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9298U - 냉장고용 제빙기의 스위치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제빙기의 스위치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9298U
KR19990009298U KR2019970022498U KR19970022498U KR19990009298U KR 19990009298 U KR19990009298 U KR 19990009298U KR 2019970022498 U KR2019970022498 U KR 2019970022498U KR 19970022498 U KR19970022498 U KR 19970022498U KR 19990009298 U KR19990009298 U KR 199900092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horizontal switch
ice
refrigerator
b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24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복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224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9298U/ko
Publication of KR199900092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298U/ko

Links

Landscapes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형 냉장고에서 자동적으로 얼음을 얼린 후 저장 용기로 취출 및 원 위치시 사용되는 제빙기의 스위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 스위치의 고정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동작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용 제빙기의 스위치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기판(69)에 고정된 상태인 수평 스위치(70)가 캠 기어(67)에 의해 압박되는 대향면을 고정시키도록 기어 박스(61)에 형성된 보스(1)와, 상기한 보스(1)가 관통되도록 수평 스위치(70)에 형성된 고정공(2)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용 제빙기의 스위치 고정 구조
본 고안은 스위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 냉장고에서 자동적으로 얼음을 얼린 후 저장 용기로 취출 및 원 위치시 사용되는 제빙기의 스위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식품을 장기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바, 이는 비교적 단기간 저장 가능한 식품을 얼지 않도록 보관하는 냉장실과, 식품을 냉동시켜 냉장실에 비해 매우 장기간 저장하는 냉동실로 구분 설치된다.
상기한 냉장고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 스티로품 등과 같은 단열재로 제작됨과 아울러 전면에 도어(50)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도어(50)와 함께 냉동실(I)을 형성하는 케이스(51)와, 상기한 케이스(51)의 실내 배면에 설치됨과 아울러 덕트 커버(52)에 의해 차폐되어 있는 증발기(53) 및 케이스(51) 하부에 설치된 압축기(54)와, 상기한 냉동실(I)의 상부 및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빙기(55)와, 상기한 제빙기(55)의 저면에 위치되어 있는 저장 용기(56)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냉동실(I)의 측벽에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57)에 다수의 선반(58) 및 보관 박스(59)가 지지되어 있고, 도어(50)에는 디스펜서(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제빙기의 구성은 냉동실(I)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기어 박스(61)와, 상기한 기어 박스(61)에 연결됨과 아울러 기어 박스(61)의 동작에 따라 수평 회전되고 얼음을 얼릴 수 있도록 형성된 얼음 그릇(62)과, 상기한 얼음 그릇(62)의 원위치에 따라 결빙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기어 박스(61) 측면에 설치된 결빙 레버(63)와, 상기한 얼음 그릇(62)에 물을 공급하는 직수관(64)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기어 박스(6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고정된 모터(65)와, 상기한 모터(65)에 다수의 아이들 기어(66)를 통해 치합됨과 아울러 캠 기어(67)가 형성되고 상기한 얼음 그릇(6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회전 기어(68)와, 상기한 캠 기어(67)에 간헐 접촉됨과 아울러 기판(69)에 설치된 수평 스위치(70)를 구동시키도록 기어 박스(61)에 설치된 동작판(71)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기판(69)은 기어 박스(61)에 형성된 걸림부(72)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한 기판(69)에는 결빙 스위치(73)가 같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냉장고는 압축기(54) 및 증발기(53)의 동작에 따라 냉동실(I)에 냉기가 충만되면 직수관(64)을 통해 제빙기(55)에 공급된 물이 얼게 된다.
제빙기(55)에 공급된 물이 얼게 되면 모터(65)가 회전됨과 아울러 이와 치합되어 있는 회전 기어(68)가 회전하면서 얼음 그릇(62)을 수직방향으로 회전시켜 얼음이 저장 용기(56)에 낙하되도록 한다.
얼음이 저장 용기(56)에 낙하될 때 상기한 결빙 레버(64)를 동작시키게 되는 바, 상기한 결빙 레버(63)가 동작되면 이와 연결된 결빙 스위치(73)가 동작되면서 다음 결빙 상태를 세팅하게 된다.
즉, 얼음 낙하 후 모터(65)를 역전시켜 상기한 얼음 그릇(62)을 수평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바, 이때 상기한 회전 기어(58)에 설치된 캠 기어(57)가 수평 스위치(70)를 온(ON) 시킨 상태에서 회전하는 도중 얼음 그릇(62)이 수평 위치가 되면 오프(OFF)되도록 함으로써 모터(65)를 정지시키게 된다.
모터(65)의 역전 시 얼음 그릇(62)이 수평이 되면 상기한 캠 기어(67)가 수평 스위치(70)를 오프시켜 모터(65)의 동작을 정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수평 스위치가 설치된 기판을 기어 박스의 걸림부에 안착시키게 되면 수평 스위치의 고정력이 낮을 뿐만 아니라 유동이 발생되기 때문에 회전되는 캠 기어가 수평 스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수평 스위치의 위치가 가변적이기 때문에 상기한 캠 기어가 이를 제어할 때 캠 기어로부터 멀리 이동하게 되면 수평 스위치가 동작되지 않는 불량이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평 스위치의 고정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동작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용 제빙기의 스위치 고정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기판에 고정된 상태인 수평 스위치가 캠 기어에 의해 압박되는 대향면을 고정시키도록 기어 박스에 형성된 보스와, 상기한 보스가 관통되도록 수평 스위치에 형성된 고정공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기의 스위치 고정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보스와 스위치의 조립 단면도,
도 3은 일반적인 대형 냉장고의 냉동실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제빙기의 배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스2 : 고정공
61 : 기어박스70 : 수평스위치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기의 스위치 고정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와 보스와 스위치의 고정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기판(69)에 고정된 상태인 수평 스위치(70)가 캠 기어(67)에 의해 압박되는 대향면을 고정시키도록 기어박스(61)에 형성된 보스(1)와, 상기한 보스(1)가 관통되도록 수평 스위치(70)에 형성된 고정공(2)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보스(1)가 수평 스위치(70)의 일측을 고정시키고 있기 때문에 외부 진동등에도 수평 스위치(70)가 유동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제빙을 위해 직수관(64)으로 물이 공급되면 상기한 얼음 그릇(62)에 얼음이 얼게 된다.
얼음 그릇(62)에 얼음이 얼게 되면 마이콤(미도시)이 상기한 모터(65)를 회전시키게 되는 바, 상기한 모터(65)의 회전과 동시에 이와 치합되어 있는 아이들 기어(66) 및 회전 기어(68)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수평 스위치(70)는 캠 기어(67)에 의해 압박되어 온되어 있는 상태이고, 상기한 회전 기어(68)가 회전하는 중 계속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회전 기어(68)가 계속 회전하게 되면 캠 기어(67) 위치에 수평 스위치(70)가 위치되는 바, 상기한 캠 기어(67)와 수평 스위치(70)가 접촉되면 수평 스위치(70)가 오프된다.
여기서, 상기한 수평 스위치(70)의 동작 시 수평 스위치(70)는 기판(69)에 부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일측 즉, 캠 기어(67)에 의해 압박되는 부분의 대향측이 보스(1)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흔들리지 않게 된다.
수평 스위치(70)의 위치가 흔들리지 않게 되면 상기한 캠 기어(67)가 수평 스위치(70)를 동작시키는 신뢰성이 향상되고, 이로 인해 수평 스위치(70)의 동작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한 보스(1)와 보스(1)가 삽입된 수평 스위치(70)의 고정공(2) 사이에는 매우 작은 공차가 형성됨으로써 수평 스위치(70)의 유동을 억제하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보스(1)를 수평 스위치(70)에 형성된 고정공(2)에 압입시켜 수평 스위치(70)의 유동을 억제하지만 상기한 고정공(2)을 형성하지 않고 수평 스위치(70)의 일측을 지지하여도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기어 박스에 형성된 보스와 상기한 보스가 삽입되도록 수평스위치에 형성된 고정공으로 수평 스위치가 유동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빙기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기판에 고정된 상태인 수평 스위치가 캠 기어에 의해 압박되는 대향면을 고정시키도록 기어 박스에 형성된 보스와, 상기한 보스가 관통되도록 수평 스위치에 형성된 고정공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기의 스위치 고정 구조.
KR2019970022498U 1997-08-20 1997-08-20 냉장고용 제빙기의 스위치 고정 구조 KR1999000929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498U KR19990009298U (ko) 1997-08-20 1997-08-20 냉장고용 제빙기의 스위치 고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498U KR19990009298U (ko) 1997-08-20 1997-08-20 냉장고용 제빙기의 스위치 고정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298U true KR19990009298U (ko) 1999-03-15

