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9797A - 실시간 멀티미디어 그룹 통신을 위한 다채널/다세션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멀티미디어 그룹 통신을 위한 다채널/다세션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9797A
KR19990009797A KR1019970032314A KR19970032314A KR19990009797A KR 19990009797 A KR19990009797 A KR 19990009797A KR 1019970032314 A KR1019970032314 A KR 1019970032314A KR 19970032314 A KR19970032314 A KR 19970032314A KR 19990009797 A KR19990009797 A KR 19990009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ssion
channel
network
application
man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2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5845B1 (ko
Inventor
황대준
박길철
Original Assignee
황대준
진교문
주식회사 아이빌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대준, 진교문, 주식회사 아이빌소프트 filed Critical 황대준
Priority to KR1019970032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5845B1/ko
Publication of KR19990009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8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64Distributing or queueing
    • H04Q3/66Traffic distribu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실시간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다채널/다세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실시간 멀티미디어 그룹 통신을 위하여 설계한 다채널 방식의 통신 규약을 이용하여 미디어 데이터를 위한 채널의 수를 그룹 통신의 초기에 설정할 수 있게 하여 사용 미디어에 따라 채널의 수를 조절하며, 특히 개인용 컴퓨터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중 다채널/다세션의 생성과 삭제가 가능하도록 한 다채널/다세션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네트워크 감시기를 실행시키는 제 1 단계; 상호 참여형 응용이 등록을 요구하면 응용의 고유 번호를 할당하는 제 2 단계; 다채널/다세션 생성 정보를 전송하여 다채널/다세션 생성에 필요한 네트워크 자원의 할당을 요구하면, 세션 감시기를 생성함과 동시에 요구받은 네트워크 자원을 할당하는 제 3 단계; 및 지역 세션 관리기를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통신을 수행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을 개발하는데 이용됨.

Description

실시간 멀티미디어 그룹 통신을 위한 다채널/다세션 관리 방법
본 발명은 실시간 멀티미디어 그룹 통신을 위하여 설계한 다채널 방식의 통신 규약을 이용하여 미디어 데이터를 위한 채널의 수를 그룹 통신의 초기에 설정할 수 있게 하여 사용 미디어에 따라 채널의 수를 조절할 수 있는 다채널/다세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네트워크에 다수의 가상 네트워크(다중 다채널/다세션)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개인용 컴퓨터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중 다채널/다세션의 생성과 삭제가 가능하도록 한 다채널/다세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다채널/다세션이라 함은 논리적인 네트워크의 수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네트워크에는 하나의 물리적인 네트워크와 하나의 논리적인 네트워크가 존재한다. 이때, 다중 다채널/다세션은 하나의 물리적인 네트워크를 논리적으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다수의 물리적인 네트워크가 있는 것처럼 인식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다채널은 하나의 논리적인 네트워크에 통신선로가 여러개 존재하도록 하여 미디어 데이터별로 독립적인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멀티캐스팅은 하나의(같은) 통신 데이터를 여러 컴퓨터에 전송할 때 각각의 컴퓨터에 여러번 전송하지 않고 한번만 전송하면 허락된 수신자만이 수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 규약으로서 사용자(혹은 참여 컴퓨터)의 증가로 인한 미디어 데이터의 급증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일반적인 멀티미디어 응용은 플랫폼에서 단일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경우를 말한다. 그룹웨어의 경우에는 단일채널/단일다채널/다세션을 통하여 여러 사용자가 통신한다. 이러한 단일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멀티미디어 응용에 대한 다채널/다세션 관리는 독립적인 플랫폼에서 멀티미디어 응용을 비동기적으로 사용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관리만을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러나, 분산 환경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응용을 통하여 공동작업을 수행하는 다채널/다세션의 경우에는 단순한 사용자 정보의 기록이나 접근 제어 기능 정도로는 다채널/다세션의 관리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기존에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상호 참여형 응용을 이용하여 다중 다채널/다세션의 공동작업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수행할 경우에 각 응용에 다채널/다세션의 생성, 유지, 파괴 등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부분과 상호 참여형 응용에서 사용하는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분이 완전하게 상호 참여형 응용 자체에 포함되어 있어야 했다. 