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1384U - 파워 미러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파워 미러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1384U
KR19990011384U KR2019970024738U KR19970024738U KR19990011384U KR 19990011384 U KR19990011384 U KR 19990011384U KR 2019970024738 U KR2019970024738 U KR 2019970024738U KR 19970024738 U KR19970024738 U KR 19970024738U KR 19990011384 U KR19990011384 U KR 199900113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mirror
support plate
mirror support
right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47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0047Y1 (ko
Inventor
정창옥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247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047Y1/ko
Publication of KR199900113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3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0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0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retracting the mirror arrangements to a non-use position along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3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 B60R1/086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using a mirror angularly movable between a position of use and a non-glare position reflecting a dark field to the user, e.g. situated behind a transparent glass used as low-reflecting surface; Wedge-shaped mirrors
    • B60R1/087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using a mirror angularly movable between a position of use and a non-glare position reflecting a dark field to the user, e.g. situated behind a transparent glass used as low-reflecting surface; Wedge-shaped mirrors with remote or automatic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보다 간편하게 아웃사이드 미러의 전후좌우 유동을 실행할수 있도록 고안된 파워 미러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파워미러를 지지하도록 그 후방면의 각 위치에 다수의 지지브라켓트(10a)가 형성된 미러지지판(10)과; 전방에는 양끝이 경사진 모터기어(20a)가 양측에는 스틸재질의 플레이트(20b)가 형성되고, 상기 미러지지판(10)을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모터(20)와; 상기 모터(20)를 전진동작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탄성스프링(30)과;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상기 모터(20)를 후진시키도록 일정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40)과; 상기 제 1 탄성스프링(30) 및 전자석(40)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는 모터(20)의 기어(20a)와 체결동작하여 미러지지판(10)을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하/좌우 구동단자(50)(60)와, 상기 상하/좌우 구동단자(50)(60)를 고정시키도록 베어링(70a)이 체결된 고정브라켓트(70)와; 상하/좌우 구동단자(50)(60)에 의한 상기 미러지지판(10)의 상하 또는 좌우회전을 지지하는 상하/좌우 구동와이어(80)(90)와, 미러지지판(10)이 정상적으로 상하좌우회전을 할수 있도록 상기 상하/좌우 구동와이어(80)(90)에 장력을 제공하는 다수의 제 2 탄성스프링(1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워 미러 구동장치
본 고안은 차량의 파워 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보다 간편하게 아웃사이드 미러의 전후좌우 유동을 실행할수 있도록 고안된 파워 미러 구동장치(Power Mirror Driving Device)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워 미러의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의 가동은 독립된 2개의 모터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 의한 전동식의 아웃사이드 미러에 있어, 독립된 2개의 모터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그에따른 비용이 증대되는등 제조원가가 크게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초래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의 목적은,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아웃사이드 미러의 전후방향과 상하방향으로의 유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하므로서, 그에따른 제작시의 제조원가를 절감시키고자 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파워미러 구동장치의 구조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 파워 미러 구동장치의 구동단자와 고정브라켓트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미러지지판, 10a: 지지브라켓트, 20: 모터, 20a: 모터기어, 20b: 플레이트, 30: 제 1 탄성스프링, 40: 전자석, 50,60: 상하/좌우 구동단자, 50a,60a: 풀리, 50b,60b: 베어링결합부, 50c,60c: 기어산, 70: 고정브라켓트, 70a: 베어링, 80,90: 상하/좌우 구동와이어, 100: 제 2 탄성스프링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 파워 미러 구동장치는, 파워미러를 지지하도록 그 후방면의 각 위치에 다수의 지지브라켓트가 형성된 미러지지판과; 전방에는 양끝이 경사진 모터기어가 양측에는 스틸재질의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미러지지판을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를 전진동작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탄성스프링과;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상기 모터를 후진시키도록 일정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과; 상기 제 1 탄성스프링 및 전자석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는 모터의 기어와 체결동작하여 미러지지판을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하/좌우 구동단자와, 상기 상하/좌우 구동단자를 고정시키도록 베어링이 체결된 고정브라켓트와; 상하/좌우 구동단자에 의한 상기 미러지지판의 상하 또는 좌우회전을 지지하는 상하/좌우 구동와이어와, 미러지지판이 정상적으로 상하좌우회전을 할수 있도록 상기 상하/좌우 구동와이어에 장력을 제공하는 다수의 제 2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상하/좌우 구동단자는, 상하/좌우 구동와이어가 권선되는 풀리와, 고정브라켓트의 베어링에 결합하는 베어링결합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풀리의 내측면에는 모터기어가 체결될수 있도록 경사진 기어산이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파워미러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제 1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모터가 전진동작을 함과 동시에 그 전방부의 기어가 좌우구동단자와 체결동작을 하면,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체결된 기어 및 좌우구동단자와 좌우구동와이어의 작용에 의해 파워미러를 지지하는 미러지지판이 좌우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파워미러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전자석에서 일정자력을 발생시키면, 상기 발생된 일정자력에 따라 전진동작된 모터가 후진함과 동시에 그 전방부의 기어가 상하구동단자에 체결동작을 하게 되므로서,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체결된 기어 및 상하구동단자와 상하구동와이어의 작용에 따라 파워미러를 지지하는 미러지지판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술한다.
