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9785A - 공기조화기의 팬모터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팬모터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9785A
KR19990009785A KR1019970032285A KR19970032285A KR19990009785A KR 19990009785 A KR19990009785 A KR 19990009785A KR 1019970032285 A KR1019970032285 A KR 1019970032285A KR 19970032285 A KR19970032285 A KR 19970032285A KR 19990009785 A KR19990009785 A KR 19990009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motor
air conditioner
fan
rear pane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2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표
배일호
박태숙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32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9785A/ko
Publication of KR19990009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785A/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팬모터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기조화기의 크로스 플로우 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가 공기조화기내에 견고하게 결합됨과 함께 외부의 충격에 의한 손상 및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팬모터(11)에 형성된 다수개의 리브(13)와, 상기 각 리브(13)를 후면 패널(2)에 고정시켜주는 고정부재와, 상기 팬모터(11)를 감싼 상태로 양측이 후면 패널(2)에 고정되어 팬모터(11)를 보호하는 팬모터 커버(101)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팬모터 결합장치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공기조화기의 크로스 플로우 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가 공기조화기내에 결합되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팬모터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크로스 플로우 팬을 회전시켜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한 후 이 흡입된 더운 공기를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시켜 차가운 공기로 바꾼 다음 상기 차가워진 공기를 계속되는 크로스 플로우 팬의 회전력에 의하여 다시 실내로 토출시켜 상기 실내를 적정온도로 냉방하는 것으로, 이와같은 상기 공기조화기는 벽에 부착시키는 벽부착형과 천정에 부착시키는 천정부착형 및 바닥에 거치시키는 거치형 등이 있다.
공기조화기의 구조는 공기조화기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 패널(1)과; 상기 전면 패널(1)의 후면에 결합된 후면 패널(2)과; 상기 후면 패널(2)내에 결합장치에 의해 결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11)와; 상기 후면 패널(2)내에 일측이 상기 팬모터(11)에 축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후면 패널(2)에 축결합되어 팬모터(11)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공기를 흡입 및 토출시키는 크로스 플로우 팬(6)과; 상기 후면 패널(2)에 일체화로 형성되어 크로스 플로우 팬(6)의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대(12)와; 상기 지지대(12)에 의해 지지되는 크로스 플로우 팬(6)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크로스 플로우 팬(6)의 힌지축(16)에 결합되는 베어링 조립체(17)와; 상기 지지대(12)에 베어링 조립체(17)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홈(20)과; 상기 지지대(12)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지지홈(20)에 삽입된 베어링 조립체(17)를 감싸는 캡부(18)와; 상기 캡부(18)에 형성된 결합공(19)과; 상기 지지대(12)에 크로스 플로우 팬(6)의 힌지축(16)을 고정시키도록 결합공(19)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부재(21)와; 상기 전면 패널(1)의 하단부에 실내의 더운 공기가 흡입되도록 설치된 흡입그릴(4)과; 상기 흡입그릴(4)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켜 주도록 찬냉매가 흐르는 열교환기(5)와;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6)의 회전력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공기조화기내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공기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리어 가이드(7)와; 상기 흡입되는 공기가 열교환기(5)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되어 발생하는 응축수를 받아내도록 전면 패널(2)의 후방에 설치된 배수판(9)과; 상기 배수판(9)에 고인 응축수를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수판(9)에 결합되게 설치된 배수호스(10)와; 상기 배수판(9)의 상단부에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각도를 제어하도록 설치된 스태빌라이저(stabilizer)(8)와; 상기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도록 전면 패널(1)의 상단부에 설치된 루버(3)로 구성되어 진다.
이러한 구조의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에 전원을 공급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냉방운전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공기조화기의 후면 패널(2)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지지대(12)에 의해 크로스 플로우 팬(6)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축(16)이 지지대는데, 이때 힌지축(16)에 베어링 조립체(17)가 결합되어 있어 상기 베어링 조립체(17)를 지지대(12)에 형성된 지지홈(20)에 삽입시킨 후 지지대(12)의 상단부에 캡(18)을 씌워 힌지축(16)을 감싼 다음 상기 캡(18)에 형성된 결합공(19)에 체결부재(21)를 삽입하여 체결시키므로 크로스 플로우 팬(6)이 지지대(12)에 고정결합되어 진다.
