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1214U - 포터블 카세트의 배터리 팩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포터블 카세트의 배터리 팩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1214U
KR19990011214U KR2019970024559U KR19970024559U KR19990011214U KR 19990011214 U KR19990011214 U KR 19990011214U KR 2019970024559 U KR2019970024559 U KR 2019970024559U KR 19970024559 U KR19970024559 U KR 19970024559U KR 19990011214 U KR19990011214 U KR 199900112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main body
charger
charging
portable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45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윤하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245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1214U/ko
Publication of KR199900112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214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6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having a different main fun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터블 카세트의 배터리 팩 충전장치를 개시한다.
종래에 사용자가 여분의 배터리 팩을 휴대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배터리 팩을 충전시켜야 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바, 이러한 경우에 충전기를 휴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배터리 팩을 충전시킬 수 없어 휴대용 전화기 및 캠코더 등의 사용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배면 한쪽에 한쪽이 트인 수용실이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에 내장되고, 수용실의 내벽에 배터리 팩의 충전 단자와 서로 대응하는 관계로 접속 가능하도록 그 충전 단자가 장착되며, 파워 코드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을 배터리 팩의 충전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시켜 공급하는 충전기와; 수용실의 전방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고, 힌지축에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이 장착되는 도어로 구성된다.
따라서, 포터블 카세트의 본체에 내장되는 충전기에 의해 배터리 팩의 충전이 수행되므로, 배터리 팩의 사용이 보다 용이하고 편리해짐과 아울러 포터블 카세트의 다기능화로 인하여 제품의 경쟁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포터블 카세트의 배터리 팩 충전장치
본 고안은 포터블 카세트(portable cassett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팩(battery pack)의 충전이 가능해지도록 한 포터블 카세트의 배터리 팩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포터블 카세트는 카세트 테이프(cassette tape)를 매개체로 하여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거나 재생하는 오디오(audio)의 하나이다. 포터블 카세트는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는 튜너(tuner)와 전기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를 기본적인 구성으로 갖추고 있으며, 여기에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ompact disc player)의 기능이 추가되는 이른 바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카세트가 있다. 이러한 포터블 카세트는 파워 코드(power cord)에 의해 일반 가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110V 또는 220V의 규정 전압을 인가받거나 내장형 배터리를 구동 전원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포터블 카세트에 대한 하나의 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터블 카세트(10)는 본체(11)의 전면에 카세트 데크(cassette deck: 12)가 설치되고, 카세트 데크(12)의 양쪽에 스피커(13)가 장착된다.
그리고, 본체(11)의 전면 또는 상면에 컨트롤 패널(control panel: 14)이 다수의 기능선택버튼(15)들을 갖도록 구성되며, 본체(11)의 상부에 사용자의 휴대가 가능하게 손잡이(16)가 구성된다.
또한, 본체(11)의 배면에 구동 전원을 인가하는 다수의 배터리(B)가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실(17)이 형성되고, 본체(11)의 한쪽 면에는 접속 단자(18)가 형성되며, 이 본체(11)의 접속 단자(19)에 파워 코드(18)가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한편, 휴대용 전화기(portable telephone) 및 캠코더(camcorder) 등의 구동 전원으로 배터리 팩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 팩의 표준 용량은 대략 2~3일 정도이므로, 배터리 팩은 별도의 충전기(battery charger)에 의해 전원을 충전시켜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휴대용 전화기 및 캠코더의 사용자는 통상 2~3개 정도의 배터리 팩을 구입하여 수시로 충전시켜 사용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배터리 팩을 즉시 교환할 수 있도록 여러개의 배터리 팩을 휴대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편, 충전기는 일반 가정에 공급되고 있는 110V 또는 220V의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변환시켜 배터리 팩에 충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충전기는 본체에 배터리 팩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본체의 수납공간에 배터리 팩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충전 단자들이 장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충전기의 본체에는 플러그 소킷(plug socket)에 접속(接續)되어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플러그를 갖는 파워 코드가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충전기는 그 크기 및 중량이 비교적 크게 제작되어 휴대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요컨대, 충전기의 본체는 수납공간의 형성과,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는 인쇄회로기판에 의해 그 크기가 크게 제작될 수밖에 없으며, 파워 코드에 의해 휴대하기가 곤란한 구조로 제작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대부분 충전기를 일정한 장소에 보관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사용자가 여분의 배터리 팩을 휴대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배터리 팩을 충전시켜야 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바, 이러한 경우에 충전기를 휴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배터리 팩을 충전시킬 수 없어 제품의 사용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휴대용 전화기의 사용자가 장기간의 출장중에 충전기를 휴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여분의 배터리 팩에 의해서도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경우, 즉 배터리 팩의 전원이 전부 방전된 경우에는 휴대용 전화기를 사용할 수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터리 팩의 충전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가능해지도록 한 포터블 카세트의 배터리 팩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포터블 카세트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포터블 카세트의 배터리 팩 충전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포터블 카세트의 전원공급장치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포터블 카세트(portable cassette) 21: 본체
25: 컨트롤 패널(control panel) 26: 손잡이
27: 배터리 수납실 29: 파워 코드
30: 수용실 35: 충전기
40: 도어 41: 힌지축(hinge shaft)
45: 배터리 팩(battery pack) 50,51: 제 1 및 제 2 표시 램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파워 코드에 의해 전원을 인가받아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거나 재생하는 포터블 카세트에 있어서, 배면 한쪽에 한쪽이 트인 수용실이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에 내장되고, 수용실의 내벽에 배터리 팩의 충전 단자와 서로 대응하는 관계로 접속 가능하도록 그 충전 단자가 장착되며, 파워 코드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을 배터리 팩의 충전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시켜 공급하는 충전기와; 수용실의 전방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고, 힌지축에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이 장착되는 도어로 구성되는 포터블 카세트의 배터리 팩 충전장치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포터블 카세트의 배터리 팩 충전장치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포터블 카세트의 배터리 팩 충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터블 카세트(20)는 본체(21)의 전면에 도시하지 않은 카세트 테이프에 오디오 신호를 기록 또는 재생하기 위한 카세트 데크(22)가 설치되고, 카세트 데크(22)의 양쪽에 전기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시키는 스피커(23)가 장착된다.
