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773U - Malfunction prevention structure of vehicle window switch - Google Patents

Malfunction prevention structure of vehicle window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773U
KR19990014773U KR2019970027989U KR19970027989U KR19990014773U KR 19990014773 U KR19990014773 U KR 19990014773U KR 2019970027989 U KR2019970027989 U KR 2019970027989U KR 19970027989 U KR19970027989 U KR 19970027989U KR 19990014773 U KR19990014773 U KR 199900147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vehicle
window switch
pressing mem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798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동석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70027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4773U/en
Publication of KR199900147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773U/en

Links

Landscapes

  • Window Of Vehicl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의 오동작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의 암레스트 상면에 윈도우를 승강 작동시킬 수 있도록 장착된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에 있어서, 지지 브라켓 상에서 여러 방향의 윈도우를 각 각 독립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시소 작동되는 복수의 누름 부재와, 상기 누름 부재의 상면에 윈도우의 승강 상태를 구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오목면과 볼록면으로 이루어진 승강 표시 부를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누름 부재의 상면에 원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윈도우를 손끝의 접촉만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방향 표시 부재를 더 돌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lfunction preventing structure of a window switch for a vehicle. In the vehicle window switch mounted to lift and operate a window on an upper surface of an armrest, a window in various directions can be independently opened and closed on a support bracket. A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which are actuated so as to actuate a seesaw, and an elevating display portion formed of a concave surface and a convex surfac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so as to distinguish the lifting state of the window, or positioned in a desired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irection indicating member so that the window can be distinguished only by the contact of the fingertip.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손끝의 접촉만으로 여러 방향에 위치한 윈도우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택된 윈도우의 승강 작동을 정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 및 안정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easily select windows located in various directions with the touch of a fingertip, but also make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selected window accurate, thereby further increasing user convenience and stability.

Description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의 오동작 방지 구조Malfunction prevention structure of vehicle window switch

본 고안은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의 오동작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손가락의 접촉만으로 전, 후 또는 좌, 우의 윈도우 방향 뿐만 아니라 승강 작동 상태를 식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차량 윈도우의 개폐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의 오동작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lfunction prevention structure of a window switch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identify a lift operation state as well as the front, rear or left and right window directions only by touching a finger without visual confi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lfunction preventing structure of a window switch for a vehicle that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도 1 은 종래의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vehicle window switch is mounted.

도 1 에서 보면, 차량의 도어(1) 내측에는 운전자나 탑승자의 팔을 의지할 수 있는 암레스트(Armrest)(2)가 부착 설치되고, 상기 암레스트(2)의 상면에는 윈도우(Window)(4)를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는 윈도우 스위치(Window Switch)(3)가 누름 조작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an armrest 2 that can rely on the driver's or occupant's arm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door 1 of the vehicle, and a window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armrest 2. 4) A window switch 3 capable of raising and lowering is mounted to be pressed.

이러한 종래의 윈도우 스위치(3)는, 도 2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 후, 좌, 우측 방향의 윈도우(4)를 각 각 독립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복수의 누름 부재(3a)가 도시되지 않은 전원 접속 기구에 연결되어 지지 브라켓(3b) 상에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onventional window switch 3 is not shown with a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3a capable of independently operating the windows 4 in the front, rear, and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It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connection mechanism and fixed on the support bracket 3b.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3)는 운전자나 탑승자가 원하는 방향의 윈도우(4)를 해당 누름 부재(3a)의 시소 조작에 따라 올리거나 내리게 할 수 있다.The conventional vehicle window switch 3 having such a structure can raise or lower the window 4 in the direction desired by the driver or the occupant according to the seesaw manipulation of the pressing member 3a.

그러나, 윈도우(4)가 어느 정도 개방된 상태에서 이를 승강 작동시킬 때 상, 하향의 작동 여부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 없으므로 일단 누름 부재(3a)를 눌러 본 후 상기 윈도우(4)가 움직이는 방향을 일일이 확인하여 계속 진행 여부를 판단하였다.However, when the lift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state where the window 4 is opened to some extent, it is not possible to accurately distinguish the operation of the up and down, so once the pressing member 3a is pressed,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ndow 4 moves is checked. It was determined whether to proceed.

