표면부(21X)와 측면표면부(21X)의 하부끝에 있는 숄더(21Y)로 구성되어 있다. 숄더(21Y)는 포트(23)를 통해 개방되는 것을 포트(22)로 이끌리는 밸브통로의 내부에 경계짓는다. 측면표면부(21X)와 직면하는 하부축부분(12')의 하부 끝의 측면벽 표면부(12X)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움푹패이게 외형져 있다. 축 부분(12)의 하부 팁끝은 도시된 바와같이 밸브가 닫혔을때, 주변이 숄더(21Y)의 하부표면부에 의해 제공되는 시트와의 전체 원주상의 밀폐 접촉부를 가지는 고무시일(13)을 포함하고 있다.
도 3에서 측면벽(11)은 포트(22)와 접하는 곳에서 개방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직선이다는 점에서 약간 차이가 있다. 넥(10B)은 밸브가 개방될때 숄더(21Y)에 의해 경계지어지는 개방부를 흐름이 지나간 후에 지나가는 흐름을 위해 측표면부(21X)의 상부끝부 바로위의 공간을 포트(22)에 제공하기 위해 측면 벽(11)의 하부끝의 단락을 멈추게 한다.
솔레노이드(S)가 전류에 의해 점점 에너지를 받을 때, 전기자(18)는 스프링(2')의 반발스프링힘에 대하여 윗방향으로 잡아당겨진다. 스프링(24)은 따르는 하부축부분(12)에 힘을 가하고, 흐름이 포트(22,23) 사이에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숄더(21Y)에 의해 제공된 시트로부터 시일(13)을 착좌하지 않고 밸브를 개방한다. 일반적으로 다시 말하자면, 밸브의 개방도는 코일을 통과하는 전류흐름의 크기에 따르고 그래서 전류흐름을 제어함으로써, 밸브를 통과하는 퍼지흐름이 제어된다. 밸브응답과 이 제어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고상한 측면의 추가 설명과 연관시켜 나중에 길게 설명될 것이다.
도 4는 진공조절기(PR)와 연관된 도 1의 밸브(140)를 도시하고 있다. 진공조절기는 이 진공이 임의 최소값을 초과한다면, 주어진 밸브 개방량에 대하여 흡기다기관진공과 별개인 실제로 일정한 흐름을 제공하도록 작용한다. 이것은 많은 제어전략에 바람직하다. 밸브(140)가 개방될때, 출구 포트(22)는 흡기다기관 진공에 진공조절기를 통해서 연통되고, 후자는 도관(400)을 매개로 하여 포트(22)에 연결된 입구포트(25A)와 도관(410)을 매개로 하여 다기관(180)에 연결된 출구포트(28A)를 가지고 있다.
조절기(PR)는 몸체와 칸막이판사이의 확장한 부피(31)를 한정하는 내부 칸막이판(26)을 포함하고 있는 몸체(30)로 구성되어 있다. 칸막이판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고 칸막이판의 통합부품인 단단한 삽입물(33)에 밸브(32)는 부착되어 있다. 칸막이판의 주변 가장자리는 캡을 몸체에 부착하는 통합 스냅 파스너(34)를 가진 캡(29)에 의해 몸체(30)의 테두리에 대해서 압축되어 유지된다. 제2의 확장한 부피(35)는 칸막이판과 캡의 안쪽에 의해 한정되고 배출구멍(36)을 통해서 대기와 연통하게 된다.
