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272A - 콕킹 방아쇠 장치 - Google Patents

콕킹 방아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272A
KR19990014272A KR1019980030582A KR19980030582A KR19990014272A KR 19990014272 A KR19990014272 A KR 19990014272A KR 1019980030582 A KR1019980030582 A KR 1019980030582A KR 19980030582 A KR19980030582 A KR 19980030582A KR 19990014272 A KR19990014272 A KR 19990014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gger
cocking
tumbler element
spring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0014B1 (ko
Inventor
헬무트 벨드레
롤프 크뇌플레
Original Assignee
마우후 에른스트
헤클러 운트 코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우후 에른스트, 헤클러 운트 코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마우후 에른스트
Publication of KR19990014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0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9/00Firing or trigger mechanisms; Cocking mechanisms
    • F41A19/06Mechanical firing mechanisms, e.g. counterrecoil firing, recoil actuated firing mechanisms
    • F41A19/42Mechanical firing mechanisms, e.g. counterrecoil firing, recoil actuated firing mechanisms having at least one hamm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9/00Firing or trigger mechanisms; Cocking mechanisms
    • F41A19/06Mechanical firing mechanisms, e.g. counterrecoil firing, recoil actuated firing mechanisms
    • F41A19/42Mechanical firing mechanisms, e.g. counterrecoil firing, recoil actuated firing mechanisms having at least one hammer
    • F41A19/43Mechanical firing mechanisms, e.g. counterrecoil firing, recoil actuated firing mechanisms having at least one hammer in bolt-action guns
    • F41A19/47Cocking mechanisms
    • F41A19/48Double-action mechanisms, i.e. the cocking being effected during the first part of the trigger pull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Toy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 단부 위치와 후방 단부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전방 단부 위치에 배치되어 공이(13) 또는 카트리지의 발화 영역을 격발하는 공이치기 요소(3)와, 전방의 언콕킹 위치와 후방의 콕킹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전방의 언콕킹 위치로 이동하는 중에 공이치기 요소(3)를 이동시키도록 배치된 구동 부품(17)을 갖는 콕킹 방아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트라이커 스프링[스프링 로드(15)]은 상기 구동 부품(17)을 언콕킹 위치로 강제하며, 방아쇠는 언콕킹 위치에 있는 상기 구동 부품(17)이 스트라이커 스프링[스프링 로드(15)]의 힘에 대해 콕킹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그런 후 퇴출된 위치로 퇴출되며, 상기 구동 부품(17)이 방아쇠와는 무관하게 콕킹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방아쇠가 작동할 때까지 이 위치에 유지된다. 상기 공이치기 요소(3)는, 상기 방아쇠가 작동하지 않는 한 이의 전방 단부 위치에 또는 이의 전방 단부 위치가까이에 위치된 정지 위치로 힘을 가하는 복귀 스프링에 연결되어 항상 소정의 위치를 갖게 된다.

Description

콕킹 방아쇠 장치
본 발명은 전방 단부 위치와 후방 단부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전방 단부 위치에 배치되어 공이 또는 카트리지의 발화 영역을 격발시키는 공이치기 요소와, 전방의 언콕킹 위치(a front uncocked position)와 후방의 콕킹 위치(a rear cocked position)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이동동안 전방의 언콕킹 위치로 공이치기 요소를 이동하도록 배치된 구동 부품과, 상기 구동 부품을 언콕킹 위치로 강제하는 스트라이커 스프링과, 언콕킹 위치에 있는 상기 구동 부품이 스트라이커 스프링의 힘에 대해 콕킹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그런 후 퇴출된 위치로 퇴출되며, 상기 구동 부품이 방아쇠와는 무관하게 콕킹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방아쇠가 작동할 때까지 이 위치를 유지하는 방아쇠를 갖는 콕킹 방아쇠 장치에 관한 것이다(청구항 1).
이러한 형태의 콕킹 방아쇠 장치는 특히 자동 권총용으로 설계되었으며 Daewoo DP 51 C 자동 권총에 의해 공지되었다.
일반적인 권총과는 반대로 공이치기 요소와 구동 부품은 단일 요소를 형성하며, 이러한 권총은 구동 부품과 공이치기 요소사이에 비영구적으로 고정된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공이치기 요소는 콕크(cock)로서 설계되었으며 콕킹을 위한 엄지손가락 받침대가 구비되어 있다. 공이치기 요소는 마찰에 의해 쉽게 부숴지는 대신에, 총 개머리에서 자유로이 피봇하도록 설치되며 구동 부품에 의해 전방으로 강제된다.
이러한 공지된 권총은 복동 권총(double-action pistol)과 같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동 부품이 언콕킹되어 있고 공이치기 요소가 정지 위치에 있을 때, 공이치기 요소와 구동 부품은 큰 힘을 가지고 방아쇠의 작동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며 그런 후 퇴출된다. 이로인해 공이치기 요소는 공이를 가격하여 탄환을 발사시킨다. 언콕킹 구동 부품을 갖는 공이치기 요소가 손으로 핸들 또는 장전된 권총의 놀이쇠뭉치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될 때, 공이치기 요소 및 구동 부품 양자는 방아쇠가 한정된 힘을 갖고 해제되기 까지 단일 코크로 그들의 후방 단부 위치 또는 콕킹 위치에 남게 된다. 이러한 위치는 권총의 완전 콕킹 위치이다.