이러한 경우에 상호 참여형 응용의 개발 비용이 증가되며, 상호 참여형 응용이 구조적으로 하나의 플랫폼에서 다른 상호 참여형 응용과 연동되도록 고려되지 않았으므로 하나 이상의 상호 참여형 응용을 사용하여 다중 다채널/다세션을 생성하는 경우에 미디어 자원의 충돌 등의 제약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통신 프로토콜로 표준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캐스팅(Internet Protocol Multicasting)을 사용하고,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다채널 방식의 트랜스포트(Transport) 프로토콜로 양방향 실시간 전송을 지원하며, 시스템내의 한 개 이상의 그룹들이 상호 배타적인 그룹 통신이 가능하도록 다중 다채널/다세션을 지원하고, 제어 정보와 각각의 미디어 데이터가 독립적인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며, 멀티미디어의 특성인 시간적, 공간적 동기화 관계가 수신측에 전달되도록 구현한 그룹 다채널 통신 규약을 이용하여 상호 참여형 응용의 서비스 요구에 따른 다채널/다세션 관리에 필요한 다채널/다세션의 생성, 유지, 파괴 등의 서비스와 한정된 자원인 미디어를 다수의 상호 참여형 응용이 동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미디어 동시 제어를 지원하며, 단일 다채널/다세션에서 다수 사용자간의 미디어 제어에 필요한 발언권 제어 방법과 분산 환경에 필요한 네트워크 관리 서비스 등 분산 환경에서의 상호 참여형 응용 개발에 필요한 다중 다채널/다세션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다채널/다세션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실행되었을 경우의 개념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다세션 관리서비스 객체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분산 컴퓨터에 위치하는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 은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에서 미디어 자원과 다채널/다세션 관리서비스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다세션 관리 방법에 대한 전체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감시기의 상세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역 세션 관리기의 상세 흐름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세션 유지 서비스의 상세 흐름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세션 관리기의 상세 흐름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세션 감시기의 상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50 : 상호 참여형 응용 32 : 미디어 서버
33,54 : 전체 세션 관리기(다채널/다세션 관리기)
34 : 운영체제 35 : 카메라
36 : 마이크로 폰 37 : 비디오 캡쳐 보드
38 : 사운드 카드 39 : 네트워크 카드
49,51,55 : 관리표 52,56 : 지역 세션 관리기
53,57 : 네트워크 감시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호 참여형 응용 개발 환경에서의 다채널/다세션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채널/다세션 관리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관리하고 감시하며 서비스를 시작시키고 초기화하기 위한 네트워크 감시기를 실행시키는 제 1 단계; 상호 참여형 응용이 상호 참여형 응용 개발 환경 데몬으로 등록을 요구하면 지역 세션 관리기는 응용의 고유 번호를 할당하는 제 2 단계; 상기 상호 참여형 응용이 다채널/다세션 생성 정보를 전체 세션 관리기로 전송하여 상기 상호 참여형 응용을 등록함과 동시에 다채널/다세션 생성에 필요한 네트워크 자원의 할당을 요구하면, 상기 전체 세션 관리기는 해당 세션의 감시에 필요한 세션 감시기를 생성함과 동시에 요구받은 네트워크 자원을 할당하는 제 3 단계; 및 원격지 컴퓨터는 상호 참여형 응용 생성자와의 제어 정보 교신을 통하여 세션 번호와 고유 채널 번호를 받아 자신의 지역 세션 관리기를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통신을 수행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실행되었을 경우의 개념도로서, 네트워크상에 분산된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호 참여형 응용이 다채널/다세션 관리서비스를 통해 다채널/다세션을 생성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면에는 5대의 컴퓨터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각 컴퓨터에는 다채널/다세션 관리서비스를 지원받기 위한 서비스 객체들이 활성화되어 있고 상호 참여형 응용이 요구하는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분산된 다채널/다세션 관리기가 각 컴퓨터에 실장된 서비스 객체들간의 상호 연동을 제공한다.
컴퓨터 1, 컴퓨터 2, 및 컴퓨터 4는 다채널 세션 A에 대한 참여를 하고 있으며, 컴퓨터 2, 컴퓨터 3, 컴퓨터 4, 및 컴퓨터 5는 다채널 세션 B에 참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컴퓨터 2와 컴퓨터 4는 다채널 세션 A와 다채널 세션 B에 동시에 참여하고 있는데, 상호 참여형 응용의 다채널/다세션 관리서비스는 이처럼 하나의 컴퓨터에서 다중의 세션이 활성화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각 다세션에 필요한 미디어 자원도 하나의 세션이 배타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세션에 참여한 상호 참여형 응용들에 의해 동시에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도 1 과 같은 본 발명은 하나의 네트워크에 여러 개의 세션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통신에 적합하게 미디어별로 별도의 채널을 할당하는 다채널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도 2 는 다채널/다세션 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객체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분산 컴퓨터에 위치하는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상호 참여형 응용이 다채널/다세션 관리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반드시 컴퓨터에 활성화되어 있어야 할 객체들이 있다. 도면의 컴퓨터 1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하나의 랜(LAN : Local Area Network)안에 있는 하나의 전체 세션 관리기가 다채널/다세션을 관리한다. 이 전체 세션 관리기가 있는 컴퓨터에는 각 세션들이 차지하는 네트워크 통신량을 제어하기 위한 트래픽 모니터가 생성되며, 상호 참여형 응용에서 새로운 세션이 생성될 때마다 진행되는 모든 상황을 모니터하는 세션 모니터가 전체 세션 관리기에 의해 생성된다.