포트(28A)로부터 뻗어있는 통로끝에 있고 밸브와 상호작용을 위해 배치되어 있는 시트(27)로 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칸막이판과 밸브를 가압하기위해 몸체에 스프링(37)이 배치된다. 흡기다기관 진공이 점점 증가함에 따라, 확장한 부피(31)내의 진공은, 스프링(27)의 힘을 방해하고 칸막이판 시트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칸막이판(26)에 힘을 가할 것이다. 진공이 충분한 레벨에 도달할 때, 밸브(32)는 포트(22,28A)사이의 연통을 막는 시트(27)에 대해서 밀폐한다. 그러면, 부피(31)내의 진공은 캐니스터 퍼지밸브(140)뒤로 빠져서 감소될 것이고 칸막이판상의 힘은 밸브(32)와 시트(27)사이의 밀폐를 유지하기에는 불충분한 레벨로 감소될 것이다. 스프링(37)의 힘이 밸브를 착좌하지 못할때, 부피(31)내의 진공은 밸브를 다시 착좌하기에 충분할때까지 다시 증가하기 시작할 것이다. 이것은 부피(31)내의 평균 진공 레벨을 유지하기에 필요한 만큼 반복하는 충격 계수이다. 이 평균레벨은 스프링힘의 기능이고 칸막이판의 유효지역이다. 이 평균진공은 실제로 일정하므로, 필요한 최소 진공레벨위에 흡기다기관 진공에서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밸브(140)를 통한 흐름은 주어진 밸브의 개방도에 대하여, 유사하게 실제적으로 일정할 것이다. 도 4는 분리 조립체로서 조절기(PR)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것은 원한다면 캐니스터 퍼지밸브에로 집적될 수 있다. 조절기에서의 밸브 작용은 진공크기의 실제조절이 일어나기 때문에 포트(28A)와 확장한 부피(31) 사이에서 일어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도 5는 도 1의 밸브에 추가특징을 반영한다. 이 특징은 솔레노이드(S) 근처에 몸체의 벽(360)을 통한 대기 추출을 포함한다. 그 특징의 특정 실시예는 벽안쪽 공간을 대기에 연통하도록 배열된 필터(502)와 오리피스(500)로 구성되어 있다. 필터의 사용은 일정 오염물이 밸브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추기는 퍼지 흐름로에서 윗방향으로 솔레노이드를 포함하고 있는 공간에 침입할 수 있는 임의 진공의 중대한 축적을 방지하고, 이로인해 솔레노이드의 작동상에 있을 수 있는 진공의 악영향을 방지한다.
도 6은 솔레노이드 작동에 영향을 주는 진공을 방지하는 것과 같은 목적을 실행하는 다른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이 방법은 도시된 바와같이 외길 체크 밸브(506)와 오리피스(504)를 통해서 캐니스터와 같이 외길 체크 밸브(506)와 오리피스(504)를 통해서 캐니스터 포트에 솔레노이드 공간을 라우팅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체크밸브는 증발시키는 배출 시스템의 의무 누설 테스트시 추출 오리피스를 밀폐하는데 사용되고, 이런 테스트시 누설이 없을 것이라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에 충분한 작동차를 가져야 한다. 출구 포트(22)보다 오히려 입구 포트(23)는 캐니스터에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은 포트(23)에 상대적인 시일(13,24)을 넘어서 배치되어 있는 퍼지밸브 구조의 그 부분에서의 대기쪽의 흐름로가 딴 방법으로 조절 요구에 응하는 시스템에서 잘못된 테스트 결과를 만들지 않기 때문에 이런 테스트에 유리하고, 한편 캐니스터 포트로서 포트(22)를 사용하는 시스템상의 테스트는 이러한 대기쪽의 흐름로로 인하여 불순종을 나타낸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솔레노이드(S)의 배열과 조직은 작동범위를 넘어서 실제적인 선형 작동 특성을 솔레노이드에 부여한다. 그 솔레노이드의 선형 작동 특성은 전기자 근처에 있는 고정자 구조물의 상대적인 형태에 의해 얻는다. 이 형태는 솔레노이드가 스프링(2') 없이 구멍으로 전기자에 작용했다면, 전기자에 가해진 축자기력은 솔레노이드 코일(9)에 흐르는 전류의 실제적인 선형기능이 될정도다. 스프링(2')의 영향이 발생될 때, (그 스프링은 설명된 실시예에서 실제의 선형압축 대 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주어진 전류흐름에 대해서, 전기자는 자기력과 스프링 힘이 서로 소멸하는 축(340)을 따라 위치를 추측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류의 증가는 힘이 균형될때까지 스프링을 점점 압축하여 전기자가 윗방향으로 점점 배치되게하는한편, 전류의 감소는 균형을 다시 얻을때까지 스프링을 느슨하게 할 것이다. 임의의 주어진 퍼지밸브의 실제흐름특성은 솔레노이드의 선형작동 특성뿐만아니라 밸브시트 요소와 밸브요소의 설계에 예시된 흐름특성의 기능이고, 스프링(2')의 힘 대 압축특성의 기능이다. 그러므로, 임의의 주어진 퍼지밸브의 흐름 대 전류특성은 특정사용 요구에 따라서 선형 또는 비선형중 하나가 되게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선형 특성을 가진 스프링은 선형 특성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캐니스터 퍼지 밸브의 단자(16)를 걸쳐서 적용되는 바람직한 전기 입력은, 어떤 주파수에서 일어나고 실제로 일정한 전압진폭을 가진 직각 전압펄스로 구성된 펄스폭 변조(PWM)파형이다. 펄스의 폭은 밸브가 개방되는 크기를 결정하고, 그래서 펄스폭을 변화시킴으로써, 밸브는 여러가지의 개방도에서 작동한다. 펄스폭이 증가함에 따라, 솔레노이드 코일을 통해 흐르는 평균전류도 역시 그러하다. 코일에 생기고 전기자(18)에 작용하는 자계의 세기는 평균 전류와 코일에서의 수많은 감김의 생성물과 같기 때문에, 전기자에 적용되는 힘은 펄스폭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할 것이다.
