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595U - 전자제품용 오디오와 비디오 입출력 단자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용 오디오와 비디오 입출력 단자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595U
KR19990013595U KR2019970026905U KR19970026905U KR19990013595U KR 19990013595 U KR19990013595 U KR 19990013595U KR 2019970026905 U KR2019970026905 U KR 2019970026905U KR 19970026905 U KR19970026905 U KR 19970026905U KR 19990013595 U KR19990013595 U KR 199900135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video input
output terminals
terminal plat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69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일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269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3595U/ko
Publication of KR199900135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595U/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제품용 오디오와 비디오 입출력 단자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프론트 패널에 단자 플레이트를 용착에 의해 조립시킨 후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를 단자 플레이트에 삽입시키므로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를 조립시키는 작업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프론트 패널(10)의 전면 일측에 설치구멍(11)이 형성되며, 프론트 회로기판(20)에는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0)가 일측에 설치되고 이러한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0)의 양측에는 끼움구멍(21)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끼움구멍(21)에는 걸림편(42)이 양측에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단자 플레이트(40)가 결합된다.
따라서, 단자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는 전자제품의 모델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하며, 더욱이 조립이나 분리시 설치구멍 등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단자구멍과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 사이의 갭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제품용 오디오와 비디오 입출력 단자의 조립구조
본 고안은 전자제품의 전자제품의 오디오와 비디오 입출력 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 및 영상(오디오와 비디오:Audio & Video) 입출력 단자가 여러 전자제품에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는 전자제품용 오디오와 비디오 입출력 단자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와 같은 전자제품에 장착되는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는 전자제품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와 영상신호가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를 통해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나 텔레비젼을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는 최근 보편화되고 있는 에이브이 시스템(Audio & Video system), 즉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와 텔레비젼, 그리고 오디오 상기한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일반 가정에서 보다 실감있는 화면과 음향을 제공받게 된다.
한편, 상기한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가 장착되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는 투입된 비디오 테이프의 음성 및 영상신호를 헤드드럼을 통해 재생한 후,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를 통해 다른 전자제품으로 출력하거나, 외부의 음성 및 영상 신호를 입력받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자제품용 오디오와 비디오 입출력 단자의 조립구조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론트 패널(1)의 전면 한 부분에는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설치구멍(1a)이 형성되고, 그리고 이 설치구멍(1a)의 배면 둘레에는 결합핀(1b)이 다수개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설치구멍(1a)의 배면에 고정 설치되는 단자 플레이트(4)는 중앙부에 다수개의 단자구멍(4a)이 형성되며, 이 단자구멍(4a)의 바깥 방향에는 결합구멍(4b)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결합핀(1b)에 끼워져 용착된다. 그리고 이러한 용착작업은 결합구멍(4b)에 끼워진 결합핀(1b)의 끝 부분을 가열된 용착기에 의해 녹여서 단자 플레이트(4)를 설치구멍(1a) 배면에 결합,고정시키게 된다.
상기한 단자 플레이트(4)의 단자구멍(4a)에 삽입되는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는 프론트 회로기판(2)에 장착되며, 이러한 프론트 회로기판(2)은 상기한 프론트 패널(1)의 배면에 나사 등에 의해 체결,설치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단자 플레이트(4)를 프론트 패널(1)의 설치구멍(1a) 배면에 용착시킨 후,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가 장착된 프론트 회로기판(2)을 프론트 패널(1)의 배면에 설치하게 되며, 이때, 작업자는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가 단자 플레이트(4)의 단자구멍(4a)에 정확히 삽입되도록 조립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자제품용 오디오와 비디오 입출력 단자의 조립구조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론트 패널(1)에 단자 플레이트(4)를 용착에 의해 조립시킨 후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를 단자 플레이트(4)에 삽입시키므로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를 조립시키는 작업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작업자가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용착에 의해 단자 플레이트(4)를 프론트 회로기판(2)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가 장착된 프론트 회로기판(2)을 프론트 패널(1)의 배면에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단자 플레이트(4)와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를 각각 조립하므로 제품의 조립 생산성을 저하시켜 왔었다.