또한, 전체 세션 관리기가 있는 컴퓨터를 제외한, 다채널/다세션 관리서비스를 받기 위한 모든 컴퓨터에는 네트워크 감시기가 존재해야 한다. 네트워크 감시기는 최초 상호 참여형 응용이 활성화되면서 세션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서비스를 전체 세션 관리기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지원한다. 네트워크 감시기는 원격지에서 발생하는 초청 메시지를 최초로 접하게 되는 관리서비스 객체로서, 지역 세션 관리기와 참여 관리기를 생성한다. 즉, 네트워크 감시기는 세션을 생성하는 개설자일 경우에는 지역 세션 관리기와 참여 관리기를 생성하고, 참여자일 경우에는 참여 관리기를 생성한다.
도 2 를 살펴보면, 컴퓨터 1에 전체 세션 관리기 객체와 다세션 모니터 그리고 트래픽 제어/감시기가 있고, 컴퓨터 2는 상호 참여형 응용을 주체적으로 실행하여 다채널/다세션을 초기화한 경우로서, 지역 세션 관리기 객체와 참여 관리기가 생성되어 있다. 또한, 컴퓨터 3과 컴퓨터 4는 컴퓨터 2에 의해 생성된 다채널/다세션에 참여한 경우로서, 이때에는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네트워크 감시기에 의해 참여 관리기가 생성된다.
도 3 은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에서 미디어 자원과 다채널/다세션 관리서비스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하나의 컴퓨터에서 운영체제와 각 미디어 서버에 대한 상호 참여형 응용의 서비스를 지원해주는 세션 관리서비스 객체들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플랫폼으로는 IBM 컴퓨터 호환기종으로 운영체제(34)는 윈32와 윈삭 버젼 1.1 이상을 지원하는 운영체제(예 : 윈도우즈 95, 윈도우즈 엔티)를 사용한다. 미디어의 종류는 다채널/다세션을 관리하는 전체 세션 관리기(33)와 동일한 미디어 접속 규격을 가지는 어떠한 하드웨어를 사용하여도 상관이 없다.
다채널/다세션 관리서비스는 다수의 상호 참여형 응용(31)에 대한 채널과 세션의 생성, 유지, 파괴 등의 서비스와 미디어에 대한 접근을 제공한다. 상호 참여형 응용(31)으로부터 받은 서비스 요구는 미디어 서버(32)와 운영체제(34)의 시스템 서비스, 및 원격지에 있는 다채널/다세션 관리서비스 객체들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서비스된다.
네트워크 카드(39)는 시스템에 등록 가능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사용하고 10M 비트/초의 속도를 가지는 이더넷(Ethernet)을 사용하였다. 비디오 캡쳐 보드(37)와 사운드 카드(38)는 각각의 미디어 카드에 종속적인 미디어 서버(32)의 설계에 따라 결정되므로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다채널/다세션 관리서비스와는 무관하다. 단, 해당 미디어 카드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설계된 미디어 서버(32)가 다채널/다세션 관리서비스를 받기 위해 제공된 인터페이스를 지켜야만 한다. 상호 참여형 응용(31)은 다채널/다세션 관리서비스를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준수한 응용이어야 본 발명이 제공하는 다채널/다세션 관리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카드(39)를 비롯한 비디오 캡쳐 보드(37)와 사운드 카드(38) 등의 디바이스들은 운영체제(34)에 의해 관리되어지고 지정된 시스템 함수에 의해 사용을 요구하는 상호 참여형 응용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자원의 경우에는 비디오 캡쳐 보드(39)나 사운드 카드(38)와는 달리 다수 상호 참여형 응용의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지만 비디오 자원이나 사운드 자원은 동일한 시간에 다수 상호 참여형 응용의 접근을 허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채널/다세션 관리서비스의 한 부분인 미디어 동시 제어는 각 자원마다 미디어 서버(32)를 두고 그 미디어 서버(32)에 해당되는 미디어 자원을 할당한 후에 다채널/다세션 관리서비스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다수의 상호 참여형 응용(31)에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다채널/다세션 관리서비스는 각 상호 참여형 응용(31)마다 독립적인 발언권 방식에 의해 미디어 자원에 접근하는 것을 세션내의 다른 참여자와 중재할 수 있게 지원한다.