닫힌 퍼지 밸브(start-to-open 또는 STO 밸브)를 개방하는데 필요한 최소 펄스폭(지속시간에 의해)은 스프링(2')은 구경측정 스크류(14)옆의 스프링 시트(1)의 위치조정에 의해 압축되는 크기에 의해 설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펄스의 결정에서, 스프링(2')은 닫힌 위치로 밸브요소에 힘을 가하기 시작할 것이다. 계속되는 펄스는 시간의 일정양내에서 적용되지 않지만, 밸브 요소는 시트 표면부와 다시 접촉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3에서와 같이, 이러한 제1펄스가 퍼지밸브에 적용될때, 실(13)은 실제로 퍼지밸브를 통한 일부 흐름을 허용하는 시트표면부와 접촉하지 않을 것이지만, 다음 펄스가 충분한 시간에서 적용되지 않는다면 스프링(2')의 작용에 의해 시트 표면부에 역으로 힘이 가해질 것이다. 시트를 충돌시키는 전체 무게는 관성을 가지고 있고, 스프링(2')의 힘에 관하여, 관성의 충격력은 이동하는 무게가 일부 등급에서 리바운드되게 한다. 도 1-3의 예시에서와 같이, 밸브 요소가 탄성의 시일(13)을 포함하고 있는 곳에서, 이것의 압축특성은 시트충돌로 인해 리바운드에 또한 약간 영향을 줄 수 있다. 이 현상은 스프링 힘과 그리고 결합된 자기력과 충격력을 각각 나타내는 대응 벡터에 의해 도2에 일반적으로 묘사된다.
도 7은 14.0 VDC 진폭과 75Hz 주파수가 적용된 퍼지밸브에 대한 흐름 대 충격계수 특징을 도시하고 있다. 시트 요소와 밸브요소의 충돌은 약 10% (밸브가 개방되는 곳에서)에서 약 25% 충격 계수의 범위를 넘어서 일어난다.(10% 충격 계수 아래의 대략적인 SLPM은 닫힌 퍼지밸브를 통한 누설이 아니라 테스트 장치에서의 누설을 나타낸다.)이 범위의 상부끝에서, 달리 약 22%에서 약 24% 충격 계수에서, 충격 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흐름이 실제로 약간 감소할 수 있는 곳에서 변이가 있다. 24% 충격 계수 위에서는, 추가 충돌이 없고, 특성은 흐름이 약 72 SLPM 인 약 50% 충격 계수까지 실제로 선형이다. 약 50%-60% 충격 계수부터, 감소되는 선형성이 있고, 약 60% 충격 계수위에서는, 흐름은 최대흐름을 나타내면서 실제로 일정하다. 이러한 특성은, 나머지를 제외하고 일정 사용에 만족될 수 있고, 하부충격계수 범위에서 개선 선형성을 가지는 것은 바람직하게 보일 수 있다. 이러한 개선은 일부 다른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그 전류는 PWM 전압을 솔레노이드에 인가한 결과이지만, 도 8은 흐름이 평균 전류의 기능으로서 만들어지는 곳에서의 이런 개선된 특성을 묘사하고 있다. 이런 개선을 얻는 하나의 방법은 일자원통형의 단면(12D)이 시트표면부와 관련하여 밸브요소를 어떤 초기범위에 위치결정시 시트요소의 원통형 표면부(21B)와 겹칠 수 있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밸브요소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것은 개방지역이 밸브요소의 개방이동의 초기범위를 넘어서 실제적으로 변하지 않게 할 것이고, 이러한 속성은 이 지역에서 특성 곡선을 더 선형으로 만드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예를들어 150Hz까지 펄스주파수를 증가시키는데 유리할 것이다.