그러나, 마지막으로 언급한 것에 있어서 방아쇠 장치의 콕킹 상태는, 상기 구동 부품이 콕킹 위치에 남겨진 채 공이치기 요소를 정지 위치쪽 전방으로 미는 것이 가능하다. 공이치기 요소가 이의 정지 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에, 돌출한 공이치기 요소가 권총을 꺼낼 때 포켓의 커버 또는 자켓의 옷감에 걸리는 일 없이 권총이 포켓 또는 권총 장착용 견대에 보관될 수 있다. 발사할 경우, 스트라이커 스프링을 콕킹할 힘은 방아쇠를 통해 더 이상 가해질 필요가 없다. 대신에, 압점에 도달하기 위해 스스로 후방으로 피봇되는 공이치기 요소의 마찰 저항만을 극복할 필요가 있다. 방아쇠 장치의 이러한 위치는 향상된 준비 위치(increased readiness position)라 불리운다.
반면에, 공이치기 요소가 이의 후방 단부 위치에 근접한 완전 콕킹 위치에서 방아쇠상에 가해지는 한정된 힘만이 탄환을 발사하기에 충분하며, 향상된 준비 위치에서 공이치기 요소의 마찰력은 극복되어 소망하지 않는 탄환의 발사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공이치기 요소는 핸들의 옷, 브랜치 등에 걸림으로써 이의 후방 단부 위치로 다소 쉽게 접근할 수 있어서 사수는 향상된 준비 위치에 응답할 수 있지만, 실제로 완전 콕킹 위치는 존재한다. 따라서, 감소될 수 있는 의도하지 않은 탄환의 발사의 위험성은 매우 실존한다.
더욱이, 마찰력은 무기의 조건에 상당히 의존한다. 즉, 마찰, 고 윤활 효과를 갖는 오일 또는 러스트 필름(rust film)은 무기의 윤활 등을 농화시키는 전술되지 않은 먼지, 세밀한 모래, 서리등의 몇몇 상황하에서 이러한 마찰력을 상당히 바꾼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무기의 작동은 방아쇠 장치의 3개의 가능한 상태로 인해 복잡하며, 반면에, 가장 간단한 가능한 작동은 군용 무기에서 얻어질 수 있다. 반면에, 콕킹 방아쇠 장치의 간단한 설계는 이롭다. 비교할 만한 향상된 준비 위치를 얻기 위해, 유럽 특허 제 0 077 790 호 및 제 0 154 356 호에는 오스트리아 캘버리 피스톨 Roth-Steyr model 1907의 경우와 같은 자동 권총의 장전동안 스트라이커 스프링은 부분적으로 콕킹되도록 제안되어 사수는 방아쇠를 통해 매 사격동안 우선 스트라이커 스프링을 완전히 콕킹해야만 한다. 그러나, 전술한 특허에는 추가로 인장 스프링이 스트라이커 스프링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어 스트라이커 스프링의 최종 콕킹을 위해 필요한 힘은 상기 인장 스프링에 의해 부분적으로 가해진다. 완전 콕킹 스트라이커 스프링을 가진채, 인장 스프링은 해제되고 공이는 퇴출될 수 있다.
손상되고 부식되기 쉬운 복잡화된 해제 장치와는 달리, 이러한 공지된 권총은 비록 부분적일지라도 연속적으로 콕킹되는 단점을 갖는다.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공이상의 적은 충격은 카트리지를 발사시키기에 충분하며, 다른 안전 예방책은 작동하지 않는다.
다른 단점은 공이를 부분적으로 콕킹 위치로 콕킹하기 위해 놀이쇠뭉치의 운동이 항상 필요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공이의 타격이 침투된 물 또는 무기내의 너무 많은 오일에 의해 방해된다면(젖은 권총 또는 너무 많이 기름칠 된 권총에 있어서), 결함이 없는 카트리지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손으로 자신을 받치고 있기 때문에 사수가 하나의 손만이 자유롭다면, 권총을 재장전 할 수 없으며, 따라서 작동하지 않게 된다. 반면에, 콕킹 방아쇠를 가진채 상기 콕킹 방아쇠를 간단히 다시 퇴출시킬 수 있으며, 전술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콕킹 방아쇠는 높은 가능성을 가지고 카트리지를 발화시킬 수 있으며 준비성을 만족시키도록 권총을 복귀시킬 수 있다.
반면에, 방아쇠 저항력은 인장 스프링을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으며 사격이 유리할 동안 동일한 작동의 형태는 항상 존재한다.
문제점에서부터의 출발은 단지 아웃트라인이며, 본 발명의 근원적인 일은 시작에서 언급된 공지된 권총을 변형시키는 것으로서 종래기술의 전술한 단점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고 가능하다면 해결하여 안전하고 신뢰할 만한 권총을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일은 공이치기 요소가 방아쇠가 작동하지 않는 한 전방 단부 위치에 또는 전방 단부 위치가까이에 위치된 정지 위치로 힘을 미치는 스프링에 연결됨으로써 해결된다.