다채널/다세션 관리서비스는 다수 상호 참여형 응용(31)에 세션 제어 서비스도 제공하는데, 각 상호 참여형 응용(31)마다 독립적인 가상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해당되는 가상 네트워크안에서 세션의 생성에 관한 서비스는 물론 참여자에 대한 개별적인 관리서비스와 채널/세션 전체에 대한 유지 서비스 또는 채널/세션의 파괴에 대한 서비스를 상호 참여형 응용의 요구에 따라 서비스하거나, 요구가 없는 경우에도 필요에 의해 서비스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다세션 관리 방법에 대한 전체 흐름도이다.
최초로 상호 참여형 응용(50)이 실행되면, 상호 참여형 응용(50)은 상호 참여형 응용 개발 환경 데몬 객체의 존재를 찾아 상호 참여형 응용으로서의 등록을 요구한다(41). 지역 세션 관리기(52)는 해당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한 응용의 고유 번호를 할당한다(42). 응용은 다채널/다세션의 생성에 필요한 미디어 자원과 발언권 방식 등 필요한 사항을 공통 응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체 세션 관리기(54)에게 알려주고 다채널/다세션의 생성을 요구한다(43). 즉, 다채널/다세션 관리기에 응용을 등록함과 동시에 다채널/다세션 생성에 필요한 네트워크 자원의 할당을 요구하면, 전체 세션 관리기(54)는 해당 세션의 감시에 필요한 세션 감시기를 생성함과 동시에 요구받은 네트워크 자원을 할당하며(44), 할당된 네트워크 자원을 가지고 다세션 관리기의 생성을 완료한다. 이때, 생성된 다채널/다세션 관리기는 요구받은 미디어 자원에 대한 생성 요구를 각 미디어 서버에게 지정된 네트워크 자원을 통해 생성하도록 요구한다.
참여자인 원격지 컴퓨터는 상호 참여형 응용 생성자와의 제어 정보 교신을 통하여 세션 번호 및 고유 채널 번호를 받아 자신의 지역 세션 관리기(56)를 생성한다(45,46). 이후, 상호 참여형 응용 생성자와 참여자는 자유롭게 자신의 세션을 가지고 멀티미디어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47,48).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감시기의 상세 흐름도이다.
다채널/다세션 관리를 받기 위한 컴퓨터에서는 상호 참여형 응용을 실행하기에 앞서 네트워크 감시기가 실행된 상태이어야 한다(101). 네트워크 감시기는 단순히 네트워크만 관리하고 감시하는 것이 아니고 서비스를 시작시키고 초기화하는 역할을 한다. 서비스를 초기화시키고 시작시키는 작업을 포함하여 시스템에 상주하는 부분을 상호 참여형 응용 개발 환경 데몬이라고 한다. 상호 참여형 응용 개발 환경 데몬은 자신의 활성화를 위한 초기 준비 작업을 마침과 함께 이미 등록된 파일의 미디어 서버 정보를 참조하여 미디어 서버를 생성하고 전달 인자로 상호 참여형 개발 환경 데몬에 접근할 수 있는 핸들을 주게 된다(102).
상호 참여형 응용 개발 환경 데몬에 의해 활성화된 미디어 서버는 자신이 이제 상호 참여형 응용의 다채널/다세션 관리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음을 알리는 의미로 이미 전달받은 핸들을 통해 상호 참여형 응용 개발 환경 데몬으로 응답하며 이후 미디어 서버에 대한 서비스 요청을 위한 핸들을 전달한다(103). 상호 참여형 응용 개발 환경 데몬은 미디어 서버로부터의 응답을 받은 후에 사용 가능한 미디어 서버의 종류를 등록하고 이후 상호 참여형 응용이 요청한 미디어 자원중에 현재 등록된 자원에 한하여 서비스를 지원한다(104).
상호 참여형 응용 개발 환경 데몬은 서비스를 요청하는 곳이 같은 컴퓨터에 있는 상호 참여형 응용인지 또는 원격지의 상호 참여형 응용인지를 구분하여 서비스를 하게 된다(105).
