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1130U - 리어게이트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리어게이트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1130U
KR19990011130U KR2019970024472U KR19970024472U KR19990011130U KR 19990011130 U KR19990011130 U KR 19990011130U KR 2019970024472 U KR2019970024472 U KR 2019970024472U KR 19970024472 U KR19970024472 U KR 19970024472U KR 19990011130 U KR19990011130 U KR 199900111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gate
locking portion
gate
locking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44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봉승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244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1130U/ko
Publication of KR199900111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130U/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자동차의 리어게이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리어게이트의 잠금해제시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리어게이트(20)에 구비된 결합부(21)에 스라이딩 삽입 결합되어 사이드게이트(10)에 고정된 걸림부(11)의 홈과 결합 해제되는 잠금부(30)와, 상기 잠금부의 단부에 체결된 너트(31)와 결합부(21)간에 잠금부(30)의 외주면을 권선하는 스프링(33)을 내설하여 잠금부(30)와 걸림부(11)간에 결합해제시 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해 잠금부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리어게이트를 사이드게이트로부터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결합해제 시킬 수 있는 리어게이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어게이트 잠금장치
본 고안은 화물자동차 적재함을 구성하는 리어게이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리어게이트를 사이드게이트에 고정시켜 적재함을 형성하도록 하는 잠금장치를 조작시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리어게이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함을 구비한 화물자동차는 화물적재 운송중 적재화물의 낙하를 방지하고 적재시 화물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며 상·하차시 편의를 위하여 개폐되는 사이드게이트와 리어게이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리어게이트를 닫는 경우에는 사이드게이트에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리어게이트를 사이드게이트에 고정시키는 종래기술은 상측이 개방되어 있는 홈이 형성되어 사이드게이트(10)에 고정될 걸림부(11)와, 상기 걸림부 홈에 걸려 리어게이트(20)를 사이드게이트(1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리어게이트(20)에 구비된 결합부(21)로 좌·우 유동 및 회동 가능하게 구속되어 있으며 리어게이트(20)측단부에는 상기 결합부(21)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너트(31)가 체결되어 있고 타단에는 절곡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부(11)홈 외측에 걸려지는 손잡이(32)가 형성된 잠금부(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잠금장치는 잠금부(30) 손잡이를 리어게이트측으로 밀어 놓은 상태에서 리어게이트(20)를 닫은 후 걸림부(11)의 홈이 잠금부(30)와 동일선상에서 만나는 순간 잠금부(30) 손잡이가 상부를 향하도록 하여 잡아당겨 손잡이가 걸림부(11)홈을 지난 지점에서 회동시켜 잠금작업을 완료하였다.
또한, 잠금 해제시에는 잠금부(30) 손잡이가 상측을 향하도록 회동하여 손잡이가 걸림부(11)의 홈과 일치하는 순간 손잡이를 내측으로 밀어넣어 걸림부(11)로 부터의 결합을 해제하는 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상과 같이 구성된 잠금장치는 잠금 해제시 잠금부와 리어게이트와의 마찰에 의해 조작이 어려우며 많은 힘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적재된 화물에 의하여 리어게이트가 압력을 받고 있는 경우에는 잠금해제에 많은 힘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리어게이트의 잠금해제시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사이드게이트와 리어게이트간의 잠금을 해제할 수있는 리어게이트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리어게이트 잠금장치의 위치를 도시한 적재함 사시도.
도 2(가)는 종래 리어게이트 잠금장치의 단면도.
도 2(나)는 본 고안이 구비된 리어게이트 잠금자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사이드게이트11:걸림부
20:리어게이트21:결합부
30:잠금부31:너트
32:손잡이33:스프링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성취시키기 위한 구성은 상측이 개방되어 있는 홈이 형성되어 사이드게이트에 고정된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 홈에 걸려 리어게이트를 사이드게이트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리어게이트에 구비된 결합부로 좌·우 유동 및 회동 가능하게 구속되어 있으며 리어게이트측 단부에는 상기 걸림부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너트가 체결되어 있고 타단에는 절곡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부 홈 외측에 걸려지는 손잡이가 형성된 잠금부로 구성된 리어게이트 잠금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잠금부 일단에 체결된 너트에 걸려 지지되며 타단은 리어게이트에 구비된 결합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너트와 결합부 사이의 잠금부 외주면을 권선하는 스프링을 내설함으로 구성된다.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측이 개방되어 있는 홈이 형성되어 사이드게이트(10) 상부측면에 수직으로 고정된 걸림부(11)와, 리어게이트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11)의 홈과 마주보며 관통되는 중공홀이 구비되어 리어게이트에 고정되어 있는 결합부(21), 상기 걸림부(21)에 좌·우 유동 및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스라이딩 결합되며 리어게이트측 단부에는 상기 결합부(21)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도록 너트(31)가 체결되며 타단에는 절곡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부 홈 외측에 걸려지는 손잡이로 형성된 잠금부(30)로 구성된 리어게이트 잠금장치에 있어서, 잠금부 일단에 구비된 너트(31)와 리어게이트에 구비된 결합부(21)에 지지되고 잠금부(30) 외주면을 권선하는 압축스프링(33)을 내설함으로 구성된다.
