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646A -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646A
KR19990013646A KR1019980027248A KR19980027248A KR19990013646A KR 19990013646 A KR19990013646 A KR 19990013646A KR 1019980027248 A KR1019980027248 A KR 1019980027248A KR 19980027248 A KR19980027248 A KR 19980027248A KR 19990013646 A KR19990013646 A KR 19990013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web
permeable
band
water
heat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7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3024B1 (ko
Inventor
쿠노히로아키
사나다아키라
타니구치수수무
호시요오노수케
Original Assignee
마수다노부유키
미쓰비시주코교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수다노부유키, 미쓰비시주코교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수다노부유키
Publication of KR19990013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0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5/00Dryer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5/02Drying on cylind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3/00Press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3/02Wet presses
    • D21F3/0281Wet presses in combination with a dryer roll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실린더(101)와, 다공질 웨브의 가열실린더(101)와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을 접촉지지하며 공기와 물을 비투과시키는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와, 다공질 웨브의 효과적인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의 외면과의 사이에서 수막류(水膜流)를 형성하기 위하여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의 외측으로부터 적당한 거리로 떨어져서 가열실린더(101) 주위에 배열된 복수개의 수윤활슈우부재(115)를 포함하는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
본 발명은 페이퍼머신(paper machine)의 건조부에 적용되는 가압건조장치 또는 종이 이외의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예를들면, 시이트건조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공질 웨브이 연속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4는 종래의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특공평 1-56198호 공보에서 인용). 도4에서 나타내는 바와같이, 이러한 장치에서 건조되기 위한 종이 또는 시이트와 같은 다른 다공질 웨브(3)와 다공질 웨브(3)를 지지하는 건조용밴드(4)(건조 펠트 또는 와이어)는 보조와이어(5)와 함께 흡입펌프에 의해 공기(7)를 연속 배기시키는 공기제거실(6)로 들어가고, 공기제거처리를 받아들여 양호한 열전도성을 갖게 하는 것으로 공기 비투과성을 갖는 두 개의 표면재(1),(8)의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의 표면재(1),(8)는 각각 가열공간(2)내에 있는 가열매체에 의해 가열되는 다공질 웨브(3)와 표면재(1)가 접촉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다공질 웨브(3)를 그 전체 폭을 취하는 범위의 것으로 수용한다. 또한, 다공질 웨브(3)로부터 증발된 물이 건조용 밴드(4)내에 응축될수 있도록 하기 위해 건조용 밴드(4)와 접촉하는 표면재(8)는 냉각공간(11)을 통하여 흐르는 유체에 의해서 냉각된다.
표면재(1),(8)로부터 떨어진 후, 건조용 밴드(4)는 건조용 밴드(4)내에 있는 응축된 물이 흡입박스(17)에서 제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공질 웨브로부터 더 떨어지게 된다.
또한, 냉각공간(11)은 지지빔(14)에 의해 지지되는 후드(13)와 롤(9),(10)에 대하여, 유체공급포트(12)로부터 냉각공간(11)을 통해 냉각유체흐름이 제공되고 유체배출포트(15)로부터 방출되도록 각각의 적절한 밀봉재(16a),(16b)에 의해 밀봉된다.
이와 같이, 다공질 웨브(3)는 표면재(1),(8)에 의해 수용되고, 내부에 함유된 물(습기)를 제거하기 위해서 외부로부터 가열되고 냉각된다.
그러나, 종래의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에와 같이 냉각공간(11)을 통하는 냉각유체흐름은 롤(9),(10)에 의해 밀봉되고, 냉각유체가 롤(9),(10)의 표면에 부착되므로, 결과적으로 롤(9)(10) 위에 표면재(8)의 미끄러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고속으로 주행시키는 경우에, 이러한 미끄러짐은 건조용 밴드(4)의 현저한 마모 및 극심한 구불구불어짐을 발생시켜 안정된 주행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중요하다.
또한, 지지빔(14)은 냉각공간(11)에 한정하는 후드(13)와 다양한 부재 사이를 밀봉하고, 내압구조상 냉각공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전체적인 크기가 커지고, 표면재(8)와 건조용 밴드(4)의 교환 위한 노동과 시간을 많이 들게 한다. 구체적으로, 표면재(8)와 건조용 밴드(4)는 끝이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들은 교환을 위하여 도4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야 한다.
