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9246U -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신호 경보회로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신호 경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9246U
KR19990009246U KR2019970022434U KR19970022434U KR19990009246U KR 19990009246 U KR19990009246 U KR 19990009246U KR 2019970022434 U KR2019970022434 U KR 2019970022434U KR 19970022434 U KR19970022434 U KR 19970022434U KR 19990009246 U KR19990009246 U KR 199900092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call signal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24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4958Y1 (ko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김영기
주식회사 엘디아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기, 주식회사 엘디아이코리아 filed Critical 김영기
Priority to KR20199700224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4958Y1/ko
Publication of KR199900092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2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49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49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된 호출신호 경보회로는 열쇠 고리 및 브로우치와 같이 사용자가 간단히 휴대 및 부착하는 장신구에 설치하여 이동 통신 기기로 호출 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검출하고, 호출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동 통신기기에 호출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이동 통신 기기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신호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이동 통신 기기가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할 경우에 동조/기준전압 공급부가 동조되어 소정 레벨의 신호를 발생하고, 동조/기준전압 공급부부의 출력신호를 비교부가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동조 검출신호를 출력하며, 비교부가 출력하는 동조 검출신호를 안정화부가 안정화하고, 경보부가 구동되어 호출 신호의 수신을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이동 통신 기기를 신체에 접촉시키지 않고, 가방 등에 넣어 두고서도 호출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이를 판단하여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신호 경보회로
본 고안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아날로그형 휴대용 전화기 및 디지털형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각종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 신호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신호 경보회로에 관한 것이다.
전자 및 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많은 사람들이 PCS, 아날로그형 휴대용 전화기 및 디지털형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이동 통신 기기를 휴대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 통신 기기를 호출할 경우에 이동 통신국에서 이동 통신 기기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고, 이동 통신 기기는 호출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호출 신호가 수신됨을 알리고 있다.
호출 신호의 수신을 알리기 위하여 종래에는 이동 통신기기에 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링 신호 출력부를 구비하고, 호출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링 신호 출력부를 구동시켜 음성 신호로 호출 신호의 수신을 알리고 있다.
그러나 호출 신호의 수신을 알리는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도서관 등과 같이 소음을 발생해서는 안되는 장소에서도 음성 신호로 호출 신호를 출력하므로 도서관 등을 이용하는 주변의 다른 사람들에게 이동 통신 기기에서 출력되는 호출 신호에 의해 방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많은 이동 통신 기기의 사용자들은 도서관 등을 출입할 경우에 이동 통신 기기를 오프시켜 호출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동 통신 기기를 오프시킬 경우에 중요한 전화를 받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변에 이동 통신 기기의 사용자가 여러명 있을 경우에 어느 이동 통신기기가 호출 신호를 출력하는 지를 알 수 없으므로 호출 신호가 출력될 경우에 이동 통신 기기의 사용자들은 자기 자신의 이동 통신 기기가 호출 신호를 출력하는 지를 일일이 확인해야 되는 불편과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이동 통신기기에 진동 수단을 구비하고, 호출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진동 수단이 진동을 발생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호출신호의 수신에 따라 진동 수단이 진동을 발생하게 하는 것은 중량이 무거운 이동 통신 기기를 항상 신체에 접촉시켜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동 통신 기기로 호출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검출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 신호 경보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열쇠 고리 및 브로우치와 같이 사용자가 간단히 휴대 및 부착하는 장신구에 설치하여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 신호 수신을 경보하는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 신호 경보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호출 신호 경보 회로에 따르면, 이동 통신기기에 호출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이동 통신 기기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신호를 이용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기기는 이동 통신국이 송신하는 호출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이를 이동 통신국으로 알리기 위하여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호출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PCS는 1.5~1.6GHz의 신호를 발생하고, 아날로그형 휴대용 전화기는 800MHz의 신호를 발생하며, 디지털형 휴대용 전화기는 1.2GHz의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이동 통신 기기가 호출 신호가 수신하여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할 경우에 동조부가 동조되어 소정 레벨의 신호를 발생하고, 동조부의 출력신호를 비교부가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동조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비교부가 출력하는 동조 검출신호를 안정화부가 안정화하고, 경보부가 구동되어 호출 신호의 수신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상기 경보부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하는 물건 예를 들면, 열쇠 고리 등에 설치하여 호출 신호의 수신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일일이 이동 통신 기기를 신체에 접촉시키지 않고, 가방 등에 넣어 두고서도 호출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이를 판단하여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호출신호 경보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동조/기준 전압 설정부2 : 비교기
3 : 안정화부4 :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5 : 경보부Q1~Q4 : 트랜지스터
R1~R10 : 저항C1~C6 : 콘덴서
L : 코일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 신호 경보회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호출 신호 경보 회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이동 통신 기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가 호출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출력하는 신호에 동조되고 기준 전압을 공급하는 동조/기준 전압 설정부(1)와, 상기 동조/기준 전압 설정부(1)의 출력신호로 동조 여부를 판별하는 비교기(2)와, 상기 비교기(2)의 출력신호를 안정화시키는 안정화부(3)와, 상기 안정화부(3)의 출력신호에 따라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와, 상기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의 출력신호에 따라 호출신호의 수신을 경보하는 경보부(5)로 구성된다.
