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415A - 주유기의 유류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주유기의 유류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415A
KR19990014415A KR1019980047535A KR19980047535A KR19990014415A KR 19990014415 A KR19990014415 A KR 19990014415A KR 1019980047535 A KR1019980047535 A KR 1019980047535A KR 19980047535 A KR19980047535 A KR 19980047535A KR 19990014415 A KR19990014415 A KR 19990014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il
amount
predetermined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7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9186B1 (ko
Inventor
강임준
Original Assignee
강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임준 filed Critical 강임준
Priority to KR1019980047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9186B1/ko
Publication of KR19990014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9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91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6Arrangements of flow- or pressure-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56Arrangements of flow-indicators, e.g. transparent compartments, windows, rotary v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58Arrangements of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6Arrangements of devices for purifying liquids to be transferred, e.g. of filters, of air or water separators
    • B67D7/763Arrangements of devices for purifying liquids to be transferred, e.g. of filters, of air or water separators of air se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유기의 유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유류 중에 혼합된 상태로 펌핑되다가 공기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량을 검출하여 설정값 이상의 공기가 유류중에 혼합되어 펌핑될 경우 급유동작이 자동적으로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주유기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과, 유류 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저장탱크 내의 유류를 소정의 경로로 펌핑해 주는 펌프와, 소정의 경로에 의해 상기 펌프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펌핑되는 유류중에 혼합된 공기를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분리수단과, 상기 공기분리수단과 연결된 공기통로상에 설치되어 공기의 배출량에 따라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공기량 검출센서와, 소정의 경로에 의해 상기 공기분리수단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공기분리수단을 경유한 유류가 통과되면서 소정의 펄스를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 유량계와, 상기 유량계를 경유한 유류경로상에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공기량 검출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적인 신호값과 데이터저장부에 설정된 제한신호값을 비교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구동수단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전달해주고, 상기 유량계로부터 전달받은 펄스를 계수하며, 데이터저장부에 미리 금액이 설정된 경우에는 설정금액과 현재금액을 비교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구동수단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전달해 주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부터 계수된 유량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에 나타내주는 표시부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상기 주유기는 공기분리수단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량을 측정하여 유류와 혼합된 공기량이 설정값 이상일 경우 자동적으로 급유 동작이 차단되므로, 혼합된 공기에 의해 주유량이 잘못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유기의 유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주유기의 유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류 중에 혼합된 상태로 펌핑되다가 공기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검출하여 설정값 이상의 공기가 유류중에 혼합되어 펌핑될 경우 급유 동작을 자동적으로 차단시키므로써, 유류중에 혼합된 공기에 의해 주유량이 잘못 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주유기의 유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유기는 탱크 내에 저장된 유류를 소비자에게 원하는 양만큼 공급해주는 장치로서, 주유소 등의 지하탱크로부터 소정량의 유류를 공급해 주는 고정식 주유기와, 급유차량 등에 탑재된 탱크로부터 소정량의 유류를 공급해 주는 이동식 주유기로 구분된다.
상기 주유기의 내부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모터와, 이러한 구동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펌프가 마련되어 탱크내에 저장된 유류를 소정의 경로로 펌핑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해 주게 된다.