또한, 도4의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에 있어서, 건조영역으로서 제공되는 냉각공간(11)(구체적으로는, 유체공급포트(12)로부터 유체배출포트(15)에까지 확장하는 영역)의 상류측에는 밀폐공간이 형성되고, 공기제거처리를 실행하기 위하여 흡입펌프로 연속적으로 내부의 공기(7)를 배출시키는 공기제거실(6)이 밀폐공간에 설치된다. 그러나, 흡입펌프의 배기속도가 너무 높으면 문제가 발생하므로, 건조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밀폐공간내의 압력은 1 Torr 이하로 유지시켜야한다.
실시예에 의한 필요 배기속도의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건
a. 건조용 밴드(폭B ×두께t×공간볼륨Φ=6m×0.003m×0.3)
b. 선속도 u= 1200m/min
c. 진공도 P1= 1 Torr
(2) 배기속도의 계산
S= BtΦu×760/P = 6×0.003×0.3×1200×760/l
= 4.92×103m3/min =4.92×106l/min (liter/min)
(여기에서, S: 배기속도(m3/min) )
흡입펌프는 진공도에 대한 조건으로부터 오일실드된 회전진공펌프 또는 메커니컬 부스트 펌프일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도5와 도6에서 나타낸다.
도5와 도6에서 명백하듯이, 필요배기속도(l/min)을 최대화시키는 조건(도5 및 도6에서 조건(1))에 있어서도, 진공도(압력P1)에 있어서 1 Torr에 대하여 1×104l/min에 근접한 결과값을 가진다. 즉, 상기한 계산결과(4.92×106l/min)는 이러한 것의 일반적인 사양(仕樣)보다도 100배 이상이 되므로 비현실적인 것이다.
또한, 도7은 수증기의 응축열 전환율에 대한 공기(비응축된 가스)의 영향을 나타낸다.
도7에서 명백하듯이, 공기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수증기의 확산이동이 차단되고, 결과적으로 응축열전환율이 감소하게 된다. 공기의 영향과 같은 것을 무시할 경우에, 공기함유량의 범위는 0.002kg(공기)/kg(수증기)의 비율로 되고, 부피비로는 0.001㎥(공기)/㎥(수증기)로 된다. 즉, 수증기의 전체압력(공기포함) 1000 Torr에 대하여 공기의 부분압력은 1 Torr이하가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창안되어진 것으로서, 가열실린더에 대한 다공질 웨브에 가압하기 위한 장치를 통해 다공질 웨브의 효과적인 건조를 확실히 하는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는, 다공질 웨브를 가열하기 위해서 다공질 웨브와 접촉하는 외부 표면을 가지는 가열실린더와, 다공질 웨브의 가열실린더와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을 접촉지지하며 공기와 물에 대해 비투과성을 가지는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와,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의 외부 표면과 수윤활슈우부재 사이에 수막류(水膜流)를 형성하기 위하여 비투과성 밴드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적당한 거리로 떨어져서 가열실린더 주위에 설치된 복수개의 수윤활슈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수윤활슈우부재 각각은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의 외부표면과 슈우 사이에 수막류를 형성하기 위한 슈우와, 상기한 슈우를 수막류를 통해 가압실린더에 가압하기 위한 유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에 의하여, 가열실린더 위를 주행하는 다공질 웨브는 복수개의 수윤활슈우부재에 의해서 가압되어, 임의의 압력으로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에 압력을 가하고,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작업효율을 향상시킨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다공질 웨브가 가열실린더에 접촉하기 전에, 다공질 웨브의 가열실린더와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은 공기와 물을 투과하는 투과성 건조용 밴드와 접촉하여, 다공질 웨브가 가열실린더와 접촉하고, 상기한 투과성 건조용 밴드의 다공질 웨브와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은 상기한 가열실린더 위의 예정된 위치로부터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와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에 의하여, 다공질 웨브는 투과성 건조용 밴드에 접촉가열된 후, 다공질 웨브의 표면은 비투과성 건조용 배드에 접촉냉각되어, 결과로서, 다공질 웨브내에 함유된 물을 효과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으며, 본 장치의 성능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와 다공질 웨브를 접촉시키기 이전의 위치에, 상기한 다공질 웨브와 투과성 건조용 밴드 내의 공기를 제거하는 공기제거기구를 설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속건조장치에 의하여, 공기제거기구는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와 다공질 웨브를 접촉하기 전에 가열실린더에 제공되어, 공기제거기구의 압력을 현저히 감소시키지 않고 다공질 웨브내의 물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장치에 의해 필요시 되는 전력소비를 매우 감소시킬 수 있다.