도 1은 본 고안 파워미러 구동장치의 구조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파워 미러 구동장치의 구동단자와 고정브라켓트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파워미러 구동장치는 미러지지판(10), 모터(20), 제 1 탄성스프링(30), 전자석(40), 상하/좌우 구동단자(50)(60), 고정브라켓트(70), 상하/좌우 구동와이어(80)(90) 및 제 2 탄성스프링(100)을 포함한다.
상기 미러지지판(10)은 파워미러(도시하지 않음)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그 후방면의 상하좌우면에는 상기 상하/좌우 구동와이어(80)(90)의 일측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브라켓트(10a)이 형성된다.
상기 모터(20)는 상기 미러지지판(10)을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것으로서, 모터기어(20a) 및 플레이트(20b)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딜레이(delay)스위치를 구비한다.
상기 모터기어(20a)는 상기 모터(20)의 전방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 1 탄성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모터(20)가 전진동작시 상기 좌우구동단자(60)에 용이하게 체결할수 있도록 그 양끝단을 경사지게 가공한다.
상기 플레이트(20b)는 스틸재질로서 상기 전자석(40)에서 발생되는 일정자력에 따라 상기 모터(20)를 후진시킴과 동시에 모터기어(20a)를 상기 상하구동단자(50)로 체결시키도록 상기 모터(20)의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 딜레이스위치는 상기 전자석(40)에서 일정자력을 발생시킨 후 상기 모터(20)가 구동할수 있도록 상기 모터(20)의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탄성스프링(30)은 상기 모터(20)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모터(20)를 전진동작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전자석(40)은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일정자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모터(20)의 플레이트(20b)와 서로 자성의 특성(끌어당기는 성질)으로 작용하여 상기 모터(20)를 후진시킨다.
상기 상하구동단자(50)는 상기 모터(20)의 기어(20a)와 동일선상에 위치한 후 상기 전자석(40)에 의한 모터(20)의 후진동작시 상기 모터기어(20a)와 체결동작하여 미러지지판(10)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좌우구동단자(60)는 상기 상하구동단자(50)와 동일선상에 위치한 후 상기 제 1 탄성스프링(30)에 의한 모터(20)의 전진동작시 상기 모터기어(20a)와 체결동작하여 미러지지판(10)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상하/좌우 구동단자(50)(60)에는 동일형상으로서 풀리(50a) (60a), 베어링결합부(50b)(60b) 및 기어산(50c)(60c)을 일체로 구비한다.
상기 풀리(50a)(60a)에는 미러지지판(10)의 지지브라켓트(10a)에 일측단이 고정된 상하/좌우 구동와이어(80)(90)가 권선되며, 상기 베어링결합부(50b)(60b)는 상기 상하/좌우 구동단자(50)(60)가 회전할수 있도록 상기 고정브라켓트(70)의 베어링(70a)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풀리(50a)(60a)와 베어링결합부(50b) (60b)는 일체의 형상이다.
상기 기어산(50c)(60c)은 모터기어(20a)가 용이하게 체결될수 있도록 상기 풀리(50a)(60a)의 내측면에 경사지게 가공된다.
