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6317A - 오일 레벨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오일 레벨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6317A
KR20150056317A KR1020130139192A KR20130139192A KR20150056317A KR 20150056317 A KR20150056317 A KR 20150056317A KR 1020130139192 A KR1020130139192 A KR 1020130139192A KR 20130139192 A KR20130139192 A KR 20130139192A KR 20150056317 A KR20150056317 A KR 20150056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mpressor
electrode plate
oil
connection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구
김양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9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6317A/ko
Publication of KR20150056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3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G01F23/263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f capaci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2Lubrication
    • F04B39/0223Lubrication characterised by the compresso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10Other safety measur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기 내부에 마련된 감지부와 연결된 연결핀이 단일하게 마련되어 압축기를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오일 레벨 감지 센서의 구조를 단순화 및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를 관통하는 연결부의 외경이 최소화되어 압축기의 내압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레벨 감지 장치는, 압축기 내부에 마련되고, 도체인 금속으로 마련된 제1극판 및 도체인 금속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극판과 이격된 제2극판을 포함하는 감지부 및 일측에 상기 감지부가 연결되고, 상기 압축기를 관통하여 타측이 신호 감지부와 연결되는 단일의 연결핀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에 정전된 전하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압축기 내부의 오일의 레벨이 적정 레벨 이하인지 여부를 감지한다.

Description

오일 레벨 감지 장치{Oil level detecting device}
본 발명은 압축기 하부에 저장되는 오일의 레벨을 감지하는 오일 레벨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크롤 압축기는 대향하는 한 쌍의 스크롤이 압축실의 체적을 가변시킴으로써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이다. 스크롤 압축기는 왕복동식 압축기 또는 로타리 압축기에 비해 효율이 높고, 진동 및 소음이 낮으며 소형 및 경량화가 가능하여 냉동 사이클 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스크롤 압축기는, 밀폐용기 내에 수납된 고정 스크롤, 고정 스크롤에 대향하여 회전하는 선회 스크롤에 의해 형성되는 압축실을 갖는다. 압축실은 선회 스크롤의 회전에 의해 외주측으로부터 내주측을 향해 서서히 좁아진다. 냉매는 압축실의 외주측으로부터 흡인되어 압축되고 압축실의 중심부로부터 밀폐용기 내로 토출된다.
스크롤 압축기는 밀폐용기 내부 공간의 냉매의 압력에 따라 저압식과 고압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저압식 스크롤 압축기는 흡입관이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 연통되고 토출관은 압축 유닛의 토출측에 연통되어 냉매가 압축실로 간접 흡입되는 방식이다. 반면,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는 흡입관이 압축 유닛의 흡입측에 집접 연통되고 토출관은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연통되어 냉매가 압축실로 직접 흡입되는 방식이다.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경우 압축 유닛에서 토출되는 냉매는 케이싱 내부공간에 채워진다.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는 고정 스크롤, 고정 스크롤과 맞물리며 선회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선회 스크롤, 선회 스크롤을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스크롤 사이, 즉 선회스크롤의 배면에는 중간압을 이루는 배압실(背壓室)이 형성된다. 배압실에는 선회 스크롤이 결합된 구동축의 오일 유로를 통해 흡상되는 오일이 메인 프레임의 오일 저장홈을 거쳐 메인 프레임과 선회 스크롤 사이의 베어링면을 통해 오일이 배압실로 유입된다. 배압실로 유입된 오일은 메인 프레임과 선회 스크롤 사이의 베어링면을 통과하면서 감압되어 중간압을 형성하게 되므로 배압실은 중간압을 형성하게 된다. 배압실의 압력은 흡입실의 압력보다 높기 때문에 배압실의 오일은 압력차에 의해 고정 스크롤과 선회 스크롤 사이의 베어링면을 통해 흡입실로 유입되어 압축실로 공급된다. 이 과정에서 고정 스크롤과 선회 스크롤 사이의 베어링면은 오일에 의해 윤활되어 압축기의 마찰손실을 줄이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레벨 감지 장치는, 압축기 내부에 마련된 극판과 연결된 연결부가 하나의 핀으로 마련되어 압축기를 관통하여 외부의 신호처리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레벨 감지 장치는, 압축기 내부에 마련되고, 도체인 금속으로 마련된 제1극판 및 도체인 금속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극판과 이격된 제2극판을 포함하는 감지부; 및 일측에 상기 감지부가 연결되고, 상기 압축기를 관통하여 타측이 신호 감지부와 연결되는 단일의 연결핀;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에 정전된 전하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압축기 내부의 오일의 레벨이 적정 레벨 이하인지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연결핀은, 최외곽에 위치하는 제1층, 중심부에 위치하는 제2층 및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에 게재되어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제3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2층은 도체인 금속으로 마련된다.
