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046U - 스크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스크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046U
KR19990014046U KR2019970027369U KR19970027369U KR19990014046U KR 19990014046 U KR19990014046 U KR 19990014046U KR 2019970027369 U KR2019970027369 U KR 2019970027369U KR 19970027369 U KR19970027369 U KR 19970027369U KR 19990014046 U KR19990014046 U KR 199900140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screw
fastening
burring portion
bu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73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진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273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4046U/ko
Publication of KR199900140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046U/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크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제1 접합물과 제2 접합물을 서로 스크류로 결합시 제2 접합물에만 버링부가 형성되어 스크류 몸체에 형성된 나사산이 걸릴수 있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적어 스크류를 체결하고 나면 다수개의 나사산중 한 개정도만이 버링부에 걸려 체결후 지속적인 진동이 가해지면 스크류가 쉽게 풀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제 1 접합물(100)과 제2 접합물(200)을 서로 스크류(300)체결함에 있어서 제2 접합물(200)을 포밍하여 경사진 단턱부(210)가 형성되도록 한후 다시 버링부(220)를 형성하고, 제1 접합물(100)에는 상기 단턱부(210)내에 위치되는 버링부(120)를 형성하여 된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은 제2 접합물(200)뿐만 아니라 제1 접합물(100)에도 버링부(120)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스크류(300)의 나사산이 걸릴수 있는 면적이 그만큼 많아지므로서 체결력이 향상되어 체결후 지속적으로 진동이 전달되어도 스크류의 풀림현상이 없는 것이다.

Description

스크류 체결구조
본 고안은 접합물과 접합물을 이어주는 스크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제2 접합물 뿐만 아니라 제1 접합물에도 버링부를 형성하여 스크류 체결시 스크류의 몸체에 형성된 나사산이 걸릴수 있는 면적을 많게하여 체결력을 향상시켜 체결후 지속적인 진동으로 인하여 스크류가 풀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수 있는 스크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정기기의 조립시나 접합물간의 결합 또는 본체에 부품을 결합하는데에는 스크류를 주로 사용하는 것인데, 상기 스크류는 그 쓰임새에 따라 천차만별의 형태가 존재하는 것이다.
즉, 어린이들의 완구를 조립할 때 사용되는 스크류에서 부터 건축에 사용되는 스크류, 또는 통신기기 등에 사용되는 정밀도가 높은 스크류등 여러 가지로 구분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자렌지와 같은 일반적인 전자제품에서 접합물과 접합물을 서로 결합시키는데 사용되는 스크류는 주로 상부에는 머리부가 형성되고, 몸체에는 다수개의 나사산이 형성된 일반적인 스크류를 사용하여 결합시키고자 하는 접합물과 접합물을 서로 일치시킨후 여기에 스크류를 관통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제1 접합물(10)에는 스크류공(11)이 천공되고 제2 접합물(20)에는 체결공(21)이 형성되어 드라이버와 같은 체결공구의 끝단를 스크류(30)의 머리부(31)에 형성된 십자형이나 일자형의 드라이버홈(31a)에 일치시킨후 회동시킴에 따라 스크류(30)의 몸체(32)가 점차 제2 접합물(20)의 체결공(21)을 통과하도록 하는데 여기서 상기 제2 접합물(20)에 천공되는 체결공(21)은 제2 접합물(20)을 버링하여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즉, 제2 접합물(20)에는 버링부(22)가 형성되어 스크류(30)의 몸체(32)에 형성된 나사산(32a)이 상기 버링부(22)에 걸리도록 하므로서 스크류(30)가 체결되는 것이나 이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2 접합물(20)에 형성되는 버링부(22)는 길이가 스크류(30)의 몸체(32)길이 보다는 짧게 형성 되어있는 것인데 그 이유는 버링부(22)를 길게 하면 그만큼 체결공(21)의 구경이 커지면서 스크류(30)의 몸체(32)직경보다 커서 스크류(30)를 체결시 몸체(32)에 형성된 나사산(32a)이 버링부(22)에 걸리지않고 그대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스크류(30)를 회동시켜 스크류(30)의 머리부(31)가 제1 접합물(10)과 밀착되면 더 이상 스크류(30)는 들어가지를 않는데, 이때 스크류(30)의 몸체(32)에 형성된 여러개의 나사산(32a)중 한 개 정도만이 버링부(22)에 걸리기 때문에 즉, 나사산(32a)이 걸릴수 있는 면적이 적어 그만큼 체결력이 저하되므로서 장시간이 지남에 따라 스크류(30)가 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의 제2 접합물에 형성된 버링부는 물론 제1 접합물에도 버링부를 형성하므로서 스크류의 몸체에 형성된 나사산이 걸릴수 있는 면적을 크게하여 스크류의 체결력을 향상시켜 스크류가 쉽게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수 있도록 한 스크류 체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제2 접합물을 포밍하여 경사진 단턱부가 형성되도록 한후 다시 버링부를 형성하고, 제1 접합물에는 상기 단턱부내에 위치되는 버링부를 형성하므로서 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제1 접합물과 제2 접합물에 모두 버링부를 형성함에 따라 스크류를 체결하게 되면 스크류의 몸체에 형성된 나사산이 걸릴수 있는 면적이 많아지기 때문에 그만큼 체결력이 향상되므로서 체결후 장기간에걸친 진동이 전달되더라도 스크류가 풀어지지 않음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구성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 : 제1,2 접합물 120,220 : 버링부
210 : 단턱부 300 : 스크류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별첨의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도시한 결합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제 1 접합물(100)과 제2 접합물(200)을 서로 스크류(300)체결함에 있어서 제2 접합물(200)을 포밍하여 경사진 단턱부(210)가 형성되도록 한후 다시 버링작업하여 버링부(220)를 형성하고, 제1 접합물(100)에는 상기 단턱부(210)내에 위치되는 버링부(120)를 형성하여 된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 (310)은 스크류의 머리부이며, (320)은 스크류의 몸체이고, (321)은 나사산이다.
이와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제2 접합물(200)뿐만 아니라 제1 접합물(100)에도 버링부(120)를 형성한 것으로서 즉, 제2 접합물(200)에 버링부(220)를 형성하기 전에 우선 제2 접합물(200)을 포밍 작업하여 단턱부(210)가 형성되도록 한후 다시 버링작업하여 버링부(220)를 형성하고, 제1 접합물(100)에는 직접 버링부(120)를 형성하여 제1 접합물(100)을 제2 접합물(200)에 밀착시켰을시 제1 접합물(100)의 버링부(120)가 제2 접합물(200)의 단턱부(210)내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처럼 제2 접합물(200)에 단턱부(210)를 형성하는 이유는 제1 접합물(100)을 제2 접합물(200)에 밀착시켰을시 제1 접합물(100)에 형성되는 버링부(120)의 길이만큼 제1 접합물(100)과 제2 접합물(200)이 서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버링부(120)(220)가 각각 형성된 제1 접합물(100)과 제2 접합물(200)을 밀착시킨후 스크류(300)를 서로 관통되게 체결하는데, 종래에는 스크류(30)의 몸체(32)에 형성된 나사산(32a)이 걸릴수 있는 면적이 제2 접합물(20)에 형성된 버링부(22)뿐이어서 다수개의 나사산(32a)중 한 개정도만이 걸릴수 있는 것이나 본 고안에서는 제1 접합물(100)에도 버링부(120)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즉, 제1,2 접합물(100)(200)의 버링부(120)(220)에 나사산(321)이 걸리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체결력이 배가되어 스크류(300)가 저절로 풀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제1 접합물과 제2 접합물에 모두 버링부를 형성하여 스크류의 몸체에 형성된 나사산이 걸릴수 있는 면적을 많게하여 종래에 비해 체결력이 배가되어 제품의 체결이 보다 확실하고, 아울러 장기간이 지나더라도 스크류의 풀림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제 1 접합물(100)과 제2 접합물(200)을 서로 스크류(300)체결함에 있어서 제2 접합물(200)을 포밍하여 경사진 단턱부(210)가 형성되도록 한후 다시 버링부(220)를 형성하고, 제1 접합물(100)에는 상기 단턱부(210)내에 위치되는 버링부(120)를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체결구조
KR2019970027369U 1997-09-30 1997-09-30 스크류 체결구조 KR1999001404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369U KR19990014046U (ko) 1997-09-30 1997-09-30 스크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369U KR19990014046U (ko) 1997-09-30 1997-09-30 스크류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046U true KR19990014046U (ko) 1999-04-26