상기 고정브라켓트(70)는 상기 상하/좌우 구동단자(50)(60)를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베어링(70a)이 체결된다.
상기 상하구동와이어(80)는 상기 미러지지판(10)의 상하에 형성된 지지브라켓트(10a)에 고정된 후 상기 상하구동단자(50)의 풀리(50a)에 권선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미러지지판(10)의 상하회전을 지지한다.
상기 좌우구동와이어(90)는 상기 미러지지판(10)의 좌우에 형성된 지지브라켓트(10a)에 고정된 후 상기 좌우구동단자(60)의 풀리(60a)에 권선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미러지지판(10)의 좌우회전을 지지한다.
상기 제 2 탄성스프링(100)은 상기 미러지지판(10) 후방면의 각 모서리에 체결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미러지지판(10)이 정상적으로 상하좌우회전을 할수 있도록 상기 상하/좌우 구동와이어(80)(90)에 장력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일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파워미러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모터(20)를 회전구동시키면, 상기 모터(20)는 그 후방에 형성된 제 1 탄성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동작을 하게 되므로서, 상기 모터(20)의 전진동작에 따라 그 전방부에 형성된 모터기어(20a)가 연동하면서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좌우구동단자(60)에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기어(20a)의 양끝단은 경사지게 가공되어 있으므로서, 상기 좌우구동단자(60)에 용이하게 체결된다.
즉, 상기 좌우구동단자(60)에는 미러지지판(10)의 지지브라켓트(10a)에 일측단이 고정된 상하/좌우 구동와이어(80)(90)가 권선된 풀리(60a)와, 고정브라켓트(70)의 베어링(70a)에 결합되는 베어링결합부(60b)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풀리(60a)의 내측면에는 경사진 기어산(60c)이 가공되어 있으므로서, 상기 모터(20)의 전진동작과 연동하는 모터기어(20a)는 용이하게 상기 좌우구동단자(60)의 풀리(60a)에 체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모터(20)가 회전구동을 하고 있으므로서, 상기 모터(20)의 기어(20a)와 체결된 좌우구동단자(60)는 미러지지판(10) 좌우면의 지지브라켓트(10a)에 그 일측단이 고정된 좌우구동와이어(90)에 의해 지지되면서 베어링(70a)에 의해 좌우회전을 하게 되므로서, 상기 좌우구동단자(60)의 좌우회전에 따라 파워미러를 지지하는 미러지지판(10)은 용이하게 좌우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좌우구동와이어(90)는 상기 미러지지판(10)의 후방면 각 모서리에 체결된 제 2 탄성스프링(100)를 통해 장력을 제공받게 되므로서, 상기 미러지지판(10)의 정상적인 좌우회전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운전자가 파워미러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전자석(40)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전자석(40)에서는 인가된 전원에 따라 일정자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상기 전진동작된 모터(20)를 후진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20) 내부에 형성된 딜레이스위치에 의해 상기 전자석(40)에서 일정자력을 발생시킨 후 상기 모터(20)가 회전구동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전자석(40)에서는 상기 모터(20)의 양측에 스틸재질로 형성된 플레이트(20b)와 서로 자성의 특성(끌어당기는 성질)으로 작용하게 되므로서, 상기 모터(20)를 후진시킴과 동시에 연동하는 모터기어(20a)를 일직선상에 위치한 상하구동단자(50)에 체결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하구동단자(50)는 상기 좌우구동단자(60)와 동일한 형상으로 고정브라켓트(70)에 고정되도록 풀리(50a) 및 베어링결합부(50b)와 기어산(50c)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서, 상기 모터(20)의 후진동작과 연동하는 모터기어(20a)는 용이하게 상기 상하구동단자(50)의 풀리(50a)에 체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모터(20)의 기어(20a)와 체결된 상하구동단자(50)는 미러지지판(10) 상하면의 지지브라켓트(10a)에 그 일측단이 고정된 상하구동와이어(80)에 의해 지지되면서 베어링(70a)에 의해 상하회전을 하게 되므로서, 상기 상하구동단자(50)의 상하회전에 따라 파워미러를 지지하는 미러지지판(10)은 용이하게 상하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하구동와이어(80)는 상기 미러지지판(10)의 후방면 각 모서리에 체결된 제 2 탄성스프링(100)를 통해 장력을 제공받게 되므로서, 상기 미러지지판(10)의 정상적인 상하회전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아웃사이드 미러의 전후방향과 상하방향으로의 유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하므로서, 그에따른 제작시의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다.