만약, 같은 컴퓨터에 있는 상호 참여형 응용의 경우에는 상호 참여형 응용으로부터 상호 참여형 응용 개발 환경 데몬에 접근 가능하도록 등록을 요청하는 과정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과정은 상호 참여형 응용 개발 환경 데몬이 생성한 공통 응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루어진다(106). 상호 참여형 응용으로부터 등록을 요청받은 상호 참여형 응용 개발 환경 데몬은 상호 참여형 응용이 사용할 수 있는 상호 참여형 응용의 고유번호를 할당해 주는 과정으로 상호 참여형 응용을 등록하게 된다(107). 다음으로 상호 참여형 응용이 상호 참여형 작업을 위한 다채널/다세션 생성을 상호 참여형 응용 개발 환경 데몬을 통해 요구할 수 있는데, 이때 상호 참여형 응용 개발 환경 데몬은 다채널/다세션 생성에 필요한 미디어와 네트워크 자원을 요청한 정도를 알 수 있다(108). 상호 참여형 응용으로부터 다채널/다세션 생성을 위한 요청을 받은 상호 참여형 응용 개발 환경 데몬은 전체 세션 관리기에게 다채널/다세션 생성에 필요한 네트워크 자원의 할당을 요청하여(109) 네트워크 자원(다채널/다세션)을 할당받음과 동시에(110) 이후 상호 참여형 응용의 모든 다채널/다세션 관리서비스를 담당하게 될 다채널/다세션 관리기를 생성한다(111). 이로써 다채널/다세션 관리서비스를 제공한 상호 참여형 응용과의 상호 작용이 끝난다.
한편, 원격지에서 초청 패킷을 수신하였을 경우에(112) 상호 참여형 응용 개발 환경 데몬은 원격지의 초기 세션 생성자가 전송해준 세션 참여에 필요한 정보를 가지고 세션에 참여하는 상호 참여형 응용의 다채널/다세션 관리서비스를 지원하는 참여 관리기를 생성하게 된다(113).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역 세션 관리기의 상세 흐름도이다.
지역 세션 관리기는 상호 참여형 응용 개발 환경 데몬에 의해 생성되면, 생성시에 전달받은 다채널/다세션에 필요한 미디어 자원을 사용할 수 있는 미디어 서버 인스턴스의 생성을 각 미디어 서버에게 요청한다(201). 미디어 서버는 지역 세션 관리기로부터 미디어 서버 인스턴스의 생성을 요청받으면 해당 미디어 서버에 접근할 수 있는 미디어 서버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버 인스턴스의 핸들을 상기 미디어 서버 생성 요청 과정(201)에서 인자로 전달받은 지역 세션 관리기 객체의 핸들을 통해 응답한다(202).
지역 세션 관리기 객체는 응답받은 미디어 자원에 대해 사용 가능하다는 등록을 하고(203), 전체 세션 관리기에게서 받은 고유 세션 번호와 채널 번호를 상호 참여형 응용으로 알려 주므로써, 세션 생성을 요청한 상호 참여형 응용은 지금부터 다채널/다세션 관리서비스를 받을 수 있음을 알게 된다(204).
이후, 다채널/다세션 관리기 객체는 자신에게 요구하는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서비스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는데, 이러한 서비스 요구는 원격지의 참여 관리기 객체, 다채널/다세션 모니터, 다채널/다세션 관리서비스의 대상인 상호 참여형 응용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서비스 요청을 받게 되면(205) 먼저 어떠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될지를 결정하기 위해 데이터를 해석한다(206). 이러한 데이터 해석 단계를 거친 후에 해당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서비스의 종류를 판단한다(207). 판단 결과에 따라 다채널/다세션을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한 다채널/다세션 관리서비스를 수행하고 데이터 수신 과정(205)으로 천이하거나(208), 세션을 파괴하기 위한 종료 서비스를 수행하고 종료하거나(209), 해당 상호 참여형 응용의 미디어 자원에 대한 접근을 서비스하기 위한 미디어 서비스를 수행하고 데이터 수신 과정(205)으로 천이한다(210).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세션 유지 서비스의 상세 흐름도이다.
다채널/다세션 유지 서비스에서는 전체 세션 관리기에 의해 생성된 세션 모니터가 각 세션의 생존 검사를 수행하게 되는데, 다채널/다세션 관리기는 이러한 다채널/다세션 생존 검사 패킷을 수신하면(301) 수신된 패킷을 분석하여(302) 다채널/다세션이 생존하고 있음을 알리는 패킷을 세션 모니터로 전송한다(303).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세션 관리기의 상세 흐름도이다.
전체 세션 관리기는 본 발명의 핵심으로서, 하나의 물리적인 네트워크에 여러개의 논리적 네트워크가 존재할 수 있으며, 각 세션이 사용하는 채널(다채널)의 통신선로의 중복이나 충돌을 방지하여 실질적인 다채널/다세션이 가능하게 한다. 특히 전체 세션 관리기는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멀티캐스팅 통신규약을 사용한 최초의 다채널/다세션 제어기이다.