Family

ID=69690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7369U KR19990014046U (ko) 1997-09-30 1997-09-30 스크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404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157105T3 (es) Tornillo de cabeza arrancable.
CA2053589A1 (en) Roofing fastener and improved screw therefor
LU90374B1 (de) Schraubverbindung f-r Gewindest-be
CA2286740A1 (en) Self-drilling and thread-forming connecting element
KR19990014046U (ko) 스크류 체결구조
KR19990014047U (ko) 스크류 체결구조
KR987000499A (ko) 앵커 바아(anchor bar)용 커플링(COUPLING FOR ANCHOR BARS)
CA2204544A1 (en) Coupling for anchor bars
ATE208861T1 (de) Schraube zur gegenseitigen befestigung von wenigstens zwei bauteilen
KR19990014045U (ko) 스크류 체결구조
JPH02300510A (ja) ねじによる締結構造
ATE338214T1 (de) Klemmschraube mit klemmscheibe und zugehörige klemmvorrichtung
DE59906569D1 (de) Verschraubungsteil
JPS6255005B2 (ko)
KR200199395Y1 (ko) 체결장치
SE9002160D0 (sv) Faestanordning
KR200199393Y1 (ko) 체결장치
KR200199394Y1 (ko) 체결장치
KR19980017620U (ko) 씰러가 도포된 볼트
KR0123876Y1 (ko) 나사의 결합구조
KR870001147Y1 (ko) 스크류 체결용 스프링너트
KR0128361Y1 (ko) 부재의 체결구조
KR200372949Y1 (ko) 풀림방지체결볼트의 구조
WO2001039931A8 (en) Device for decoupling the inner part and the outer part of a constant velocity joint from each other
RU99121058A (ru) Резьб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детал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