공이치기 요소가 외적인 효과에 의해 이동하도록 지지될 때 상기 스프링은 항상 공이치기 요소를 정지 위치로 복귀시킨다. 공이치기 요소가 후방으로 지적된 곳에 남게 되는 완전 콕킹 위치(fully cocked position)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공이치기 요소는 무기로부터 후방쪽으로 돌출한 핸들이 필요없게 되며, 따라서 이는 무기의 작동 요소를 형성하지 않게 된다. 공이치기 요소를 무기 또는 패널을 갖는 커버의 내부로 이동시켜서 무기를 꺼내는 동안 어떠한 물체도 걸리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스프링은 방아쇠에 대해 작동할 수 있으며 스프링의 힘은 매 사격동안 방아쇠에 의해 극복될 수 있어야 하며; 조작의 유일한 형태로서 향상된 준비 위치는 항상 존재하여(탄약의 기능을 갖음), 조작은 실제로 향상된다. 그러나, 카트리지가 파손된 경우, 콕킹 방아쇠가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 만일 무기에 구동 부품을 콕킹할 수 없는 퇴출 장치가 제공된다면, 상기 무기는 첫 번째 사격동안 콕킹 방아쇠로 완전히 언콕킹되고 작동하도록 될 수 있다. 따라서, 매 사격전에 극복되어야 하는 스프링력 및 방아쇠 힘은 무기의 목적에 따라 광범위한 범위에 걸쳐 최적화될 수 있거나 또는 조절가능하게 설계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스프링은 전술한 명세서의 방아쇠 장치의 인장 스프링의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작동한다. 즉, 상기 스프링은 공이치기 요소를 전방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콕킹 방아쇠 장치는 콕킹 방아쇠의 장점과 조절가능한 방아쇠 중량을 갖는 일반적인 장치의 간단한 설계 및 단점에 내성을 가짐이 없이 전술한 명세서중 하나에 따른 장치의 간단한 조작을 조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아쇠 장치가 구비된 권총 또는 다른 현대의 권총은 방아쇠가 작동하지 않는 한 공이를 고정하는 공지된 안전 장치가 기본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면, 만일 처음에 언급된 공지된 권총이 공이치기 요소를 가지고 상당한 높이에서 언콕킹 상태로 포장 도로로 떨어진다면, 탄환은 발사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공이치기 요소가 내측에 있을 때 이러한 위험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청구항 2항에 따라 구동 부품은 방아쇠가 작동하지 않고 이러한 정지에 의해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언콕킹 위치내의 정지 위치에 안착되며, 상기 구동 부품은 단부 위치에 위치된 스트라이커와 접촉하지 않는다.
공이치기 요소는 구동 부품에 의해 가속된다. 그러나, 구동 부품은 상기 정지부(stop)에 의해 가속 위상의 단부에 억류되며, 반면에 공이치기 요소는 공이쪽으로 연속해 이동하며 이의 운동 에너지로 인해 공이를 가격하며, 이는 구동 부품에 의해 공이에 전달된다.
공이치기 요소의 정지 위치가 정지부의 나머지 측면에 위치되어 퇴출 구동 부품이 정지 위치에 있는 공이치기 요소를 가격할 수 없는데, 이는 공이치기 요소가 정지부상에 미리 억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콕킹 구동 부품이 어떤 이유로 인해 당겨진 방아쇠 및 정지 위치로부터 이동된 공이치기 요소없이 해제된다면, 구동 부품은 공이치기 요소에 도달할 수 없으며 탄환은 바람직하지 않게 발사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청구항 3) 공이치기 요소가 전술된 정지부에 부가하여 또는 정지부 대신에 안전 캐취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안전 캐취는 이의 전방 단부 위치에 접근하였을 때 안전 위치에 위치된 안전 장치내로 떨어진다. 상기 안전 장치는 방아쇠에 연결되어 방아쇠를 당기는 것에 의해 안전 장치가 이의 안전 위치로부터 제거된다.
정지 위치에 있어서, 공이치기 요소는 안전 장치상의 안전 캐취에 놓이며 안전 캐취의 뒤쪽 단부 위치로 이동할 수 없으며, 공이치기 요소는 공이까지 도달할 수 있다.
만일 구동 부품이 공이치기 요소를 가격하거나 또는 무기가 떨어져 공이치기 요소가 외부로부터 가격된다면, 안전 캐취내의 안전 장치의 맞물림은 공이치기 요소를 고정하여 어떠한 탄환도 발사될 수 없다. 공이치기 요소가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여 이 요소가 정지 위치 및 해제 위치쪽으로 강제될때 조차도, 공이치기 요소는 상기 스프링의 힘이 카트리지의 점화를 발생시키기에 충분하게 공이에 가해지는 충격보다 충분하지 않는한 그 정지 위치로 다시 단순히 피봇된다.