상기 펌프의 상부에는 공기분리수단이 구비되어 유류중에 혼합된 공기를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되며, 이러한 공기분리수단을 통과한 유류는 유량계를 통과하면서 소정의 펄스가 발생되어 소비자에게 공급되는 유류의 양을 계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량계에서 발생된 소정의 펄스는 제어부 내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달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내장된 계수기에 의해 상기 펄스를 계수하므로써 주유량을 카운트하여 표시부에 전달해 주고 표시부에서는 이를 금액 또는 리터 등으로 나타내주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주유기에 있어서는 상기 공기분리수단에 의해 대부분의 공기가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되고, 일부의 공기만이 유류와 혼합되어 공급되지만, 상기 유류중에 혼합된 공기량이 일정량 이상일 경우에는 공기분리수단의 작동이 불완전하여 유류중에 다량의 공기가 혼합된 상태로 소비자에게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탱크에 저장된 유류의 잔량이 부족하여 일정량 이상의 공기가 유류와 함께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공기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되지 않은 다량의 공기가 유량계를 작동시켜 유류가 공급되는 것처럼 계수되므로, 정확한 양의 급유가 어려워지며, 미리 일정금액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급유하는 경우에도 설정한 금액에 대응되는 양보다 작은 양의 유류가 공급되기 때문에 소비자의 신뢰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특히, 이동식 주유기에 있어서는 공기의 유입 가능성이 많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저장탱크의 용량이 한정되어 유류의 잔량이 부족한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경우도 탱크의 내부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없도록 밀폐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유류중에 혼합된 공기에 의해 유량계가 작동되어 잘못된 주유량을 표시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류 중에 혼합된 상태로 펌핑되다가 공기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량을 검출하여 설정값 이상의 공기가 유류중에 혼합되어 펌핑될 경우 급유를 자동적으로 차단시키므로써, 정확한 량의 급유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소비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주유기의 유류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주유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주유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펌프와 공기분리수단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공기량 검출센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공기량 검출센서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유량계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어부의 블록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류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동수단 20 : 펌프
20a : 로터 20b : 베인
30 : 공기분리수단 31 : 휠터실
35 : 공기분리실 40 : 공기량 검출센서
44 : 밸브 46 : 자석
47 : 센서 50 : 유량계
54 : 실린더 55 : 회전밸브
56 : 피스톤 59 : 펄스발생기
60 : 노즐 63 : 솔레노이드밸브
70 : 제어부 71 : 마이크로 프로세서
73 : 데이터저장부 75 : 금액설정부
80 : 표시부
본 발명에 따른 주유기의 유류 공급장치는 주유기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과, 유류 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저장탱크 내의 유류를 소정의 경로로 펌핑해 주는 펌프와, 소정의 경로에 의해 상기 펌프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펌핑되는 유류중에 혼합된 공기를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분리수단과, 상기 공기분리수단과 연결된 공기통로상에 설치되어 공기의 배출량에 따라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공기량 검출센서와, 소정의 경로에 의해 상기 공기분리수단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공기분리수단을 경유한 유류가 통과되면서 소정의 펄스를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 유량계와, 상기 유량계를 경유한 유류경로상에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공기량 검출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적인 신호값과 데이터저장부에 설정된 제한신호값을 비교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구동수단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전달해주고, 상기 유량계로부터 전달받은 펄스를 계수하며, 데이터저장부에 미리 금액이 설정된 경우에는 설정금액과 현재금액을 비교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구동수단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전달해 주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부터 계수된 유량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에 나타내주는 표시부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주유기의 유류 공급장치에서 상기 공기량 검출센서는 공기통로상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일측에는 배출되는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입구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출구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입구 내측에 위치되어 유입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 입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거나 밀착되도록 탄성수단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고, 반대편 단부에는 소정의 영구자석이 구비된 밸브와, 상기 밸브에 구비된 영구자석과 인접된 위치에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밸브의 유동에 따른 자기력 변화량에 의해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가 발생되는 센서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주유기의 유류공급장치 제어방법은 구동수단이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면서 펌프에 동력을 전달해 주므로써, 탱크에 저장된 유류를 소정의 경로로 압송해주는 펌핑단계와, 상기 펌핑단계에서 압송된 유류중에 혼합된 공기를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분리단계와, 상기 공기분리단계에서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공기량 검출단계와, 상기 공기량 검출단계에서 발생된 소정의 신호값을 데이터저장부에 미리 설정된 제한신호값과 비교하는 비교판단단계와, 상기 비교판단단계에서 공기량 검출센서의 신호값이 제한신호값보다 클 경우 솔레노이드밸브를 차단시키고, 구동수단을 정지시키는 급유차단단계와, 상기 공기분리수단을 경유한 유류가 유량계를 통과하면서 그 유량에 따라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주유량 감지단계와, 상기 유량계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를 계수하여 표시부에 나타내 주는 급유량 계수 및 표시단계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유기의 유류 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주유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주유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주유기는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구동수단(10)과, 이러한 구동수단(10)에 의해 작동되는 펌프(20)와, 상기 펌프(20)에 의해 압송되는 유류 중에 혼합된 공기를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공기분리수단(30)과, 이러한 공기분리수단(30)과 연결된 공기통로(38)상에 설치된 공기량 검출센서와, 상기 공기분리수단(30)을 경유한 유류가 통과되면서 소정의 펄스를 발생시키는 유량계(50)와, 상기 유량계(50)를 경유한 유류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70)의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63)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63)를 경유한 유류경로에 연결된 노즐(60)및 토출건(65)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펌프와 공기분리수단의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펌프(20)는 베인펌프로서, 상기 펌프(20)의 입구(21)쪽에는 유류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스트레이너(21a)와, 유류의 역류 방지를 위한 흡입측 체크밸브(22)가 마련되고, 펌프(20)의 출구(25)쪽에는 압송되는 유류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릴리이프밸브(23)가 마련된다.
