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9233U - 석유 연소기용 유량계 - Google Patents

석유 연소기용 유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9233U
KR19990009233U KR2019970022420U KR19970022420U KR19990009233U KR 19990009233 U KR19990009233 U KR 19990009233U KR 2019970022420 U KR2019970022420 U KR 2019970022420U KR 19970022420 U KR19970022420 U KR 19970022420U KR 19990009233 U KR19990009233 U KR 199900092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fuel
flow rate
gauge bar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24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규
김양호
김영수
한인희
이대래
김희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700224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9233U/ko
Publication of KR199900092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233U/ko

Links

Landscapes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석유 연소기용 유량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량계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게이지 바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 연결하여 이 연결부를 조작함에 따라 게이지 바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게이지 바(100)를 제 1 부재(110)와 재 2 부재(173)로 나누고, 상기 제 1 부재(110)의 일단과 제 2 부재(120)의 각 일단을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하여 이 연결부재를 중심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석유 연소기용 유량계
본 고안은 석유 연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유 연소기용 유량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유 연소기는 연료인 석유를 기화하여 연소시킴에 따라 얻어지는 열을 이용하여 난방을 행하는 난방기기의 하나로서, 가연성연료(석유)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와, 상기 연료공급장치에서 공급된 연료를 기화하여 연소시키는 기화식 버너와, 상기 연소장치에 외부공기를 공급하여 가연성 연료를 미립화시킴과 동시에 연소시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연료공급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연소기 본체(1)의 하부에 구비되어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탱크(2)와; 상기 연료탱크의 연료(석유)를 펌핑하여 연소장치로 공급해 주는 연료펌프(3)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화식 버너는 도 2에서와 같이 바닥면이 막혀있는 원통형의 기화기(4)와; 상기 기화기의 둘레면 내부에 매설되어 점화초기 상기 연료탱크(2)로부터 공급된 액화 가연성(可燃性) 연료를 기화시키기 위해 기화기(4)를 예열시켜주는 예열히터(5)와; 상기 기화기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공기공급장치(도시는 생략함)에 의해 외부의 연소용 공기를 유입하여 가연성 연료를 작은 액적상태로 미립화시킴과 동시에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노즐(6)과; 상기 노즐의 내부 중심축상에 설치되어 가연성 연료를 기화기의 내부로 분사, 공급하는 니이들(7)과; 상기 기화기(4)의 상측 개방부에 얹혀지며, 기화기의 내부로 유입되어 미립화된 기화가스를 상부로 분출시키는 버너캡(Pot Cap)(8)과; 상기 버너캡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무수히 많은 염공(9)이 형성된 버너헤드(10)와; 상기 버너헤드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염공(9)을 통해 분출되는 기화가스를 초기에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플러그(11)와; 상기 기화기(4)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기화기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기화기에 매설된 예열히터(5)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도센서(12)와; 상기 버너헤드(1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연소시 발생되는 열을 기화기(4)에 전달하는 포트링(13)과; 상기 포트링의 외측에 기화기(4)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인해 열원을 빼앗기지 않도록 상기 기화기의 상면을 폐쇄하는 버너커버(14)와; 상기 버너헤드(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연소열이 2차 연소되는 라디에이터(15)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기공급장치는 기화식 버너의 하부에 설치되며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기화식 버너로 송풍해주는 송풍팬(16)과; 상기 송풍팬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7)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소기 본체(1)에 전원이 인가되면 기화식 버너가 작동하여 기화기(4)에 매설되어 있는 예열히터(5)가 발열하게 되므로 액체 가연성 연료가 기화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기화기(4)를 예열시킨다.
그후, 기화기(4)의 예열이 완료되면 연소용 공기공급장치에 의해 연소용 공기가 노즐(6)을 통해 기화기(4)의 내부로 공급됨과 동시에 연료공급장치의 구동에 의해 연료펌프(3)내에 있는 액체 가연성 연료가 니이들(7)을 통해 기화기(4)의 내부로 분사되므로 이미 기화기의 내부로 공급 분사되어 예열된 공기에 의해 작은 액적상태로 미립화 된다.
이와 같이 미립화된 액적은 기화기(4)의 내벽면에 충돌하면서 얇게 퍼져 증발된다.
증발된 기화가스는 버너캡(8)의 유로를 따라 상측으로 유출되는데, 이때 상기 버너캡(8)을 통과하면서 유속이 1차 감속된 기화가스는 반구형 버너헤드(10)의 상면에 부딪혀 유속이 2차로 감속됨과 동시에 상기 원추형의 형상에 의해 기화가스가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므로 버너헤드(10)의 염공(9)을 통해 외부로 분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동작버튼(도시는 생략함)을 눌러 버너헤드(10)의 일측에 설치된 점화플러그(11)에서 스파크를 발생시키면 분출되는 기화가스에 점화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 기화가스의 연소에 따른 연소열에 의해 난방을 행하게 된다.
상기를 요약하면, 연소장치에서 연료탱크(2)로부터 펌핑되는 연료가 노즐(6)의 가운데에 위치한 니이들(7)에 분사되고, 연소용 공기는 노즐(6)로 압송되도록 하여 그 공기압에 의해 기름이 기화기(4) 내부에서 미립화되어 무화된다.
이렇게 무화된 기름은 기화기(4)의 예열온도에 의해 기화되면서 연소용 공기와 혼합되어 고전압 점화 방전에 의해 연소된다.
기화기(4)에서 연소된 연소열은 상기 라디에이터(15)에서 2차 연소되면서 미연가스를 감소시키고, 라디에이터의 복사열에 의해 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연료탱크(2)의 전방측에는 연료탱크내의 연료량을 감지하기 위한 유량계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량계의 구성은 도 2에서와 같이 연료탱크(2)내의 유면위에 떠있는 부구(18)와; 상기 부구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유량표시침(20)이 형성되며, 양단 사이의 적정부위가 연료탱크(2)에 힌지 결합된 게에지 바(19)와; 유량을 표시하는 일정간격의 눈금(도시는 생략함)이 매겨져 있고, 상기 유량표시침(20)이 가르키는 눈금에 의해 외부에서 연료탱크내의 유량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유량표시기(21)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도 2에서와 같이 연료탱크(2)내에 연료가 가득차 있다면(도면상A라인) 부구(18)는 유면위에 떠 있게 되므로 게이지 바(19)의 유량표시침(18)은 유량표시기(19)에서 유량이 많음을 나타내는 눈금을 지칭하게 되어 외부에서 연료가 연료탱크(2)내에 가득차 있음을 인식하게 된다.