그러므로 차량의 밧데리 소모를 불필요하게 유발시킬 수 있고, 시행 착오를 거듭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Therefore, it can cause unnecessary consumption of the battery of the vehicle, there was an inconvenience that must be repeated trial and error.

또한, 다수의 누름 부재(3a) 중에서 작동되기를 원하는 윈도우(4)에 해당하는 것을 일일이 육안으로 확인하여 조작해야 하는 반면에, 손가락을 더듬어서 조작할 경우에는 역시 원하지 않는 방향의 윈도우(4)를 승강 작동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user must visually check and manipulate the one corresponding to the window 4 desired to be operated among the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3a, while in the case of manipulating the finger, the window 4 in an undesired direction is also operated. There is a problem that lift operation.

이 때, 특히 운전자가 주행 중에 윈도우(4)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위치의 누름 부재(3a)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조작하게 되면, 전방 주시 의무를 소홀히 하게 되어 사고의 위험성이 높게 되므로 안전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In this case, in particular, when the driver visually checks and operates the pressing member 3a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malfunction of the window 4 while driving, the driver's attention to the front is neglected and the risk of an accident increases, so safety It can be a depressing factor.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손가락의 접촉만으로 전, 후 또는 좌, 우의 윈도우 위치(방향) 뿐만 아니라 승강 작동 상태를 식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정확하게 윈도우의 개폐 작동을 유도할 수 있는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의 오동작 방지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dentify the lifting operation state as well as the window position (direction)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nly with the touch of a finger without visual confi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lfunction preventing structure of a vehicle window switch that can induce a window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accurately.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의 오동작 방지 구조는, 도어의 암레스트 상면에 윈도우를 승강 작동시킬 수 있도록 장착된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에 있어서, 지지 브라켓 상에서 여러 방향의 윈도우를 각 각 독립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시소 작동되는 복수의 누름 부재와, 상기 누름 부재의 상면에 윈도우의 승강 상태를 구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오목면과 볼록면으로 이루어진 승강 표시부를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누름 부재의 상면에 원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윈도우를 손끝의 접촉만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방향 표시 부재를 더 돌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lfunction prevention structure of the vehicle window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vehicle window switch mounted to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window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rmrest of the door, the window in various directions on the support bracket A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which are actuated by a seesaw operation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an elevating display portion having a concave surface and a convex surface formed so as to distinguish a rising / lowering state of a window on an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or an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rection indicating member further protrudes so that the window located in the desired direction can be distinguished only by the contact of the fingertip.

도 1 은 종래의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vehicle window switch is mounted.

도 2 는 도 1 의 A - A 선 단면도.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FIG.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의 오동작 방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lfunction preventing structure of the window swi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도 3 의 B - B 선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도 5 및 도 6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의 오동작 방지 구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5 and 6 are mai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lfunction preventing structure of a window swi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도어, 20 : 암레스트,10: door, 20: armrest,

30 : 윈도우 스위치, 32 : 누름 부재,30: window switch, 32: pressing member,

34 : 승강 표시부, 34a : 오목면,34: elevation display portion, 34a: concave surface,

34b : 볼록면, 36 : 지지 브라켓,34b: convex surface, 36: support bracket,

38 : 방향 표시 부재, 40 : 윈도우.38: direction display member, 40: window.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의 오동작 방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는 도 3 의 B - B 선 단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lfunction preventing structure of a window swi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