또한, 단자 플레이트(4)의 설치구멍(1a)에 삽입되는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는 제품의 조립시, 단자 플레이트(4)의 설치구멍(1a) 주변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게 위해 작업자가 보다 신중하게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를 조립하게 된다. 그러나, 제품을 조립하거나 분리하는 경우,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가 상기한 설치구멍(1a)의 둘레부분과 빈번하게 접촉되거나 걸리게 되는 등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가 설치된 전자제품의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더욱이, 이와 같은 전자제품용 오디오와 비디오 입출력 단자의 조립구조는 단자 플레이트(4)나 프론트 패널(1)의 디자인이 다를 경우, 조립이 불가능하므로 별도의 단자 플레이트(4)를 만들거나,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가 위치되는 프론트 패널(1)의 형상을 변경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여러 종류의 프론트 패널에 관계없이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가 보다 간편하게 프론트 패널에 조립될 수 있는 전자제품용 오디오와 비디오 입출력 단자의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입출력 단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입출력 단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입출력 단자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프론트 패널 11; 설치구멍
20; 프론트 회로기판 21; 끼움구멍
30; 음성 입출력 단자 40; 영상 입출력 단자
50; 단자 플레이트 51; 단자구멍
52; 걸림편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자제품용 오디오와 비디오 입출력 단자의 조립구조는 전면 일측에 설치구멍이 형성되는 프론트 패널과; 일측에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가 설치되고,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의 양측에 끼움구멍이 각각 형성되는 프론트 회로기판과; 이러한 끼움구멍에 결합되도록 양 측단부 후방으로 걸림편이 돌출 형성되고, 전면에는 다수개의 단자구멍이 형성되는 단자 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제품용 오디오와 비디오 입출력 단자의 조립구조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입출력 단자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프론트 패널(10)은 전면 일측에 설치구멍(11)이 형성되며, 이 설치구멍(11)은 대략 장공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프론트 패널(10)의 배면에 설치되는 프론트 회로기판(20)에는 상기한 설치구멍(11)에 삽입되도록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한 음성 및 입출력 단자의 양측에는 끼움구멍(21)이 각각 형성되고, 이 끼움구멍(21)에는 단자 플레이트(40)가 결합되어 음성 및 입출력 단자를 견고하게 잡아주게 된다. 이러한 단자 플레이트(40)는 양쪽 단부에 후방으로 걸림편(42)이 돌출 형성되고, 전면에는 상기 음성 및 입출력 단자가 끼워지는 다수개의 단자구멍(4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제품의 한 예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조립 공정중, 작업자가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0)를 조립하게 될 때에는, 단순히 프론트 회로기판(20)을 프론트 패널(10)에 설치하므로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0)의 조립작업이 마무리 된다.
즉,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0)를 조립하는 작업자는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 및 영상 입력단자의 양측에 형성된 끼움구멍(21)에 단자 플레이트(40)를 결합시키므로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0)가 단자 플레이트(40)에 의해 견고하게 프론트 회로기판(20)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프론트 회로기판(20)을 프론트 패널(10)에 설치하면, 단자 플레이트(40)가 설치된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0)는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론트 패널(10)의 설치구멍(11) 배면에 자연스럽게 위치되므로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0)의 조립작업이 프론트 회로기판(20)의 조립작업과 동시에 마무리된다.