상기 제1층 또는 상기 제2층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극판과 연결되고, 상기 제1층 또는 상기 제2층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극판과 연결된다.
상기 제1극판과 상기 연결핀은 도체인 금속 소재로 마련된 제1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극판과 상기 연결핀은 도체인 금속 소재로 마련된 제2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1극판과 상기 연결핀, 상기 제2극판과 상기 연결핀은 용접되어 연결된다.
상기 제2층은 상기 제1층 또는 상기 제3층의 길이보다 더 길게 마련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밀폐 용기 내의 오일의 레벨에 따라 달라지는 정전용량을 갖는 커패시터이다.
상기 연결핀은 베이스에 의해 상기 밀폐 용기의 측벽에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밀폐 용기에 용접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기 내부에 마련된 감지부와 연결된 연결핀이 단일하게 마련되어 압축기를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오일 레벨 감지 센서의 구조를 단순화 및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를 관통하는 연결부의 외경이 최소화되어 압축기의 내압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고정 스크롤과 선회 스크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레벨 감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레벨 감지 장치의 극판과 연결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레벨 감지 장치의 연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레벨 감지 장치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고정 스크롤과 선회 스크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1)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가지는 밀폐용기(10)와 구동부(20) 및 압축 기구부(30)를 포함한다. 밀폐용기(10)의 일측에는 냉매가 유입되도록 유입구(13)가 마련되고, 다른 일측에는 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되어 압축되는 냉매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토출구(14)가 마련된다. 밀폐용기(10)의 상부와 하부에는 밀폐용기(10) 내부를 밀폐하기 위한 상부캡(12)과 하부캡(11)이 장착될 수 있다.
구동부(20)는 밀폐용기(10)의 하측 내부에 압입되는 고정자(24)와, 고정자(24)의 중앙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자(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밀폐용기(10)의 내부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 플랜지(15)와 하부 플랜지(16)가 고정되고, 구동부(20)는 상부 플랜지(15)와 하부 플랜지(16) 사이에 장착된다. 상부 플랜지(15)와 하부 플랜지(16) 사이에는 구동축(21)이 장착되어 구동부(20)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압축 기구부(30)의 선회 스크롤(32)에 전달한다. 구동축(21)의 상단에는 구동축(21)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마련되는 편심부(24)가 형성된다.
상부 플랜지(15)의 중심에는 구동축(21)이 관통되어 설치되기 위한 관통홀(15a)이 형성되고, 관통홀(15a)의 주위에는 구동축(21)을 통해 흡상되는 오일이 저장되기 위한 오일 저장부(15b)가 형성될 수 있다. 구동축(21)은 축방향으로 오일관(22)이 관통 형성되고, 오일관(22)의 하단부에는 오일 펌프(미도시)가 설치된다.