도 8은 특성도가 약간의 히스테리시스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더 도시하고 있다. 이것이 일정 사용에 대해서 이의가 없을 수 있지만, 나중에 더 상세히 설명될 PWM 신호를 적용하는 어떤 과정은 이 효과를 제거할 것이다. 그러므로, 퍼지 밸브 자체는 이러한 히스테리시스를 최소화하도록 만들어질뿐 아니라, 밸브가 작동되는 방법이 히스테리시스를 더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는 흐름이 평균전류의 기능으로서 만들어지는 각각에 대한 일련의 특정도를 발표하고 있다.(작은 히스테리시스의 영향은 설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각 특성도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각 특성도는 특정 크기의 흡기다기관 진공의 기능으로서 나타내었다. 300mm 진공에서의 특성도는 254mm 진공에 대한 도 8에 의해 묘사된 특성도와 매우 유사하다. 이런 도 9의 특성도는 진공조절기가 사용되지 않을 때 도1의 테이퍼진 축 밸브와 같은 퍼지밸브의 특성을 갖는다. 도 4에서와 같이, 진공 조절기의 사용은 퍼지밸브상의 상이한 다기관 진공크기의 영향을 실제로 제거할 것이고, 이러한 조절된 퍼지는 필수적으로 단일 특성도를 가질 것이다.
솔레노이드에서 PWM 입력에 대응하여, 코일에서의 전류흐름은 주파수에서 펄스주파수와 관련이 있는 파동치는 성분을 겹쳐 놓은 평균 DC 성분으로 구성된 합성전류로 구성되어 있다고 고려할 수 있다. 축과 전기자의 전체 무게는 솔레노이드의 자기력 특성과 관련하여 선택되고 그 무게는 이런 합성 전류를 따를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그 무게는 평균 DC 성분과 상호 연관되는 위치에 위치조정될 것이고, 이 위치에서 약간 떨릴 것이다. 이런 떨림은 히스테리시스의 영향을 감소시킴으로써, 그리고 떨림없이 일어날 수 있는 정지마찰의 영향을 최소화시킴으로써 밸브 위치에서의 변화를 명령하는 전류입력에서 변하는 반응을 개선시키는데 이롭다. 밸브 요소가 단지 약간 개방될때, 연속의 펄스전에 시트 표면부와의 충돌은 떨림의 결과일 것이고, 밸브요소가 이 하부 범위위에서 작동될때 얻게 되는 중대한 이익을 제외하고, 그 자체적으로는 바랄 수 없고; 그리고, 먼저 설명될 바와같이, 이런 영향은 밸브요소와 시트 개방 사이의 일정 개방지역을 하부 범위내에서의 초기 변위에 제공하는 도 2의 밸브 요소 설계에 의해 개선될 것이다. 떨림의 양을 상당히 작게할 수 있고, 사실 과도한 떨림은 퍼지 흐름내의 바라지 않는 파동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또한, 히스테리시스의 영향은 솔레노이드 코일내의 전류를 제어하고 분배하는데 사용되는 회로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도 10은 예시적인 회로를 도시하고 있다. 그 회로는 3단자 반도체 구동기(600), 전류감지 저항기(602), 신호조절증폭기(604), A/D(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606), 그리고 전류 기준/제어 논리(608)로 구성되어 있다. 반도체 구동기(600)는 이것의 주된 전도단자(600a, 600b) 사이에 제어된 전도성 통로를 가지고 있다. 단자(600a)는 접지되고, 단자(600b)는 저항기(602)의 하나의 단자에 연결된다. 저항기(602)의 다른 단자는 솔레노이드 코일(9)의 하나의 단자에 연결되고 솔레노이드 코일(9)의 다른 단자는 바람직하게 잘 조절되는 양의 DC 전위에 연결된다. 반도체 구동기(600)는 단자(600a, 600b)사이의 주된 전도통로를 통한 전도율을 제어하는 제어입력단자(600c)를 더 가지고 있다. 단자(600c)는 저항기(612)를 통해 연결되어서, 전류 기준/제어 논리(608)에서 나오는 PWM 출력신호는 구동기(600)의 제어 입력부에 인가된다. 신호조절증폭기(604)의 입력부는 저항기(602)를 가로질러 연결되어 있고, 이것의 출력부는 A/D 변환기(606)의 입력부에 연결되어 있다. A/D변환기(606)의 출력부는 전류 기준/제어 논리(608)의 하나의 입력부에 연결되는 한편, 전류 기준/제어 논리의 다른 입력부는 바라는 PWM 신호를 솔레노이드 코일에 명령하는 신호를 제공하는 소스로부터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이 회로소자의 다수는, 저항기(602)를 제외하고, 혹은 구동기(600),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양자의 결합중 어느 하나내의 마이크로-제어기-기본 엔진 조정 컴퓨터에 예시되어 있을 수 있다.