전체 세션 관리기 객체는 네트워크상에서 발생하는 각 세션들이 사용하는 네트워크 자원의 중재와 각 세션마다 운영되는 상황을 감시할 수 있는 다채널/다세션 감시기를 생성하는 일 그리고 상호 참여형 응용 개발 환경의 다채널/다세션에서 발생하는 모든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시할 수 있는 트래픽 감시기 생성 등에 관한 일을 담당한다.
전체 세션 관리기가 실행되면 네트워크 트래픽 감시기를 생성하고(401) 다채널/다세션 감시기에서 다채널/다세션에 발생하는 오디오 재생을 지원할 수 있는 오디오 재생 서버를 생성한다(402).
이후, 전체 세션 관리기는 원격지의 상호 참여형 응용 개발 환경 데몬에서 요청한 네트워크 자원 요청을 수신하면 신규 세션 요청인지를 판단하여(403) 신규 세션이면 요청 채널(채널수/채널종류)을 검색하여(404) 세션 생성에 필요한 네트워크 자원(멀티캐스팅 다채널)을 기존에 활성화된 세션이나 이후 생성될 세션과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당하고(405) 다세션을 생성하기 위한 고유 세션을 할당한 후에(406) 연결된 원격지의 상호 참여형 응용 개발 환경 데몬으로 네트워크 자원이 할당되었음을 알리고(407) 각 세션의 모든 상황을 감시할 수 있는 다채널/다세션 감시기를 생성한 다음에 요청 내용을 판단하는 과정(403)으로 천이한다(408).
한편, 신규 세션이 아니고 세션 종료 요청이면 전체 세션 관리기는 해당 세션, 채널, 및 네트워크 자원을 회수한 후에 요청 내용을 판단하는 과정(403)으로 천이한다(409).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세션 감시기의 상세 흐름도이다.
다채널/다세션 감시기는 전체 세션 관리기에 의해 생성되어 세션의 전반적인 상황을 열람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세션 관리 객체이다.
다채널/다세션 감시기는 최초로 생성되면 전체 세션 관리기로부터 전달받은 인자를 분석하여(501) 각 세션의 모든 트래픽을 감시할 수 있는 통신로를 생성한다(502).
다채널/다세션 감시기는 세션의 상황을 사용자에게 표현하는 것과 제공할 서비스의 종류를 판단하여(503) 해당되는 서비스를 지원한다.
다채널/다세션 감시기는 각 세션 관리기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각 세션의 생존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다채널/다세션 감시기는 주기적으로 각 세션 관리기 객체에게 다채널/다세션 생존 검사 패킷을 전송한다(504). 이때, 세션 생존 검사 패킷을 전송한 다채널/다세션 감시기는 실패 횟수를 증가시키므로써 현재까지 몇번의 생존 검사 패킷에 대한 응답이 실패했는지를 기록한다(505). 이때, 실패 횟수가 허용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506)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세션을 더 이상 운영 불가능한 상태로 결정하여 그 세션의 강제 종료 서비스를 요청하는 패킷을 전체 세션 관리기로 전송하고(507), 허용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바로 종료인지를 판단하여(514) 종료가 아니면 서비스 종류 판단 단계(503)부터 반복 수행한다.
그러나, 다채널/다세션 생존 검사 정보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세션 생존 응답 패킷이 수신되면(508) 다채널/다세션 감시기는 실패 횟수를 초기화하여(509) 실패 횟수가 허용치를 초과하여 강제 종료되는 경우를 막은 후에 종료인지를 판단하여(514) 종료가 아니면 서비스 종류 판단 단계(503)부터 반복 수행한다.
다채널/다세션 감시기는 다채널/다세션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패킷을 수신하여(510) 수신한 데이터의 종류를 판단한다(511). 판단 결과, 패킷이 미디어 데이터인 경우에는 미디어 표현 계층을 통하여 표현한 후에(512) 트래픽 모니터에 트래픽 발생을 알리고(513), 패킷이 미디어 데이터가 아닌 경우에는 바로 트래픽 모니터에 트래픽 발생을 알린다(513). 이처럼 수신된 모든 패킷을 트래픽 모니터로 알리므로써 트래픽 모니터가 현재 발생되고 있는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종료인지를 판단하여(514) 종료가 아니면 서비스 종류 판단 단계(503)부터 반복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독자적으로 설계한 다채널 그룹 통신규약을 이용하여 미디어 데이터를 위한 채널의 수를 그룹 통신의 초기에 설정할 수 있게 하므로써 사용 미디어에 따라 채널의 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다중통신 뿐만아니라 동시성을 갖지 않는 서비스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들 사이의 공동작업 및 상호 참여형 응용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다채널/다세션 관리와 미디어 자원에 대한 제어를 지원하며, 또한 본 발명은 상호 참여형 응용 개발을 위한 기반 기술로서 다채널/다세션 관리기의 기능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상호 참여형 응용을 개발할 수 있게 하며, 또한 본 발명의 다채널/다세션 관리기는 멀티캐스팅 통신규약으로 개발되어 기존의 상호 참여형 응용들보다 전송 부하를 줄일 수 있고 상호 참여의 방법이 매우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특히 하나의 네트워크에 다수의 가상 네트워크(다중 다채널/다세션)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개인용 컴퓨터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중 다채널/다세션의 생성과 삭제가 가능하도록 한다.