회전자(23)의 상하부에는 회전자(23)의 회전시 회전 불균형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밸런스 웨이트(17)가 설치된다. 압축 기구부(30)는 구동축(21)이 끼워져 구동축(21)에 의해 가동되고 상면에 스파이럴 형상의 선회 스크롤랩(31)이 형성되는 선회 스크롤(32)과, 선회 스크롤(32)의 선회 스크롤랩(31)에 맞물리도록 고정 스크롤랩(34)이 하면에 형성된 고정 스크롤(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선회 스크롤(32)은 상부 플랜지(15)의 산면에서 선회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고정 스크롤(33)은 상부 플랜지(15)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선회 스크롤(32)과 고정 스크롤(33)은 각각의 선회 스크롤랩(31)과 고정 스크롤랩(34)이 맞물려 압축실(41)을 형성한다. 선회 스크롤(32)과 상부 플랜지(15) 사이에는 선회 스크롤(32)의 자전을 방지하면서 선회시키기 위한 올담링(Oldham's ring)이 마련된다.
밀폐용기(10)의 내부는 상부 플랜지(15)와 고정 스크롤(33)에 의해 상측부(P1)와 하측부(P2)로 구분되며, 상측부(P1)와 하측부(P2)는 모두 고압 상태를 가진다.
고정 스크롤(33)은 그 일측에 유입구(13)에 연결되는 가스 흡입관(P)이 연통되기 위한 흡입구(36)가 형성되고, 상면 중심에는 압축실(41)에서 압축된 냉매를 밀폐용기(10)의 상측부(P1)로 토출시키기 위한 배출구(37)가 형성된다.
이때, 배출구(37)에는 토출되는 냉매 가스가 역류되지 않도록 배출구(37)를 개폐하는 밸브 유닛(38)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크롤 압축기(1)는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축(21)이 회전자(23)와 함께 회전하고, 구동축(21)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선회 스크롤(32)이 회전을 한다. 선회 스크롤(32)의 회전은 구동축(21)의 중심에서 편심부(24)의 중심까지의 거리인 편심 거리를 선회 반경으로 하여 선회 운동을 한다. 이때, 선회 스크롤(32)은 올담링(43)에 의하여 자전이 방지된다.
선회 스크롤(32)이 선회하면 선회 스크롤(32)의 선회 스크롤랩(31)에 맞물려 있는 고정 스크롤랩(34)에 의해 고정 스크롤(33)이 선회 운동하게 되는데, 선회 스크롤랩(31)과 고정 스크롤랩(34) 사이에 압축실(41)이 형성된다. 압축실(41)은 선회 스크롤(32)의 지속적인 선회 운동에 의해 중심으로 이동하면서 체적이 감소하여 흡입되는 냉매를 압축하게 된다.
이때, 구동축(21)의 하단에 설치된 오일펌프(미도시)에 의해 밀폐용기(10) 하단부에 마련된 오일을 펌핑하게 되고 오일은 구동축(21)의 오일관(22)을 통해 상단으로 이동되게 된다.
구동축(21)의 상단으로 이동되는 오일의 일부는 상부 플랜지(15)의 관통홀(15a) 측으로 공급되고 다른 일부는 구동축(21)의 상단에서 비산되어 상부 플랜지(15)의 오일 저장부(15b)에 저장되기도 한다.
고정 스크롤(33)과 선회 스크롤(32)이 맞물린 상태에서 원활히 선회 운동하기 위해서는 고정 스크롤(33)과 선회 스크롤(32) 사이의 베어링면에 오일이 원활하게 공급되어야 한다.