Family

ID=69675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2498U KR19990009298U (ko) 1997-08-20 1997-08-20 냉장고용 제빙기의 스위치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929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6788B2 (en) Ice maker with rotating ice tray
RU2388976C2 (ru) Холодильник
US3541806A (en) Control system for refrigerator with automatic icemaker and defrosting means
US20040187516A1 (en) Dispenser of refrigerator
JPH1123118A (ja) 冷蔵庫用自動製氷装置
KR20090059421A (ko) 냉장고
EP2054680B1 (en) Ice maker
US11598566B2 (en) Revolving ice maker
EP1865276B1 (en) Ice maker
US3270519A (en) Ice maker with door mounted drive means
KR100272894B1 (ko) 제빙기의 제빙완료검지 및 백탁 방지기구
KR19990009298U (ko) 냉장고용 제빙기의 스위치 고정 구조
KR20190038275A (ko) 냉장고
KR20050022067A (ko) 냉장고의 제빙기
KR20210061102A (ko) 냉장고
KR20200038107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20230272955A1 (en) Direct cooling ice maker
KR930003487Y1 (ko) 얼음낙하 안내판
KR100661840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9990034647A (ko) 자동제빙기의 급수부 개폐장치
KR100229187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JP2005180908A (ja)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KR960024132A (ko) 자동제빙기
KR200152160Y1 (ko) 대형 냉장고의 얼음 저장통 지지 구조
JP2003269828A (ja) 製氷装置及びこの製氷装置を備えた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