이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이 구비된 리어게이트 잠금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경우 잠금부(30)의 손잡이를 상향으로 하여 걸림부(21)의 홈과 일치시키면 잠금부 단부에 체결된 너트(31)와 결합부(21)간에 잠금부(30) 외주면을 권선하며 압축된 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해 너트(31)가 리어게이트측으로 밀려나게 되어 잠금부 손잡이(32)가 걸림부(11)의 홈으로 부터 이탈되게 되어 잠금이 해제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잠금부의 마찰력이 스프링(33)의 복원력보다 큰 경우에는 상술한 작동이 일어나지 않으나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작동시키는 경우에도 스프링의 복원력에 해당되는 힘은 소요되지 않아 용이하게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효과로는 리어게이트 잠금해제시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잠금을 해제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며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측이 개방되어 있는 홈이 형성되어 사이드게이트(10)에 고정될 걸림부(11)와, 상기 걸림부 홈에 걸려 리어게이트(20)를 사이드게이트(1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리어게이트(20)에 구비된 결합부(21)로 좌·우 유동 및 회동 가능하게 구속되어 있으며 리어게이트(20) 측단부에는 상기 결합부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너트(31)가 체결되어 있고 타단에는 절곡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부 홈 외측에 걸려지는 손잡이(32)가 형성된 잠금부(30)로 구성된 리어게이트 잠금 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잠금부 일단에 체결된 너트(31)에 걸려 지지되며 타단은 리어게이트에 구비된 결합부(21)에 지지되도록 상기 너트(31)와 결합부(21) 사이의 잠금부(30) 외주면을 권선하는 스프링(33)을 내설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게이트 잠금장치.
KR2019970024472U 1997-08-30 1997-08-30 리어게이트 잠금장치 KR1999001113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472U KR19990011130U (ko) 1997-08-30 1997-08-30 리어게이트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472U KR19990011130U (ko) 1997-08-30 1997-08-30 리어게이트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130U true KR19990011130U (ko) 1999-03-25

Family

ID=69689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4472U KR19990011130U (ko) 1997-08-30 1997-08-30 리어게이트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113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7732B1 (en) Vehicle compartment latch
JP4593111B2 (ja) ストラップ調節装置を備えた自動係止固定ループ
JPH0722882U (ja) ベビーカーの遠隔操作機構
JP2007532438A (ja) 吊上フック装置
US2517185A (en) Lock
KR19990011130U (ko) 리어게이트 잠금장치
JPS5818505B2 (ja) トビラジヨウ
JPS5929098Y2 (ja) ドアハンドル
US3031874A (en) Fastener device for luggage cases and the like
US20100084876A1 (en) Lever mechanism for an emergency escape hatch
US5107386A (en) Magnetic tape cassette
EP1510146A1 (en) Luggage having a built-in shackle lock assembly
US4637643A (en) Auto-release logging choker
KR19980020898U (ko) 화차용 콘테이너의 록킹장치
JPH0242865Y2 (ko)
US5080408A (en) Partition gate latch
CN111114951B (zh) 一种简易金属盒
FI97413C (fi) Oven salpamekanismi
KR102447244B1 (ko) 차량용 캐빈형 도어락 구조체
JPH0745229Y2 (ja) 安全フック
JPS642869Y2 (ko)
KR102552096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JPH0483072A (ja) ロック解除機構
KR0122046Y1 (ko) 특장차의 리프트게이트 잠금장치
KR19980022237U (ko) 트럭의 화물적재부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