스크롤 압축기(1)의 밀폐용기(10) 하부에는 윤활을 위한 오일이 저장될 수 있다. 밀폐용기(10)의 하부에 저장된 오일은 구동축(21)의 축방향으로 형성된 오일관(22)을 통해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오일관(22)을 통해 상부로 이동한 오일은 고정 스크롤(33)과 선회 스크롤(32) 사이의 베어링면 등에 공급되어 마찰에 의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밀폐용기(10) 내에 저장된 오일은 압축기(1)가 작동됨에 따라 냉매와 함께 압축기(1)를 빠져나갈 수 있다. 압축기(1)를 빠져나간 오일은 냉매와 함께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을 포함하는 냉각 사이클을 거친 후, 압축기(1)로 회수될 수 있다. 이때 압축기(1)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연결배관이 길어지는 경우 연결 배관 내에 잔류하는 오일의 양이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의 설치시 적정량의 오일을 공급하더라도 공기 조화기의 작동 중 압추긱(1) 내에 저장되는 오일의 양은 불규칙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압축기(1) 내부에 구비된 고정 스크롤(33)과 선회 스크롤(32) 사이의 베어링면 등의 마찰에 의한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압축기(1) 내에 저장되는 오일이 적정 수준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압축기(1) 내부로 오일을 모으기 위한 오일 회수 운전을 실시하여야 한다. 압축기(1) 내부의 오일의 레벨에 관계 없이 일정 시간을 주기로 오일 회수 운전을 실시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실제의 오일의 레벨이 충분한 경우에도 오일 회수 운전을 실시하여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므로 비효율적이다.
압축기(1) 내부에 저장된 오일의 레벨을 감지하여 저장된 오일의 레벨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만 오일 회수 운전을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압축기(1)의 밀폐용기(10)의 하부에는 압축기(1) 내부에 저장된 오일의 레벨을 감지하는 오일 레벨 감지 장치(60)가 구비될 수 있다. 오일 레벨 감지 장치(60)에 의해 오일의 레벨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압축기(1)가 설치된 공기 조화기는 오일 회수 운전을 실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레벨 감지 장치(6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레벨 감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레벨 감지 장치의 극판과 연결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레벨 감지 장치의 연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레벨 감지 장치(60)는 하나의 연결핀(63)이 압축기(1)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연결핀(63)의 일측은 압축기(1) 내부에 위치되고, 연결핀(63)의 타측은 압축기(1) 외부에 위치하여 신호 감지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핀(63)은 베이스(64)에 의해 밀폐 용기(10)의 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64)는 밀폐 용기(10)에 용접될 수 있다. 베이스(64)가 밀폐 용기(10)에 용접됨으로써 연결핀(63)이 밀폐 용기(10)를 관통하더라도 밀폐 용기(10)의 내부가 밀폐될 수 있다.
오일 레벨 감지 장치(60)는 감지부 및 연결핀(63)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는 제1극판(61) 및 제2극판(62)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는 도체인 금속 재질로 마련되어 대전되는 전하량의 변화에 의해 압축기(1) 내부의 오일의 레벨이 적정 레벨 이하인지 여부를 감지한다.
제1극판(61) 및 제2극판(62)은 도체인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제1극판(61)과 제2극판(62)은 압축기(1)의 밀폐 용기(1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1극판(61)과 제2극판(62)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극판(61)과 제2극판(62)은 오일 레벨에 따라 서로 다른 정전용량을 갖는 커패시터로서 기능할 수 있다. 밀폐 용기(10)의 하부에 저장된 오일의 레벨이 적정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제1극판(61)과 제2극판(62)의 정전 용량이 민감하게 변화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극판(61) 및 제2극판(62)은 연결핀(63)에 연결될 수 있다. 제1극판(61) 및 제2극판(62)은 하나의 연결핀(63)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핀(63)은 최외곽에 위치한 제1층(630), 중심부에 위치한 제2층(631) 및 제1층(630)과 제2층(631) 사이에 위치한 제3층(6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층(630) 및 제2층(631)은 도체인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3층(632)은 절연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제1극판(61)은 제1층(630) 또는 제2층(631)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제2극판(62)은 제1층(630) 또는 제2층(631)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제1극판(61) 또는 제2극판(62)은 도체인 금속 재질로 마련된 연결부재(6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극판(61)은 제1연결부재(650)에 의해 제1층(630)에 연결될 수 있고, 제2극판(62)은 제2연결부재(651)에 의해 제2층(63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극판(61) 또는 제2극판(62)은 용접에 의해 제1층(630) 또는 제2층(631)에 연결될 수도 있다.