Claims (5)

  1. 상호 참여형 응용 개발 환경에서의 다채널/다세션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채널/다세션 관리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관리하고 감시하며 서비스를 시작시키고 초기화하기 위한 네트워크 감시기를 실행시키는 제 1 단계;
    상호 참여형 응용이 상호 참여형 응용 개발 환경 데몬으로 등록을 요구하면 지역 세션 관리기는 응용의 고유 번호를 할당하는 제 2 단계;
    상기 상호 참여형 응용이 다채널/다세션 생성 정보를 전체 세션 관리기로 전송하여 상기 상호 참여형 응용을 등록함과 동시에 다채널/다세션 생성에 필요한 네트워크 자원의 할당을 요구하면, 상기 전체 세션 관리기는 해당 세션의 감시에 필요한 세션 감시기를 생성함과 동시에 요구받은 네트워크 자원을 할당하는 제 3 단계; 및
    원격지 컴퓨터는 상호 참여형 응용 생성자와의 제어 정보 교신을 통하여 세션 번호와 고유 채널 번호를 받아 자신의 지역 세션 관리기를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통신을 수행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채널/다세션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관리기와 상기 상호 참여형 응용 개발 환경 데몬의 처리 과정은,
    상기 네트워크 감시기가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상호 참여형 응용 개발 환경 데몬이 실행되면 미디어 서버를 실행시킨 후에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의 종류를 등록한 다음에 서비스를 요청하는 위치를 판단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의 판단 결과, 같은 컴퓨터에 있는 상기 상호 참여형 응용의 경우에는 상기 상호 참여형 응용으로부터 등록을 요청받아 상기 상호 참여형 응용의 고유번호를 할당하여 상기 상호 참여형 응용을 등록한 후에 상기 상호 참여형 응용으로부터 세션의 할당과 생성을 요구받으면 상기 전체 세션 관리기로 다채널/다세션 생성에 필요한 네트워크 자원의 할당을 요청하여 네트워크 자원을 할당받음과 동시에 다채널/다세션 관리기를 생성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5 단계의 판단 결과, 원격지로부터 초청 패킷을 수신한 경우에는 원격지의 초기 세션 생성자로부터 세션 참여 정보를 전송받아 세션에 참여하는 상기 상호 참여형 응용의 다채널/다세션 관리서비스를 지원하는 참여 관리기를 생성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채널/다세션 관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세션 관리기의 처리 과정은,
    다채널/다세션에 필요한 미디어 자원을 사용할 수 있는 미디어 서버 인스턴스의 생성을 상기 미디어 서버로 요청하여 생성 결과를 응답받으면 상기 미디어 자원을 등록한 후에 상기 전체 세션 관리기에게서 받은 고유 세션 번호와 채널 번호를 상기 상호 참여형 응용으로 전송하는 제 8 단계;
    서비스를 요청받으면 데이터를 해석하여 서비스의 종류를 판단하는 제 9 단계; 및
    상기 제 9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다채널/다세션을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한 다채널/다세션 관리서비스를 수행한 후에 상기 제 9 단계부터 반복 수행하거나 세션을 파괴하기 위한 종료 서비스를 수행하거나 상기 상호 참여형 응용의 미디어 자원에 대한 접근을 서비스하기 위한 미디어 서비스를 수행한 후에 상기 제 9 단계부터 반복 수행하는 제 10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채널/다세션 관리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세션 관리기의 처리 과정은,
    상기 상호 참여형 응용 개발 환경 데몬의 다채널/다세션에서 발생하는 모든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시할 수 있는 트래픽 감시기를 생성하는 제 11 단계; 및
    상기 전체 세션 관리기 객체는 네트워크상에서 발생하는 각 세션들이 사용하는 네트워크 자원의 중재와 각 세션마다 운영되는 상황을 감시할 수 있는 다채널/다세션 감시기를 생성하는 제 12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채널/다세션 관리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세션 관리기의 처리 과정은,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시하기 위한 상기 네트워크 트래픽 감시기를 생성하고 다채널/다세션에 발생하는 오디오 재생을 지원할 수 있는 오디오 재생 서버를 생성한 후에 네트워크 자원 요청이 신규 세션 요청인지를 판단하는 제 11 단계;
    상기 제 11 단계의 판단 결과, 신규 세션이면 요청 채널을 검색하여 멀티캐스팅 다채널을 할당하고 고유 세션을 할당한 후에 네트워크 자원이 할당되었음을 알리고 각 세션의 모든 상황을 감시할 수 있는 상기 다채널/다세션 감시기를 생성한 다음에 상기 제 11 단계의 판단 과정부터 반복 수행하는 제 12 단계; 및
    상기 제 11 단계의 판단 결과, 세션 종료 요청이면 해당 세션, 채널, 및 네트워크 자원을 회수한 후에 상기 제 11 단계의 판단 과정부터 반복 수행하는 제 13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채널/다세션 관리 방법.