상기 도면에서, 차량의 도어(10) 내측에는 운전자나 탑승자의 팔을 의지할 수 있는 암레스트(Armrest)(20)가 부착 설치되고, 상기 암레스트(20)의 상면에는 윈도우(Window)(40)를 승강시킬 수 있는 윈도우 스위치(Window Switch)(30)가 누름 조작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In the figure, an armrest 20 that can rely on a driver's or occupant's arm is installed inside the door 10 of the vehicle, and a window 40 is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armrest 20. The window switch 30 which can raise / lower) is mounted so that it can be pressed.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30)는, 여러 방향의 윈도우(40)를 각 각 독립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복수의 누름 부재(32)가 도시되지 않은 전원 접속 기구에 연결된 상태로 지지 브라켓(36) 상에 시소 작동될 수 있도록 고정된다.That is, the vehicle window switch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upports a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32 that can independently open and close the windows 40 in various directions, respectively, in a state connected to a power connection mechanism (not shown). It is fixed to the seesaw operation on the bracket (36).

특히, 상기 누름 부재(32)는 그 상면에 윈도우(40)의 승강 상태를 손끝의 접촉만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승강 표시부(34)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승강 표시부(34)는 오목면(34a)과 볼록면(34b)을 동시에 이루고 있다.In particular, the pressing member 3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display portion 34 so that the lifting state of the window 40 can be distinguished only by the touch of the fingertips, and the elevating display portion 34 has a concave surface 34a. The convex surface 34b is simultaneously formed.

한편, 도 5 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승강 표시부(34)의 요철면(34a)(34b)이 형성된 누름 부재(32) 상면에 전, 후나 좌, 우 방향에 위치한 윈도우(40)를 구분할 수 있는 방향 표시 부재(38)가, 예를 들어 화살표나 간단한 도형의 형상으로 여러 방향을 지시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거나 부착되면, 더욱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5, the window located in the front, rear, left, right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32, the uneven surface 34a, 34b of the elevating display portion 34 is formed It is more preferable if the direction indicating member 38 capable of distinguishing 40 from each other is projected or attached so as to indicate various direction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n arrow or a simple figure.

또한, 도 6 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종래와 같이 편평한 단면을 갖는 누름 부재(32) 상에 전술한 바와 같은 방향 표시 부재(38)를 돌출 구비하고, 상기 방향 표시 부재(38)의 상면에 오목면(34a)과 볼록면(34b)으로 이루어진 승강 표시부(34)를 갖추게 되어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the direction indicating member 38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on the pressing member 32 having a flat cross section as in the prior art, and the direction indicating member It is preferable to equip the upper surface of (38) with the elevation display section 34 composed of the concave surface 34a and the convex surface 34b.

이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른 본 고안의 윈도우 스위치(30)에서, 우선, 운전자나 기타 탑승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필요 없이 누름 부재(32)에 형성된 승강 표시부(34)의 오목면(34a)과 볼록면(34b) 중에서, 예를 들어 상기 오목면(34a)을 누르게 되면 윈도우(40)가 내려가도록 세팅된 경우에는 이에 따라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누르게 되면, 원하는 방향으로 윈도우(40)를 승강 작동시킬 수 있다.In the window switch 30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such embodiments, first, the concave surface 34a and the convex surface of the elevating display portion 34 formed on the pressing member 32 without the driver or other occupants having to check visually. For example, when the window 40 is set to descend when the concave surface 34a is pressed, the window 40 can be moved up and down in a desired direction. have.

더욱이, 전, 후나 좌, 우측에 위치한 윈도우(40)중 하나를 선택하여 작동시킬 때에도 육안으로 일일이 확인할 필요가 없이 방향 표시 부재(38)를 손끝으로 접촉시켜 작동시킬 윈도우(40)의 방향을 간단히 식별할 수 있다.Moreover, even when selecting and operating one of the windows 40 located before, after, left and right, the direction of the window 40 to be operated simply by touching the direction indicating member 38 with the fingertips is not required. Can be identified.