저항기(602), 조절 증폭기(604), A/D변환기(606), 그리고 전류 기준/제어 논리(608)는 보상하는데 사용되는 코일 전류 피드백 정보를 구리선형성 코일(9)의 저항을 변화시키는 온도변화에 제공한다. 이 방식으로, 코일내의 바라는 전류를 바꿀수 있는 그 코일저항에서의 온도 유도변화의 영향은 필수적으로 제거된다. 코일의 한 단자에 인가되는 DC 공급전압이 잘 조절되지 않는다면, 이것은 모니터될수 있고, 임의 변이는 비슷한 방식으로 보상될 수 있다. 이런 보상은 코일내의 전류는 엔진 조정 컴퓨터에 의해 명령되는 것이다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그 보상은 구동기(600)를 작용하는데 인가되는 실제 펄스의 펄스폭을 조절로서 나타내고, 이런 보상은 때때로 스위칭 일정 전류 제어로서 명명된다.
히스테리시스는 바라는 위치를 같은 방향으로부터 항상 접근되게 하는 제어전략을 사용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도 8은 하강흐름특성과 상승흐름 특성 모두를 도시하고 있다. 이런 제어 전략을 활용함으로써, 명령된 위치는 이 두 특성중 단지 하나를 따라 항상 접근될 것이다. 예를 들어, 상승 흐름 특성이 사용되어야 한다면, 그리고 밸브가 증가하는 개방방향으로 이동되게 명령된다면, 명령 입력원소는 바라는 목표지점에 있다. 한편, 밸브가 감소하는 개방 방향으로 이동되게 명령된다면, 명령 입력은 먼저 감소하는 개방의 방향으로 약간의 과도를 일으켜야 하고(밸브는 실제로 하강흐름특성을 따르게 될수 있으므로), 그 후에, 명령은 목표지점에서 증가하면서 개방되게 명령하여야 한다(밸브가 상승흐름 특성을 따르는 동안).
본 발명의 현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설명되고 묘사되는 동안에, 이론은 다음 청구항의 범위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과 도 3은 하나의 세트 스크류 구경조정을 도시하는 동안에, 이런 구경조정을 조립체에 앞서 올바른 개개의 스프링의 선택에 의해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런 선택은 대량 생산 목적에서는 더 비용이 들어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이한 회로소자는 동등한 방식으로 형성하는 제어회로를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오리피스는 퍼지흐름로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캐니스터 포트(23)의 입구에 배치되어 고정된 오리피스로 구성되어 있는 고리모양의 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오리피스부재는 퍼지 흐름 특성에서의 균형잡힌 감소를 제공하고, 이것은 테이퍼진 축밸브 요소가 시트요소를 통한 더 이상의 제한되지 않은 흐름에서 충분히 열릴때 자체적으로 퍼지밸브의 흐름 특성을 한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변화가능한 오리피스가 퍼지 흐름로에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변화가능한 오리피스는 퍼지 밸브 요소와 다기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19)

  1. 연료 탱크내의 휘발성 연료에 의해 발생된 증기를 수집하는 연료 증기 수집 캐니스터와 엔진의 흡기다기관사이에 배치된 전기 작동식 캐니스터 퍼지밸브가 상기 캐니스터 퍼지밸브에 의해 퍼지 흐름이 허용될 정도로 설정하는 퍼지 제어 신호에 따라서 상기 흡기 다기관에 상기 캐니스터의 퍼지를 제어하는 내연기관 연료 시스템용 증기수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 퍼지 밸브는
    중앙의 세로 축 주위에 배치된 전자기 코일을 가진 솔레노이드;
    상기 코일내의 전류 흐름의 결과로 발생되는 자속을 전도하는 상기 코일과 연관된 고정자 구조물로서, 이런 축을 따라 상기 코일을 통해 뻗어있는 관통구멍내에 배치된 공극으로 구성되어 있는 상기 고정자 구조물;
    상기 코일내의 전류흐름의 결과인 작용 자기력으로서 상기 축을 따라 위치 조정하는 상기 공극 근처에 배치되어 있는 전기자;
    캐니스터 퍼지 밸브가 상기 캐니스터로부터 상기 다기관으로의 흐름을 제한할 정도로 만들기위해 밸브 시트와 연관하여 상기 전기자로 그리고 상기 전기자에 의해 축선상으로 위치 조정되는 밸브 요소;
    상기 밸브를 증가적으로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전기자에 작용하는 자기력의 축선성분이 평균 전류흐름의 작동 범위에 걸쳐서 상기 코일내의 평균 전류 흐름에 선형적으로 연관되도록 상기 고정자 구조물과 관련성이 있는 상기 전기자; 그리고
    상기 밸브 시트쪽으로 상기 전기자와 밸브 요소를 가압하는 스프링힘을 발휘하는 가압 스프링; 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수집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스프링은 선형 힘 대 압축 특성을 또한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수집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는 강자성 튜브로 구성되어있고 그리고 상기 밸브요소는 억지끼워맞춤된 상기 튜브상으로 비 강자성 축의 끝 근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수집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상기 전기자의 축선상으로 양쪽에 배치된 상·하 베어링에 의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수집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상기 