더욱이, 프론트 패널(10)의 설치구멍(11) 배면에 설치되는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0)는 단순히 설치구멍(11)의 배면에 밀착되므로 프론트 패널(10)과 프론트 회로기판(20)을 분리하거나 조립하는 경우,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0)가 설치구멍(11)에 걸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자제품의 분리로 인한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0)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전자제품의 분리 및 조립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술한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0)는 단자 플레이트(4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0)가 설치되는 다른 모델의 프론트 패널(10)의 설치구멍(11)의 형상, 즉 단자구멍(41)이 여러개 형성되거나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에 관계없이 프론트 회로기판(20)의 조립작업만으로 간편하게 조립된다. 따라서 단자 플레이트(40)를 설치구멍(11)의 형상에 따라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불편함을 방지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한 단자 플레이트(40)는 프론트 회로기판(20)이 프론트 패널(10)에 설치되기 전에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0)에 결합되므로 단자구멍(41)과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0)와의 갭(공차)을 작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면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외에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가 장착되는 각종 가전제품과 전자,전기 제품에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가 설치된 프론트 회로기판에 단자 플레이트를 결합한 후에 프론트 회로기판을 프론트 패널에 설치하므로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의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단자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는 전자제품의 모델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하며, 더욱이 조립이나 분리시 설치구멍 등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단자구멍과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 사이의 갭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자제품의 음성 및 영상신호가 입,출력되는 전자제품용 오디오와 비디오 입출력 단자의 조립구조에 있어서,
    전면 일측에 설치구멍(11)이 형성되는 프론트 패널(10)과;
    상기 프론트 패널(10)의 설치구멍(11)에 삽입되도록 일측에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0)가 설치되고, 이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0)의 양측에는 끼움구멍(21)이 각각 형성되는 프론트 회로기판(20)과;
    상기 끼움구멍(21)에 결합되도록 양 측단부 후방으로 걸림편(42)이 돌출 형성되고, 전면에는 상기 음성 및 영상 입출력 단자(30)가 끼워지도록 다수개의 단자구멍(41)이 형성되는 단자 플레이트(4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오디오와 비디오 입출력 단자의 조립구조.
KR2019970026905U 1997-09-27 1997-09-27 전자제품용 오디오와 비디오 입출력 단자의 조립구조 KR1999001359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905U KR19990013595U (ko) 1997-09-27 1997-09-27 전자제품용 오디오와 비디오 입출력 단자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905U KR19990013595U (ko) 1997-09-27 1997-09-27 전자제품용 오디오와 비디오 입출력 단자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595U true KR19990013595U (ko) 1999-04-15

Family

ID=69680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6905U KR19990013595U (ko) 1997-09-27 1997-09-27 전자제품용 오디오와 비디오 입출력 단자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359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86975A (ja) 表面実装コネクタソケット
US5644474A (en) Video cassette recorder incorporating therein a grounding system
KR19990013595U (ko) 전자제품용 오디오와 비디오 입출력 단자의 조립구조
US5284450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camera
KR100905838B1 (ko) 튜너의 콘넥터
JP2000173708A (ja) 取付ブラケット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KR200150479Y1 (ko) 모니터의 비데오회로기판 고정장치
KR100461724B1 (ko) 튜너 샤시 결합형 핀 커넥터를 갖는 rf 모듈레이터
KR19990014609U (ko) 전자제품용 입출력단자의 접지구조
JP4028621B2 (ja) 回路基板用コネクタ
JP3631796B2 (ja) ボックス取付型直列ユニット
JP3321571B2 (ja) 光電共用伝送装置、保持体、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および機器
JP2832999B2 (ja) スピーカ
KR200298261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입출력 잭 접지구조
JPH10261455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H09327083A (ja) スピーカ取付装置
KR19990008538U (ko) 전자제품용 회로기판의 단자부와 섀시의 조립구조
JP2536615Y2 (ja) 複合型スピーカ
KR100439408B1 (ko) 튜너 샤시의 터미널 핀 홀더
KR200145236Y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케이블 연결 구조체
KR0117508Y1 (ko) Vcr의 안테나보드 장착구조(antenna board mounting structure of vcr)
KR19980013838A (ko) 전자제품의 단자고정장치
JPH0426188B2 (ko)
JPH0279378A (ja) 映像信号用配線器具
KR200154489Y1 (ko) 단자삽입부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