물론, 이 때에도 누름 부재(32)나 방향 표시 부재(38)의 상면을 따라 형성된 오목면(34a)과 볼록면(34b) 중 하나를 선택하여 누르게 되면, 원하는 윈도우(40)의 위치를 쉽게 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선정된 윈도우(40)의 승강 작동도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정확하게 수행시킬 수 있다.Of course, at this time, if one of the concave surface 34a and the convex surface 34b form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32 or the direction indicating member 38 is selected and pressed, the desired position of the window 40 can be easily selected. At the same time,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selected window 40 can also be accurately performed without visual confirmation.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손끝의 접촉만으로 여러 방향에 위치한 윈도우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택된 윈도우의 승강 작동을 정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 및 안정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not only the windows located in various directions can be easily selected with the touch of a fingertip, but also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selected window can be precisely increased, which can further increase the user's convenience and stability.

Claims (4)

도어의 암레스트 상면에 윈도우를 승강 작동시킬 수 있도록 장착된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에 있어서,In the window switch for a vehicl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rmrest to move the window up and down, 지지 브라켓 상에서 여러 방향의 윈도우를 각 각 독립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시소 작동되는 복수의 누름 부재와,A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which are operated on a seesaw to open and close windows in various directions independently on the support bracket; 상기 누름 부재의 상면에 윈도우의 승강 상태를 손끝의 접촉만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승강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의 오동작 방지 구조.Lifting display uni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so as to distinguish the lifting state of the window only by the touch of the fingertip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누름 부재의 상면에는 원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윈도우를 손끝의 접촉만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방향 표시 부재를 더 돌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의 오동작 방지 구조.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further comprises a direction display member protruding so that the window located in the desired direction can be distinguished only by the touch of the fingertips.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방향 표시 부재의 상면 자체가 윈도우의 승강 상태를 손끝의 접촉만으로 구분할 수 있는 승강 표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의 오동작 방지 구조.The upper surface of the direction display member itself is a malfunction preventing structure of the window switch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the lifting display unit that can distinguish the lifting state of the window only by the touch of the fingertip.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그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승강 표시부는 오목면과 볼록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의 오동작 방지 구조.The lift display unit is a malfunction preventing structure of the window switch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nvex surface.
KR2019970027989U 1997-10-09 1997-10-09 Malfunction prevention structure of vehicle window switch KR19990014773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989U KR19990014773U (en) 1997-10-09 1997-10-09 Malfunction prevention structure of vehicle window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989U KR19990014773U (en) 1997-10-09 1997-10-09 Malfunction prevention structure of vehicle window swit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773U true KR19990014773U (en) 1999-05-06

Family

ID=69678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7989U KR19990014773U (en) 1997-10-09 1997-10-09 Malfunction prevention structure of vehicle window swi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4773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300B1 (en) * 2006-10-31 2008-03-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he power switch for the sensory perception type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300B1 (en) * 2006-10-31 2008-03-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he power switch for the sensory perception type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2485B2 (en) Motor vehicle roof with a control means for electrical motor vehicle components and process for operating electrical motor vehicle components
US6657140B2 (en) System for controlling a window operator
EP1978535B1 (en) Control panel located in a vehicle door armrest
JP2002329445A (en) Capacitive command device of functional device or the like for automobile and parts for equipment provided with such device
JP2001243850A (en) Composite switch device
CN110869235A (en) Opera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JPH07272591A (en) Door lock switch for automobile
KR102276019B1 (en) Morphing type power window switch device of vehicle
JP2016031800A (en) Switch device for vehicle
CN113279657B (en) Window control method, window control device and vehicle
KR102100983B1 (en) Power window switch device for vehicle
KR19990014773U (en) Malfunction prevention structure of vehicle window switch
JP7220576B2 (en) switch device
JPH09109802A (en) Operating device for automobile
KR100872742B1 (en) Power window switch module for automobile
KR19990014775U (en) Malfunction prevention structure of vehicle window switch
JP4689897B2 (en) Power window switch
US20220017023A1 (en) Roof console for a vehicle
EP0615884B1 (en) Power window safety switch
JP2000076962A (en) Power window control device
EP0610161B1 (en) Improved safety switch specifically designed for application to motor vehicle power windows
JP2630315B2 (en) Switch device
JPH0345406Y2 (en)
JP2817833B2 (en) Power window switch
CN214607374U (en) Combined switch of automobile electric wind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