상부베어링에 의해 가이드되는 상부 축 부재와 상기 하부 베어링에 의해 가이드되는 하부 축 부재로 각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나의 축 부재에 작용하는 힘의 일정 방사상 성분의 전달이 다른 하나의 축 부재에 전달되는 것을 피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수집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는 상기 상부 축 부재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하나의 축 부재에 작용하는 힘의 일정 방사성 성분의 전달이 다른 하나의 축 부재에 전달되는 것을 피하게 하는 수단은 상기 전기자와 상기 하부 축 부재 사이의 중간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수집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요소는 상기 전기자와 작동적인 연관이 있게 뻗어있는 축의 끝 근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수집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는 상기 축에 억지끼워맞춤된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수집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는 상기 밸브요소 반대편의 상기 축의 끝이 안쪽에 배치되어 있는 막힌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막힌 구멍은 상기 밸브요소 반대편의 상기 축의 상기 끝이 지지되는 베이스를 가지고 있고, 상기 베이스를 지탱하고 있는 상기 샤프트의 상기 끝은 상기 베이스에 대항하여 지탱하는 둥근표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축이 상기 전기자의 위치조정을 따르도록 상기 베어스에 대하여 상기 둥근표면을 가압하는 스프링힘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수집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요소와 상기 시트는 일정 최소치를 초과하는 다기관 진공크기에 대하여 그리고 상기 시트로 부터 상기 밸브요소의 일정 최소한의 착좌이탈에 대해 음속 흐름을 제공하기 위해 형태지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수집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숄더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 요소의 팁 끝은 밸브를 폐쇄하도록 상기 숄더상에 착좌되는 밀봉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수집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일자원통형의 구멍부로부터 뻗어 있는 원뿔대의 시트 표면부로 구성되어있고, 상기 밸브요소는 밸브가 닫힐때 상기 원뿔대의 시트 표면부에 대하여 밀폐하기 위해 상기 축상에 배치된 O-링 시일과 밸브가 닫힐때 닫힌 것에서 벗어난 밸브위치의 일정 범위위에 있을때 상기 일자원통형 구멍부에 배치된 상기 일자원통형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수집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의 축선운동에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전기자 주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공극을 걸치기 위해 상기 고정자 구조와 맞물려 있는 비 강자성 슬리브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수집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요소는 테이퍼진 핀틀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수집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포트와 상기 다기관 사이에 배치된 진공 조절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수집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진 핀틀 밸브가 시트 요소를 통한 흐름을 더 이상 제한하지 않게 충분히 열릴때 퍼지밸브에 대한 흐름특성을 한정하기 위해 퍼지 흐름로에서 배치되어있는 오리피스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수집 시스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는 강자성 튜브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요소는 상기 축이 상기 전기자를 통해 완전히 뻗어있도록 상기 튜브가 억지끼워맞춤된 중앙부상에 비강자성 축의 끝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수집 시스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는 대기쪽의 추출 오리피스를 가진 밀폐된 몸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수집 시스템.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입구포트로 연속하여 체크 밸브와 추출 오리피스를 가진 밀폐된 몸체에 체크밸브가 상기 몸체에서 상기 입구 포트로의 방향으로만 상기 오리피스를 통해 흐르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수집 시스템.