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컨베이언스롤이 또한 제공될 수 있는데, 컨베이언스롤의 표면에는 미끄럼방지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에 의하여,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컨베이언스롤의 표면에 홈이 형성되므로, 슈우로부터 물이 쉽게 분출되고, 심지어 고속으로 주행할 때에도 어떠한 미끄럼도 없이 비투과성 밴드의 안전한 주행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열실린더의 내부표면에 근접하게 복수개의 가열매체유로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에 의하여, 가열실린더 위를 주행하는 다공질 웨브는 복수개의 수윤활슈우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를 임의의 압력으로 가압함으로서,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킨다는 이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로서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로서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수평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로서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종래의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5는 유회전진공펌프의 배기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메커니컬 부스터의 배기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수증기내에 비응축가스의 응축열전도에 대한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부호의 설명 -
1,101 : 가열실린더4 : 건조용밴드7,111 : 공기11 : 냉각공간14 : 지지빔 2 : 가열공간5 : 보조와이어8 : 냉각표면재12 : 유체공급포트15 : 유체배출포트 3,102 : 다공질 웨브6 : 공기제거실9,10 : 롤13 : 후드16a,16b : 밀봉재
17,109 : 흡입박스105 :비투과성 건조용밴드108 :유압실린더113 :가압공간1011 :가열매체유로1014 :베어링 103 :컨베이언스 롤106 :홈이 파인컨베이언스롤110 :공기제거실114 :유도가열코일1012 :가열매체 104 :투과성 건조용 밴드107 :슈우112 :물공급포트115 :수윤활슈우부재1013 :회전조인트
도1 내지 도3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로서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1은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2는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수평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다공질 웨브(이러한 다공질 웨브의 개념에는 페이퍼와 시이트 등이 포함된다)의 연속건조장치는 도1에서 나타내듯이, 가열실린더(101)(가열표면재) 위에 설치된 복수개의 수윤활슈우부재(115)와, 이러한 수윤활슈우부재(115)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가열실린더 위의 컨베이언스 라인(이후에, 간단히 라인이라고 칭함)을 주행하는 다공질 웨브내에 함유된 공기를 제거시키는 공기제거실(110)을 가지며, 가열실린더(101) 위의 라인을 주행하는 다공질 웨브(102)의 가열실린더(101)와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에 물과 공기를 투과시키는 건조용 밴드(104)를 접촉시키고, 또한, 물과 공기를 투과하지 않는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를 접촉시킴으로서 다공질 웨브(102)를 건조시킨다. 이하에, 각각의 부위와 그 주변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경우, 가열실린더(101)는 다공질 웨브(102)와 접촉하는 외주표면을 가지며, 다공질 웨브(102)를 가열시키기 위해 도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내부의 표면에 대하여 근접하게 복수개의 가열매체유로(1011)가 설치되는 중공실린더를 구성으로 한다. 회전조인트(1013)를 통해 공급되고 배출되는 가열매체(예를 들어, 신일철주식회사제 썸(Therm) S시리즈)는 가열실린더(101)를 가열시키기 위해서 가열매체유로(1011)를 통하여 흐른다. 한편, 가열실린더(101)는 회전을 위해 베어링(1014)에 의해 지지된다.
비록 상기한 가열실린더(101)는 내부표면에 대하여 근접하게 형성된 가열매체유로(1011) 내의 가열매체(1012)에 의해 가열되지만, 가열실린더(101)의 외주표면상에 근접하게 설치된 유도가열코일(114)(도1참조)에 의해 가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두가지 중 하나를 가열용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보조가열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으며, 가열 조건 등에 대하여 유용함을 가지는 방법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투과성 건조용 밴드(104)는 다공질 웨브(102)의 가열실린더(101)와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을 접촉지지한다. 상기한 건조용 밴드(104)(예를 들어, 다공성 재료)는 공기와 물이 그것을 통하여 투과될 수 있도록 만들어지며, 컨베이언스롤(103)(건조용 밴드 컨베이언스롤)에 의해 이동되는 끝이 없는 라인을 따라서 주행한다.