그리고, 본체(21)의 전면 또는 상면에 컨트롤 패널(24)이 다수의 기능선택버튼(25)들을 갖도록 구성되며, 본체(21)의 상부에 사용자의 휴대가 가능하게 손잡이(26)가 구성된다.
도 2 및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터블 카세트(20)는 본체(21)의 배면에 구동 전원을 인가하는 다수의 배터리(B)가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실(27)이 형성되고, 본체(21)의 한쪽 면에는 접속 단자(28)가 형성되며, 이 본체(21)의 접속 단자(29)에 파워 코드(28)가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파워 코드(28)는 가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110V 또는 220V의 규정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한편, 포터블 카세트(20)는 본체(21)의 배면 한쪽에는 한쪽이 트인 수용실(30)이 형성된다. 이때, 본체(21)의 수용실(30)은 대략 ㄷ자 형상의 함몰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수용실(30)의 내벽에 충전기(35)의 충전 단자(36)가 돌출되도록 장착되고, 충전기(35)는 본체(21)의 수용실(30)과 인접되게 내장된다. 이 충전기(35)는 파워 코드(28)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받게 되며, 충전기(35)의 충전 단자(36)는 탄성변형(彈性變形)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기(35)는 파워 코드(28)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을 충전에 필요한 전압, 예를 들어 직류 12V로 변환시켜 공급하기 위해 도시하지 않은 트랜스포머(transformer)와 정류기 등으로 구성되는 것은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되는 것이다.
또한, 수용실(30)의 전방에 도어(40)가 힌지축(hinge shaft; 4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며, 도어(40)의 힌지축(41)에는 도어(40)의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42)이 장착된다. 여기에서, 스프링(42)은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21)의 수용실(30)에 배터리 팩(45)이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것으로, 배터리 팩(45)의 한쪽 면에는 수용실(30)의 충전 단자(36)에 서로 대응하는 관계로 접속되는 충전 단자(46)가 장착된다. 배터리 팩(45)의 충전 단자(46)는 대략 평판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포터블 카세트(20)는 본체(21)의 한쪽 면, 예를 들어 전면에 충전기(35)의 구동에 의한 배터리 팩(45)의 충전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제 1 및 제 2 표시 램프(50)(51)가 추가로 장착된다. 이 제 1 표시 램프(50)는 충전이 진행되는 상태를 표시하며, 제 2 표시 램프(51)는 충전이 완료된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제 1 및 제 2 표시 램프(50)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1 및 제 2 표시 램프(50)는 서로 다른 색상, 예를 들어 적색과 녹색을 발광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포터블 카세트의 배터리 팩 충전장치에 대한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터블 카세트(20)의 본체(21)에 연결된 파워 코드(29)를 도시하지 않은 플러그 소킷에 접속시킨 상태에서, 본체(21)의 수용실(30)에 배터리 팩(45)의 충전 단자(46)가 전방을 향하도록 밀어넣게 되면, 배터리 팩(45)의 전면에 도어(40)가 접촉되면서 그 삽입력에 의해 힌지축(4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점진적으로 열려지며, 이에 따라 배터리 팩(45)의 삽입이 가능해지게 된다.
그리고, 배터리 팩(45)이 본체(21)의 수용실(30)에 삽입되면서 배터리 팩(45)의 충전 단자(46)가 충전기(35)의 충전 단자(36)와 서로 대응하는 관계로 접촉되어 접속된다. 이때, 충전기(35)의 충전 단자(36)는 탄성변형에 의해 그 접속 상태를 양호한 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충전기(35)의 충전 단자(36)와 배터리 팩(45)의 충전 단자(46)가 접속되면, 파워 코드(29)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은 충전기(35)의 구동에 의해 배터리 팩(45)의 충전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되어 충전된다. 이때, 배터리 팩(45)의 충전이 진행되는 상태는 제 1 표시 램프(50)의 구동에 의해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포터블 카세트(20)에 의해 배터리 팩(45)을 충전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충전기를 휴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충전을 수행할 수 있어 배터리 팩(45)의 사용이 보다 용이하고 편리해지게 된다.