상기 동조/기준 전압 설정부(1)는, 안테나(ANT)가 코일(L) 및 콘덴서(C2)를 통해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접속되고, 전원 단자(Vcc)가 콘덴서(C3)를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속됨과 아울러 저항(R1, R2, R3)이 직렬 접속되어 저항(R1, R2)의 접속점이 상기 콘덴서(C3) 및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의 접속점과 함께 비교기(2)의 반전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저항(R2, R3)의 접속점이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와 함께 비교기(2)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안정화부(3)는, 상기 비교기(2)의 출력단자가 병렬 접속된 저항(R4) 및 다이오드(D)를 통해 접지 콘덴서(C4)에 접속된다.
상기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는 상기 안정화부(3)의 저항(R4), 다이오드(D) 및 콘덴서(C4)의 접속점이 저항(R5)(R6)을 통해 트랜지스터(Q2)(Q3)의 베이스에 각기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2)(Q3)의 콜렉터에 전원단자(Vcc)가 저항기(R7)(R8)을 통해 각기 접속됨과 아울러 그 접속점이 콘덴서(C5)(C6)를 통해 트랜지스터(Q3)(Q2)의 베이스 및 저항(R6)(R5)의 접속점에 접속된다.
상기 경보부(5)는, 상기 콘덴서(C6),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 및 저항(R8)의 접속점이 저항(R9)을 통해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에는 전원단자(Vcc)가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는 직렬 접속된 저항(R10) 및 발광 다이오드(LED)와, 진동 모터(M)가 접속된다.
상기에서 코일(L) 및 콘덴서(C2, C3)는 이동 통신 기기로 호출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이동 통신 기기가 출력하는 신호에 공진 예를 들면, 800MHz~1.6GHz에 공진되게 하고, 도면의 설명중 미설명 부호 C1은 전원단자(Vcc)의 전원을 안정화시키는 콘덴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신호 경보회로는 전원단자(Vcc)에 인가되면, 인가된 전원은 콘덴서(C1)에 의해 안정화된 후 동작 전원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동조/기준 전압 설정부(1)의 저항(R1, R2, R3)에 의해 분할되어 트랜지스터(Q1)에 동작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게 되므로 트랜지스터(Q1)는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이동 통신 기기가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경우에 안테나(ANT)로 수신되는 신호가 없어 코일(L) 및 콘덴서(C2, C3)가 공진되지 않는다.
그러면, 비교기(2)의 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그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높게 되므로 비교기(2)는 계속 저전위를 출력하게 되고, 안정화부(3)가 저전위를 출력하여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의 저항(R5)(R6)을 통해 트랜지스터(Q2)(Q3)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여기서,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의 트랜지스터(Q2)가 온 상태이고, 트랜지스터(Q3)가 오프 상태라고 가정하면, 경보부(5)의 트랜지스터(Q4)가 오프 상태로 된다.
따라서 경보부(5)의 발광 다이오드(LED)가 점등되지 않고, 진동 모터(M)가 구동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이동 통신 기기로 호출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이동 통신기기는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이동 통신 기기가 출력하는 소정 주파수의 신호는 동조/기준 전압 설정부(1)의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고,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코일(L) 및 콘텐서(C2, C3)가 공진되므로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로 높은 전압이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와는 반대로 비교기(2)의 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그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낮게 되므로 비교기(2)는 고전위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이동 통신국에서 이동 통신 기기로 호출신호를 전송할 경우에 호출신호를 계속 전송하지 않고, 일정 시간동안 호출 신호를 전송한 후 정지하는 것을 반복하는 것으로서 이동 통신 기기는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 및 정지하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동 통신기기에 호출신호가 수신 및 정지됨에 따라 비교기(2)가 펄스신호를 출력하고, 출력한 펄스신호는 안정화부(3)에서 안정화된 후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에 입력되어 트랜지스터(Q2)(Q3)가 교호로 온 및 오프되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여기서,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의 트랜지스터(Q2)가 오프 상태이고, 트랜지스터(Q3)가 온 상태로 될 경우에 경보부(5)의 트랜지스터(Q4)가 온 상태로 되고, 이로 인하여 발광 다이오드(LED)가 점등됨과 아울러 진동 모터(M)가 구동되어 진동을 발생하면서 이동 통신기기에 호출 신호가 수신됨을 알리게 된다.