다음으로, 건조용 밴드(104)는 끝이 없는 라인을 따라서 주행하는 동안에 다공질 웨브(102)에 함유된 물을 흡입하여, 흡입에 의해 저장된 물을 끝이 없는 라인위에 설치된 흡입박스(109)에 의해 제거시킨다.
상기한 건조용 밴드(104)의 폭(라인에 대해 수직방향으로의 거리)은 예를 들어, 도3에서 나타내듯이, 다공질 웨브(102)의 폭 보다는 더 크다. 이러한 것은 폭 방향으로 균일하게 다공질 웨브(102)를 건조시킬 필요성과, 건조용 밴드(104)가 다공질 웨브(102)와 함께 일정한 범위로 구불구불해 질수 있다는 사실에 기인한 것이다. 이와같이, 건조용 밴드(104)의 폭을 상기한 다공질 웨브(102)의 폭보다 크게 함으로서, 다공질 웨브(102)의 안전한 건조가 이루어진다.
또한, 공기제거실(110)(공기제거기구)은 건조용 밴드(104)와 다공질 웨브(102) 내의 공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가열실린더(101)와의 접촉을 통해 가열되고, 다공질 웨브(102)로부터 증발하여 흘러나오는 수증기(공기와 물)는, 공기제거실(110)의 흡입펌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흡입된다.
즉, 가열실린더(101)에 의해 가열됨으로서, 다공질 웨브(102)는 더 높은 증기압을 발생시키고(그러므로 대기압 이상의 증기압으로 분출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이 공기제거실(110)내의 압력이 현저하게 감소(1 Torr까지)시키지 않고도(구체적으로는 660 Torr) 더 높은 건조효과를 얻고, 그 결과와 함께 다공질 웨브(102) 내의 공기의 부분압은 낮아진다.
또한, 상기한 공기제거실(110) 내의 압력은 건조용 밴드(104) 위에 위치하는 흡입박스(109) 내의 압력과 같고, 공기(111)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펌프로서는, 예를 들어 워터 실 펌프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한 공기제거실(110)은 다공질 웨브(102)가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와 접촉하기 전의 위치 즉, 건조용 밴드가 가열실린더(101) 위에 노출되는 영역(밀폐공간)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제거실(110)은 라인을 따라서 주행하는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의 폭(라인에 대해 수직방향으로의 거리)보다 좀 더 작은 폭을 가지도록 제공되어, 이후에 상세히 기술되는 수윤활슈우부재로부터 윤활수가 공기제거실(110)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냉각표면재)는 다공질 웨브(102)의 가열실린더와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을 접촉지지한다. 상기한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는 공기와 물이 비투과되도록 만들어지고, 홈이 파인 컨베이언스롤(106)(홈이 파인 냉각표면 컨베이언스롤)에 의해 끝이 없는 라인을 따라서 주행한다. 다음으로, 냉가표면재(105)는 끝이 없는 라인을 따라서 주행하는 동안에 급송되는 다공질 웨브(102)를 냉각시킨다. 한편, 홈이 파인 롤(106)은 이후에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다공질 웨브(102)가 가열실린더(101)와 접촉하기 전에, 건조용 밴드(104)는 다공질 웨브(102)의 가열실린더(101)와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과 접촉하게 되고, 다공질 웨브(102)가 가열실린더(101)와 접촉한 이후에,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는 가열실린더(101) 위의 예정된 위치(공기제거실의 하류측)에서 건조용 밴드(104)의 다공질 웨브(102)와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와같은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의 냉각효과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건조를 위해 다공질 웨브(102)를 가열실린더(101)에 가압하기 위해서, 수증기는 밀폐공간내에서 처리되어야 한다. 다공질 웨브(102)가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에 의해 냉각되지 않을 경우에는, 밀폐공간내의 압력이 가열실린더(101)의 온도에 대응하는 증기압력으로 상승하게 되어, 다공질 웨브(102) 내의 물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와 같은 특정 냉각표면을 형성하여, 다공질 웨브(102)에 함유된 수증기를 응축시켜 제거한다.