상기 펌프(20)는 로터(20a)와 베인(20b)이 동시에 회전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로터(20a)는 케이싱(20c) 내부에 소정 거리 편심되게 설치되어 상기 로터(20a)와 케이싱(20c)의 편심에 의한 체적의 차이만큼의 유류가 흡입되고 압송된다.
상기 공기분리수단(30)은 펌프의 출구(25)와 연결되어 압송되는 유류중에 혼합된 수분을 분리하는 휠터(31a)와, 상기 휠터실(31) 상단에 설치된 공기밸브(31b)와, 상기 공기밸브(31b)를 통해 이송된 공기와 상기 공기중에 혼합된 유류를 집합시켜 공기만을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분리실(35)과, 상기 공기분리실(35) 바닥면으로부터 펌프의 입구(21)쪽으로 연결되어 상기 공기분리실(35)에 집합된 유류를 다시 소정의 유류경로로 순환시키는 순환경로(36)와, 상기 순환경로(36)의 입구측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분리실(35) 내에 유류가 일정량 이상 집합되었을 경우에만 순환경로(36)를 개방시켜 주는 플로트밸브(37)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공기분리실(35) 상단에는 분리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출구(38)가 마련되며, 상기 휠터(31a)를 통과한 유류는 출구(32)를 통해 소정의 유류경로로 압송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출구(32)에는 토출측 체크밸브(33)가 마련되어 유류의 역류를 방지하게 되며, 동시에 상부의 유류경로상에서 이상압력이 발생되었을 때 이상압력을 상기 펌프(20) 내부로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공기량 검출센서의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량 검출센서(40)는 공기분리수단과 연결된 공기통로(38)상에 설치된 하우징(41)과, 상기 하우징의 입구(42) 내측에 위치되어 유입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 상기 입구(42)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거나 밀착되도록 탄성수단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된 밸브(44)와, 상기 밸브(44)의 후단부에 설치된 영구자석(46)과, 상기 영구자석(46)과 인접된 위치에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 센서(47)(홀센서 또는 자기근접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41)은 공기분리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42)와, 상기 입구(4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출구(43)가 마련된다.
상기 밸브(44)는 하우징(41) 내부에 설치되어 그 선단부가 상기 입구(42)에 끼워지게 되며, 그 후단부에는 일정길이 연장된 로드(45)가 구비되어 그 끝단부에 영구자석(46)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로드(45)의 외주면에는 압축코일스프링(48)이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밸브(44)가 입구(42)에 밀착되도록 탄력 지지되며, 상기 입구(4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될 경우에는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비례하여 입구(42)로부터 소정길이 이격되도록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밸브(44)가 공기의 압력에 의해 입구(42)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면, 상기 밸브(44)의 후단부에 설치된 영구자석(46)이 소정거리 유동됨에 따라 센서(47)(홀센서 또는 자기근접스위치)에 미치는 자기력이 변화되면서 상기 센서(47)에는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가 발생되고, 이러한 센서(47)의 전기적인 신호는 제어부에 전달된다.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공기량 검출센서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량 검출센서의 변형예는 공기분리수단과 연결된 공기통로(38)상에 설치된 하우징(41)과, 상기 하우징의 입구(42) 내측에 위치되어 유입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 상기 입구(42)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거나 밀착되도록 탄성수단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된 밸브(44)와, 상기 밸브(44)의 후단부에 일정길이 연장된 로드(45)와, 상기 로드(45) 끝단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포토센서(49a)(49b)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41)은 공기분리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42)와, 상기 입구(4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출구(43)가 마련된다.