또한, 공이치기 요소에 대한 스프링의 효과를 조절할 수 있어 공이치기 요소는 정지 위치에서 복귀 스프링 로크(lock)의 콕크와 같은 사점(dead center) 위치를 갖는다. 사점 위치는 안전 장치가 안전 캐취에 떨어지는 위치와 일치한다. 만일 구동 부품이 콕킹되고 방아쇠가 작동하지 않는다면, 공이치기 요소는 자동적으로 정지 위치로 복귀되며, 여기서 안전 캐취는 작동해 최전방 위치로 위치되어야 한다.
공이치기 요소를 정지 위치에 두는 스프링은 공이치기 요소와 무기 하우징 사이에 설치된 독립적인 인장 스프링 또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그러나, 스프링은 방아쇠 스프링으로부터 형성되거나 또는 방아쇠를 전방으로 연속적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처럼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4). 스프링은 공이치기 요소상으로 직접 작용해 공이치기 요소가 방아쇠와 연결되어 있어 방아쇠를 전방으로 힘을 가하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스프링을 전방으로 힘을 가하는 방아쇠에 연결된 스프링이 존재하며, 방아쇠는 공이치기 요소상의 로드(rod)를 통해 작동해 공이치기 요소를 이에 연결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방아쇠내에 안전 릴리즈(release)를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안전 릴리즈는 방아쇠를 작동시키는 손가락이 안전 릴리즈를 아래로 가압하지 않는 한 방아쇠를 차단하며, 방아쇠의 전면에 위치된다. 따라서, 공이치기 요소는 방아쇠가 작동하지 않는한 정지 위치에 고정된채 남는다. 공이치기 요소에의 외부 효과조차도 안전 릴리즈의 정지 위치로부터 상기 안전 릴리즈를 이동시킬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콕킹 방아쇠 장치를 구비한 무기는 다른 무기에 공지된 추가적인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 부품을 퇴출시키기 위한 공지된 퇴출 장치(청구항 5)가 특히 바람직하다.
구동 장치는 상기 퇴출 장치에 의해 퇴출될 수 있다. 만일 이러한 퇴출 상태에서 발사가 이루어졌다면, 콕킹 방아쇠는 초기에 작동될 수 있다. 공이치기 요소가 핸들을 구비하더라도, 공이치기 요소의 핸들 파지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엄지손가락으로 공이치기 요소를 움직여 구동 부품이 콕킹 위치로 로크될 때까지 구동 부품을 뒤쪽 후방에 놓는다. 그런 후, 공이치기 요소는 다시 전방으로 이동되어 무기는 향상된 사격 준비에 있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이치기 요소는 방아쇠에 연결되어 있어 방아쇠를 잡아당김으로써 공이치기 요소의 피봇 운동을 야기시키며, 이는 카트리지 파손후 퇴출된 구동 부품을 끌고갈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은 방아쇠 로드에 의해 설계될 수 있으며, 또한 방아쇠 로드는 캐취에 연결되어 있어 방아쇠의 작동동안 따라서 방아쇠 로드의 작동동안 방아쇠 로드는 콕킹된 콕킹 부품을 해제한다.
통상의 구조에 있어서, 방아쇠 로드는 콕킹 방향으로 공이치기 요소에 완전히 연결되어 있으며, 반면에, 만일 공이치기 요소가 손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된다면, 방아쇠 로드는 단지 부분적으로 공이치기 요소의 이동을 뒤따라 구동 부품의 캐취는 대응하는 멈춤쇠내로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만일 구동 부품이 어떤 이유로 인해 콕킹되지 않는다면, 구동 부품은 다시 콕킹될 수 있다.
전술된 퇴출 장치는 구동 부품을 콕킹하지 않도록 작동한다.
청구항 6에 따른 변형실시예로서, 방아쇠 로드는 틈에 관계없이 공이치기 요소에 연속해 연결되어 공이치기 요소의 각각의 위치는 방아쇠 장치의 대응하는 위치와 조화되며 반대로도 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리세스는 방아쇠 로드상에 형성된 돌출부가 리세스내로 맞물리려 공이치기 요소내에 제공되거나, 또는 방아쇠 로드의 핀이 홀내로 맞물리는 공이치기 요소내의 홀 등이 제공된다.