또한, 복수개의 수윤활슈우부재(115)는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의 외면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가열실린더(101) 주위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1에서 나타내는 바와같이, 각각의 수윤활슈우부재(115)는, 이후에 워터필름 플로워(water film flow)로 불리우는 수막류(水膜流)를 형성하기 위하여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의 외부표면과의 사이에 있는 슈우(107)와, 상기한 슈우(107)를 수막류의 유로에 의해 가열실린더(101)에 가압하기 위한 유압실린더(108)(유압장치)로 이루어진다. 각 슈우(107)는 수막의 존재로 인하여 건조용 밴드(104)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수윤활슈우부재(115)는, 슈우(107)에 설치된 물공급포트(112)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수를 사용하여, 슈우(107)와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 사이로 한정되는 가압공간(113)내에 수막을 형성시켜서,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는 유압실린더(108)에 의해 가압공간(113) 내의 수막(이후에, 워터필름(water film)이라 부름)을 통해 가압된다.
또한, 슈우(107)내의 수압은 슈우(107)와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 사이로 한정되는 미세한 간격으로 형성된 유로내의 압력손실과 같은 압력으로서, 이러한 압력에 의해 다공질 웨브(102)가 압력실린더(101)에 대하여 가압될수 있다. 즉,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를 유압실린더(108)에 의해 임의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슈우(107)에 공급되는 물은 가압하는 용도와 함께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를 냉각시키기 위해서도 사용되고, 사용된 물은 슈우(107)와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 사이의 미세한 간격으로부터 사방으로 분출된다. 또한, 이와같이 분출된 물은 재순환을 위해 원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를 교환하는데 있어서, 슈우(107)가 유체실린더(108)를 사용하여 압력실린더(10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떨어져 이동하므로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는 홈이 파인 컨베이언스롤(106)에 의해 이동하므로, 홈이 파인 컨베이언스롤(106)의 표면은 미끄럼방지처리가 되어있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각 롤의 표면은 수윤활슈우부재(107)로부터 분출된 물이 흐르는 홈이 제공된다.
다음으로, 홈으로 흘러들어간 물은 원심력 의해 흔들리거나 또는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에 부착되어 배출된다. 롤 표면에서의 홈은 여러 가지 유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롤의 외주를 따르는 방향 또는 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확장할 수 있다.
즉, 홈이 파인 컨베이언스(106)와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가 서로 접촉하는 영역에서 물이 롤 표면의 홈내에 유지되어, 롤의 홈부분을 제외한 표면과 물이 없는 막을 가진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허용하므로, 심지어 고속 주행의 경우에도 어떠한 미끄럼도 없이 홈이 파인 컨베이언스롤(106) 위의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가 안정적인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비록, 상기에서 홈이 형성된 롤 표면을 갖는 홈이 파인 컨베이언스롤(106)을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롤 표면은 이러한 홈에 한정되지 않고, 대신 간단하게 울퉁불통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또한 물의 배출이 쉽게 이루어진다. 또한, 홈 또는 울퉁불퉁한 표면의 형성은 물의 배출을 쉽게 할 뿐 아니라, 미끄럼방지 효과를 나타내므로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에 대한 롤 표면의 마찰을 증가시킨다.
도1에서와 같이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에 있어서, 다공질 웨브(102)가 가열실린더(101)와 접촉하기 전에, 건조용 밴드(104)는 다공질 웨브(102)의 가열실린더(101)와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에 건조를 위해 접촉하고, 건조용 밴드(104)와 접촉하는 다공질 웨브(102)는 가열실린더(101)에 접촉하게 되면 가열실린더(101)에 의해 가열된다.
이후에 다공질 웨브(102)는 가열되어, 대기압 이상의 증기압으로 다공질내의 물을 증발시키고, 공기실에 의해 공기(111)(건조용 밴드(104)와 다공질 웨브(102)내의 공기, 수증기 등)가 흡입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수증기와 공기가 공기실(110)에 의해 흡입되는 다공질 웨브(102)는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가 건조용 밴드(104)의 다공질 웨브(102)와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과 접촉하는 방식으로 공기실(110) 하류측의 가열실린더(101) 위로 이동한다.