상기 밸브(44)는 하우징(41) 내부에 설치되어 그 선단부가 상기 입구(42)에 끼워지게 되며, 그 후단부에는 일정길이 연장된 로드(4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로드(45)의 외주면에는 압축코일스프링(48)이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밸브(44)가 입구(42)에 밀착되도록 탄력 지지되며, 상기 입구(4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될 경우에는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비례하여 입구(42)로부터 소정길이 이격되도록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밸브(44)가 공기의 압력에 의해 입구(42)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면, 상기 밸브(44) 후단부의 로드(45)가 양측에 설치된 포토센서(49a)(49b)를 가로막아 발광센서(49a)의 신호를 수광센서(49b)에서 감지할 수 없게 되면서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가 제어부에 전달된다.
이외에도,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열체와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주위의 온도가 승하강 됨에 따라 전류의 변화값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해 주는 풍속센서를 채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유량계의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유량계(50)는 소정의 유류경로와 연결된 입구(52) 및 출구(58)와, 각기 90。의 각도로 설치된 4개의 실린더(54)와, 상기 입구(52)와 각 실린더(54) 외측단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순환통로(53a)로 이루어진 하우징(51) 및 상기 하우징(51)의 입구(52) 내측에 회전축(57)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소정 길이 편심되게 설치된 회전밸브(55)와, 상기 회전축(57)과 연결된 상태에서 유입되는 유류에 의해 작동되는 피스톤(56)과, 상기 회전축(37)에 연결된 펄스발생부로 이루어진다.
하우징(51)은 4개의 실린더(54) 중심부에 수직한 방향의 회전축(57)이 마련되고, 상기 입구(52) 중심부에는 실린더(54) 내측 상단의 출구(58)와 연통되는 중심홀(53b)이 마련된다.
회전밸브(55)는 상기 회전축(57)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소정 길이 편심되게 설치된 용기모양의 부재로서, 그 장축부분은 상기 순환통로(53a)와 중심홀(53b)이 서로 연통되도록 위치되고, 그 단축부분은 중심홀(53b)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피스톤(56)은 상기 각 실린더(54)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유류의 압력에 의해 작동되며, 소정의 로울러(56a)와 요크(56b)에 의해 회전축(57) 외주면의 캠(56c)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57)을 연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량계(50)는 회전밸브(55)의 단축부분이 위치되어 입구(52)와 연통되는 순환통로(53a)를 통해 해당되는 실린더(54) 내부로 유류가 유입되고, 상기 유류의 압력에 의해 실린더(54) 내부의 피스톤(56)이 실린더(54) 내측으로 밀리게 되며, 반대방향의 피스톤(56)은 실린더(54) 내부의 유류를 순환통로(53a) 쪽으로 밀어내어 상기 회전밸브(55)와 중심홀(53b)을 통해 하우징(51) 상단의 출구(58)로 토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피스톤(56)은 로울러(56a)와 요크(56b)를 통해 회전축(57)에 설치된 캠(56c)을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회전축(57)은 회전밸브(55)를 4개의 순환통로(53a)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도록 회전시키게 되며, 동시에 펄스발생기를 작동시켜 제어부에서 급유량을 계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어부의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 내에 설치된 마이크로 프로세서(71)는 유량계(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유량 신호를 전달받아 내장된 계수기에 의해 주유량을 카운트하여 표시부(80)에 전달해 준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71)는 외부로 노출된 금액설정부(7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비자가 원하는 금액 또는 주유량을 미리 입력시키게 되면, 상기 데이터저장부(73) 내에 원하는 금액에 해당되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유량계(50)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적인 신호에 해당되는 금액과 비교하여 현재금액이 설정된 금액과 동일할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63)를 차단시키고, 구동수단(10)을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71) 내에는 데이터저장부(73)가 마련되어 소정의 공기량 제한신호값이 미리 설정된 상태에서 공기통로상에 설치된 공기량 검출센서(40)로부터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받아 설정된 제한신호값과 비교하며, 이때 상기 공기량 검출센서(40)의 신호값이 제한신호값보다 클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63)를 차단시키고, 동시에 상기 구동수단(10)에 정지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작동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주유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주유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류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순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외부로부터 전원이 입력되면(ST-1),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수단(10)이 회전되면서 펌프(20)를 작동시켜 탱크에 저장된 유류를 소정의 경로에 의해 공기분리수단(30)으로 펌핑하게 되고(ST-2), 상기 공기분리수단(30)에서는 유류중에 혼합된 공기를 분리하여 외부와 연결된 공기통로(38)로 배출시킨다.