KR1019970708276A 1995-05-19 1996-05-07 개량된퍼지밸브를가진캐니스터퍼지시스템 KR1003289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447,166 US5551406A (en) 1995-05-19 1995-05-19 Canister purge system having improved purge valve
US8/447,166 1995-05-19
US08/447166 1995-05-19
PCT/CA1996/000286 WO1996036805A1 (en) 1995-05-19 1996-05-07 Canister purge system having improved purge val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930A true KR19990014930A (ko) 1999-02-25
KR100328946B1 KR100328946B1 (ko) 2002-05-10

Family

ID=23775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8276A KR100328946B1 (ko) 1995-05-19 1996-05-07 개량된퍼지밸브를가진캐니스터퍼지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551406A (ko)
EP (1) EP0826104B1 (ko)
JP (1) JP3811503B2 (ko)
KR (1) KR100328946B1 (ko)
CN (1) CN1070575C (ko)
DE (1) DE69611523T2 (ko)
WO (1) WO19960368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7767B2 (ja) * 1995-09-22 2002-04-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蒸発燃料処理装置
US5630403A (en) * 1996-06-13 1997-05-20 Siemens Electric Limited Force-balanced sonic flow emission control valve
JP3452900B2 (ja) * 1997-07-25 2003-10-06 ジーメンス カナダ リミテッド 調整された線形パージソレノイドバルブ
US6196202B1 (en) 1997-07-28 2001-03-06 Siemens Canada Limited Evaporative emission system for low engine intake system vacuums
US6102364A (en) * 1997-07-30 2000-08-15 Siemens Canada Limited Control accuracy of a pulse-operated electromechanical device
US5967487A (en) * 1997-08-25 1999-10-19 Siemens Canada Ltd. Automotive emission control valve with a cushion media
US6000677A (en) * 1997-08-25 1999-12-14 Siemens Canada Limited Automotive emission control valve with a counter-force mechanism
US5878725A (en) * 1997-10-07 1999-03-09 Borg-Warner Automotive, Inc. Canister vent/purge valve
US5970958A (en) * 1997-10-10 1999-10-26 Eaton Corporation Fuel vapor purge control
US5975053A (en) * 1997-11-25 1999-11-02 Caterpillar Inc. Electronic fuel injection quiet operation
US5967183A (en) * 1998-01-13 1999-10-19 Eaton Corporation Controlling vapor flow in a conduit
US6205982B1 (en) * 1998-05-15 2001-03-27 Chrysler Corporation Proportional purge solenoid control system
US6053472A (en) * 1998-10-16 2000-04-25 Eaton Corporation Rotary solenoid operated proportional flow control valve
US6069783A (en) * 1998-11-06 2000-05-30 Hi-Stat Manufacturing Compan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olenoid valve
US6363920B1 (en) 2000-05-25 2002-04-02 Eaton Corporation Proportional solenoid for purging fuel vapors
DE10310109B4 (de) * 2003-03-06 2009-08-20 Carl Freudenberg Kg Anordnung zum dosierten Einspeisen von flüchtigen Kraftstoffbestandteilen, insbesondere in das Ansaugrohr einer Verbrennungs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s
US7209020B2 (en) 2003-06-09 2007-04-24 Borgwarner Inc. Variable force solenoid
KR101010481B1 (ko) * 2003-12-13 2011-01-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거치대
EP1948966A1 (en) * 2005-11-14 2008-07-30 Borgwarner, Inc. Actuator with integrated drive mechanism
US9103302B2 (en) * 2010-08-25 2015-08-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ual electromagnetic valve and evaporated gas treatment system
JP5862503B2 (ja) * 2012-07-30 2016-02-16 株式会社デンソー リニアソレノイド
CN104448232B (zh) 2013-09-13 2017-12-15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氨基磺酸改性的多异氰酸酯及其制备方法和用途
FR3027956B1 (fr) * 2014-10-31 2016-11-04 Renault Sa Procede de diagnostic du fonctionnement de la purge d'un canister
CN110043395A (zh) * 2019-04-28 2019-07-23 瑞福汽车控制系统(上海)有限公司 一种带电磁阀控制模块的油箱隔离阀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3165A (en) * 1971-07-15 1972-11-21 Gen Motors Corp Fuel tank vent control