요컨대, 본 고안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일반 가정에서 공급되는 포터블 카세트(20)의 구동 전원으로 배터리 팩(45)을 충전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포터블 카세트(20)의 다기능화로 인하여 제품의 경쟁력이 향상된다.
한편, 배터리 팩(45)의 충전이 완료되면, 이것은 제 2 표시 램프(51)의 구동에 의해 시각적으로 표시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배터리 팩(45)의 충전 완료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체(21)의 수용실(30)로부터 배터리 팩(45)을 분리시키게 되면, 충전기(35)의 충전 단자(36)와 배터리 팩(45)의 충전 단자(46)가 함께 분리된다. 또한, 배터리 팩(45)이 수용실(3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면, 도어(40)는 힌지축(41)을 중심으로 스프링(42)의 탄성력을 부여받아 수용실(30)을 닫아주게 된다. 따라서, 도어(40)는 수용실(30)의 내부에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게 됨과 아울러 포터블 카세트(20)의 외관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포터블 카세트이외에도 각종 휴대형 전기.전자제품에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포터블 카세트의 배터리 팩 충전장치에 의하면, 포터블 카세트의 본체에 내장되는 충전기에 의해 배터리 팩의 충전이 수행되므로, 배터리 팩의 사용이 보다 용이하고 편리해짐과 아울러 포터블 카세트의 다기능화로 인하여 제품의 경쟁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2)

  1. 파워 코드에 의해 전원을 인가받아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거나 재생하는 포터블 카세트에 있어서,
    배면 한쪽에 한쪽이 트인 수용실(30)이 형성되는 본체(21)와;
    상기 본체(21)에 내장되고, 상기 수용실(30)의 내벽에 배터리 팩(45)의 충전 단자(46)와 서로 대응하는 관계로 접속 가능하도록 그 충전 단자(36)가 장착되며, 상기 파워 코드(28)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배터리 팩(45)의 충전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시켜 공급하는 충전기(35)와;
    상기 수용실(30)의 전방에 힌지축(4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힌지축(41)에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42)이 장착되는 도어(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카세트의 배터리 팩 충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1)의 한쪽 면에 상기 충전기(35)의 구동에 의한 상기 배터리 팩(45)의 충전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제 1 및 제 2 표시 램프(50)(51)가 추가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카세트의 배터리 팩 충전장치.
KR2019970024559U 1997-08-30 1997-08-30 포터블 카세트의 배터리 팩 충전장치 KR1999001121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559U KR19990011214U (ko) 1997-08-30 1997-08-30 포터블 카세트의 배터리 팩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559U KR19990011214U (ko) 1997-08-30 1997-08-30 포터블 카세트의 배터리 팩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214U true KR19990011214U (ko) 1999-03-25

Family

ID=69689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4559U KR19990011214U (ko) 1997-08-30 1997-08-30 포터블 카세트의 배터리 팩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121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2800A (en) Video camera with an accessory adapter removably interposed between a battery package and a battery mount on the camera body
CN101194405B (zh) 便携式电池充电和音频装置
US20030148663A1 (en) Multipurpose adaptor with a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US20080123287A1 (en) Casing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JPH07504065A (ja) エネルギーパック及び電池用カートリッジ
US6091225A (en) Battery charging system having a speaker and a mode changing switch
KR19990011214U (ko) 포터블 카세트의 배터리 팩 충전장치
US6839448B2 (en) Earpiece having detachable battery device
KR19990011215U (ko) 포터블 카세트의 배터리 충전장치
CN209881874U (zh) 一种多功能手机壳
CN214205805U (zh) 带适配器功能的耳机充电仓
JP3081442B2 (ja) 電池ユニット及びこれを具えた電気機器
CN212909065U (zh) 一种可折叠式充电储物盒
KR200219979Y1 (ko) 컴퓨터를 이용한 휴대용기기 충전장치
JPH09251865A (ja) 二次電池応用電気機器用充電器及び該充電器に用いるアダプタ
KR200404743Y1 (ko) 휴대용 휴대폰 충전기
KR100392184B1 (ko) 컴퓨터를 이용한 휴대용기기 충전장치
JP2006062020A (ja) 電動工具の収納ケース
US20060028174A1 (en) Battery pack and charg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215682585U (zh) 带显示屏的蓝牙耳机充电盒
JP2564714Y2 (ja) 電源装置
KR102292680B1 (ko) 모듈형 배터리
CN212481091U (zh) 一种具有收音及音乐播放功能的台灯
KR19990011213U (ko) 포터블 카세트의 전원공급장치
KR200317435Y1 (ko) 휴대폰 충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