이때, 도 4의 공기량 검출센서(40)는 배출되는 공기의 양에 비례하여 대응되는 전기적인 신호값을 제어부(70)에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70) 내의 마이크로 프로세서(71)에서는 데이터저장부에 미리 입력된 제한신호값과 공기량 검출센서(40)의 신호값을 비교하여 상기 공기량 검출센서(40)의 신호값이 제한신호값보다 클 경우(ST-3) 솔레노이드밸브(63)를 차단시키고(ST-4), 구동수단(10)을 정지시키게 된다(ST-5).
이어서, 상기 공기분리수단(30)을 경유한 유류는 유량계(50)를 통과하면서 유량계(50)로부터 소정의 펄스가 발생되도록 하고(ST-6), 배출호스(60)와 토출건(65)을 통해 소비자의 기름탱크로 토출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유량계(50)로부터 발생된 소정의 펄스는 제어부(70) 내의 마이크로 프로세서(71)에 전달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71)에서는 내장된 계수기에 의해 공급되는 급유량을 카운트하여(ST-7) 표시부(80)에 금액 및 리터 등으로 나타내 주게 된다(ST-8).
이때, 미리 소비자가 원하는 금액을 미리 설정하게 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의 데이터저장부에는 설정금액에 따른 데이터가 저장되고(ST-9),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71)는 현재의 금액과 설정금액을 비교하여 현재의 금액이 설정된 금액보다 작을 경우에는(ST-10) 상기 현재금액이 설정된 금액과 동일해 질 때까지 상술한 (ST-3) ~ (ST-10)과정을 반복 수행하면서 유류를 공급하게 되며, 상기 현재금액이 설정된 금액과 동일할 경우에는 솔레노이드밸브(63)를 차단시키고, 구동수단(10)을 정지시켜 급유 동작이 차단되도록 작동된다.
이상의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상기 주유기는 공기분리수단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량을 측정하여 유류와 혼합된 공기량이 설정값 이상일 경우 자동적으로 급유 동작이 차단되므로 혼합된 공기에 의해 주유량이 잘못 계수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에 따른 소비자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Claims (3)

  1. 주유기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10)과;
    유류 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수단(10)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저장탱크 내의 유류를 소정의 경로로 펌핑해 주는 펌프(20)와;
    소정의 경로에 의해 상기 펌프(2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펌핑되는 유류중에 혼합된 공기를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분리수단(30)과;
    상기 공기분리수단(30)과 연결된 공기통로(38)상에 설치되어 공기의 배출량에 따라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공기량 검출센서(40)와;
    소정의 경로에 의해 상기 공기분리수단(30)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공기분리수단(30)을 경유한 유류가 통과되면서 소정의 펄스를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 유량계(50)와;
    상기 유량계(50)를 경유한 유류경로상에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 솔레노이드밸브(63)와;
    상기 공기량 검출센서(40)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적인 신호값과 데이터저장부(73)에 설정된 제한신호값을 비교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63)와 구동수단(10)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전달해주고, 상기 유량계(50)로부터 전달받은 펄스를 계수하며, 데이터저장부(73)에 미리 금액이 설정된 경우에는 설정금액과 현재금액을 비교하여 상기 솔레노이드밸브(63)와 구동수단(10)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전달해 주는 마이크로 프로세서(71)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71)로부터 계수된 유량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에 나타내주는 표시부(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기의 유류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량 검출센서(40)는 공기통로(38)상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일측에는 배출되는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입구(42)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출구(43)가 마련된 하우징(41)과;
    상기 하우징(41)의 입구(42) 내측에 위치되어 유입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 입구(42)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거나 밀착되도록 탄성수단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고, 반대편 단부에는 소정의 영구자석(46)이 구비된 밸브(44)와;
    상기 밸브(44)에 구비된 영구자석(46)과 인접된 위치에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밸브(44)의 유동에 따른 자기력 변화량에 의해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가 발생되는 센서(4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기의 유류 공급장치.