그리고 안정화부(3)의 출력신호에 따라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가 동작하여 트랜지스터(Q2)가 온 상태로 되고, 트랜지스터(Q3)가 오프 상태로 될 경우에 경보부(5)의 트랜지스터(Q4)가 오프 상태로 되어 발광 다이오드(LED)가 소등되고, 진동 모터(M)의 구동이 정지된다.
그러므로 이동 통신기기에 호출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발광 다이오드(LED)는 점멸을 반복하고, 진동 모터(M)는 구동 및 정지되면서 단속적으로 진동을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를 구비하여 이동 통신기기에 호출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발광 다이오드(LED)는 점멸을 반복하고, 진동 모터(M)는 구동 및 정지되면서 단속적으로 진동을 발생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상기에서는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를 사용하는 것은 전원의 소모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를 사용하지 않고, 안정화부(3)에 경보부(5)를 직접 연결하여 이동 통신기기에 호출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경보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이동 통신기기에 호출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이동통신 기기에서 출력되는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기기에 호출신호가 수신됨을 경보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들은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 신호 출력을 진동으로 설정한 상태에서도 일일이 이동 통신 기기를 휴대하지 않고, 통상적으로 휴대하고 있는 열쇠 고리 등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기기에 호출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Claims (3)

  1. 이동 통신기기에 호출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에 동조되고 기준 전압을 공급하는 동조/기준 전압 설정부;
    상기 동조/기준 전압 설정부의 출력신호로 동조 여부를 판별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의 출력신호를 안정화시키는 안정화부; 및
    상기 안정화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호출신호의 수신을 경보하는 경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신호 경보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조/기준 전압 설정부는;
    전원을 분할하여 기준 전압을 공급하는 복수의 저항;
    상기 복수의 저항에 의해 분할된 전압에 따라 동작되는 트랜지스터; 및
    상기 트랜지스터가 온 상태일 경우에 이동 통신기기에 호출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에 동조되는 코일 및 복수의 콘덴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신호 경보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부 및 경보부의 사이에는;
    상기 안정화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신호 경보회로.
KR2019970022434U 1997-08-19 1997-08-19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신호 경보회로 KR2001649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434U KR200164958Y1 (ko) 1997-08-19 1997-08-19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신호 경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434U KR200164958Y1 (ko) 1997-08-19 1997-08-19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신호 경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246U true KR19990009246U (ko) 1999-03-15
KR200164958Y1 KR200164958Y1 (ko) 2000-01-15

Family

ID=19508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2434U KR200164958Y1 (ko) 1997-08-19 1997-08-19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신호 경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495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4958Y1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4358B1 (en) Holster with detection for an inserted electronic device
US20070096933A1 (en) Proximity alarm system for articles
KR970061003A (ko) 시각 장애인용 대화형 유도 신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0581416B1 (en) Alarm for reminding users of negligently left portable cellular telephone
JP2005151392A (ja) 紛失・不正使用防止機能を備えた携帯通信端末
KR200164958Y1 (ko)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신호 경보회로
KR20040069588A (ko) 사우나에서의 휴대폰 수신 알림 시스템
KR200172765Y1 (ko) 휴대용 전화 벨소리 알림 진동 장치
KR0171282B1 (ko) 무선전화기의 유아 감시장치
KR19990037736A (ko) 휴대통신기에서수신을알리는기능을갖는손목착용형수신알림장치.
JPH11346389A (ja) 忘れ物防止機能付き携帯電話機
GB2230164A (en) Electronic human tagging arrangement detects if tag is removed
KR200329429Y1 (ko) 핸드폰의 원격 착신감지장치
KR200188088Y1 (ko) 이동통신기기의 수신알림 회로
KR20020078411A (ko) 휴대폰의 위치 알람 서비스방법
CN211670987U (zh) 一种蓝牙寻物装置
JP3069564U (ja) アクセサリ
KR200210763Y1 (ko) 휴대형 전화기의 착신 고지 장치
KR20100073669A (ko) 핸드폰의 발신신호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핸드폰 악세사리
JPH0669883A (ja) 携帯コードレス電話機の紛失警報器
KR200344860Y1 (ko) 낚싯대 도난경보장치
JPH0965434A (ja) 携帯用呼び出し装置
KR200171880Y1 (ko) 이동통신기기의호출/통화표시장치
KR200257681Y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분실 도난 방지 시스템
KR200163323Y1 (ko) 착신전달용신체부착형무선진동체를갖는휴대용무선통신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19991106

Effective date: 2000103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