상기 지지대(12)에 지지되는 크로스 플로우 팬(6)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축(16)이 상기 후면 패널(2)에 결합장치에 의해 결합된 팬모터(11)와 축결합되어 상기 팬모터(1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크로스 플로우 팬(6)이 회전되므로 흡입력이 발생되는데, 이때에는 공기조화기의 전면판넬(1) 하단부에 설치된 흡입그릴(4)을 통해 실내의 더운 공기가 공기조화기내로 흡입되어 진다.
상기 공기조화기내로 흡입된 공기는 공기조화기내에 설치되어 찬냉매가 흐르는 열교환기(5)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열교환이 일어나 차가워지고, 이 차가워진 공기는 계속되는 크로스 플로우 팬(6)의 회전에 따라 공기조화기내의 상단 후면부에 설치된 리어 가이드(7) 및 스태빌라이저(8)에 의해 연속적으로 안내받아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토출되어 진다.
이때,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6)의 회전수에 따라 공기조화기에서 토출되는 차가운 공기의 량은 강풍, 중풍, 약풍으로 조절되어 지며, 상기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토출되는 차가운 공기는 공기조화기의 루버(3)에 의해 토출방향이 조절되면서 실내로 토출되므로 실내가 적정온도로 냉방되어 진다.
상기 실내의 더운 공기가 열교환기(5)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됨에 따라 발생된 응축수는 전면 패널(1)의 후방에 설치된 배수판(9)에 고이게 되며, 상기 배수판(9)에 고인 응축수는 배수판(9)에 결합된 배수호스(10)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배출되어 진다.
그리고, 실내의 더운 공기와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된 열교환기(5)내를 유동하는 냉매는 실외기로 보내져 열을 방출하여 냉각된 다음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5)내로 다시 유입되어져 공기조화기내로 흡입되는 실내의 더운 공기와 열교환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공기조화기에서, 크로스 플로우 팬(6)은 팬모터(1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팬모터(11)는 공기조화기의 후면 패널(2)에 결합장치에 의해 결합되어 있음은 설명된 바 있다.
종래의 팬모터 결합장치는 첨부된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크로스 플로우 팬(6)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축(16)과 축 결합되어 크로스 플로우 팬(6)을 회전시키는 팬모터(11)의 하단부에 삽입공(14)이 형성된 다수개의 리브(13)와; 상기 각 리브(13)의 삽입공(14)에 삽입되어 체결되므로 후면 패널(2)에 팬모터(11)를 결합시키는 스크류(15)로 구성되어 진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팬모터 결합장치에 의해 팬모터를 공기조화기의 후면 패널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팬모터 결합장치는 후면 패널(2)에 형성된 지지대(12)에 양측의 힌지축(16)이 얹혀져 지지대(12)의 상단부에 설치된 캡부(18)에 의해 고정된 크로스 플로우 팬(6)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축(16)에 팬모터(11)의 구동축을 축결합시킨 다음 상기 팬모터(11)의 하단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리브(13)가 후면 패널(2)과 접촉되면 각 리브(13)에 형성된 삽입공(14)에 스크류(15)을 삽입하여 체결시키므로 공기조화기의 후면 패널(2)에 팬모터(11)가 결합되어 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공기조화기의 팬모터 결합장치는 공기조화기내로 공기가 흡입 및 토출시키도록 크로스 플로우 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가 공기조화기내에서 노출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이나 공기조화기내를 청소하는 과정에서 또는 부품을 교환한 후 시운전 과정에서 부주의로 인하여 팬모터가 손상 및 파손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후면 패널에 팬모터가 스크류에 의해서만 결합되어 있어 크로스 플로우 팬을 회전시킬 때 발생되는 팬모터의 진동에 의해 스크류가 풀려 후면 패널에서 팬모터가 분리되므로 안전사고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팬모터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으므로 팬모터의 유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회전되면서 공기조화기내로 공기를 흡입 및 토출시키는 크로스 플로우 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가 공기조화기의 후면 패널에 견고하게 결합되고, 또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손상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팬모터에 형성된 다수개의 리브와, 상기 각 리브를 후면 패널에 고정시켜주는 고정부재와, 상기 팬모터를 감싼 상태로 양측이 후면 패널에 고정되어 팬모터를 보호하는 팬모터 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팬모터 결합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공기조화기의 요부 구성을 참고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공기조화기의 종래 팬모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 - I 선단면도