구동 부품이 콕킹된 동안 공이치기 요소가 핸들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면, 방아쇠 로드는 구동 부품의 캐취가 해제될 때까지 동시에 이동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모든 요소의 작동 위치는 조절되어 구동 부품은 해제후에 약간 앞으로 이동되며, 그런 후 공이치기 요소내로 떨어진다. 이러한 방법은 상이한 클릭에 의해 인식할 수 있다. 핸들이 해제되거나 또는 엄지손가락으로 전방으로 천천히 이동된다면, 공이치기 요소가 공이에 도달하기 전에 안전 캐취가 공이치기 요소를 억류할 때까지 공이치기 요소는 구동 부품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며, 그러나 방아쇠가 당겨지지 않았기 때문에 안전 캐취는 작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변형예는 퇴출 장치처럼 작동한다. 공이치기 요소를 작동시킴으로써 구동 부품을 콕킹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구동 부품이 퇴출될 때 첫 번째 발사는 콕킹 방아쇠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본 원에서 더 이상 상술하지 않음). 로킹 멈춤쇠 및 안전 멈춤쇠가 방아쇠 및 (공이치기 요소와 함께)구동 부품을 작동시킴으로써 퇴출된다면, 방아쇠와 방아쇠 로드사이의 연결부는 해제되어 방아쇠가 이동되는 일없이 상기 부품들은 공이치기 요소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첨부된 개략도를 참조하여 예로서 상술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콕킹 방아쇠 장치의 개별 부품은 도면에 측면도로 상호 대등한 관계로 다른 위치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정지 위치에 있으며 안전 멈춤쇠(safety detent)와 결합되어 있는 공이치기 요소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공이치기 요소의 전방 단부 위치에 해제된 안전 캐취(safety catch)를 갖는 공이치기 요소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로킹 멈춤쇠 및 스프링 로드(spring rod)를 갖는 콕킹 구동 부품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언콕킹 구동 부품을 갖는 도 3과 유사한 도면,
도 5는 도 2의 위치에 있는 공이치기 요소와 도 4의 위치에 있는 구동 부품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1의 위치에 있는 공이치기 요소와 도 3의 위치에 있는 구동 부품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해제전의 공이치기 요소와 구동 부품을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총 개머리 3 : 공이치기 요소
5 : 핸들 7 : 안전 캐취
9 : 안전 멈춤쇠 11 : 커플링
13 : 공이 15 : 스프링 로드
17 : 구동 부품 19 : 캐취
21 : 캐취 멈춤쇠 23 : 지지면
25 : 대향면 27 : 축
29 : 방아쇠 로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전방(forward), 상부(top) 등과 같은 위치는 방아쇠 장치의 위치와 관련되며, 상기 위치는 해당하는 무기가 발사 위치에 있을 때 총열의 수평 축방향이며, 따라서 전방이라는 단어는 발사하는 방향을 가리킨다. 도면에서 전방이라는 단어는 왼쪽이며 상부라는 단어는 위쪽이다.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요소에 사용된다.
총 개머리(1)의 후방 부분은 개략도로 도면에서 볼 수 있다. 총 개머리는 축(27)과 가로질러 교차되며, 상기 축(27)상에 공이치기 요소(3)와 구동 부품(17)이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축(27)상에 장착된 공이치기 요소(3)의 일부는 이의 바닥으로부터 총 개머리(1)의 종방향 위쪽으로 연장하는 리세스를 가지며, 상기 리세스는 대향면(25)에서 종단된다. 대향면(25)과 결합될 수 있는 지지면(23)을 갖는 구동 부품(17)은 리세스 내에 배치된다. 구동 부품(17)의 반시계방향 피봇중에, 지지면(23)은 대향면(25)에 놓이며 따라서 공이치기 요소(3)와 동반한다.
또한, 공이치기 요소(3)는, 사격자가 엄지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위로 돌출한 핸들(5)을 갖는다. 또한, 상기 공이치기 요소(3)에는 안전 캐취(7) 및 커플링 장치(11)가 있으며, 이들 장치를 통해 공이치기 요소(3)는 매개 요소(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방아쇠(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공이치기 요소(3)의 다른 위치에 있어서, 총 개머리(1)상에 피봇식으로 장착된 안전 멈춤쇠(9)가 안전 캐취(7)의 반대편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안전 멈춤쇠(9)는 이 위치에서 안전 캐취(7)에 떨어진다. 안전 멈춤쇠(9)는 공이치기 요소(3)의 반시계방향 피봇운동을 또한 방지한다.
공이(firing pin)(13)의 후방 단부는 공이치기 요소(3)의 핸들(5)의 전방에 위치되어 이의 다른 위치에서 공이치기 요소(3)에 의해 접촉될 수 없다.
구동 부품(17)은 공이치기 요소(3)의 리세스내에 배치되며 축(27)에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스트라이커 스프링(striker spring)(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위쪽으로 가압되는 스프링 로드(spring rod)(15)에 의해 시계반대방향으로 부하가 걸린다. 또한, 구동 부품(17)은 그 내에 캐취 도는 캐취 스텝(catch step)(19)을 가지며, 구동 부품(17)이 당겨진 위치에 있을 때 캐취 멈춤쇠(21)는 떨어질 수 있다.
안전 멈춤쇠(9) 및 캐취 멈춤쇠(21) 양자는 방아쇠(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양 멈춤쇠(9, 21)는 방아쇠가 당겨질 때 공이치기 요소(3)와 구동 부품(17)과 함께 결합위치로부터 선회한다. 안전장치(interrupter)(도시되지 않음)는 방아쇠가 당겨진 상태에서[그러나, 재부하 프로세스에 의해 구동 부품(17)이 다시 당겨질 경우] 2개의 멈춤쇠(9, 21)는 이들의 초기 위치로 되돌아 간다. 상기의 것을 행함에 있어서, 상기 멈춤쇠(9, 21)는 공이치기 요소(3)와 구동 부품(17)의 반시계방향 피봇운동을 방지한다.
전술한 방아쇠 장치의 작동 방법은 하기에 상술된다.