반면, 연료를 소모함에 따라 유면이 점진적으로 내려가면 유면을 따라 부구(18)도 함께 내려가면서 부구가 고정되어 있는 게이지 바(19)의 일단이 힌지축(22)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그 타단(유량표시침) 역시 힌지축(20)을 중심으로 동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유량표시기(19)에서 유량이 적음을 나타내는 눈금을 지칭하게 되어 외부에서 연료탱크(2)내의 연료가 얼마남지 않았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량계는 게이지 바(17)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연료탱크(2)의 용량이 클 경우에는 작은 용량의 연료탱크(2)에서 사용하였던 게이지 바(17)의 길이가 짧으므로 연료가 연료탱크(2)의 바닥면에 근접할수록, 즉 연료가 소량 남았을때에는 부구(16)가 유면에 닿지 못하게 되므로 유량을 유량표시침(18)에 의해 지칭하지 못하게 되므로 정화한 유량측정이 곤란하였다.
따라서, 연료탱크(2)의 용량에 따라 그에 맞는 크기를 가진 게이지 바(17)를 매번 적용해야만 했으므로 이를 생산하기 위한 라인을 별도로 갖추어야만 하는 설비비의 증가와, 이에 따른 생산비용이 상승하여 제품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연료탱크의 크기에 관계없이 게이지 바를 호환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연료탱크내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유면위에 뜨는 부구와, 상기 부구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는 유량표시침이 형성되며, 양단사이의 적정부위가 상기 연료탱크에 힌지 결합된 게이지 바를 갖춘 것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 바를 제 1 부재와 재 2 부재로 나누고, 상기 제 1 부재의 일단과 제 2 부재의 각 일단을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하여 이 연결부재를 중심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연소기용 유량계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석유 연소기의 일예를 도시한 일부절취 측단면도
도 2는 상기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a는 본 고안의 유량계를 도시한 정면도
도 3b는 상기 도 3a의 I-I 선 단면도
도 4는 상기 도 3a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게이지 바 110 : 제 1 부재
120 : 제 2 부재 121 : 고정돌기
130 : 각도조절판 131 : 고정공
140 : 볼트 141 : 너트
150 : 스프링
이하,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석유 연소기용 유량계의 게이지 바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종래의 구성과 중복되는 부분은 되도록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신규한 구성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유량계의 구성부품중의 하나인 게이지 바(100)는 양단 사이의 적정부위가 유량탱크(2)에 힌지 결합되고, 일단에는 유량표시침(172)이 형성된 제 1 부재(110)와; 상기 제 1 부재(110)의 타단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에는 유면위에 띄우기 위한 부구(174)가 고정된 제 2 부재(120)로 양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1 부재(110)와 제 2 부재(120)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재는 제 1, 2 부재의 각 단을 중첩시킨 사이에 개재되며, 중앙을 중심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빙둘러 고정공(131)이 다수개 천공되어 있는 원판형상의 각도조절판(130)과; 상기 각도조절판의 고정공(131)중 어느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제 2 부재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돌기(121)와; 상기 각도조절판(130)과 제 2 부재(120)의 사이에 압축상태로 개재되어 있는 스프링(150)과; 상기 제 1 부재(110)와, 각도조절판(130), 스프링(150), 제 2 조절판(173)을 체결하는 볼트(140)와 너트(141)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연결부재에 의해 게이지 바(10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체결되어 있는 볼트(140)와 너트(141)를 느슨하게 풀어주면 스프링(150)의 탄성력에 의해 각도조절판(130)과 제 2 부재(120)사이를 벌려주게 되어 어느 하나의 고정공(131)에 삽입되어 있는 고정돌기(121)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다음, 고정공(131)으로부터 분리된 고정돌기(121)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한후 그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공(131)에 고정돌기(121)를 끼워넣고, 그 각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풀려 있던 볼트(140)와 너트(141)를 체결하면 각도조절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게이지 바(100)의 각도를 조절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연료탱크(2)의 용량이 워낙 커서 유량측정 곤란할 때에는 볼트(140)와 너트(141)를 완전히 해체하여 제 1, 2 부재(171)(173)를 분리한후 길이가 긴 제 2 부재(120)를 새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아니면, 제 1 부재(110)와 제 2 부재(120)의 연결부위를 고정시키지 않고 연결부위를 기준으로하여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하여 유량에 따라 제 1, 2 부재(171)(173)의 각도가 스스로 변화되도록 하는 구조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기술이기는 하지만 유량을 측정하는 계측수단으로 적용함으로써 연료탱크(2)의 용량에 따라 호환 적용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으므로 본 고안의 유량계에 적용 가능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연료탱크의 용량에 따라 게이지 바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료탱크의 용량에 관계없이 호환적용이 가능하고, 제작공정의 단순화로 생산성의 향상과 제품가를 저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연료탱크내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유면위에 뜨는 부구와, 상기 부구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는 유량표시침이 형성되며, 양단사이의 적정부위가 상기 연료탱크에 힌지 결합된 게이지 바를 갖춘 것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 바를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로 나누고, 상기 제 1 부재의 일단과 제 2 부재의 각 일단을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하여 이 연결부재를 중심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연소기용 유량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부재가 상기 제 1, 2 부재의 각 단을 중첩시킨 사이에 설치되며, 중앙을 중심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빙둘러 고정공이 다수개 형성된 각도조절판과;
    상기 각도조절판의 고정공중의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제 2 부재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돌기와;
    순차적으로 중첩된 상기 제 1 부재, 각도조절판, 제 2 조절판을 체결하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연소기용 유량계.
  3. 제 2 항에 있어서,
    각도조절판과 제 2 부재 사이에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유 연소기용 유량계.
KR2019970022420U 1997-08-19 1997-08-19 석유 연소기용 유량계 KR1999000923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420U KR19990009233U (ko) 1997-08-19 1997-08-19 석유 연소기용 유량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420U KR19990009233U (ko) 1997-08-19 1997-08-19 석유 연소기용 유량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233U true KR19990009233U (ko) 1999-03-15