KR1019970032314A 1997-07-11 1997-07-11 실시간 멀티미디어 그룹 통신을 위한 다채널/다세션 관리 방법 KR100235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2314A KR100235845B1 (ko) 1997-07-11 1997-07-11 실시간 멀티미디어 그룹 통신을 위한 다채널/다세션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2314A KR100235845B1 (ko) 1997-07-11 1997-07-11 실시간 멀티미디어 그룹 통신을 위한 다채널/다세션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797A true KR19990009797A (ko) 1999-02-05
KR100235845B1 KR100235845B1 (ko) 1999-12-15

Family

ID=19514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2314A KR100235845B1 (ko) 1997-07-11 1997-07-11 실시간 멀티미디어 그룹 통신을 위한 다채널/다세션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58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414A (ko) * 1999-09-11 2001-04-06 양재룡 전화와 컴퓨터를 사용하여 여러 사람에게 동시에 전화,
KR100328553B1 (ko) * 2000-01-14 2002-03-15 이윤봉 그룹 리더가 중계하는 멀티캐스팅 방법
KR100855116B1 (ko) * 2001-12-27 2008-08-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세션 관리를 이용한 무선 컨텐츠 변환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6369A (ko) * 1999-12-31 2001-07-11 구자홍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414A (ko) * 1999-09-11 2001-04-06 양재룡 전화와 컴퓨터를 사용하여 여러 사람에게 동시에 전화,
KR100328553B1 (ko) * 2000-01-14 2002-03-15 이윤봉 그룹 리더가 중계하는 멀티캐스팅 방법
KR100855116B1 (ko) * 2001-12-27 2008-08-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세션 관리를 이용한 무선 컨텐츠 변환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5845B1 (ko)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6807B2 (en) Method and software for enabling n-way collaborative work over a network of computers
US5652866A (en) Collaborative working method and system for a telephone to interface with a collaborative working application
US5539886A (en) Call management in a collaborative working network
KR970007047B1 (ko) 멀티미디어 세션을 스케줄링하는 장치 및 방법
CN100544259C (zh) 用于确定远程设备媒体性能的系统和方法
US9565396B2 (en) Methods, systems and program products for initiating a process on data network
US8095409B2 (en) Methods and program products for organizing virtual meetings
WO2006044098A1 (en) Method for sessions including multiple resources
JP2013524632A (ja) ネットワークノード間のネットワーク通信の管理及びストリームトランスポートプロトコル
WO2008039077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calability in streaming/archiving systems for conference calls
JP2005521308A (ja) ビデオ会議システムアーキテクチャ
JP6335978B2 (ja) 通信セッション上の一部の参加者のための仮想の通信セッションを提供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473316B2 (en) Resource consumption reduction via meeting affinity
KR100235845B1 (ko) 실시간 멀티미디어 그룹 통신을 위한 다채널/다세션 관리 방법
KR100186959B1 (ko)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에서의 세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248264B1 (ko)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환경에서의 세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07194B1 (ko) 상호 참여형 멀티미디어 응용 개발 시스템에서의 세션 관리 및 컴포넌트 관리장치와 그 방법
KR100237182B1 (ko) 응용 프로그램 공유 시스템의 구조 및 응용 프로그램 공유 방법
CN107908449A (zh) 一种虚拟显示多人共享交互方法、设备及系统
Abdel-Wahab et al. The software architecture and interprocess communications of IRI: an internet-based interactive distance learning system
KR100267378B1 (ko) 컴퓨터 그룹통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dred et al. Community networking-a LAKES approach
KR100277681B1 (ko) 광역 멀티미디어 통신망에서 서비스 세션 기반의 서비스 컴포지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JPH1188375A (ja) 管理ソフトウエアを有する伝送システム
Abdel-Wahab et al. Replication management of application sharing for multimedia conferencing and collabo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