  3. 구동수단(10)이 제어부(70)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면서 펌프(20)에 동력을 전달해 주므로써, 탱크에 저장된 유류를 소정의 경로로 압송해 주는 펌핑단계와;
    상기 펌핑단계에서 압송된 유류중에 혼합된 공기를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분리단계와;
    상기 공기분리단계에서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공기량 검출단계와;
    상기 공기량 검출단계에서 발생된 소정의 신호값을 데이터저장부(73)에 미리 설정된 제한신호값과 비교하는 비교판단단계와;
    상기 비교판단단계에서 공기량 검출센서(40)의 신호값이 제한신호값보다 클 경우 솔레노이드밸브(63)를 차단시키고, 구동수단(10)을 정지시키는 급유차단단계와;
    상기 공기분리수단(30)을 경유한 유류가 유량계(50)를 통과하면서 그 유량에 따라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주유량 감지단계와;
    상기 유량계(50)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를 계수하여 표시부(80)에 나타내 주는 급유량 계수 및 표시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기의 유류 공급장치 제어방법.
KR1019980047535A 1998-11-06 1998-11-06 주유기의 유류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89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535A KR100289186B1 (ko) 1998-11-06 1998-11-06 주유기의 유류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535A KR100289186B1 (ko) 1998-11-06 1998-11-06 주유기의 유류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415A true KR19990014415A (ko) 1999-02-25
KR100289186B1 KR100289186B1 (ko) 2001-09-07

Family

ID=37517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7535A KR100289186B1 (ko) 1998-11-06 1998-11-06 주유기의 유류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91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725B1 (ko) * 2001-03-23 2004-02-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급유차량의 주유차단장치
KR100479657B1 (ko) * 2001-01-03 2005-03-30 주식회사 티오이십일 화학물질의 배출원을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162B1 (ko) * 2012-09-12 2013-01-17 유재분 요소 수용액 용적측정용 공급시스템과 그 수량계
KR102033000B1 (ko) 2019-06-04 2019-10-16 드래곤모터스 주식회사 유종 선택 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657B1 (ko) * 2001-01-03 2005-03-30 주식회사 티오이십일 화학물질의 배출원을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0419725B1 (ko) * 2001-03-23 2004-02-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급유차량의 주유차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9186B1 (ko) 200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90946B1 (en) Vapor recovery pump regulation of pressure to maintain air to liquid ratio
CN106415016B (zh) 电动机驱动的液体泵
US5525048A (en) Cantilever armature mount for fuel pumps
KR100289186B1 (ko) 주유기의 유류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3334940B1 (en) Oil-balancing system for a multiple compressor sytem
JP2008157055A (ja) 燃料供給装置
CN108350883A (zh) 汽车蒸汽泵
US6269788B1 (en) Programmable computer controlled electric oil pump drive for engines
JP2001280211A (ja) 燃料供給装置
US8425208B2 (en) Air operated diaphragm pump with electric generator
EP2559902A2 (en) Compressor
JP2006132430A (ja) ベーン式ポンプ
JP2004052664A (ja) モータ駆動式ポンプ
CN216198994U (zh) 涡旋式压缩机
EP2481930A1 (en) Pump
KR20150056317A (ko) 오일 레벨 감지 장치
JP2007263032A (ja) 燃料供給装置
KR100543129B1 (ko) 저점도 연료의 액상 공급을 위한 연료펌프
JPH05126066A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US5749716A (en) Integrated oil pump rotor and coupling piece for an oil-sealed vacuum pump
JP3481974B2 (ja) 密閉型圧縮機の油ポンプ
EP4374076A1 (en) Vapour recovery unit for fuel filling stations
JP2012122392A (ja) エバポリークチェックシステム
KR20220157161A (ko) 압축기 및 압축기의 제어 방법
JP3384001B2 (ja) ポ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