Family

ID=69688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2420U KR19990009233U (ko) 1997-08-19 1997-08-19 석유 연소기용 유량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923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142413B (no) Forbrenningsanordning.
KR19990009233U (ko) 석유 연소기용 유량계
JP3916108B2 (ja) 燃料予熱手段を備えたバーナー装置
KR19990018252A (ko) 석유 연소기의 균일화염 분출장치
KR19990016680A (ko) 석유 연소기의 점화시간 단축을 위한 연료파이프 구조
KR200159474Y1 (ko) 석유 연소기용 기화기
KR100249225B1 (ko) 석유 연소기의 화염 활성화장치
JPS6319699Y2 (ko)
KR100187026B1 (ko) 석유연소기용 기화기
JPS6118084B2 (ko)
KR100223944B1 (ko) 기화기
KR19980031126A (ko) 개방식 석유난방기
KR940002577Y1 (ko) 로타리 히이터의 버너구조
JPH0335944Y2 (ko)
KR0166934B1 (ko) 석유 팬히터의 연소장치
KR0128885Y1 (ko) 기화식 석유연소기기의 버너헤드 예열장치
KR19990006454U (ko) 석유 연소기용 가변형 버너캡
KR200173913Y1 (ko) 석유 연소기용 회로기판의 차열장치
JP3653376B2 (ja) 燃焼装置
KR100187032B1 (ko) 오일연소기의 분사망 구조
KR100201415B1 (ko) 개방형 기화식 석유난방기의 제어부 냉각장치
JPS60221610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KR0125451Y1 (ko) 로터리히터용 버너
JPS5923959Y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S63254309A (ja) 石油燃焼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