JPS5715167A (en) * 1980-07-01 1982-01-26 Tohoku Mikuni Kogyo Kk Proportional control valve for gas
JPH0692743B2 (ja) * 1985-04-01 1994-11-16 日本電装株式会社 流体制御用電磁弁
DE3633107A1 (de) * 1986-04-10 1987-10-15 Bosch Gmbh Robert Kraftstoffeinspritzvorrichtung fuer brennkraftmaschinen
US4966195A (en) * 1987-06-25 1990-10-30 Colt Industries Inc. Transmission pressure regulator
US4951643A (en) * 1987-09-16 1990-08-28 Nippondenso Co., Ltd. Fuel vapor treatment apparatus
US4944276A (en) * 1987-10-06 1990-07-31 Colt Industries Inc Purge valve for on board fuel vapor recovery systems
GB8807137D0 (en) * 1988-03-25 1988-04-27 Lucas Ind Plc Fuel injection pumping apparatus
US5040559A (en) * 1989-02-06 1991-08-20 Mks Instruments, Inc. Modulating positive shutoff mechanism
US5174262A (en) * 1989-04-14 1992-12-29 Brunswick Corporation Control valve for fuel injection
US5054454A (en) * 1989-11-09 1991-10-08 Ford Motor Company Fuel vapor recovery control system
US5115785A (en) * 1990-05-01 1992-05-26 Siemens Automotive Limited Carbon canister purge system
US5191870A (en) * 1991-03-28 1993-03-09 Siemens Automotive Limited Diagnostic system for canister purge system
US5265842A (en) * 1992-10-01 1993-11-30 Federal-Mogul Corporation Emission control metering valve
US5237980A (en) * 1992-12-02 1993-08-24 Siemens Automotive Limited On-board fuel vapor recovery system having improved canister purging
US5311905A (en) * 1993-01-26 1994-05-17 Hytech Pumps International Inc. Remote dump and safety valve
US5277167A (en) * 1993-02-04 1994-01-11 Lectron Products, Inc. Vapor management valve
DE4303309A1 (de) * 1993-02-05 1994-08-11 Bosch Gmbh Robert Tankentlüftungsanlage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US5413082A (en) * 1994-01-19 1995-05-09 Siemens Electric Limited Canister purge system having improved purge valve
US5429099A (en) * 1994-09-08 1995-07-04 Lectron Products, Inc. Anti-permeation filter for vapor management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51406A (en) 1996-09-03
DE69611523T2 (de) 2001-05-10
EP0826104A1 (en) 1998-03-04
WO1996036805A1 (en) 1996-11-21
EP0826104B1 (en) 2001-01-10
JP3811503B2 (ja) 2006-08-23
KR100328946B1 (ko) 2002-05-10
JPH11505583A (ja) 1999-05-21
DE69611523D1 (de) 2001-02-15
CN1070575C (zh) 2001-09-05
CN1190450A (zh) 1998-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14930A (ko) 개량된 퍼지 밸브를 가진 캐니스터 퍼지 시스템
KR100328956B1 (ko) 개량된퍼지밸브제어부를가진캐니스터퍼지시스템
EP1007837B1 (en) Automotive emission control valve with a counter-force mechanism
US4546795A (en) Solenoid valve
US5967487A (en) Automotive emission control valve with a cushion media
KR100245765B1 (ko) 가변 완충력을 갖는 완충장치
US6899313B2 (en) Magnetic actuator and method
US5277167A (en) Vapor management valve
JP2000193125A (ja) 磁束分路を持つソレノイド式圧力制御弁
US5207245A (en) Solenoid valve and valve calibrating method
EP0435938B1 (en) High pressure, fast response, pressure balanced, solenoid control valve
US6247456B1 (en) Canister purge system having improved purge valve control
WO2005103541A1 (ja) 電磁比例弁の流量特性調整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流量特性調整方法
US4813647A (en) Electromagnetic actuator for controlling fluid flow
JP2003120431A (ja) 動作が緩衝されるリニア電気egrバルブ
US5467749A (en) Apparatus for governing the idling rp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850384A (en) Electric vacuum regulator
JP2620571B2 (ja) 自動車のアイドルスピードコントロールバルブ
EP0908654A2 (en) Flow metering solenoid valve
JPH0435650Y2 (ko)
JPH09178024A (ja) リニアソレノイド弁
JPH10205414A (ja) 比例流量制御弁
JPH0450569A (ja) 比例流量制御バルブ
MXPA99009456A (es) Válvula de control de flujo proporcional operada por solenoide giratorio
JPH04101879U (ja) 電磁制御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