이때, 다공질 웨브(102)는 슈우(107)로부터의 윤활수에 의해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를 통하여 가압되고 냉각되므로, 다공질 웨브(102)내의 물은 응축하고 이동을 위해 건조용 밴드에 흡입된다. 한편, 이와 같이 흡입된 물은 건종용 밴드(104)의 컨베이언스 라인위에 위치한 흡입박스(109)에 의해 제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에 의하여, 가열실린더(101) 위의 컨베이언스 라인 위를 주행하는 다공질 웨브(102)는 복수개의 슈우(115)에 의해 가열실린더(101)로 가압되므로,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를 임의의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고,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의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공질 웨브(102)가 건조용 밴드(104)와 접촉하고 가열된 후에, 다공질 웨브(102)는 건조용 밴드(104)의 다공질 웨브(102)와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과 접촉하는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에 의해 냉각되어, 다공질 내의 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며, 본 장치의 성능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공기제거실(110)을 가열실린더 위에 설치하여, 즉, 건조용 밴드(104)와 접촉하는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 앞에 설치하여, 공기제거실(110) 내의 압력을 현저히 감소시키지 않고 다공질 웨브(102) 내의 물을 흡입할 수 있으며, 장치에 의한 전력소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를 이동시키는 홈이 파인 컨베이언스롤(106)이 설치되어, 슈우(107)로부터 분출된 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수 있으며, 심지어 고속으로 주행하였을 경우에도 어떠한 미끄럼도 없이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의 안전한 주행을 실시할 수 있다.

Claims (7)

  1. 다공질 웨브(102)를 가열하기 위해서 상기한 다공질 웨브(102)과 접촉하는 외주 표면을 가지는 가열실린더(101)와, 상기한 다공질 웨브(102)의 상기한 가열실린더(101)와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과 접촉하고 그 표면을 지지하며, 공기와 물을 비투과시키는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와(105), 상기한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의 외부표면과 수윤활슈우부재(115) 사이에 수막류(水膜流)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한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의 외부표면으로부터 적당한 거리로 떨어져서 상기한 가열실린더(101) 주위에 설치된 복수개의 수윤활슈우부재(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복수개의 수윤활슈우부재(115) 각각이 상기한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의 외부표면과 상기한 슈우(107) 사이에 수막류를 형성하기 위한 슈우(107)와, 상기한 슈우(107)를 상기한 수막류를 통해 가열실린더(101)에 가압하기 위한 유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다공질 웨브(102)가 상기한 가열실린더(101)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한 다공질 웨브(102)의 가열실린더(101)와 접촉하지 않는 표면은 공기와 물을 투과할 수 있는 투과성 건조용 밴드(104)와 접촉하여, 상기한 다공질 웨브(102)가 상기한 가열실린더(101)에 접촉하고, 상기한 투과성 건조용 밴드(104)의 상기한 다공질 웨브(102)와 접촉하지 않는 측의 표면은 상기한 가열실린더(101) 위의 예정된 위치로부터 상기한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와 상기한 다공질 웨브(102)를 접촉시키기 이전의 위치에, 상기한 다공질 웨브(102)와 투과성 건조용 밴드(104)내의 차단된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공기제거기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비투과성 건조용 밴드(105)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표면에 미끄럼방지처리를 한 컨베이언스롤(10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열실린더(101)가 그 내부표면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가열매체유로(10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유도가열코일(114)이 상기한 가열실린더(101)의 외주표면상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
KR1019980027248A 1997-07-07 1998-07-07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 KR1002830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81545A JPH1121782A (ja) 1997-07-07 1997-07-07 多孔質ウェブの連続乾燥装置
JP97-181545 1997-07-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646A true KR19990013646A (ko) 1999-02-25
KR100283024B1 KR100283024B1 (ko) 2001-03-02

Family