도 1에는 정지 위치에 있는 공이치기 요소(3)가 도시되어 있다. 안전 멈춤쇠(9)는 안전 캐취(7)와 맞물리고 공이치기 요소(3)의 전방 이동을 또한 방지하며, 따라서 공이(13)까지 도달하지 못한다(도 2). 방아쇠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은 공이치기 요소(3)상의 커플링(11)을 통해 작동한다. 핸들(5)에 의해 공이치기 요소(3)를 후방쪽으로 피봇시킬 수 있으며, 이는 안전 캐취(7)가 공이(13)로부터 이격되지 않고 공이(13)쪽으로의 선회 운동만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이치기 요소(3)는 항시 전술한 정지 위치로 되돌아 간다.
방아쇠가 당겨진다면, 안전 멈춤쇠(9)는 안전 캐취와 함께 결합위치로부터 선회한다. 공이치기 요소(3)는 공이(13)까지 도달할 수 있다(도 2).
만일 구동 부품(17)이 스프링 로드(15)에 의해 위쪽으로 가해지는 힘에 거슬러 후방쪽으로 피봇된다면, 캐취(19)는 캐취 멈춤쇠(21)에 떨어지며 구동 부품(17)은 당겨진 위치에 남게된다. 만일 방아쇠가 당겨진다면, 공이치기 부품(3)은 후방쪽으로 피봇되며 멈춤쇠(9, 21)는 함께 시계방향으로 피봇된다. 구동 부품(17)은 상기 멈춤쇠(9, 21)에 의해 해제되며, 그런 후 전방으로 피봇되며, 스프링 로드(15)의 힘에 의해 강하게 구동되며, 상기의 것을 함에 있어서 공치치기 요소(3) 뒤에 놓여 공치치기 요소(3)를 끌고 가며, 이는 구동 부품(17)의 지지면(23)이 공이치기 요소(3)의 대향면(25)을 타격하기 때문이다. 공이치기 요소(3)는 공이(13)를 타격할 때까지 전방으로 강하게 밀려진다(도 5). 이러한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전 멈춤쇠(9)가 당겨진 방아쇠로 인해 뒤로 피봇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다음 사격동안, 반동은 공이치기 요소(3)의 핸들(5)상의 놀이쇠뭉치(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작동해 핸들(5)을 뒤로 피봇시킨다. 그런 후 대향면(25)은 구동 부품(17)의 지지면(23)을 향해 가압해 캐취(19)가 캐취 멈춤쇠(21)로 떨어지고 구동 부품(17)이 콕킹 위치에 유지될 때까지 콕킹한다. 만일 놀이쇠뭉치가 좀더 전방으로 활주한다면, 한정된 힘으로 커플링(11)을 통해 스프링에 의해 구동되는 공이치기 요소(3)는, 안전 캐취(7)가 안전 멈춤쇠(9)상에 놓일 때까지 다시 점차 전방으로 떨어질 수도 있다.
전술한 과정동안, 방아쇠는 항상 당겨져 있으나, 안전장치에 의해 떨어져 있다. 그런 후, 멈춤쇠(9, 21)가 작동하지 않는 것처럼 작동한다.
방아쇠 장치의 이러한 일반적인 사용 위치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만일 방아쇠가 당겨진다면, 공이치기 요소(3)는, 멈춤쇠(9, 21)가 피봇되고 전술한 퇴출이 발생할 때까지 초기에 후방으로 이동된다. 퇴출 바로전의 조건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퇴출후에 카트리지의 발화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방아쇠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위치에 남게된다. 만일 방아쇠가 풀려져 다시 당겨진다면, 전술한 바와 같은 공이치기 요소(3)는 방아쇠에 의해 후방으로 피봇된다. 그러나, 자동적인 재장착 과정동안, 구동 부품(17)을 후방쪽으로 이동시킨다. 일련의 당김동안, 이러한 것은 방출되며 방아쇠 장치는 다시 퇴출된다.
사격 연습동안, 카트리지가 없는 또는 텅빈 카트리지 케이싱 또는 빈 카트리지는 총열의 카트리지 탄창에 위치되며, 각각의 퇴출후에 방아쇠를 해제할 수 있으며 그런 후 공이치기 요소(3)를 핸들(5)에 의해 후방으로 피봇시키며, 상기 핸들(5)은 구동 부품(17)을 이동시키며 이를 콕킹한다. 그런 후, 공이치기 요소(3)는 해제되어, 안전 멈춤쇠(9)상의 안전 캐취(7)를 향해 전방으로 스냅된다. 그런 후, 다시 당김이 가해진다.
전술한 변형예에서 방아쇠 로드(29)(도 6)가 제공되며, 상기 방아쇠 로드(29)는 공이치기 요소(3)의 리세스(커플링)(11)내의 돌출부와 맞물리며 방아쇠를 작동하는 동안 상기 돌출부를 도 7에 도시된 위치로 피봇시킨다. 또한, 방아쇠 로드(29)는 안전 멈춤쇠(21)와 맞물림에 의해 작동해 콕킹 구동 부품(17)이 퇴출되도록 안전 멈춤쇠(21)를 해제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공이치기 요소(3)와 방아쇠 로드(29)사이에 일정한 틈이있어 공이치기 요소(3)가 손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후방 위치로 피봇될 때, 구동 부품(17)의 어떠한 방아쇠 작용도 발생하지 않는다.