Claims (2)

  1. 파워미러를 지지하도록 그 후방면의 각 위치에 다수의 지지브라켓트가 형성된 미러지지판과; 전방에는 양끝이 경사진 모터기어가 양측에는 스틸재질의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미러지지판을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를 전진동작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탄성스프링과;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상기 모터를 후진시키도록 일정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과; 상기 제 1 탄성스프링 및 전자석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는 모터의 기어와 체결동작하여 미러지지판을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하/좌우 구동단자와, 상기 상하/좌우 구동단자를 고정시키도록 베어링이 체결된 고정브라켓트와; 상하/좌우 구동단자에 의한 상기 미러지지판의 상하 또는 좌우회전을 지지하는 상하/좌우 구동와이어와, 미러지지판이 정상적으로 상하좌우회전을 할수 있도록 상기 상하/좌우 구동와이어에 장력을 제공하는 다수의 제 2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미러 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좌우 구동단자는, 상하/좌우 구동와이어가 권선되는 풀리와, 고정브라켓트의 베어링에 결합하는 베어링결합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풀리의 내측면에는 모터기어가 체결될수 있도록 경사진 기어산이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미러 구동장치.
KR2019970024738U 1997-08-30 1997-08-30 파워 미러 구동장치 KR2001600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738U KR200160047Y1 (ko) 1997-08-30 1997-08-30 파워 미러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738U KR200160047Y1 (ko) 1997-08-30 1997-08-30 파워 미러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384U true KR19990011384U (ko) 1999-03-25
KR200160047Y1 KR200160047Y1 (ko) 1999-12-01

Family

ID=19509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4738U KR200160047Y1 (ko) 1997-08-30 1997-08-30 파워 미러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0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276B1 (ko) * 2009-12-24 2010-07-16 최준호 사이드미러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276B1 (ko) * 2009-12-24 2010-07-16 최준호 사이드미러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0047Y1 (ko) 199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795252B1 (fr) Systeme d'entraine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avec groupe electrique dont le rotor est relie au volant d'inertie par une zone a conductivite thermique reduite
DE69736414D1 (de) Geschalteter sinus-wellen treiber für einen mehrphasigen bürstenlosen permanent-magnetmotor
EP0395298A3 (en) Standing-wave type ultrasonic motor
FR2729801B1 (fr) Dispositif pour equilibrer une machine soufflante a un etage avec un moteur electrique a commutation electronique a induit tournant exterieur
KR102157818B1 (ko) 도시지역 지중배전선로의 안정화 시스템
DE3880795T2 (de) Antrieb mit zwei geschwindigkeiten fuer motorgetriebene gewindeschneidmaschine.
KR200160047Y1 (ko) 파워 미러 구동장치
US5758867A (en) Lifting device for the controlled vertical transfer of objects
KR960033649A (ko) 리니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2축 테이블 장치
CN110641962A (zh) 一种翻转输送装置
KR100626186B1 (ko) 본딩 암 요동형 본딩장치
EP0774097B1 (en) A lifting device for the controlled vertical transfer of objects
US20030183672A1 (en) Bonding apparatus
KR102279737B1 (ko) 전방향 이동로봇의 구동장치
FR2542941B1 (fr) Moteur electrique notamment pour l'entrainement d'une roue de ventilateur montee sur l'arbre du moteur
FR2801737B1 (fr) Moteur electrique, notamment pour l'entrainement d'une pompe a fluide
KR920004767B1 (ko) 실외후사경 각도조절장치
CN210972869U (zh) 一种翻转输送装置
JPH0528931Y2 (ko)
FR2529405B1 (fr) Moteur electrique, en particulier pour l'entrainement d'un lave-vaisselle
CN2478757Y (zh) 一种新型混凝土搅拌机
KR900008119Y1 (ko) 와이퍼 장치가 부설된 자동차용 백미러
KR20010048665A (ko) 차량용 파워 윈도우 장치
KR0122368Y1 (ko) 직류 서어보 모우터
KR200176156Y1 (ko) 전동식 브라인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