도 4는 공기조화기의 본 발명 팬모터 결합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공기조화기의 본 발명 팬모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I′- I′선단면도
도 7은 공기조화기의 본 발명 팬모터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팬모터 커버 102: 열 방출구
103: 캡부 104: 절곡부
105: 제 1삽입공 106: 제 2삽입공
107: 제 1결합공 108: 제 2결합공
109: 체결부재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4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공기조화기의 본 발명 팬모터 결합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공기조화기의 본 발명 팬모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I′- I′선단면도이고, 도 7은 공기조화기의 본 발명 팬모터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내로 공기를 흡입 및 토출시키는 크로스 플로우 팬(6)을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11)의 외측을 감싸도록 팬모터 커버(10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팬모터 커버(101)의 상단면에 열을 방출하는 열방출구(10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팬모터 커버(101)의 일측에는 크로스 플로우 팬(6)의 힌지축(16)을 감싸도록 캡부(103)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절곡된 절곡부(104)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부(103)의 양측에는 제 1삽입공(105)이, 상기 절곡부(104)의 소정위치에는 다수개의 제 2삽입공(10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후면 패널(2)에 일체화된 지지대(12)의 상단면에 제 1삽입공(105)과 일치되게 다수개의 제 1결합공(10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면 패널(2)에 제 2삽입공(106)과 일치되게 다수개의 제 2결합공(10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삽입공(105)과 제 1결합공(107) 그리고 제 2삽입공(106)과 제 2결합공(108)이 일치되면 삽입되어 팬모터 커버(101)를 공기조화기의 후면 판넬(2)에 결합시키도록 체결되는 체결부재(10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재(109)는 후면 패널(2)에 팬모터 커버(101)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도록 스크류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조화기내로 공기를 흡입 및 토출시키는 크로스 플로우 팬(6)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축(16)이 공기조화기의 후면 패널(2)에 일체화된 지지대(12)에 의해 지지되는데, 이때 상기 힌지축(16)에는 크로스 플로우 팬(6)을 원활하게 회전시키도록 베어링 조립체(17)가 결합되어 있어 상기 베어링 조립체(17)를 지지대(12)에 형성된 지지홈(20)에 삽입시킨 후 크로스 플로우 팬(6) 일측의 힌지축(16)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11)의 구동축을 축결합시킨 다음 상기 팬모터(11)의 하단부에 형성된 리브(13)가 후면 패널(2)과 접촉되면 각 리브(13)에 형성된 삽입공(14)에 스크류(15)를 삽입하여 체결시키므로 공기조화기의 후면 패널(2)내에 팬모터(11)가 결합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후면 패널(2)내에 결합된 팬모터(11)의 외측을 감싸도록 팬모터 커버(101)를 얹으면 상기 팬모터 커버(101)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캡부(103)가 후면 패널(2)의 지지대(12) 상단면에 접촉되어 크로스 플로우 팬(6)의 힌지축(16)에 결합된 베어링 조립체(17)를 감싸게 되며, 타측에 절곡된 절곡부(104)는 후면 패널(2)내에 접촉되는데, 이와같이 접촉되면 캡부(103)의 양측에 각 형성된 제 1삽입공(105)과 상기 지지대(12)의 상단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 1결합공(107)을 일치시킨 후 체결부재(109)를 상기 제 1삽입공(105)과 제 1결합공(107)에 삽입한 다음 체결시키므로 지지대(12)의 상단면에 캡부(103)가 결합되어 크로스 플로우 팬(6)의 힌지축(16)이 지지대(12)에 고정결합됨과 동시에 후면 패널(2)에 팬모터 커버(101)의 일측이 결합되고, 또한 상기 절곡부(104)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 2삽입공(106)과 상기 후면 패널(2)에 형성된 제 2결합공(108)을 일치시킨 후 체결부재(109)를 상기 일치된 제 2삽입공(106)과 제 2결합공(108)에 삽입한 다음 체결시키므로 후면 패널(2)에 팬모터 커버(101)의 타측이 결합된다.