연결핀(63)의 중심부에 위치한 제2층(631)은 제1층(630) 또는 제3층(632)보다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연결핀(63)은, 밀폐용기(10) 내부에서 제1층(630) 또는 제3층(632)보다 더 길게 연장될 수 있고, 밀폐용기(10) 외부에서 제1층(630) 또는 제3층(632)보다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밀폐 용기(10) 내부에서 제1층(630) 또는 제3층(632)보다 더 길게 연장된 제2층(631)에는 제2극판(62)이 연결될 수 있다. 밀폐 용기(10)의 외부에서 제1층(630) 또는 제3층(632)보다 더 길게 연장된 제2층(631)에는 신호 감지부(미도시)의 일측이 연결될 수 있다.
밀폐 용기(10) 내부에서, 연결핀(63)의 최외곽에 위치한 제1층(630)에는 제1극판(61)이 연결된다. 밀폐 용기(10)의 외부에서 연결핀(63)의 최외곽에 위치한 제1층(630)에는 신호 감지부(미도시)의 타측이 연결될 수 있다.
신호 감지부(미도시)는 밀폐 용기(10) 내부에 위치한 제1극판(61)과 제2극판(62)에 대전된 전하량을 감지하여 밀폐 용기(10) 내부의 오일이 적정 레벨 이하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세히 밀폐 용기(10) 내부의 오일이 적정 레벨에 있는 경우, 제1극판(61)과 제2극판(62) 사이에는 오일이 위치한다. 밀폐 용기(10) 내부의 오일이 적정 레벨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제1극판(61)과 제2극판(62)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는 냉매가 위치할 수 있다. 제1극판(61)과 제2극판(6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냉매와 오일의 유전율에 따라 제1극판(61)과 제2극판(62)에 대전된 전하량이 달라질 수 있다. 신호 감지부(미도시)는 제1극판(61)과 제2극판(62)에 대전된 전하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밀폐 용기(10) 내부의 오일의 레벨이 적정 레벨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오일 레벨 감지 장치(60)에 의해 밀폐 용기(10) 내의 오일이 적정 레벨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압축기(1)가 설치된 공기 조화기는 오일 회수 운전을 실시하여 압축기(1) 내에 오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오일 레벨 감지 장치(60)에 의해 압축기(1) 내의 오일이 적정 레벨에 이른 것으로 감지된 경우, 공기 조화기는 오일 회수 운전을 중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레벨 감지 장치(60)는, 하나의 연결핀(63)이 압축기(1)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연결핀(63)은 제1극판(61) 및 제2극판(62)과 각각 연결되는 제1층(630) 및 제2층(631)을 포함하고 제1층(630)과 제2층(631)은 각 층에 인가된 신호가 통전되지 않도록 제3층(632)에 의해 절연되어 구비된다.