변형예에 따라, 방아쇠 로드(29)(도 6)는 공이치기 요소(3)의 리세스내에 틈새없이 돌추부와 결합하며, 상기 돌출부는 커플링(11)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방아쇠 로드(29)는 공이치기 요소(3)가 도 7에 도시된 위치를 가질 때 안전 멈춤쇠(21)를 작동시킨다. 방아쇠 장치 요소의 개별적인 상대 위치가 정렬되어 공이치기 요소(3)가 뒤로 당겨질 때 해제되는 콕킹 구동 부품(17)은 상이한 클릭으로 떨어진다. 그런 후, 방아쇠는 작동자에 의해 접촉하지 않게 된다.
만일 공이치기 요소(3)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거나 또는 간단히 해제된다면, 상기 공이치기 요소(3)는 공이치기 요소(3)의 안전 캐취(7)가 안전 멈춤쇠(9)를 타격할 때까지 구동 부품(17)의 로드(load) 아래로 이동한다. 그런 후, 공이(13)는 접촉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공이치기 요소(3)는 구동 부품(17)의 퇴출을 위한 장치처럼 작동하며; 그러나 구동 부품(17)은 공이치기 요소가 아니라 콕킹 방아쇠에 의해 콕킹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이를 고정하는 안전 장치가 제공되고 돌발적인 상황에서도 탄환이 발생되지 않게 하며, 방아쇠가 작동하지 않고 정지 위치에 있을 때 구동 부품이 언콕킹 위치내의 정지 위치에 안착되어 스트라이커와 접촉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전방 단부 위치와 후방 단부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전방 단부 위치에 배치되어 공이(13) 또는 카트리지의 발화 영역을 타격하는 공이치기 요소(3)와,
    전방의 언콕킹 위치(a front uncocked position)와 후방의 콕킹 위치(a rear cocked position)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전방의 언콕킹 위치로 이동할 때 공이치기 요소(3)를 동반하도록 배치된 구동 부품(17)과,
    상기 구동 부품(17)을 언콕킹 위치로 강제하는 스트라이커 스프링[스프링 로드(15)]과,
    언콕킹 위치에 있는 상기 구동 부품(17)이 스트라이커 스프링[스프링 로드(15)]의 힘에 대해 콕킹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그런 후 퇴출된 위치로 퇴출되며, 상기 구동 부품(17)이 방아쇠와는 무관하게 콕킹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방아쇠가 작동할 때까지 이 위치에 유지하는 방아쇠를 갖는 콕킹 방아쇠 장치(cocking trigger mechanism)에 있어서,
    상기 공이치기 요소(3)는, 상기 방아쇠가 작동하지 않는 한 이의 단부 위치에 또는 이의 단부 위치가까이에 위치된 정지 위치로 힘을 가하는 복귀 스프링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콕킹 방아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언콕킹 위치에 있는 상기 구동 부품(17)은 적어도 정지 위치상에 안착되어 있으며 방아쇠가 작동되지 않고 이의 단부 위치에서 공이치기 요소(3)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콕킹 방아쇠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이치기 요소(3)는 안전 캐취(7)를 가지며, 상기 안전 캐취(7)는 이의 전방 단부 위치에 근접할 때 안전 위치에 놓인 안전 멈춤쇠(9)내로 떨어지며, 상기 안전 멈춤쇠(9)는 상기 방아쇠에 연결되어 방아쇠를 잡아당길 경우 상기 안전 멈춤쇠(9)를 이의 안전 위치로부터 제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콕킹 방아쇠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방아쇠 스프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방아쇠를 전방으로 연속적으로 미는 것처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콕킹 방아쇠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지된 퇴출 장치는 상기 구동 부품(17)을 퇴출시키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콕킹 방아쇠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이치기 요소(3)는 리세스(11)를 가지며, 상기 리세스(11)내로 상기 구동 부품(17)을 해제하도록 배치된 방아쇠 로드(29)는 틈새에 관계없이 맞물려 상기 방아쇠 로드(29)의 각각의 위치는 공이치기 요소(3)의 대응하는 위치와 정확하게 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콕킹 방아쇠 장치.