ID=16102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7248A KR100283024B1 (ko) 1997-07-07 1998-07-07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076275A (ko)
EP (1) EP0890675B1 (ko)
JP (1) JPH1121782A (ko)
KR (1) KR100283024B1 (ko)
CN (1) CN1133859C (ko)
CA (1) CA2240999C (ko)
DE (1) DE69818560T2 (ko)
ID (1) ID20528A (ko)
TW (1) TW43434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655A (ko) 2020-12-09 2022-06-16 정태상 폐 패드 밀봉포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41336A1 (de) 1999-08-31 2001-03-01 Voith Paper Patent Gmbh Trocknungsvorrichtung
US6701637B2 (en) 2001-04-20 2004-03-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ystems for tissue dried with metal bands
DE102004017815A1 (de) 2004-04-13 2005-11-03 Voith Paper Patent Gmbh Papiermaschine
CN100523073C (zh) * 2004-07-16 2009-08-05 R.T.范德比尔特公司 不使用金属氧化物活化剂或锌基促进剂硫化乳胶复合物
FI20126033L (fi) * 2012-10-03 2014-04-04 Valmet Technologies Inc Laitteisto lämmön siirtämiseksi kuiturainakoneessa, pinnanmuokkauslaite kuiturainan pinnan muokkaamiseksi ja kuiturainakoneen kuivatusosa
CN106274049B (zh) * 2016-08-03 2019-06-14 绍兴富美激光科技有限公司 一种运用感应加热烘干上浆织物的滚筒印花装置
JP6989926B2 (ja) * 2018-07-25 2022-01-12 株式会社ミヤコシ 乾燥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3097A (en) * 1972-05-30 1974-01-01 Beloit Corp Hydrodynamically loaded web press with slipper bearing shoes
FI61537C (fi) * 1981-02-19 1982-08-10 Tampella Oy Ab Foerfarande och anlaeggning foer kontinuerlig torkning av en pappers- eller liknande poroes bana
FI62692C (fi) * 1981-05-20 1983-02-10 Valmet Oy Pappersmaskinspress med bred presszon
US4738752A (en) * 1986-08-12 1988-04-19 Beloit Corporation Heated extended nip press apparatus
JPS6456198A (en) * 1987-08-26 1989-03-03 Tokyo Kyuei Kk Self-maturing method in biological filter tank
FI87474C (fi) * 1989-12-01 1993-01-11 Valmet Paper Machinery Inc Foerfarande och anordning i en pappersmaski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655A (ko) 2020-12-09 2022-06-16 정태상 폐 패드 밀봉포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90675A2 (en) 1999-01-13
ID20528A (id) 1999-01-07
CN1133859C (zh) 2004-01-07
JPH1121782A (ja) 1999-01-26
EP0890675A3 (en) 1999-07-07
CA2240999A1 (en) 1999-01-07
CA2240999C (en) 2001-10-30
DE69818560T2 (de) 2004-08-19
EP0890675B1 (en) 2003-10-01
KR100283024B1 (ko) 2001-03-02
CN1204761A (zh) 1999-01-13
TW434347B (en) 2001-05-16
US6076275A (en) 2000-06-20
DE69818560D1 (de) 200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69141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torkning av en pappersbana eller liknande
FI80102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torkning av en fiberbana.
FI87669C (fi) Foerfarande och tork vid torkning av papper
FI97485C (fi) Kuivauslaite kuiturainan kuivaamiseksi ja paperikoneen kuivausosa
US3447247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drying web material
CA1038157A (en) Dryer for non-self-supporting webs
US3753298A (en) Web dryer
US3296710A (en) Absorbent dryer
JPS6360159B2 (ko)
JPS59137595A (ja) 紙又は板紙用ドライヤ
KR100283024B1 (ko) 다공질 웨브의 연속건조장치
CA2264376C (en) Continuous drying apparatus for porous web
US5706587A (en) Apparatus for drying a fibre web
US4485567A (en) Dryer felt run
FI58173B (fi) Saett och anordning foer att torka fuktigt material foeretraedesvis en fuktig materialbana
KR20000005438A (ko) 섬유 웨브용 건조 장치의 에너지 활용 방법 및 장치
KR20000069389A (ko) 섬유 웹 건조 방법 및 장치
FI69143B (fi) Torkningsfoerfarande samt flercylindertork i en pappersmask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