압축기(1) 외부에 위치한 신호 감지부와 압축기(1) 내부의 오일의 레벨을 감지하는 제1극판(61) 및 제2극판(62)이 단일한 연결핀(63)에 의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압축기(1)를 관통하는 연결핀(63)의 외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써 압축기(1)의 내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오일 레벨 감지 장치(60)의 연결핀(63)의 개수가 감소함으로써 오일 레벨 감지 장치(60)를 소형화할 수 있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연결핀(63)의 개수가 감소함으로써 오일 레벨 감지 장치(60)를 제조하는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1: 스크롤 압축기 10: 밀폐 용기
20: 구동부 21: 구동축
22: 오일관 32: 선회 스크롤
33: 고정 스크롤 41: 압축실
60: 오일 레벨 감지 장치 61: 제1극판
62: 제2극판 63: 연결핀
64: 베이스 65: 연결부재

Claims (10)

  1. 압축기 내부에 마련되고, 도체인 금속으로 마련된 제1극판 및 도체인 금속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극판과 이격된 제2극판을 포함하는 감지부; 및
    일측에 상기 감지부가 연결되고, 상기 압축기를 관통하여 타측이 신호 감지부와 연결되는 단일의 연결핀;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에 정전된 전하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압축기 내부의 오일의 레벨이 적정 레벨 이하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오일 레벨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은, 최외곽에 위치하는 제1층, 중심부에 위치하는 제2층 및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에 게재되어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제3층을 포함하는 오일 레벨 감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2층은 도체인 금속으로 마련되는 오일 레벨 감지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또는 상기 제2층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극판과 연결되고, 상기 제1층 또는 상기 제2층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극판과 연결되는 오일 레벨 감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극판과 상기 연결핀은 도체인 금속 소재로 마련된 제1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극판과 상기 연결핀은 도체인 금속 소재로 마련된 제2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오일 레벨 감지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극판과 상기 연결핀, 상기 제2극판과 상기 연결핀은 용접되어 연결되는 오일 레벨 감지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은 상기 제1층 또는 상기 제3층의 길이보다 더 길게 마련되어 오일 레벨 감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밀폐 용기 내의 오일의 레벨에 따라 달라지는 정전용량을 갖는 커패시터인 오일 레벨 감지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은 베이스에 의해 상기 밀폐 용기의 측벽에 고정되는 오일 레벨 감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밀폐 용기에 용접되는 오일 레벨 감지 장치.
KR1020130139192A 2013-11-15 2013-11-15 오일 레벨 감지 장치 KR201500563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192A KR20150056317A (ko) 2013-11-15 2013-11-15 오일 레벨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192A KR20150056317A (ko) 2013-11-15 2013-11-15 오일 레벨 감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317A true KR20150056317A (ko) 2015-05-26

Family

ID=53391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192A KR20150056317A (ko) 2013-11-15 2013-11-15 오일 레벨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631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460A (ko) * 2016-01-27 2018-07-3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압축기
KR20220034534A (ko) 2020-09-11 2022-03-18 이호태 건설 중장비용 유압오일 레벨 감지장치
US11493248B2 (en) * 2016-10-19 2022-11-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Liquid level detection device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460A (ko) * 2016-01-27 2018-07-3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압축기
US11493248B2 (en) * 2016-10-19 2022-11-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Liquid level detection device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KR20220034534A (ko) 2020-09-11 2022-03-18 이호태 건설 중장비용 유압오일 레벨 감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9234E1 (en) Scroll compressor
US8998596B2 (en) Scroll compressor
US20110138831A1 (en)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US7717688B2 (en) Oil pump for a compressor
WO2008133445A1 (en) Compressor and oil supplying structure therefor
US20160123324A1 (en) Scroll compressor
US7273361B2 (en) Coupling structure of eccentric bush of scroll compressor
KR20150056317A (ko) 오일 레벨 감지 장치
US20060073053A1 (en) Orbiting vane compressor
WO2009096206A1 (ja) スクロール圧縮機
WO2018139307A1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20090071085A (ko) 밀폐형 압축기
JP2012207624A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6748874B2 (ja) 密閉型圧縮機
JP6709971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WO2017130321A1 (ja) 圧縮機
KR100853686B1 (ko) 밀폐형 압축기의 유면 측정 장치
KR101380987B1 (ko) 로터리식 압축기
US11221007B2 (en) Compressor including rotational shaft with refrigerant flow path
KR100807283B1 (ko) 냉매압축장치 및 이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KR20100083257A (ko) 냉동유니트 및 히트펌프용 압축기의 역회전 방지장치 및 그제어방법
JP4792947B2 (ja) 圧縮機
US20240026882A1 (en) Scroll compressor
JP5955017B2 (ja) 多段圧縮機
JP3128380B2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