KR10-1998-0030582A 1997-07-30 1998-07-29 콕킹방아쇠장치 KR1003600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32857A DE19732857C1 (de) 1997-07-30 1997-07-30 Spannabzugseinrichtung mit einer Hammersicherung
DE19732857.1 1997-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272A true KR19990014272A (ko) 1999-02-25
KR100360014B1 KR100360014B1 (ko) 2003-01-24

Family

ID=7837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582A KR100360014B1 (ko) 1997-07-30 1998-07-29 콕킹방아쇠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915935A (ko)
EP (1) EP0895053B1 (ko)
KR (1) KR100360014B1 (ko)
AT (1) ATE245274T1 (ko)
CA (1) CA2244319C (ko)
DE (2) DE19732857C1 (ko)
DK (1) DK0895053T3 (ko)
ES (1) ES2201369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3006B1 (en) * 1998-08-24 2001-09-04 Angelotti Inc. Double action pistol
DE19959964C5 (de) * 1999-12-13 2009-01-08 Heckler & Koch Gmbh Sicherung
DE10014687C1 (de) * 2000-03-24 2001-07-26 Heckler & Koch Gmbh Handfeuerwaffe mit Spannstücksicherung
DE102004032309B4 (de) * 2004-07-03 2010-04-08 Carl Walther Gmbh Schusswaffe
DE102005046877B4 (de) * 2004-09-29 2008-05-15 Carl Walther Gmbh Pistolen-Abzugs-Vorrichtung
US20060207147A1 (en) * 2005-03-19 2006-09-21 Lazor Ernest R Self-contained triggerplate action for low profile firearms
DE502006004184D1 (de) * 2006-07-11 2009-08-20 Sat Swiss Arms Technology Ag Abzugseinrichtung für Handfeuerwaffen
DE102007004588B3 (de) * 2007-01-30 2008-07-24 Heckler & Koch Gmbh Steuerelement, Abschlageinrichtung und Abschlagbaugruppe für eine Waffe
CN104154812B (zh) * 2014-07-31 2016-02-10 浙江新华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带有跌落保险结构的防暴枪
EP3990851A4 (en) 2019-06-27 2022-08-17 Sturm Ruger & Company, Inc. SAFETY MECHANISM FOR FIREARM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6040A (en) * 1970-06-10 1973-04-10 Rolamite Inc Gun trigger mechanism
DE2517002A1 (de) * 1975-04-17 1976-10-28 Walther Carl Gmbh Spannabzugmechanismus fuer handfeuerwaffen
IT1090110B (it) * 1977-10-28 1985-06-18 Beretta Armi Spa Pistola automatica perfezionata
BE876396R (fr) * 1979-01-10 1979-11-21 Herstal Sa Pistolet perfectionne
SE8105054L (sv) * 1980-08-27 1982-02-28 Dal David John Van Anordning vid forbrenningsmotor
IT1133775B (it) * 1980-11-10 1986-07-09 Franchi Spa Luigi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meccanismi di scatto di un fucile da caccia del tipo gas-pompa
US4706401A (en) * 1981-03-10 1987-11-17 Nielsen Bent A Trigger mechanism for a weapon
AT368807B (de) * 1981-04-30 1982-11-10 Glock Gaston Pistole
DE3332792A1 (de) * 1983-09-10 1985-03-28 Bayer Ag, 5090 Leverkusen Verwendung von polyhydroxyalkyl-polycarbonamiden zur herstellung flammgeschuetzter polyurethan-hartschaum- und integralschaumstoffe
US5166458A (en) * 1991-01-11 1992-11-24 Daewoo Precision Ind., Ltd. Firing mechanism for fast shooting pistol
EP0540778A1 (de) * 1991-11-08 1993-05-12 ITM INDUSTRIAL TECHNOLOGY & MACHINES AG Abzugsvorrichtung für Handfeuerwaffen
IL100548A0 (en) * 1991-12-30 1992-09-06 Israel Military Ind Double action pistol with improved fir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15935A (en) 1999-06-29
ATE245274T1 (de) 2003-08-15
DE59809012D1 (de) 2003-08-21
CA2244319A1 (en) 1999-01-30
DE19732857C1 (de) 1998-10-08
EP0895053A3 (de) 2000-08-23
DK0895053T3 (da) 2003-11-10
CA2244319C (en) 2002-04-02
KR100360014B1 (ko) 2003-01-24
EP0895053A2 (de) 1999-02-03
ES2201369T3 (es) 2004-03-16
EP0895053B1 (de) 200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8986A (en) Rifle bolt assemblies
KR100303932B1 (ko) 방아쇠장치
US7819051B1 (en) Electronically ignited firearms
US6341442B1 (en) Double action pistol
US5701698A (en) Trigger mechanism for firearms
US5640794A (en) Fire control mechanism for an automatic pistol
US8245427B2 (en) Firing pin safety device for auto-loading firearms
US5502914A (en) Striker cocking and firing mechanism for a handgun
US8356543B2 (en) Firearm firing mechanism
CN1016994B (zh) 具有后膛闭锁装置的自动装填轻武器
EP2019959B1 (en) Locking mechanism of a hand firearm
US4011678A (en) Safety system for firearm
KR19990014272A (ko) 콕킹 방아쇠 장치
US5517896A (en) Semi-automatic handgun with independent firing spring
KR100556003B1 (ko) 방아쇠 장치
US11313635B2 (en) Lever-coupled device for selectively preventing a firearm from discharging
US6460281B1 (en) Single trigger sequential firing mechanism for a double barrel firearm
US5992075A (en) Repeating gun having an axially guided repeating unit
US11215417B2 (en) Safety mechanism for hammer-operated firearms
US5664356A (en) Firearm safety mechanism with improved trigger pull
US1786536A (en) Firing mechanism for automatic firearms
US3942278A (en) Firing pin safety device for hand firearms
US4941394A (en) Hand-held automatic firearm
US5517897A (en) Semi-automatic handgun with unalterable trigger mechanism
US4262578A (en) Cartridge ej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