이와같이, 상기 팬모터 커버(101)의 일측이 지지대(12)의 상단면에 결합되고, 팬모터 커버(101)의 타측이 후면 패널(2)에 결합되므로 상기 팬모터 커버(101)는 공기조화기의 후면 패널(2)내에 팬모터(11)와 같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팬모터 커버(101)의 상단면에 형성된 열 방출구(102)에 의해 팬모터(11)가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열을 원활하게 방출시키므로 팬모터(11)가 열에 의해서 온도가 상승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크로스 플로우 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의 외측을 감싸도록 팬모터 커버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팬모터 커버가 팬모터를 보호해 주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한 팬모터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공기조화기내를 청소하거나 부품을 교환한 후 시운전 과정에서 부주의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면 패널에 팬모터를 결합시키는 스크류가 동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의 진동에 의해서 풀려도 후면 패널에 팬모터가 팬모터 커버와 같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팬모터가 후면 패널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팬모터 커버가 팬모터를 고정지지시키므로 후면 패널에 팬모터를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팬모터 커버의 상단면에 열 방출구를 형성함으로써 크로스 플로우 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키므로 팬모터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팬모터의 수명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팬모터에 형성된 다수개의 리브와,
    상기 각 리브를 후면 패널에 고정시켜주는 고정부재와,
    상기 팬모터를 감싼 상태로 양측이 후면 패널에 고정되어 팬모터를 보호하는 팬모터 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팬모터 결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팬모터 커버의 지지대 고정부위에 캡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팬모터 커버의 크로스 플로우 팬 측을 지지대에 고정할 때 상기 캡부가 크로스 플로우 팬의 힌지축을 감싸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팬모터 결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팬모터 커버의 상단면에 열방출구를 형성하여 팬모터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열방출구를 통해 방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팬모터 결합장치.
KR1019970032285A 1997-07-11 1997-07-11 공기조화기의 팬모터 결합장치 KR19990009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2285A KR19990009785A (ko) 1997-07-11 1997-07-11 공기조화기의 팬모터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2285A KR19990009785A (ko) 1997-07-11 1997-07-11 공기조화기의 팬모터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785A true KR19990009785A (ko) 1999-02-05

Family

ID=66039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2285A KR19990009785A (ko) 1997-07-11 1997-07-11 공기조화기의 팬모터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97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500B1 (ko) * 2006-11-13 2007-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모터 장착장치
WO2021101119A1 (en) * 2019-11-22 2021-05-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500B1 (ko) * 2006-11-13 2007-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모터 장착장치
WO2021101119A1 (en) * 2019-11-22 2021-05-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US11578877B2 (en) 2019-11-22 2023-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having fan module with installation space and stabilizer modifier spaced apart from the fan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284610B2 (en) 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provided therewith
KR20000032578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
WO2006001323A1 (ja) 空気調和機
KR19990009785A (ko) 공기조화기의 팬모터 결합장치
KR100445340B1 (ko) 토출그릴의 이슬형성 방지구조
KR100977571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환기 유닛
KR10057613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0161074B1 (ko) 공기조화기
KR200288376Y1 (ko) 팬코일의 송풍팬 및 모터장착구조
KR100845183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파워코드 고정구조
KR100456956B1 (ko) 공기조화기
KR100977572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환기 유닛
JP2003254552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KR20000055582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안내장치
KR100294337B1 (ko) 분리형공조기기의실내기
KR100294672B1 (ko) 공기조화기의응축수누수방지장치_
JP3030223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9990041499A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JP6943607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101848679B1 (ko) 천장 매입형 공기조화기
KR200363318Y1 (ko) 유니트쿨러의 송풍장치
KR20000055577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에어가이드와 쉬라우드 결합장치
KR100332278B1 (ko)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내기
KR200231321Y1 (ko) 분리형에어컨의풍량조절용스태빌라이저
KR100239464B1 (ko)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